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측면형 지정맥 인식기 설계 및 구현

        김경래,최홍락,김경석,Kim, Kyeong-Rae,Choi, Hong-Rak,Kim, Kyung-Seok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3

        As the information age enters, the use of biometrics using the body is gradually increasing because it is very important to accurately recognize and authenticate each individual's identity for information protection. Among them, finger vein authentication technology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forge and demodulate, so it has high security, high precision, and easy user acceptance. However, the accuracy may be degraded depending on the algorithm for identification or the surrounding light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manufactured a side-type finger vein recognizer that is highly versatile among finger vein measuring devices, and authenticated using the deep learning model of DenseNet-201 for high accuracy and recognition rate. The performance of finger vein authentic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infrared light source used and the surrounding visible light was analyzed through simulation. The simulations used data from MMCBNU_6000 of Je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finger vein images taken directly were used, and the performance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EER. 정보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개개인의 신원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인증하는 것은 정보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신체를 활용한 생체인식의 활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중 지정맥 인증 기술은 위조 및 복조하기 어려워 보안성과 정밀도가 높고 사용자 수용성이 용이하여 사회적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신원확인을 위한 알고리즘이나 주변의 빛의 환경에 따라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정맥 측정 장치 중 활용성이 좋은 측면형 지정맥 인식기를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여 높은 정확도와 인식률을 위해 DenseNet-201의 딥러닝 모델을 활용하여 인증하였으며 사용하는 적외선 광원과 주변 가시광선의 영향에 따른 지정맥 인증 기술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은 전북대의 MMCBNU_6000과 직접 촬영한 지정맥 영상을 사용하고 EER을 이용하여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 KCI등재
      • UV (275nm) LED를 이용한 대장균 (E.coli) 살균

        김경래 ( Kyeong-rae Kim ),장인성 ( In-soung Chang ),유순재 ( Soon-jae Yu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자외선 (UV)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크게 UV-A (315-400 nm), UV-B (280-315 nm), UV-C (100-280 nm)로 구분한다. 살균 및 소독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UV-C 영역의 파장으로 수은램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수은램프는 소비전력 면에서 비효율적이며 수명이 다하여 폐기할 때 수은이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서 위험하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UV-LED (Light Emitting Diode)는 수은램프에 비해 작고 전력소비면에서 수은등보다 경제적이며 수명이 상대적으로 긴 장점이 있다. 또한, UV-LED는 발광 파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UV-C 영역의 275 nm 파장을 발광하는 UV-LED를 제작하여 대장균(E.coli)에 대한 살균 특성을 분석하였다. UV-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는 1.7L의 용량을 갖는 원통 내부에 총 384개의 UV-LED를 삽입게 제작되었다. UV-LED의 전류를 조절하여 살균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전류가 10mA일 경우에 전력 (Power)이 0.58 W/㎠이었고, 30mA에서는 1.74W/㎠ 로 조절하였다. 살균 실험은 회분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대장균 용액을 펌프를 이용하여 UV-LED 장치 내에서 순환되도록 설계하였다. 살균대상 미생물은 대장균(ATCC8739, KCCM)을 Nutrient broth 배지에 접종하여 정온 배양기에서 37℃로 24시간 배양하여 살균 실험 직전에 필요한 초기 균체수로 희석하였다. 초기균체량은 10<sup>3</sup>-10<sup>7</sup>으로 조절하였다. UV-LED의 전력이 0.58 W/㎠, 90분 접촉 시간에서 2 log 사멸율을 보였다. 전력이 1.74 W/㎠로 증가하면 90분 접촉시간에서 4 log 사멸율을 보였다. 또한, 동일 전력에서 초기균체량이 적을수록 더 짧은 시간에 대장균이 사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275nm의 파장의 UV-LED를 이용하여 0.58 W/㎠ ∼ 1.74W/㎠의 전력으로 대장균을 살균하였을 때 2-4 log 사멸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미국 송유관 운송인의 독점규제에 관한 소고

        김경래(Kyeong-Rae Kim),이재성(Jae-Sung Lee),김은주(Eun-Joo Kim) 한국무역연구원 2011 貿易 硏究 Vol.7 No.3

        Monopoly is a market structure where only one or a small number of firms have exclusive control over the pricing of a product. In this situation, competition over the free mobility of production factors is limited by manipulative constraints. Section 2 of the Sherman Antitrust Act, the most representative of its kind, stipulates thus: “Every person who shall monopolize, or attempt to monopolize, or combine or conspire with any other person or persons, to monopolize any part of the trade or commerce among the several States, or with foreign nations, shall be deemed guilty of a felony.” For the Sherman Antitrust Act, a ‘big and bad’ firm is an illegal entity. Any monopoly power is willfully acquired and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the Interstate Commerce Act takes all pipeline carriers as common carriers and applies its provisions to them, staving off monopolies from arising. About Champlin Oil Case Ⅰ(1946), the U.S. Supreme Court holds that Champlin’s operation is transportation within the meaning of 1 of the Act and that the statute supports the Commission’s order to furnish information. As to Section 19a of the Act, the Court holds that the statute is within the commerce power and does not offend the Fifth Amendment. As for Champlin Oil Case Ⅱ(1951) the Court holds, under Section 20 of the Act, that a subsequent order of the Commission is sustained, insofar as it requires Champlin to file annual, periodic and special reports, and to institute and maintain a uniform system of accounts applicable to pipe lines. Insofar as the order requires Champlin, under 6 of the Act, to publish and file schedules showing rates and charges for interstate transportation of refined petroleum products - which might force appellee to devote its pipe line, at least partially, to public use - it goes beyond what Congress contemplated when it passed the Act; and it cannot be sustained.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legal theories on which the final ruling is based. The author sees the ruling regarding Section 6 as having an undermining effect on its judicial precedents and to the intent of the Interstate Commerce Act.

