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군정기 국내 항공단체의 ‘항공 건설’구상과 식민유산

        김기둥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0 石堂論叢 Vol.0 No.77

        This study focuses on a conception of air-construction through The Korean Aviation, an organ of domestic air-organization. A field of aeronautics has been esta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its establishment provides a thought-provoking subject to the scholars in a liberated era, which insinuates the continuation and isolation of the colonial legacy. The experienced airmen tried to provide justification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having domestic aeronautics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the World War II. Their idea, however, are likely to be more oriented in civil activities such as education rather than in national defense. Only the small part of The Korean Aviation covers about the establishment of air force. An observations through the experience of colonization show consensus in their plans and justifications. Chosen Aviation Corps for National Defense that Japan has established in Korea is a civil group that augmented the education of aeronautics. Chosen Aviation Corps for National Defense considered themselves as a descendant of air force, believing that their activities are directly related to strengthen the national defense. Behind these perceptions, there existed the concept of Air Ministry that does not differentiate civil-aeronautics from military-aeronautics. During the immediate post-colonial era, when there was an absence of air force, a plan about its ‘inherit’ had its limit. The experienced airmen perceived such problem and came up with the plans that follow the Japanese's. This is ironic because they are the ones who have criticized the Japanese's air-policy. Such limitations in plan results from their lack of experience in policy making, management, systematic construction. 이 연구는 미군정기 국내 항공단체의 기관지인 항공조선을 통해 당시 항공 건설의 구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항공은 식민지배 기간 동안 정립된 분야이므로 해방 공간에서 그것의 건설에 대한 논의는 식민유산의 연속 내지 단절 문제를 엿볼 수 있는 소재라 할 수 있다. 항공경력자들은 제2차 세계대전의 경험을 토대로 국방상 항공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 자신들의 활동 명분을 얻고자 했다. 그렇지만 이들의 구상 내지 활동 계획을 보면 국방보다는 학생들의 교육 등을 비롯한 민간 분야에 치중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항공조선 등에서 항공군 건설에 관한 내용은 극히 소략하다. 식민지배의 경험을 토대로 접근해보면, 이들의 명분과 계획은 상통했다. 일제가 조선에서 결성했던 조선국방항공단은 민간단체로서 항공 교육의 강화에 주력했다. 조선국방항공단은 자신들의 활동이 국방 강화에 직결된다고 여기면서 스스로를 ‘공군의 후위’ 내지 ‘제2진’으로 여겼다. 이러한 인식의 기저에는 민간항공과 군사항공을 구분하지 않는 ‘항공성’의 개념이 자리했다. 해방 직후 항공군의 부재한 상황에서 그것의 ‘후위’에 우선한 계획은 한계를 지녔다. 항공경력자들은 그 문제를 인지했고, 일제의 항공 정책을 비판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 활동을 답습한 계획을 제시했다. 그 한계는 식민지배 당시 항공 분야에서 조선인들의 역할이 기술자 영역에 한정되어 정책 수립, 운용, 체계 구축 등을 경험하지 못한 데에서 기인했다.

      • KCI등재

        헌종대 濟州島의 이양선 대응과 대비책 정비

        김기둥 부경역사연구소 2023 지역과 역사 Vol.- No.52

        This article covers the response of Joseon government to the emergence of Foreign Vessels (異樣船) through the case of Jeju Island during the reign of King Heonjong. Jeju Island had a defensive posture focused on coastal defense of the island without operating naval ships since the reign of King Sukjong. As a follow-up measure to the pillage of Gapa Island by the British ship, H.M.S. Nimrod in 1840, the authority of Jeju Island moved cattle from annexed islands to the main island. In 1845, H.M.S. Samarang of Britain landed on the main island of Jeju as an attempt to initiate negotiation and surveyed the coastal terrain. The authority of Jeju had to prepare for the active approach of Foreign Vessels. The authority installed Coastal Walls to prevent the landing of Foreign Vessels on major coasts and started to reinforce the size of the forces on the island. As a result, most of the male population in the island was organized as military forces, and the system of control was set up so that the magistrates of Jeongui and Daejeong Counties could react rapidly as independent units. Previously, these magistrates were excluded from the Defense Regiment of Jeju. However, these measures were not appropriate against the threat of Foreign Vessels armed with naval artillery. The preparation of Jeju Island was not to drive out the Foreign Vessels by military power but to prevent censure of the central government followed by private contact with the outside and loss of state properties. Thus, the military preparation of the Jeju Island authority,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two cases in the reign of Heonjong, showed the Joseon recognition of the outside world: it considered the threat of the Foreign Vessels was caused by internal instability rather than the reorganization of the international order.

