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에 따른 취학 전 아동의 문제행동 차이 분석

        길혜지,황정원 육아정책연구소 2017 육아정책연구 Vol.11 No.1

        Since the need for the gender equality grows as the number of women who work increases, this study conducted group classification that considers the parenting attitude of both father and mother using data of 1,099 six-year-old preschool children in the 7th year Panel Study on Korea Children(PSKC).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the levels of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ir parents’ attitude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results of cluster analysis that explored the types of parenting attitudes indicated the following four main categories: strict father group (31.8%), neglecting mother group (23.5%), communicating parents group (22.9%), and passive father group (21.7%). The father and mother in Group 1 (strict father group) both formed a close relationship with children while father played the role to discipline the children. In Group 2 (passive father group), father took a very passive stance in form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children while mother controlled and managed children to a certain level. In Group 3 (neglecting mother group), mother showed a very low attitude toward children both in terms of compassion and controlling. Group 4 (communicating parents group) showed relatively low level of controlling while both mother and father showed affection toward children. Second, parenting attitude types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not only in the socioeconomic backgrounds such as parents’ education level, working status, and income level, but also in parenting 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sharing child care and parenting stress. Finally, childrens’ manifestation of problematic differed with the types of parenting attitudes: level of problematic behavior was higher among the children raised in the neglecting mother group and passive father group, compared to other two groups. These results imply that parents should rear their children with affection, and discipline them when necessary, rather than neglecting their problems during their preschool years in order for the children to adapt well in later school life.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 programs for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for both father and mother with pre-school children are expected to help the parents pay more attention to their children and guide their children in desirable directions. 본 연구에서는 최근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하면서 가정에서의 양성평등에 대한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한국아동패널 7차 년도(취학 전 6세 아동) 1,099명 자료를 활용하여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동시에 고려한 유형 분류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유형별 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더 나아가 부모의 양육 형태에 따라 아동의 문제행동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을 탐색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4가지 유형, 즉 엄격한 아버지 집단(31.8%), 무관심한 어머니 집단(23.5%), 소통하는 부모집단(22.9%), 소극적인 아버지 집단(21.7%)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양육태도 유형별로 부모학력, 취업여부 및 소득수준과 같은 사회경제적 배경뿐만 아니라 양육분담, 양육스트레스와 같은 양육관련 특성에 있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에 따라 취학 전 아동의 문제행동 발현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무관심한 어머니 집단과 소극적인 아버지 집단에서 양육되는 아동의 문제행동 수준이 다른 두 집단보다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취학 후 아동의 원만한 학교생활 적응을 위해서는 무조건적인 방임보다는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의 애정을 기반으로 양육하되, 필요하다면 자녀를 훈육하는 태도가 요구됨을 보여준다.

      • KCI우수등재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핵심요소가 중학생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길혜지,김주아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key element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on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Using 9th grade student data from 2017 KEDI Survey Research on Student Competencies, 55 middle school and 2,769 student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2-level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competencies extracted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basic model indicates that the overall distribution of students’ competencies can be explained by the student’s factor than school ’s factor. Second, the analysis of the final model shows that students’ differences (gender,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ademic achievement levels, peer relationship, and experiential activities) and family related backgrounds (parental support) are positively effect on their competencies. Moreover, the school-level variables, which are the teacher-student ratio and teaching method(structured class, collaborative project-based learning)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mpetencies significantly. Especially, the key element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like student-participatory activities, the meanings of learning, process-based assessment had aldo positively effects on competencies. The results implies that education needs to encourage their students to internalize the meanings of learning, take personal initiatives through curriculum so as to improve their competencies. 이 연구는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핵심요소들, 즉, 학생참여형 수업, 교과내용의 의미 내면화, 과정중심평가, 그리고 평가 및 피드백이 중학생의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17년에 수집한 KEDI 학생역량 조사 자료 중에서 전국의 55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2,769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개정 교육과정에서 명시한 6가지 핵심역량을 종합하여 산출한 역량지수를 종속변수로 하여 2수준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모형 분석결과, 중학생 역량은 학생수준의 특성들이 94.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역량중심 교육의 핵심적인 주체가 학생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최종모형 분석결과, 학생과 학교수준의 배경변수 중에서는 여학생, 신체적 및 심리적 건강상태, 주관적 학업성취 수준, 부모의 지원적 양육태도, 교사의 1인당 학생 수가 중학생의 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학생과 학교수준의 과정변수 중에서는 친구와의 관계, 체험활동과 자치활동, 독서, 예술, 체육 활동, 수업방법(구조화된 수업, 협동학습)의 정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는 학생 참여형 수업과, 교과내용의 내면화, 과정중심평가 역시 중학생의 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생들이 학습의 의미를 스스로 찾고 주도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중학생의 역량을 증진하는 데 핵심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한 성인 학습자의 비형식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유형 및 영향요인 분석