      • UV (275nm) LED를 이용한 대장균 (E.coli) 살균

        김경래 ( Kyeong-rae Kim ),장인성 ( In-soung Chang ),유순재 ( Soon-jae Yu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자외선 (UV)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크게 UV-A (315-400 nm), UV-B (280-315 nm), UV-C (100-280 nm)로 구분한다. 살균 및 소독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UV-C 영역의 파장으로 수은램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수은램프는 소비전력 면에서 비효율적이며 수명이 다하여 폐기할 때 수은이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서 위험하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UV-LED (Light Emitting Diode)는 수은램프에 비해 작고 전력소비면에서 수은등보다 경제적이며 수명이 상대적으로 긴 장점이 있다. 또한, UV-LED는 발광 파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UV-C 영역의 275 nm 파장을 발광하는 UV-LED를 제작하여 대장균(E.coli)에 대한 살균 특성을 분석하였다. UV-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는 1.7L의 용량을 갖는 원통 내부에 총 384개의 UV-LED를 삽입게 제작되었다. UV-LED의 전류를 조절하여 살균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전류가 10mA일 경우에 전력 (Power)이 0.58 W/㎠이었고, 30mA에서는 1.74W/㎠ 로 조절하였다. 살균 실험은 회분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대장균 용액을 펌프를 이용하여 UV-LED 장치 내에서 순환되도록 설계하였다. 살균대상 미생물은 대장균(ATCC8739, KCCM)을 Nutrient broth 배지에 접종하여 정온 배양기에서 37℃로 24시간 배양하여 살균 실험 직전에 필요한 초기 균체수로 희석하였다. 초기균체량은 10<sup>3</sup>-10<sup>7</sup>으로 조절하였다. UV-LED의 전력이 0.58 W/㎠, 90분 접촉 시간에서 2 log 사멸율을 보였다. 전력이 1.74 W/㎠로 증가하면 90분 접촉시간에서 4 log 사멸율을 보였다. 또한, 동일 전력에서 초기균체량이 적을수록 더 짧은 시간에 대장균이 사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275nm의 파장의 UV-LED를 이용하여 0.58 W/㎠ ∼ 1.74W/㎠의 전력으로 대장균을 살균하였을 때 2-4 log 사멸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UV (275nm) LED를 이용한 대장균 (E.coli) 살균

        김경래 ( Kyeong-rae Kim ),장인성 ( In-soung Chang ),유순재 ( Soon-jae Yu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자외선 (UV)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크게 UV-A (315-400 nm), UV-B (280-315 nm), UV-C (100-280 nm)로 구분한다. 살균 및 소독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UV-C 영역의 파장으로 수은램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수은램프는 소비전력 면에서 비효율적이며 수명이 다하여 폐기할 때 수은이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서 위험하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UV-LED (Light Emitting Diode)는 수은램프에 비해 작고 전력소비면에서 수은등보다 경제적이며 수명이 상대적으로 긴 장점이 있다. 또한, UV-LED는 발광 파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UV-C 영역의 275 nm 파장을 발광하는 UV-LED를 제작하여 대장균(E.coli)에 대한 살균 특성을 분석하였다. UV-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는 1.7L의 용량을 갖는 원통 내부에 총 384개의 UV-LED를 삽입게 제작되었다. UV-LED의 전류를 조절하여 살균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전류가 10mA일 경우에 전력 (Power)이 0.58 W/㎠이었고, 30mA에서는 1.74W/㎠ 로 조절하였다. 살균 실험은 회분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대장균 용액을 펌프를 이용하여 UV-LED 장치 내에서 순환되도록 설계하였다. 살균대상 미생물은 대장균(ATCC8739, KCCM)을 Nutrient broth 배지에 접종하여 정온 배양기에서 37℃로 24시간 배양하여 살균 실험 직전에 필요한 초기 균체수로 희석하였다. 초기균체량은 10<sup>3</sup>-10<sup>7</sup>으로 조절하였다. UV-LED의 전력이 0.58 W/㎠, 90분 접촉 시간에서 2 log 사멸율을 보였다. 전력이 1.74 W/㎠로 증가하면 90분 접촉시간에서 4 log 사멸율을 보였다. 또한, 동일 전력에서 초기균체량이 적을수록 더 짧은 시간에 대장균이 사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275nm의 파장의 UV-LED를 이용하여 0.58 W/㎠ ∼ 1.74W/㎠의 전력으로 대장균을 살균하였을 때 2-4 log 사멸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