      • KCI등재

        일제시대 항공 분야의 변화와 조선인 여성의 활동

        김기둥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3 아시아여성연구 Vol.62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presence of Korean women in aviation under Imperial Japanese colonial rule. The military of Imperial Japan introduced aviation in the 1910s, but colonial people, including women, could not participate as they were limited from enlisting in the army. In the 1920s, civil aviation was initiated, and pilots started to be trained from marginalized classes. However, as colonial women were burdened more with studying on the Japanese mainland to acquire the necessary aviation skills, the emergence of Korean female pilots was delayed. In the late 1920s, when Park Gyeongwon and Yi Jeongheui obtained pilot licenses, civil aviation was becoming into a part of transportation. Imperial Japan systemically restricted the participation of female pilots in aviation transportation. However, the aviation industry triggered the differentiation of gender roles in aviation by imposing a cabin crew called "Air Girl." Since the aviation industry was dominated by Japanese companies, Korean women were at an unfavorable position in opportunities to become cabin crew. Korean women participated in propaganda flights for the ruling power in an attempt to overcome the barriers they faced. Still, the transition of civil aviation during wartime completely obstructed female entry. In wartime aviation, females were called upon to fulfill traditional gender roles as mothers raising the future air force. At least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omen's roles in the aviation tended to become more specific. Nevertheless, Korean women persisted in their attempts to realize the aspirations of flight and still appeared to show aggression. The Korean liberation from colonial rule led to the active participation of women in air power buildup. 이 글은 일제하 항공 분야에서 조선인 여성의 존재를 살펴보았다. 1910년대 일제는 군(軍)을 중심으로 항공 분야를 도입하였고, 여기서 입대가 제한된 여성과 식민지인은 참여할 수 없었다. 1920년대에 들어서 민간항공이 본격적으로 개시되자 그동안 배제되었던 계층에서도 비행사들이 배출되기 시작했다. 다만 식민지 여성은 항공 기술의 습득에 요구되는 도일(渡日) 유학의 부담을 더 크게 받았기 때문에 조선인 여성 비행사의 등장은 다소 늦었다. 1920년대 후반 박경원과 이정희가 비행사 자격을 획득했을 때, 민간항공은 교통의 한 분야로 도약하고 있었다. 일제는 항공교통에서 여성 비행사들의 참여를 제도적으로 제한했다. 항공교통은 ‘에어걸’이란 객실승무원을 도입하면서 항공에서 성역할의 분화를 촉발했다. 일본 회사 위주의 항공교통에서 조선인 여성은 객실승무원의 기회에서도 불리했다. 조선인 여성들은 비행사로서의 활로를 찾고자 했고, 그 일환으로 통치권력의 선전을 위한 비행에 동참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전시체제하 민간항공이 군사항공으로 전환되면서 여성 비행사의 활로는 완전 차단되었다. 전시 항공에서 여성은 미래의 항공군을 키우는 어머니와 같은 전통적인 성역할의 방식으로 참여를 요구받았다. 일제하 항공 분야에서 여성의 역할은 갈수록 한정되는 경향을 띠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행의 열망을 최대한 실현하려는 조선인 여성들은 여전히 등장했다. 이러한 노력은 해방 후 ‘항공 건설’에서 여성의 적극적 가담이 나오는 배경이 되었다.