        길혜지(吉惠芝),김민수(金?秀)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2016년에 조사된 KEDI 평생학습 개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만 25세부터 64세까지 성인의 비형식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양상을 이해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553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4가지 비형식교육 영역, 즉, 직업능력향상교육, 인문교양교육, 문화예술스포츠교육, 시민참여교육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응답을 활용하여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하였고, 참여유형을 분류한 후에는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를 분석한 결과, 비형식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한 성인 2명 중 1명의 비율로 직업능력향상교육에 참여하였고, 문화예술스포츠교육, 인문교양교육, 시민참여교육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형식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직업능력추구형(44.0%)’, ‘여가문화향유형(31.7%)’, ‘자기계발형(21.2%)’, ‘사회기여추구형(3.0%)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능력추구형을 참조집단으로 하여 나머지 3개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R3STEP으로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거주지, 취업상태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4가지 참여유형 간 삶의 질 만족에 차이가 있는지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형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가운데 직업능력추구형의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우리나라 성인의 비형식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양상을 이해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반영한 차별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on-formal lifelong education program participation of Korean adult learners from 25 to 64 years using 2016 Korean Adult Lifelong Learning Survey from KEDI. 3,553 adult learners with participating in the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like a vocational training program, liberal arts program, culture-sports program, and civic program, had been analyzed. After adult learners were classified using latent class analysis LCA),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tion type were identified.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ne of the two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e non-formal lifelong education program experienced with the vocational training. And participation of culture-sports program, liberal arts program, and civic program were high in the order. Second, adults learners grouped into 4 types regarding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like vocational ability-seeking type(44.0%), leisure-seeking type(31.7%), self development-seeking type(21.2%) and social contribution-seeking type(3.0%).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tion type by R3STEP, gender, age, residence, employment status were significant factors.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ividual background and life satisfaction among participation types, especially, life satisfaction of vocational ability-seeking type was lowest overall.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and operate non-formal lifelong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adult learners characteristics by types.

      • KCI등재

        성인 정보문해능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정보문해 영역 및 수준 탐색

        길혜지,노일경 한국평생교육학회 2019 평생교육학연구 Vol.25 No.4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digital literacy is required as a basic literacy for living in daily life, so national policy interest and support based on empirical data is needed to ensure that all adults have basic digital literacy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omain and level of digital literacy in order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n adult’s digital literacy measuring tools. To this end, we analyze the preceding researches to identify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literacy. We also analyze the contents of digital literacy measurement tool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measurement. In addition, Delphi research is conducted on experts in related fields to explore concepts, domains, levels and methods of digital literacy.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versity of digital literacy concepts, technology and tool dependence, and multi-layered features, when developing an adult’s digital literacy measuring tools in the future. We also suggest that digital literacy is characterized as a competency,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through the use of performance-based tools. 정보기술의 발달과 함께, 정보문해능력이 삶을 살아가기 위한 기초 소양으로서 요구됨에 따라, 성인 누구나 기본적인 정보문해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실증 데이터에 기반한 국가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정보문해능력 측정도구 개발에 시사점을 얻고자 정보문해의 영역과 수준 탐색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정보문해능력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고, 국내․외 정보문해능력 측정도구의 내용 및 방법을 분석하여 정보문해능력 측정 관련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관련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정보문해 개념, 측정 영역 및 수준, 방법을 폭넓게 탐색하였다. 이에 기반하여 향후 성인의 정보문해능력 측정도구를 개발할 때, 정보문해능력 개념의 다양성, 기술․도구의존성 및 다층위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행 기반 도구로서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역량 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연구

