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혈압 청소년의 심혈관계 위험요소로서 Angiotensinogen M235T 유전자 다형

        길주현,이정아,박은영,홍영미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2 No.1

        Purpose : The renin-angiotensin system (RAS) has been demonstrated to play a major role in regulating blood pressure. Therefore, components of the RAS are likely candidate genes that may predispose an individual to essential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Among them, the M235T polymorphism of the angiotensinogen gene has been speculated to be associated with elevated circulating angiotensinogen concentrations and essential hypertension.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ngiotensinogen M235T polymorphism in hypertensive adolescents and investigate its relationship with cardiovascular risks. Methods : Forty Korean hypertensive adolescents (aged 16-17, systolic BP ≥140 mmHg and/or diastolic BP ≥90 mmHg) and fifty seven normal adolescents were included. Obesity index (OI), body mass index (BMI) were calculated. BP was measured by oscillometric methods in resting stat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echnique was performed on DNA from the hypertensives subjects to analyze the M235T polymorphism. Serum homocysteine, insulin, renin, aldosterone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were tested according to each genotype. The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and carotid artery diameter, Pulse wave velocity (PWV) and ankle-brachial index (ABI) were measured according to each genotype. Results : Genotype frequencies of T/T, M/T and M/M were 62.5%, 35.0%, 2.5%, respectively in hypertensive adolescents. The resul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control group. Serum insulin, renin levels, BMI and O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s with the M/M genotype as compared to those with the T/T of M/T genotype.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M235T polymorphism was not associated with essential hypertension or any cardiovascular risks. Further clinical research is required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polymorphism and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in Korean hypertensive adolescents. 목 적 : 레닌-안지오텐신계가 혈압 조절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며, 이 체계의 한 구성 요소인 angiotensinogen을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고혈압의 유전적 감수성을 결정하고 심혈관계 합병증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혈압 청소년에서 angiotensinogen 유전자 다형을 분석하고, 특정 유전자형이 심혈관계 합병증의 예측 인자가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6세에서 17세 사이의 수축기 혈압 140 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 90 mmHg 이상인 40명의 고혈압 청소년과 57명의 정상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만도, 체질량지수를 측정하였고, 안정된 상태에서 수축기, 이완기 혈압을 측정하였다. 호모시스테인, 인슐린, 레닌, 알도스테론,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ngiotensin convering enzyme, ACE)를 측정하였고,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이용하여 angiotensinogen (M235T)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경부 초음파로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경동맥 직경을 측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경동맥의 유순도와 신전도를 구하였다. VP-1000을 이용하여 pulse wave velocity (PWV)와 ankle-brachial index (ABI)를 측정하였다. 유전자 다형별로 각 계측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Angiotensinogen 유전자 다형 분석에서 T/T 군 25명(62.5%), M/T 군 14명(35%), M/M 군 1명(2.5%)로 정상 청소년과 유의한 빈도의 차이가 없었다. 고혈압군에서 인슐린, 레닌, 체질량지수, 비만도에서 세 유전형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직경, 신전도, 유순도, PWV, ABI에서는 세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Angiotensinogen의 특정 유전자 다형과 심혈관계 합병증간의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으나, 본 연구의 고혈압 청소년 대상이 적었으므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코로나19 출입명부의무화제도에 대한 소비자 수용: 소비자 프라이버시 인식과 인지된 통제의 영향

        길주현,서우인,나종연 한국소비자학회 2022 소비자학연구 Vol.3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방역조치의 일환으로 시행된 출입명부의무화제도와 이로 인한 개인정보제공을 소비자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비자의 프라이버시 이익과 위험, 염려 수준을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들이정책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된 통제의 조절효과와 함께 살펴보았다. 출입명부 작성 경험이 있는 20대에서 50 대까지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846명의 응답을 수집하였으며 SPSS 26.0과 AMOS 2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조사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출입명부 작성 경험에 대해 소비자들은 프라이버시 염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인지된 통제를 가장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프라이버시 이익과 위험, 염려가 모두 정책수용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염려와 정책수용도의 부적 관계를 인지된 통제가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조절 효과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출입명부의무화제도가 시행된 시기에 소비자 846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다. 감염병 상황 속 강제된 개인정보제공경험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정책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또 다른 감염병 위기와 공익 목적의 정보제공 상황에서 소비자를 보호하고 수용도를 제고하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공격적이고 산만한 행동을 보이는 터너 증후군 아동에 대한 다른행동 차별강화와 보상의 효과: 증례 보고

        길주현,이서정,정경미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7 인지행동치료 Vol.7 No.1