      • KCI등재

        개항~일제시기 ‘飛車’ 전승의 형성과 확산

        김기둥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서강인문논총 Vol.- No.65

        Based on the folklore where Bigeo (or literally Flying Vehicle) was made and used for evacuation in the Battle of Jinju during the Imjin War, some people believe that it is one of the world’s first aircraft. Two of the representative documents in Joseon period referring Bigeo are Geojechaek (Plans on Devising Craft) by Sin Gyeongjun and Bigeobyeonjeungseol (Demonstration on the Flying Vehicle) by Yi Gyugyeong, but no specific reference was mentioned on who invented it and where. In addition,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s, while information on the challenges to the airspace in the Wes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ir balloons and aircrafts was introduced and speeches were made for encouraging national participation, no stories on the flying cart of Joseon was mentioned. After falling under colonial rule, the story started to be raised that the aircraft was invented in Joseon in the past based on the references such as Bigeobyeonjeungseol by Yi Gyugyeong. The record of Sin Gyeongjun was introduced as an adapted quotation of Yi’s story. Members of Joseon Gwangmunhoe, who re-discovered the record of Yi Gyugyeong, composed the narrative of Bigeo through the media such as the magazine Cheongchun (the Youth). The place and the person, which were absent in Bigeobyeonjeungseol, were supplemented by the oral folktales on Jeong Pyeonggu collected around Gimje area from the 19th century and the memories of the battles in the Imjin War. Even if the oral folktales on Jeong Pyeonggu had no references on Bigeo, the story included that he disturbed the enemy using eccentric tricks during the war. The narrative of Bigeo was form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eccentric trajectory of Jeong Pyeonggu could be the story of Bigeobyeonjeungseol, and the uncertain stories were magnified. However, Yun Dalgyu, specifically mentioned in Bigeobyeonjeungseol as the person who supposedly learned the techniques of Bigeo, was not spotlighted. The narrative of Bigeo was utilized in the speeches encouraging the enlightenment of the nation as the ground that the colonial Joseon had the capability to develop the modern scientific civilization. Especially, as the narrative was repeated continuously by the members of Joseon Gwangmunhoe, Jeong Pyeonggu was remembered as the inventor of Bigeo. In summary, the narrative of Bigeo was formed by specifying the unclear stori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rediscovered documentary records and emerging oral folktales in the 20th century. And as its product was repeated, the composition of the period and place of its emergence, the inventor, and the purpose was solidified. 飛車는 임진왜란 중 진주성 전투에서 鄭平九라는 인물이 만들어 탈출 용도로 썼다는 전승을 토대로 일각에서 세계 최초의 비행기로 여기는 존재이다. 비거에 관한 조선시대 문헌으로 申景濬의 「車制策」과 李圭景의 「飛車辨證設」 등이 존재하는데, 여기에는 그것이 쓰인 장소와 발명한 인물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았다. 또한 개항 후 서구에서 기구나 비행기의 개발을 통한 공중 공간으로의 도전에 관한 정보가 유입되고, 동양의 고사를 기반으로 민족적 동참을 독려하는 언설이 나오는 가운데에서도 조선의 비거에 관한 이야기는 언급되지 않았다. 식민지 전락 후 제1차 세계대전의 전운 속에서 과거 조선이 비행기를 발명했다는 이야기가 이규경의 「비거변증설」 등을 토대로 제기되기 시작했다. 이때 신경준의 기록은 이규경이 일부 각색하여 인용한 내용으로만 제시되었다. 이규경의 기록을 재발견한 朝鮮光文會의 인사들은 『청춘』 등의 매체를 통해 비거의 서사를 구성했다. 「비거변증설」에 부재한 장소와 인물은 임진왜란의 전황에 대한 기억과 19세기 말부터 김제 일대에서 정리되고 있었던 정평구의 구전을 통해 보완되었다. 정평구의 구전은 비록 비거에 관한 언급이 없더라도 전란 중 기이한 계략으로 적을 교란시켰다는 내용을 포함했다. 비거의 서사는 정평구의 기이한 행적이 「비거변증설」의 이야기에 해당할 것이란 추정 속에서 형성되면서 불명확한 내용이 부각되는 특징을 지니게 되었다. 반면에 「비거변증설」에서 비거 기술의 전수자로서 구체적으로 명시된 尹達圭는 주목받지 못했다. 비거의 서사는 식민지 조선도 근대 과학문명을 창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는 근거로 활용되면서 민족의 각성을 독려하는 언설에 자주 활용되었다. 특히 조선광문회의 인사들을 중심으로 비거의 서사가 지속적으로 반복 재생되면서 정평구는 비거의 발명자로서 각인되었다. 요컨대 비거의 서사는 20세기에 들어서 재발견된 문헌 기록과 부각되기 시작한 구전의 결합을 통해 불명확한 내용을 구체화하면서 형성되었고, 이 결과물이 반복 재생되면서 등장 시기와 장소, 발명자, 활용 목적 등의 구성 요소가 고착화되었다.