        길혜지,이상훈,황정미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2 핵심역량교육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framework for digital competency education for all. For this purpose, the Delphi group was composed of 23 experts, and a total of three stages of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focusing on elements of the digital competency curriculum.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as a process of exploring key elements of the curriculum from the digital competency level (basic-life-intermediate) and competency category (utilization, literacy, prevention, and participation) presented by digital education competency building project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Content Validity Ratio (CVR) was used to analyze the Delphi survey results, and keyword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s were used togethe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gital competency education framework was structured around seven digital lifestyles: getting familiar with the digital environment, acquiring information, communicating, being safe, living a daily life, making, and working in the digital environment. Each lifestyle consisted of 2 to 5 sub-competencies, finally 22 element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for digital competency education for all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전 국민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역량 중심 교육과정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3명의 유관 분야 전문가를 델파이 집단으로 구성하고 디지털 역량 교육과정 요소를 중심으로 총 3단계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0년 디지털 교육 역량 강화 사업」에서 제시하는 디지털 역량 수준 (기초-생활-중급)과 역량 범주(활용, 소양, 예방, 참여)를 참고삼아 교육과정의 핵심요소를 추출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델파이 조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내용타당성 분석(CVR)을 실시하였으며, 키워드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함께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역량 교육 프레임워크는 디지털 환경에 친숙해지기, 디지털 환경에서 정보 습득하기, 소통하기, 안전하기, 일상생활하기, 만들기, 일하기 등 7가지 디지털 생활양식을 중심으로 구조화되었다. 각의 생활양식은 2~5개의 세부능력으로 구성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총 22개의 능력요소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전 국민을 포용하는 지속가능한 디지털 역량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생 시기 EBS 수능강의 수강경험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 참여 분석

        길혜지,김혜숙 한국교육개발원 2017 한국교육 Vol.44 No.3

        Purpose: The concern that the CSAT-EBS Linkage policy can have an unintended impact on the way students learn has been raised by educators in the high-school field and academ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mpirically how the experience of taking EBS lectures for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at high school affects the way students learn in college, using KELS 2005 data from 1,492 freshman who entered the 4-year college in 2011. Methodology: Through cluster analysis, high school senior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learner types according to their use of after-school hours in mathematics and English (participation in EBS lectures, in private education, and in self-directed learning). We analyz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learner characteristics by these types and whether or no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in college. Weighted regression analysis considering probability assigned to each group was performed to reduce selection bias. Finding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high-school senior studen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low self-directed learning group’ (36.1%), ‘private education group’ (22.6%), ‘high self-directed learning group’ (22.3%), ‘EBS English-focused group (14.1%)’, and ‘EBS and self-directed learning group’ (5.0%). For the EBS English-focused group, the level of their class concentr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were both low regardless of grade, and the level of their cognitive self-regulation strategy was also low. On the other hand, the EBS and self-directed learning group showed that overall learner characteristics such as class concentr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excellent. Second, if the individual and student backgrounds and other variabl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re all the same, the EBS and self-directed learn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articipation in learning in college than the high self-directed learning group. However, the EBS English-focused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high self-directed learning group in terms of their level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Value: This study shows how learners’ experiences of EBS lectures for CSAT in high school can affect their learning in college empirically. 최근 들어 ‘수능-EBS 연계 정책’이 학생들의 학습 방식에 의도하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학교 현장과 학계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자료 중 2011학년도에 4년제 대학에 입학한 1,492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이들의 고등학생 시절 EBS 수능강의 수강경험이 대학에서의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고등학교 3학년 시기, 수학과 영어에서 방과후시간 활용(EBS 수능강의 수강, 사교육 참여, 자기주도학습 참여)에 따라 학생을 유형화하고, 이러한 유형별로 고교시기 학습자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대학 진학 후의 학습 참여에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선택편의 보정을 위해 역확률가중치를 적용한 가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분석 결과,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은 ‘자기주도성 낮은 집단(36.1%)’, ‘사교육 중심 집단(22.6%)’, ‘자기주도성 높은 집단(22.3%)’, ‘EBS 영어 선호 집단(14.1%)’, ‘EBS와 자기주도학습 병행 집단(5.0%)’의 5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 ‘EBS 영어 선호 집단’의 경우에는 고교시기 수업집중도와 내재적 동기가 낮은 편이고, 인지적 조절전략의 활용 수준도 낮았다. 반면, ‘EBS와 자기주도학습 병행 집단’은 수업집중도, 내재적 동기, 학업적 자아효능감 등 전반적인 학습 관련 특성이 우수한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과 학생 배경, 그리고 교수・학습과정에서의 다른 변수가 모두 동일한 조건이라면, 준거집단인 ‘자기주도성이 높은 집단’에 비하여 ‘EBS와 자기주도학습 병행 집단’의 학생들이 대학에서 학습 참여 수준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그에 반해 ‘EBS 영어 선호 집단’은 대학에서의 학습 참여에 있어 ‘자기주도성이 높은 집단’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 연구는 고등학교 시기 수강한 EBS 수능강의 경험이 대학에서의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보여준다.