        공격적 행동을 보이는 아동들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좀 더 폭력적이고 덜 친사회적인 방법으로 접근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경향은 또래 사이에서의 고립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형제․자매 간 관계가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유지될 경우 이러한 공격성과 비사회적인 경향은 더욱 커질 수 있기 때문에 형제․자매 관계에서의 지지와 관계 개선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다른행동 차별강화와 보상을 통해 공격성과 산만한 행동을 보이는 터너증후군 아동과 그 자매와의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수용적인 문제해결 기술로 대체하고자 했으며, 3주간의 개입 결과 문제 행동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가 나타난 원인과 이 개입의 의의,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Children with Turner syndrome is likely to show inappropriate behaviors such as aggression and inattention as a problem solving strategy, especially in social situations with peers and siblings. Literature indicates that their problem behaivor could be improved through appropriate training. In this study, behavior intervention (e.g., token economy, differential reinforcement for other behaviors) was implemented for a 8 year old girl with Turner syndrome and her twin sister to reduce their aggressive behaviors and promote prosocial behaviors. Three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the frequency of problematic behaviors was decreased and prosocial behaviors were increased. Possible reasons,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e therapeutic effect were discussed.

      • 소아 Clostridium difficile 감염의 최신지견

        길주현,서정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1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4 No.2

        During the past decade, rates of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CDI) increased worldwide. Hypervirulent strains of C. difficile such as NAP1/BI/027 and PCR ribotype 078 have emerged that have changed the epidemiology of CDI. Especially, CDI rates also have increased in the community, in children previously thought to be at low risk. Recently, the use of gastric acid suppressant that facilitates intestinal transit of the bacteria and presenc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has been reported as risk factors. Treatment for CDI usually relies on metronidazole or vancomycin, but recurrence rates remains high. New treatment options for multiple recurrence are challenging. In this article, we reviewed recent epidemiological changes, current knowledge of virulence factors, reasonable approach to the diagnosis, and optimal treatment of CDI. But, clinical guidelines for pediatric C. difficile disease have not been defined. It seems that the consensus and recommendations for managing pediatric CDI are urgently needed.

      • KCI등재

        Effects of different doses of leucine ingestion following eight weeks of resistance exercise on protein synthesis and hypertrophy of skeletal muscle in rats

        길주현,김창근 한국운동영양학회 2015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Phys Act Nutr) Vol.19 No.1

        Ju Hyun, Gil and Chang Keun Kim. Effects of different doses of leucine ingestion following eight weeks of resistance exerciseon protein synthesis and hypertrophy of skeletal muscle in rats. JENB., Vol. 19, No. 1, pp.31-38, 2015 [Purpose]This study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Leucine intake volume to obtain the effects of restoring damaged muscle through thesynthesis of muscle proteins to increase skeletal muscle and improve exercise performance, and to achieve enhanced muscle hypertrophy. [Methods] To clarify the effects of leucine on skeletal muscle hypertrophy of SD rats, following eight weeks of resistance exercise(climbing ladder), the mass of the FHL (Flexor hallucis longus) was measured after extraction, after which change in the activityof muscle signaling proteins (PKB/Akt, mTOR, p70S6K, 4EBP1) was analyzed. [Results] The expressions of PKB/Akt, mTORand p70S6K were increased in L5 (Leucine 50% administration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 and exercisegroup (Ex, exercise training group); EL1 (exercise + 10% leucine administration group) and EL5 (exercise + 50% Leucine administration)also exhibited increased expressions of PKB/Akt, mTOR, and p70S6K, while no difference between EL1 and EL5 were observ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4EBP1 were found among any of the groups. In addi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HL mass,while relative mass (FHL/body mass) was increased in the exercise group (Ex, EL1, EL5)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No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exercise group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relative body masswas increased in the EX group compared with the CON group,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mass could be foundamong the groups. Even though some signaling proteins were increased, or some differences existed among groups, there wereno differences in muscle mass between the leucine administration and exercise training combined with leucine administration groupsin the present study. [Key words] Leucine, dose difference, resistance exercise, mtor, muscle, protein synthesis, hypertrophy

      • SCOPUSKCI등재

        비만아에서의 leptin, adiponectin, interleukin-6, tumor necrosis factor-α에 대한 연구

        길주현,이정아,김지영,홍영미,Gil, Joo Hyun,Lee, Jung Ah,Kim, Ji Young,Hong, Young Mi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1 No.6