      • KCI등재

        을묘왜변 전후 제주도(濟州島)의 방어태세

        김기둥 역사실학회 2022 역사와실학 Vol.79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defensive posture of Jeju Island around the Pirate Attack of 1555(Eulmyouwoebyeon, 乙卯倭變), the largest Japanese invasion of Joseon prior to the Imjin War, and its final battle, the Battle of Jeju Fortress. Upon the establishment of Joseon, Jeju Island was organized as a single garrison command, forming a defensive system based on Banghoso(防護所) guard posts installed on major ports. With the Pirate Invasion on Three Ports in 1510(Sampowoeran, 三浦倭亂), the Joseon government inspected the defensive posture on the southern coast of the peninsula, including Jeju Island. Jeju Island sought to reinforce its defense on its own, but the resource of the island was insufficient to construct preparatory measures against foreign invasion. Thus, the Joseon government attempted to enhance the defense of the island with reinforcements from the mainland. A portion of the on-duty cavalry in Jeolla Province stationed in Jeju Island during the season of fairwind, and the cost was paid by the mainland as well. In addition, for the swift, large-scale reinforcement of troops in emergency, the government appointed the Garrison Commander of Garipo and the Magistrate of Jindo as Gyewonjang(繼援將), the commander of the relayed reinforcement. During the early stage of the Pirate Attack in 1555, the Japanese Pirates stormed the coasts of Jeolla Province, but retreated to the open sea and invaded Jeju Island. The operation of the Relayed Reinforcement system was delayed, as the port of Gariopo suffered damages from the invasion and the reinforcement had to be organized from the other regions. Still, the Garrison commander of Garipo maintained his position as the commander of the relayed reinforcement. The residents of Jeju Island, under the command of Kim Sumun(金秀文), the Magistrate of Jeju, waited for the reinforcements in the siege of Jeju Town Wall. During the siege, they started engaging the Japanese pirates, and successfully repelled them by breaking the pirates’ ranks with Hyoyonggun(驍勇軍), the Army of Brave Warriors, under the cover of arrows. The pattern was the same with that of the Battle of Yeongam Fortress. The victory in the Battle of Jeju Fortress was an unexpected one, and it could not be the reason behind the defense plan against large-scale invasions. Thus, even though the relayed reinforcement system was not activated on time during the Pirate Attack in 1555, it remained as the main frame of the defense of Jeju Island. As a result, the defensive posture of Jeju Island was not much changed before and after 1555. Considering these facts, the account of Ryu Seongryong(柳成龍) that Jeseung Bangnyak system(制勝方略) was introduced with the operation of Kim Sumun during the Attack in 1555 should be reconsidered. 이 글은 임진왜란 전 조선이 겪었던 최대 규모의 왜군 침입인 을묘왜변을 전후한 제주도의 방어태세와 왜변의 마지막 전투인 제주성전투를 다루었다. 조선 건국 후 제주도는 하나의 진관으로 편성되었고, 주요 포구에 설치한 방호소(防護所)를 중심으로 한 방어체계를 구축했다. 제주도는 별도의 보법 규정을 적용받으면서 병력을 최대한 동원했다. 3포왜란을 계기로 조선은 제주도를 비롯한 남해안 일대의 방어태세를 점검하였다. 제주도는 나름대로의 방어강화책을 모색했지만, 섬의 물력이 대규모 적의 침입에 대한 대비 태세를 구축하는 데 충분하지 못하다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다. 결국 조정은 육지로부터의 지원을 통해 섬의 방어태세를 강화하고자 했다. 전라도의 상번 기병 중 일부가 ‘호남원병’으로서 풍화시 제주도에 입도해 주둔하였는데, 그 비용 역시 육지에서 부담하였다. 또한 조정은 유사시 대규모 병력 지원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가리포첨사와 진도군수를 제주도의 계원장(繼援將)으로 삼았다. 을묘왜변 발발 초기 전라도 연안을 휩쓸었던 왜군은 영암성전투의 패배로 해상으로 퇴각했다 제주도를 침공했다. 계원체계의 작동은 가리포가 왜군의 공격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은 상태에서 다른 지역의 병력으로 구원군을 편성하면서 지체되었다. 그 과정에서도 가리포첨사가 계원장을 맡는다는 개념은 유지되었다. 제주도의 군민(軍民)은 김수문(金秀文) 목사의 통솔 아래 제주읍성에서 농성하면서 구원군을 기다렸다. 이들은 농성 중 틈을 타서 왜군과의 본격적인 교전을 개시했고, 화살의 엄호 속에 효용군(驍勇軍)으로 왜군의 진영을 와해시키면서 격퇴에 성공했다. 이러한 전투 양상은 영암성전투와 동일했다. 미약한 병력을 토대로 한 제주성전투의 승리는 예상치 못한 일로 대규모 침입에 대한 방어책의 근거가 될 수 없었다. 따라서 을묘왜변 중 계원체계가 적시적으로 작동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왜변 후에도 그것은 제주도의 방어에서 주요 축으로 존속했다. 결과적으로 을묘왜변을 전후로 한 제주도의 방어태세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내용을 감안한다면 을묘왜변에서 김수문의 활동을 계기로 제승방략이 도입되었다는 유성룡(柳成龍)의 설명은 재고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17세기 濟州島의 軍船 혁파와 방어태세 변화