      • KCI등재

        중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ICT 역량과 수업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길혜지,김지은,박지민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crea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class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the ICT competency of teachers and students. Method: The 2-level HLM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4th wave of BELS(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elementary school survey (2,873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2019 survey) by setting factors at the student and school level. Results: First, at the student level, female students had lower creativity than male students. Creativity increased as monthly average income, out-of-school hours, school happiness, academic achievement, discussion participation, attitude toward narrative evaluation, ICT competency, and usage of smart devices for production and sale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more teachers-centered learning methods and smart devices were used for entertainment purposes, the lower the creativity. Second, the higher the averag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and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rate in self-organizing clubs at the school level, the lower their creativity. Third, as the results of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the creativity of male and female students. Conclusion: To enhance the crea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is essential to provide a learner-centered learning strategy, increase ICT competency, and guide them to grow into creators who use smart devices for production and sales rather than entertainment.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학교 수업참여 경험과 교사 및 학생의 ICT 역량을 중심으로 중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초등 패널 4차년도 자료(중학교 1학년 2,873명, 2019년 조사)를 활용하여 학생과 학교수준 요인을 설정한 2수준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 개인 수준에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창의성이 낮았고, 월평균 소득, 학업 외 시간활용, 학교행복감, 학업성취, 토론참여도, 서술형평가에 대한 태도, 지식정보능력, 제작 및 판매 목적의 스마트기기 활용이 많을수록 창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교수자 중심의 학습 방법과 오락 목적의 스마트기기 활용이 많을수록 창의성은 낮아졌다. 둘째, 학교 수준 변인에서는 학생들의 평균적인 학업성취와 자율동아리 참여 비율이 높을수록 오히려 학생의 창의성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라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논의 및 결론: 중학생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으로 교수학습 전략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식정보능력을 길러줌과 동시에 스마트기기 활용을 오락보다는 제작 및 판매와 같이 메이커로서 자라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 교육여건과 성과 프로파일의 잠재전이분석: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전후를 중심으로

        길혜지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아시아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2015년에 실시된 대학구조개혁평가 전후로 대학의 교육여건과 성과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이해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 알리미로부터 추출한 4년제 대학 149개교의 6개년도(2013-2018년)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교육여건과 성과 프로파일의 변화 양상에 관한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때, 대학의 교육여건은 교원 측면(전임교원 확보율, 전임교원 강의담당 비율, 연구실적, 연구비수혜실적)과 학생 측면(학생1인당 교육비, 학생1인당 장학금)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교육성과는 학생 충원율(신입생 충원율, 재학생 충원율)과 졸업생 취업률을 통해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 분석 결과, 대학구조개혁평가 이후 대학의 교육여건은 매년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교육성과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둘째, 대학구조개혁평가 이전인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집단을 산출한 결과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평균형(97개교, 65.1%)’, ‘학생충원 수월형(36개교, 24.2%)’, ‘교육여건 및 성과우수형(11개교, 7.4%)’, ‘학생충원 부실형(5개교, 3.4%)’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 이후인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집단을 산출한 결과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평균형(91개교, 61.1%)’, ‘학생충원 수월형(46개교, 30.9%)’, ‘교육여건 및 성과탁월형(6개교, 4.0%)’, ‘교육비환원 및 취업성과 안정형(5개교, 3.4%)’, ‘학생 미충원형(1개교, 0.7%)’ 으로 나타났다. 넷째, 잠재전이확률을 확인한 결과, 잠재집단이 대부분 유지되는 가운데 ‘학생충원 부실형’이 ‘학생 미충원형’, ‘평균형’, ‘교육비환원 및 취업성과 안정형’으로 변화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대학구조개혁평가가 고등교육 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 결과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educational condition and performance of Korean universities have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University Structure Reform Evaluation conducted in 2015. To this e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hanges in the profile of the university's educational condition and performance using data from 2013 to 2018 of 149 universities extracted from Higher Edu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Dataset.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s, after the university structure reform evaluation, the educational condition and performance tended to improve on average. Second, as a result of latent profiles analysis using data from 2013 to 2015, 149 universiti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verage type(65.1%)', 'Student recruitment-excellent type(24.2%), 'Educational condition and performance-excellent type(7.4%)', and 'Student recruitment-insufficient type(3.4%)'. Third, as a result of latent profiles analysis using data from 2016 to 2018, those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Average type(61.1%)', and 'Student recruitment-excellent type (30.9%), 'Educational condition and performance-excellent type(4.0%)', 'Student financial support and employment performance-stable type(3.4%)', 'Student recruitment-unfilled type(0.7%)'. Fourth, some of the ‘Student recruitment-insufficient type’ were changed to ‘Average type’ while the majority of the types remained.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confirm the consequential validity of the university structure reform evaluation on the higher education ecosystem.