        목 적 : 비만은 지방세포의 축적과 인슐린 내성으로 제 2형 당뇨병을 초래하고, 고 인슐린혈증과 고혈당이 염증 과정의 전구 물질과 함께 작용하여 혈관 내피의 이상, 혈청 지질의 이상, 고혈압과 혈관 염증을 일으켜 동맥경화와 심혈관 질환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Leptin은 adiopnectin과 함께 지방 세포로부터 생산되는 가장 풍부한 adipocytokine으로서, 일차적으로는 식욕 조절과 체내 지방 축적 조절의 기능을 하지만, IL-6, IL-12, TNF-${\alpha}$와 같은 다른 사이토카인과 함께 염증과정의 전구 물질이 되며 여러 면역 관련 질환에서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비만 청소년에서 leptin과 여러 cytokine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6세 이상부터 18세 미만의 66명의 중등도 이상의 비만 청소년을 대상군으로 하였고, 같은 연령의 정상 청소년 26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신장, 체중을 이용하여 비만도와 체질량지수를 산출하였고, 혈청 지질, 간 효소치를 측정하였다. 효소면역 측정법을 이용하여 IL-6, TNF-${\alpha}$를 측정하였고, 방사면역 측정법을 이용하여 adiponectin, leptin, 인슐린을 측정하였다. 이 후 leptin과 각 측정치와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결 과 : Leptin은 비만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TNF-${\alpha}$와 IL-6도 비만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인슐린도 비만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adiponectin은 비만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Leptin은 비만도, 체질량지수, IL-6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또한 IL-6와 TNF-${\alpha}$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비만 청소년에서 leptin, TNF-${\alpha}$, IL-6와 같은 cytokine과 insulin이 성인병으로 진행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며, leptin을 성인병의 예측 인자 및 임상치료의 척도로 사용하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Obesity i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Insulin resistance and the presence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are thought to cause a state of vascular endothelial dysfunction, an abnormal lipid profile, hypertension, and vascular inflammation. These chronic inflammatory responses, which are characterized by abnormal cytokine production, lead to activation of a pro-inflammatory signaling pathway. Leptin is an important mediator of inflammatory processes and immune-mediated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ptin and various cytokines associated with obesity in adolescents. Methods : Sixty-six obese adolescents (between 16-17 years of age, obesity index >130%) and 26 normal control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Obesity index and body mass index (BMI) were calculated. Serum lipid profile, AST and ALT were tested after 10 hours of fasting.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 and Interleukin-6 (IL-6) levels were measured by ELISA. Insulin, adiponectin, and leptin levels were estimated by radioimmunoassay. Results : Lept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bese adolescents compared to the control adolescents ($12.0{\pm}6.8ng/mL$ vs $6.3{\pm}1.0ng/mL$). TNF-${\alpha}$, IL-6, and insul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bese adolescents. Adiponecti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bese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3.3{\pm}1.9{\mu}g/mL$ vs $5.0{\pm}1.4{\mu}g/mL$). Leptin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obesity index, BMI, and IL-6. Conclusion : In obese adolescents, leptin, TNF-${\alpha}$, IL-6, and insulin might be important mediators of obesity. Further clinical research is necessary to ascertain leptin as a predi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s and to develop a guideline for clinical intervention.

      • KCI등재

        한국 소아청소년 비만에서 허리둘레-신장비의 유용성

        길주현,이미나,이혜아,박혜숙,서정완,Gil, Joo-Hyun,Lee, Mi-Na,Lee, Hye-Ah,Park, Hye-Sook,Seo, Jeong-Wa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10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3 No.2