        김기둥 조선시대사학회 2023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6

        이 글은 17세기 국제정세의 위기감 속에서 추진된 지방군의 재편이 지역적으로 어떠한 특수성을 반영해 이뤄졌는지 濟州島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제주도는 전라도 산하에 있었으나 육지로부터 이격되어 방어체계상 예외성이 두드러지는 양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17세기 전반 제주도는 제주목의 절제영이 방어를 전담하는 방식 아래 육지와 마찬가지로 속오군제를 도입하였고, 수군을 소형 선박 중심에서 대형 선박인 戰船 위주로 재편했다. 이에 기반한 제주도의 방어태세는 전선을 활용한 해상방어와 방호소 중심의 연안방어, 그리고 속오군의 島內방어로 수립되었다. 17세기 중반 군사적 긴장감이 이완되면서 변화된 방어태세의 적합성에 대한 문제가 특히 수군을 중심으로 제기되었다. 제주도의 자연환경상 전선의 효용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대두하면서 보유 군선의 소형화가 추진되었다. 이 과정에서 기록적인 대기근과 중국 남부 방면으로부터의 漂到人 문제가 중첩되면서 수군의 변통 논의는 숙종 즉위 직후 군선의 혁파로 귀결되었다. 군선 혁파의 주장은 선박의 출입 가능 지역이 제한된 제주도의 지형을 토대로 했다. 따라서 그에 따른 보완책은 주요 포구의 방호소를 과거 수전소의 소재지와 일치하도록 재조정하고, 지휘관인 助防將을 상설화하면서 繼援束伍軍을 설정해 연안방어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마련되었다. 여기에 신속한 현장 지휘와 병력 지원을 위해 마대의 적극적 활용 방안도 포함되었다. 외형상 군선의 혁파는 해상방어의 단계를 포기하면서 방어의 약화를 초래했을 것으로 보일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한 변화는 지방군제의 기본 체계를 준용하면서도 섬의 특성을 고려해 최적의 방안을 찾으려는 능동적인 고민의 결과였다. 따라서 군선이 부재한 방어태세는 임시적인 조치가 아닌 하나의 체계로 정립되어 기존의 지방군이 해체되는 갑오개혁 때까지 유지될 수 있었다. This article examines Jeju Island and how its local characteristics were reflected in the reorganization of the local army during the crisis-ridden circumstances of the 17th century. Although Jeju Island had been under the jurisdiction of Jeolla Province, it had unique aspects in the defense system due to its distance from the mainland.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Sogo Unit system was introduced to Jeju Island, under the control of Jeju Mok Magistrate. The navy was also reorganized, replacing small-sized boats with larger Warships. Thus, the defense strategy of Jeju Island was based on sea defense with Warships, coastal defense with Guard Posts, and inland island defense with the Sogo Units. However, in the mid-17th century, militaristic tensions eased, questions arose about the suitability of the shifted defense strategy. Doubts were raised about the utility of Warships in the Jeju environment, leading to the miniaturization of naval ships. In the process, the Joseon government faced unprecedented famines coincided with an influx of drifters from southern China. Eventually with the discussion on navy reform after the enthronement of Sukjong, the government decided to abolish naval ships in Jeju Island. Instead, the supplementation was made; Guard Posts near the major ports were reorganized on the locations of previous naval garrisons; Auxiliary Defense Officers were stationed permanently; and the Relayed Reinforcement of Sogo Units were designated to enhance the coastal defense. The plan also involved utilizing Cavalries for swift command and reinforcements. The abolition of naval ships may appear to weaken defense by giving up the sea defense phase. However, the change was the product of deliberation to find an optimized plan that considered the island’s characteristics while still adhering the basic system of the local military. Consequently, the defensive without naval ships became a regular system, rather than a temporary measure, lasting until the Gabo Reform when existing local armies were disbanded.