      • KCI등재

        대학생의 수업 참여 경험이 대인관계역량에 미치는 영향

        길혜지(吉惠芝),강창혁(姜昌?),김상희(金相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2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대인관계역량을 계발 •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학 재학 중 수업 참여 경험뿐만 아니라 고등학생 시기 발현된 정의적 특성에 대한 분석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대인관계역량은 미래사회를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핵심역량으로서 중등 및 고등교육단계에서 공통적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발달적 관점에 근거할 때 고등학생 때 정의적 특성이 대학생이 되어서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학 입학 이후 4학년 때까지의 수업 참여 경험이 대인관계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잠재성장모형을 설정하여 종단 분석하였고, 고등학생 시절의 정의적 특성이 대학 신입생 때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수업 참여 태도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하였으며, 신입생 초기 값과 변화율에는 개인차가 있었다. 그리고 대학 신입생 때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할수록 대학 졸업 시점에서의 대인관계역량이 높았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대학생은 대인관계역량이 더욱 향상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 및 대학배경 변수 중 교육환경만족도, 학점, 부모학력, 수능성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대학 신입생 때 수업 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배경변수가 통제된 후에도 고등학교 시기에 발현된 정의적 특성, 즉, 내재적 동기, 타율적 동기, 자기효능감, 경쟁학습 선호 수준은 수업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추가적인 설명량은 7.5%정도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university students" classroom engagement on interpersonal skills which emphasized as a core competence using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data. The longitudinal influences of students’ classroom engagement on interpersonal skills were analyzed with latent growth model. In addition, based on the developmental perspectives, this study analyzed with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how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from highschool period influences on the classroom engagement of freshme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classroom eng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creased with advancing into higher grades and the higher freshmen engaged in the classroom activities, the higher the perceived interpersonal skills of the fourth grade students had. In addition, when moving on higher grade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ectures actively might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more. Second, among context variables, satisfaction on education, GPA, parents" academic backgrou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score influ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freshmen" classroom engagement positively. After controlling the context,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highschool students - intrinsic motivation, controlled motivation, self-efficacy, the level of competitive learning style preference - influences meaningfully on freshmen" classroom engagement and explains additional variance of 7.5%.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유형 분류와 영향요인 분석 : PISA 2018을 중심으로

        길혜지,박지민,김훈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the latent profile according to students’ digital literacy and explore student individual, parental, school, and teacher factors that affect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types. To this end, 15 year old students data in Korea(6,650 students, 188 schools) were used for analysis using data from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2018(PISA 2018).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3STEP method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analyze influencing factor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latent profile analysis, four potential groups were derived from students' digital literacy, which were named ‘low level’, ‘medium level(active device use in school)’, ‘medium level(low device use in school)’, and ‘high level’. Second,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classification of potential profiles based on digital literacy, with the low level group as the reference group, showed that the use of digital devices at home had an effect when considering the individual and parent factors. Third, regarding the school and teacher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school's possess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devices and classroom experience of information evaluation had a common significant effect on all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foster students' level of digital literac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discriminatory effects of experiences at home, and teachers' digital literacy skills need to enhanced with the establishing digital infrastructure in schools. 본 연구는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고려하여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개인 및 가정, 학교 및 교사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주관하는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2018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만 15세 학생 6,650명(188개교)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R3STEP 방법을 활용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어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학생의디지털 리터러시에 따른 잠재집단은 4개로 도출되었다. 이를 ‘저수준’, ‘중수준(학교 안 기기활용 활발)’, ‘중수준(학교안 기기활용 저조)’, ‘고수준’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 대상자의 61.5%가 저수준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저수준 집단을 참조집단 삼아 분석한 결과, 학생 개인 및 가정수준에서는공통적으로 가정에서의 디지털 기기 사용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학교 및 교사수준에서는 학교의 디지털 기기보유 및 사용, 정보평가 관련 수업경험이 모든 집단에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연구결과는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함양을 위해서는 가정에서의 경험이 미칠 수 있는 차별적인 영향을 살펴볼필요가 있으며, 학교에서의 디지털 인프라 구축과 더불어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도 함께 함양할 필요가 있음을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