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스크 배열에서 작은쓰기 문제 해결을 위한 압축 패리티 로깅 기법

        김근혜(Geun Hye Kim),장은정(Eun Jung Chang),최황규(Hwang Kyu Choi)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Ⅲ

        본 논문은 RAID5가 갖는 작은 쓰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지금까지의 연구 중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패리티 로깅 기법의 단점을 개선한 새로운 패리티 로깅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패리티 로깅기법에서 가장 큰 오버헤드인 패리티 로그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로그 데이터를 압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로그 데이터의 압축은 로그 데이터의 저장에 필요한 비휘발성 버퍼의 크기와 로그 데이터 접근시간을 감소시켜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분석 결과에서 제안된 기법은 기존의 패리티 로깅 기법에 비하여 디스크 접근시간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보인다.

      • KCI등재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근혜(Kim, Geun-Hy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20

        본 연구는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은 2016년도에 수집된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9차년도에 참여한 아버지 1495명이다. 연구를 위해 자아존중감, 행복감, 양육효능감 척도가 사용되어 자료가 수집되었고,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양육효능감의 유능감 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의 불안감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은 양육효능감의 유능감을 높게 예측하는 유의미한 정적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은 양육효능감의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부적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을 높이고 양육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father"s self-esteem and happiness on parenting efficac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athers who originated from 9th year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PSKC). Father"s self-esteem, happiness and parenting efficacy were used in collection of data.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Prior to analysis, each independent variables was checked for multicollinearity. The results from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ther"s self-esteem and happiness on parenting efficacy. Second, father"s self-esteem and happiness showed to be a positive predictor variable that significantly affects the competence of parenting efficacy and father"s anxiety of parenting efficacy showed to be a negative predictor variable that significantly a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father"s education to get their higher self-esteem and happiness reducing their anxiety of parenting efficac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직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근혜(Kim Geun hye),조진선(Cho Jin seon),홍순옥(Hong Soon oh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본 연구는 부산과 경남의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사효능감에 정서지능과 교직인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145명의 설문지를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교직인성, 교사효능감의 평균은 보통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교직인성, 교사효능감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직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서지능 중 타인인식이 교사효능감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교직인성 중에서는 자기조절과 소명의식이 교사효능감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정서지능과 교직인성을 함께 함양하는 것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teaching ethics on their efficacy. For this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survey regarding emotional intelligence, teaching ethics and teacher efficacy on 14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udy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located in Kyungnam and Busan at univers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in terms of the results for general trends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teaching ethics and teacher efficacy was found to be above normal. Second, the result of current study reveals that all of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ere correlated.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ing ethics and teacher efficacy. Third, it was also found that the ‘to perceive others’ of sub factor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 control’ and ‘sense of self-determination’ of sub factor in teaching ethics affected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조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자녀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근혜(Kim, Geun-Hye),서보준(Seo, Bo-J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26

        본 연구는 조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 자녀와의 관계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에 소재한 현재 손자녀를 돌보고 있는 조부모 120명이었으며, SPSS 23.0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상관분석과 Baron and Kenny(1986)의 매개 회귀분석 3단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조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성인 자녀관계 간에는 정적 상관을, 성인 자녀관계와 양육스트레스 간에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조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 자녀 관계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인 자녀와의 관계는 조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대한 지원과 성인 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상담지원, 조부모 교육 등의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 of adult children in the effect of grandparents"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0 grandparents who are currently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in Busan,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y"s(1986)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in three stages. First, the resul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ing efficacy of grandparents and the relationship of adult children,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lationship of adult children and parenting stress. Second, the relationship with adult children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grandparents"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stres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such as support for grandparents caring for grandchildren"s parenting efficacy, counseling support for relationships with adult children, and grandparent education.

      • KCI등재

        지역재생 및 문화 활성화를 위한 <장흥삼색프로젝트> 사례연구

        김근혜(Geun Hye Kim),나건(Ken Na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1