      • KCI등재

        공군의 창설에서 최용덕의 역할

        김기둥,강창부,이지원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6 민족문화논총 Vol.64 No.-

        이 글은 국군 창설의 시기에 최용덕이 전개했던 활동이 공군의 창설에 끼친 영향과 그것의 역사적 의의를 조망했다. 해방 공간에서 최용덕은 광복군을 포함한 독립운동의 경험과 중국 공군에서의 경력을 바탕으로 국내 항공계를 통합하고, 이끌 수 있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는 자신의 위상을 기반으로 군의 항공력 구축을 위해 부단한 활동을 펼쳤다. 한국의 항공력 구축에 대한 미국의 통제는 이러한 노력에 제약으로 작동했다. 이에 따라 타군과 달리 항공력은 외부의 지원보다 내부의 의지로 만들어야 하는 과제였다. 과거 경험을 통해 독립국가에 항공력이 필수라는 신념을 지녔던 최용덕은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항공부대의 창설과 「국군조직법」에 공군 독립에 관한 유보조항 반영, 건국기 도입 등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러한 성과는 항공력 구축을 위해 헌신했던 경험에 따른 그의 위상에서 기인했다. 즉 그가 투신했던 ‘항공독립운동’은 공군 창설의 실질적인 기반인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shed new light on how Gen. Choi Yongduk did make a contribution to the creation of the Korean Air Force. Gen. Choi was the most symbolic airman between 1945 and 1949, who had both abilities and experiences to rally airmen and their organizations scattered throughout Korea, through his outstanding careers i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cluding the Korean Liberation Army and in the Chinese Air Force under Chiang Kai-shek. He did his best to make independent Korea secure modern airpower sufficient to preserve its security and territories. However,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USAMGIK) showed its unfavorable attitude to the Korean effort to secure airpower. The Korean people had to secure their airpower not through the assistance from other sources but the domestic efforts. Holding a strong belief that airpower was essential to any independent country, Gen. Choi did a crucial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Korean air unit in the Korean Army, and the formation of a legal foundation for the creation of the Korean Air Force as well as the procurement of AT-6. The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airpower’ to which Gen. Choi gave all of his heart and strength during the period under the Japanese rule was the true foundation for the historic birth of the Korean Air Force in 1949.

      • KCI등재

        17세기 濟州島의 육군 재건과 방어체계 변화

        김기둥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4

        Joseon suffered from the Manchurian menace, while suffering the aftermath of Imjin War in the 17th century. Jeju Island was the southern frontier and the main breeding area of warhorses. Joseon government had to concern the defense of Jeju Island while investing military capability for preparation against the Manchus. Meanwhile, statewide changes in military system of the 17th century might also have influenced that of Jeju Island. In the early 17th century, Jeju Island was experiencing severe lack of military troops, to the extent of mobilizing women for the defense of fortresses. Most of taxations in Jeju Island were imposed as Tributes and Corvee Labor on the enlisted people. The enlisted people of Jeju Island escaped the Island or enslaved themselves in order to evade the burden. The government tried to restrain this, but it was not effective. Furthermore, frequent shipwreck when transferring the tributes was another endemic factor which led to lack of the enlisted. Meanwhile, Jeju Island was receiving supports from Jeolla Province such as Yubangbyeong(留防兵 ; Reinforcements from from provincial headquarter) and dispatch of coastal garrisons in emergency. However, constant military support from the land was aborted because of the Imjin War and the Manchurian menace. In this situation, statewide changes in the military system formed the foundation of rebuilding the army in Jeju Island. With the introduction of Sogogun(束伍軍), a systemized mobilization of the slaves, Jeju Island reinforced the number of troops. As a result, Sogogun became the main unit of Jeju Island land forces. In the chain of command for Jeju Island Sogogun, Jeju Moksa(濟州牧使, Magistrate of Jeju-mok) positioned the highest, while Jeongui Hyeongam(旌義縣監 ; Magistrate of Jeongui-hyeon) and Daejeong Hyeongam(大靜縣監 ; Magistrate of Daejeong-hyeon) were excluded. Besides, the defense sector of the island was divided into three Bu (部 ; Brigade), where Jeju-yeong(濟州營 ; Jeju Military Headquarter) consisted Jung-bu(Central Brigade), and Byeolbang Banghoso 防護所 ; Garrisoned Post) and Myeongwol Banghoso, which were under control of Jeju-mok, were positioned as the center of each Jwa-bu (Left Brigade) and U-bu(Right Brigade). As a result, even though Jeju Moksa was not one of Yeongjang(營將, Military Division Commander), Jeju Moksa could carry the similar authority as Yeongjang in effect. The Jeju Island land forces assumed a central role in the defensive system in the overall context that weakened the naval forces of the island. 17세기 조선은 임진전쟁의 후유증 속에서 만주족의 위협에 시달렸다. 제주도는 남쪽 변방이면서 전쟁에서 중요한 戰馬의 주요 생산지였다. 조선은 만주족에 대한 대비에 군사적 역량을 쏟으면서도 제주도의 방어에 신경써야 했다. 한편으로 17세기에 진행되었던 전국적인 군제 변화는 제주도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17세기 초반 제주도는 守城에 여성까지 동원할 정도로 육군 병력의 심각한 부족을 겪고 있었다. 제주도는 대부분의 과세 기준이 공물과 요역에 매겨졌고, 군역 대상층에게 부담하도록 했다. 제주도의 군역 대상층은 부담을 회피하고자 섬을 이탈하거나 노비로 투탁했다. 조정은 이를 억제하려고 했지만, 실효를 거두긴 어려웠다. 또한 공물 이송 등에서 발생하는 빈번한 선박 사고 역시 섬의 군역 대상층을 부족하게 만드는 고질적인 요인 중 하나였다. 한편 제주도는 전라도로부터의 유방병과 유사시 연해 기지의 병력 파견 등도 지원받고 있었다. 그렇지만 육지로부터의 항시적인 군사적 지원은 임진전쟁과 만주족의 위협 속에서 중단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전국적인 군제 변화는 제주도가 육군을 재건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제주도는 노비층의 동원을 제도화한 속오군의 도입을 통해 병력을 대폭 증강시켰다. 그 결과 속오군은 제주도 육군의 주력으로 자리했다. 제주도는 속오군의 지휘체계에서 濟州牧使를 정점으로 두면서 旌義縣監과 大靜縣監을 배제시켰다. 또한 섬의 방어구역을 3部로 나누면서 제주영에 중부를 두고, 제주목에 속한 別防·明月방호소를 각각 좌·우부의 중심으로 삼았다. 이에 따라 제주목사는 영장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영장에 준하는 권한을 지닐 수 있었다. 이렇게 마련된 제주도의 육군은 섬의 수군 전력이 약해지는 경향 속에서 방어체계의 주축이 되었다.