        지방자치제의 실현과 더불어 지난 십 여 년 간 지역의 문화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져 왔다. 후기자본주의로 들어서면서 대중문화, 대중사회의 시대를 맞이하였고 지자체는 정책적으로 문화지형의 변화를 수용하고자 강한 의지를 표출하였다. 그러나 지나친 신축및 외관만을 중시한 개발로 지역민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그러한 개발은 고유의 문화적 역사적 흔적과 시간들을 지우고 있다. 이같은 공공디자인 개발 과정의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고유한 문화적 가치를 바탕으로 개발 방향의 전환이 필요하다. 따라서공공디자인 개발은 지역재생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한다. 지역재생은 세계적인 흐름으로, 소외되고 쇠퇴된 지역을 공공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지역사회의 가치향상과 경쟁력 증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최근지자체 및 정부 기관에서 생활환경의 개선과 문화 창달을 위한 도시 재생의 일환으로 디자인경영을 통해공공미술 및 커뮤니티 아트와 같은 다양한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로서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위치한 장흥역사 일대에서 실행된 <장흥삼색프로젝트>를 고찰 대상으로 하였다. <장흥삼색프로젝트>의지역재생 과정과 디자인 사례분석으로 이루어졌으며<장흥삼색프로젝트>가 그 목적성을 달성했는지, 디자인 경영 관점에서 성공적이었는지, 비판적으로 재검토될 필요는 없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의 가치를 유지하는 정체성의 갖춤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공디자인의 궁극적인 올바른 방향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공공디자인 개발이 지역재생에 근거하여 문화자원과 문화유산 등의 지속적 가치를 지향하고 활용, 개발할 수 있도록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는 오늘날 장흥의 한 쇠퇴된 공간이 디자인경영을 통해 어떻게 재생되고 어떠한 과정을 통해 보존되고 활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무분별한 신축을 통한 개발 중심적공공디자인의 방향을 재고하고 지역재생에 근거를 둔개발로의 방향 전환을 고찰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의의가 있겠다. There has been a growing rise in interests inculture for the last 10 years, together with therealization of local self-government system. Peopleenjoyed popular culture and the age of mass society atthe beginning of postcapitalism. Local governmentsexpressed a strong will to accept changes of culturaltopography on the level of policy implementation. But,the excessive window dressing development have notgain the sympathy from local residents and thedevelopment focusing on new construction haveremoved cultural and historical tracks of each region. The resolution of the two problems requires a changeof development into one based on cultural values of eachregion. On a foundation of regional regeneration, thepublic design development should be performed. Regional regeneration is a worldwide trend. Theapplication of regional regeneration to an isolated anddeclined region wields a great influence on theimprovement of the region`s value and competitiveness. As a part of urban regeneration for the improvementof living environment and culture, recently the central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have conductedvarious projects, such as public art and community art,through design management.We chose as a scope ofthis case study ``Jangheung Three Color Project``, conducted in the Jangheung Railway Station, located inJangheung-myeon, Yangju-si, Gyeonggi-do, SouthKorea.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whether the projectachieved its goal or it was successful from a perspectiveof design management, or it should be reexaminedcritically, and finally to suggest the ultimate directionof public design for the identity to maintain regionalvalue and for the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Toaccomplish these purposes, we discuss the process ofregional regeneration in the project and perform a caseanalysis of its design.

      • KCI등재

        「엄마품 온종일 돌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김근혜(Kim, Geun-Hye),홍순옥(Hong, Soon-Oh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3

        본 연구의 목적은 엄마품 온종일 돌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더욱 확대될 엄마품 온종일 돌봄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여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B시와 Y시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교사 245명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유금미(2009)와 이미선(2011)이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ㆍ보완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14.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와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부분의 유치원 교사는 엄마품 온종일 돌봄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엄마품 온종일 돌봄의 운영 중 편성은 특정 유치원 중심으로 통합 운영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유아 수는 10명 이내가 적당하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대부분의 유치원 교사는 교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육내용으로 생활지도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엄마품 온종일 돌봄의 개선부분은 보조교사 채용 및 전담교사의 확대가 시급하며 교사교육에 대한 정부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엄마품 온종일 돌봄 특성에 맞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indergarten teachers of Mother’s bosom full-day kindergarten program. The study was intended to lead an effective direction of Mother’s bosom full-day kindergarten program. Object of this study was 245 kindergarten teachers and research instrument used in this research was the questionnaires which was constructed by Yu(2009), Lee(2011).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4.0.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rist, kindergarten teachers need Mother’s bosom full-day kindergarten program.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at should have un unified operation and 1:10 as a ratio of teacher. Third, kindergarten teachers need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Forth, kindergarten teachers wanted helping workers and educating for teachers. Kindergarten teachers requested to sugges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Mother’s bosom full-day kindergarten program that is to support administration expenses for teachers, investment assistant teachers, develop the program and materials and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Mother’s bosom full-day kindergarten program.

      • KCI등재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김근혜(Kim, Geun-Hye),홍순옥(Hong, Soon-Ohk),탁장환(Tak, Jang-Hwa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 영어교육이 현장에서 합리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B시와 Y시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교사 260명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김미나(2008)와 유진희(2011)가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1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유치원 교사의 직위, 경력, 학력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부분의 유치원 교사는 유아 영어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유아 영어 교과목을 담당할 의사에 대한 인식은 있다와 없다의 비율이 동등하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 영어 교과목을 담당할 의사가 있는 교사와 없는 교사 모두 누리교육과정과 연계된 유아 영어교육 프로그램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유아 영어교육이 보다 올바르게 실천되기 위해 누리과정과 통합된 프로그램 개발과 정부의 합리적인 정책 제시가 절실히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English education for children.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 : first, what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n need of English education for children. Second, what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that want to teach English in class or not? Third, what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 needs of English education program?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a total of 260 teachers of kindergartens in B and Y city. Research Questionnaire was modified based on question air by Kim(2008), Yu(2011). The collected datas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ages, and x² using SPSS 17.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rist. most kindergarten teachers need English education for children. Second, ratio of kindergarten teachers that want to teach English in class or not are equivalent proportion. Third, kindergarten teachers need English program for children according to Nu-ri curriculum.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omposing and operating the English education for children.