      • KCI등재

        조선 전기 靈光의 島嶼 파악과 그 특징

        김기둥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4 南道文化硏究 Vol.- No.51

        조선시대 지리지에 수록된 도서의 증가는 섬에 대한 관심과 비례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글은 앞선 왕조의 기록에서 가장 많은 섬들을 직·간접적으로 관할했던 영광 지역을통해 통설을 재검토했다. 지리지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유독 영광 지역에서만 조선 전기에 파악된 섬들이 조선 후기의 지리지에서 계승되는 경우가 낮은 현상이식별되었다. 고려사 지리지의 섬들 중 행정구역 재편에 따라 다른 군현으로 이속된옛 속현 섬들은 후대의 기록에서 영광 대신 해당 군현의 지리지에서 확인된다. 반면에기록상 확인되나 실제로 위치를 비정하기 어려운 섬들은 동국여지승람 에서 영광 소속으로 잔존했다. 이 섬들은 조선 후기의 지리지에서 빠졌다. 이 글은 동국여지승람 의불명확한 정보를 섬들에 대한 관심 부족의 결과가 아니라 역으로 적극적인 파악 노력에서 발생한 오류로 보았다. 영광은 일시적 ‘空島 조치’로 섬에 대한 실시간 파악에 제약을겪는 와중에 옛 관할 섬들의 소속 조정이 이뤄지자 과거의 지배 관계를 유지하고자 노력했다. 수많은 섬들 가운데 臨淄縣의 읍치가 있었던 臨淄島 및 결국 나주로 이속되는比尒島와 道沙島만을 세종실록 지리지의 海島 항목에 수록했던 것은 그 노력의 소산이다. 이러한 현상이 유독 영광에서 두드러졌던 이유는 애초 관할하는 섬들이 독보적으로 많았기 때문이다. 요컨대 영광에서 확인되는 지리지 내 도서 정보의 불명확성은 섬지역에 대한 유구한 지배에서 비롯했다.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island entries in the Geographies during the Joseon dynasty is considered to be proportionate to the government's interest in islands. This paper reexamines this conventional view by examining the Yeonggwang region, which, according to records from the Goryeo dynasty, had the greatest number of islands under its jurisdiction. By investigating the geographies, a notable phenomenon emerges, particularly in the Yeonggwang region: islands identified early in the dynasty did not consistently appear in later publications. Among the islands recorded in the geographical records of Goryeosa, the islands whose jurisdiction had shifted to other counties and prefectures were cataloged under different entries in subsequent geographies, distinct from Yeonggwang. Conversely, islands mentioned in records but untraceable in the later geographies remained listed under Yeonggwang in Donggukyeojiseungram. These islands were omitted from the geographies published later in the dynasty. Rather than attributing this ‘inaccuracy’ to a lack of interest, this paper views it as an unintended consequence of active efforts to identify these islands. The administration of Yeonggwang tried to maintain its control over islands whose jurisdictions were adjusted amidst 40 남도문화연구 제51집(2024.4) the temporary Island Evacuation Policy, which caused limitations in identifying them. As a result, three islands were included in the Geography of Veritable Records of Sejong: Imchido, where the administrative center of Imchi County was located, Biido and Dosado, whose jurisdiction moved to Naju. This phenomenon is clearer in Yeonggwang due to its unmatched number of islands under its jurisdiction. In summary, the uncertainty surrounding the information on islands in the Yeonggwang region, as identified in the geographies, stemmed from the administration’s control over insular reg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