      • KCI등재

        출산장려금 지원 정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빅데이터 및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김근혜(Kim, Geun-Hye),서보준(Seo, Bo-J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32

        본 연구는 출산장려금 지원 정책에 대한 대중의 사회적 인식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출산장려금을 중심으로 키워드를 입력하고 Textom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네이버, 다음, 구글, 블로그, 뉴스, 카페 지식인, 학술정보, 웹문서 등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텍스트마이닝, 키워드 중심성값, CONCOR 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산장려금이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도출된 단어는 출산장려금, 출산, 지원, 지급, 신청, 확대, 지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출산장려금이라는 키워드로 자녀, 지급, 거주 순으로 높은 연결중심성을 보였다. 셋째, 출산장려금이라는 키워드로 CONCOR 분석한 결과 출산장려금과 연계하여 제도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는 주민등록, 기준, 거주 등이 도출되었으며, 출산장려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는 저출산, 극복, 정책 등이 그리고 양육수당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는 산모, 출산축하금, 출산, 혜택 등이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출산장려금 정책에 대한 제언 및 저출산 예방에 위한 제도적 개입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ublic’s social perception of the childbirth subsidy support policy. To this end, keywords were input centered on childbirth subsidies, and data were collected form Naver, Daum, Google, blogs, news, cafe intellectuals, academic information, and web documents using the Textom program. The analysis method used text mining, keyword centrality value, and CONCOR(CONverence of interate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ords derived based on the keyword of maternity subsidy appeared in the order of maternity subsidy, childbirth, support, payment, application, expansion, and region, Second, the keyword of maternity subsidy showed a high degree of connection centrality in the order of children, payment, and residence. Third,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with the keyword of childbirth incentives, resident registration, standards, and residence were derived centering on the keywords of system in connection with childbirth incentives. Maternity, birth congratulations, childbirth, and benefits were derived centering on the keyword of allowance.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의 유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사회적 인식

        김근혜 ( Kim Geun-hye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유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회적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빅데이터 분석프로그램인 Textom 사이트를 통해‘4차 산업혁명시대 +유아 문화예술 교육’을 검색어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의 감성발달 및 정서적 안정을 위해 중요하며,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되어 교사와 문화예술 전문 강사가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유아교사는 유아에게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교재 및 교구와 문화예술 강사 지원이 필요하고, 연수 내용으로 프로그램 사례소개 및 문화예술 체험을 요구하였다. 셋째, 빅데이터 분석 결과 4차 산업혁명시대 유아 문화예술교육은 미래사회 유아 예술교육으로 분석 되었으며, 학급담임을 위한 지원과 인공지능 기술 적용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ind out social perceptions through big data an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1 pre-kindergarten teachers who working i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s located in B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Textom site, a big data analysis program.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it is important for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stability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and instructors specializing in culture and arts should be integrated around he subject. Second, they needed to develop and distribute programs suitable for young children, support textbooks, teaching aids, and culture and arts instructors, and required introduction of program cases and cultural arts experiences as training content. Third, in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recognized as art education for children in the future society, and there was a social perception of support for class managers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is study provides a plan for revitalization an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 KCI등재

        만 5세 자녀를 둔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배경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김근혜 ( Geun Hye Kim ),김혜순 ( Hye Soon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만 5세 자녀를 둔 부모의 사회 · 인구학적 배경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 경기지역에 소재한 9개 유아교육기관의 만 5세 유아의 어머니와 아버지 216쌍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 양육참여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29로 약간 높았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 2.24로 약간 낮았다. 또한 아버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양육참여도가 높았으며, 가정의 월 소득이 높을수록 아버지 양육참여도가 높아졌고, 아버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낮아졌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높아질수록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낮아졌다. 셋째,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배경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3단계까지의 결과, 아버지 양육참여도 중 생활지도 변인만이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경감을 위해서는 아버지 생활지도형 양육참여를 격려하고 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er parent`s social economic status and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The subjects were 216 parents with 5 year-old children from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Ci and Gyeonggi-Do.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ean score of father` parenting involvement was a little higher than average and mean score of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a little lower than aver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fathers` levels of parenting involvement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home total monthly income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their husbands` educational background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fathers` levels of parenting involvement. Third, mothers level of education and home total monthly income in the first and second step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pectively. But mothers` total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one factor(R2=.22.8): fathers` ``guiding of the life``(β=-.280, P<.05) which was a sub-scale of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in the third step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in and out of the home to reduce mothers` parenting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