        목 적: 2005년 소아청소년 신체 계측조사의 원자료를 분석하여, 비만을 진단하기 위한 WHTR 최적 절단값을 구하고, 허리둘레와 BMI 기준과 비교하여, 성별, 연령별 참고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간편한 단일지표로서 WHTR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5년 소아청소년 신체 계측조사 자료에서 신장, BMI, 허리둘레를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WHTR 값을 구하여 분석하였다. WHTR이 연령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이 가능한 범위를 선정하기 위해 2~5세, 6~18세의 연령군으로 나누어 연령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6~18세의 소아청소년에서, ROC분석을 시행하여 비만 진단 지표로서 WHTR, 허리둘레의 정확도를 비교하였고, BMI로 정의한 과체중과 비만을 진단하기 위한 WHTR의 최적 절단값을 구하였다. 통계 분석은 SAS, STATA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 과: 1. WHTR은 연령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001). 특히, 6~18세 연령군에서 2~5세 연령군에 비해 연령에 따른 WHTR의 변화의 폭이 작았고, 연령과의 상관성이 더 약하였다(남아 r=.0.16 vs .0.53, 여아 r=.0.14 vs .0.56). WHTR은 6~18세에서 허리둘레에 비해 연령과의 상관성이 더 약하였다(남아 r=.0.16 vs 0.66, 여아 r=.0.14 vs 0.65). 2. BMI로 정의한 비만과 과체중군을 진단하는 데 있어서 WHTR의 AUC가 허리둘레의 AUC에 비해 유의하게 더 컸고, 정확도가 더 좋았다(p<0.0001). 3. 연령에 구애받지 않는 WHTR의 최적 절단값을 구하기 위하여 6~18세의 연령군에서 ROC 분석을 시행하였다. 비만군(BMI 95 백분위수 이상)에 해당하는 최적 절단값은 남아 0.51, 여아 0.49, 과체중 및 비만군(BMI 85 백분위수이상)에 해당하는 최적 절단값은 남아 0.48, 여아 0.47이었다. BMI 백분위수와 무관하게 아시아 성인 비만의 기준인 BMI 25 kg/$m^2$ 이상을 적용하였을 때, 최적 절단 값은 남아 0.49, 여아 0.48이었다. 모든 값은 AUC 0.9 이상으로 매우 정확한 지표였다. 4. 비만군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WHTR 최적 절단값과 허리둘레${\geq}$90백분위수를 비교했을 때, WHTR의 민감도가 더 좋았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6~18세 소아청소년에서 성별, 연령별 참고치를 찾을 필요가 없으며, 연령에 따른 상관성이 약하여 허리둘레보다 민감하고, 비만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실용적 기준으로 WHTR (남아 0.51, 여아 0.49)을 제시하였다. WHTR은 일반인도 쉽게 사용 할 수 있어, 비만을 조기에 선별하고 중재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feasibility and usefulness of the waist circumference-to-height ratio (WHTR) in screening for obesity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Data, including body mass index (BMI), waist circumference (WC), and height,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growth survey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2005. The WHTR was calculated dividing WC by height in subjects 2~18 years of age. Overweight and obese were defined by BMI percentiles for age and ge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optimal cutoff values of WHTR that matched BMI-determined overweight and obesity using the STATA program.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a measure of diagnostic power, of WHTR was compared to WC. The influence of age on WHTR was analyzed by the SAS program. Results: The WHTR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ge, and had less correlation with age in the 6~18-year-old age group than the 2~5-year-old age group. Furthermore, the WHTR also had less correlation with age than WC in the 6~18-year-old age group. The AUC of WHTR in identifying overweight and obe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UC of WC in the 6~18-year-old age group. The optimal cutoff values were 0.51 in boys and 0.49 in girls for obesity, and 0.48 in boys and 0.47 in girls for overweight, with all having the AUC>0.9. The optimal cutoff values of WHTR had a higher sensitivity for diagnosing obesity than WC${\geq}$90th percentiles. Conclusion: The WHTR is an easy, accurate, and less age-dependent index with high applicability in screening for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KCI등재

        자기애의 세부특성과 자기개념 명확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길주현,오경자 한국임상심리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7 No.4

        본 연구는 자기애와 자기개념 명확성의 개념을 사용하여 자기 자신에 대한 지각의 차이가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자기애적 성향 중에서도 어떠한 특성이 높은 수준의 공격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자기개념 명확성이 자기애의 세부특성 각각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우선 본 연구 결과에서 자기애의 세부 특성들이 남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을 바탕으로, 이후 자기애적 성향, 자기개념 명확성, 그리고 공격성의 관계를 다루는데 있어 남녀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중다 회귀분석 결과, 남학생은 자기애적 성향 중에서도 과시가, 여학생은 특권의식이 공격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그리고 여학생 집단의 경우 특권의식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기개념 명확성이 중재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 집단에서는 과시와 공격성의 관계에 대해 자기개념 명확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흥미롭게도 자기애 성향 중 허영심과 공격성의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그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소아 크론병의 장 점막 조직에서 FOXP3+T세포와 TGF-β1 발현에 관한 연구

        길주현,오정은,서정완,조민선,조기영,유은선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11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4 No.3

        Purpose: Forkhead box protein 3 (FOXP3)+T cells are the major regulatory T cells controlling all aspects of the immune response.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is a suppressive cytokine which mediates the suppressive action of FOXP3+T cel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FOXP3+T cells, TGF-β in colonic mucosa of children with Crohn’s disease (CD). Methods: Colonic mucosal biopsies were obtained from 10 children with CD (12∼15 years of age) and 11 control (8∼15 years of age). Frequencies of FOXP3+T, CD4+T cells and TGF-β1 expression were examined in the lamina propria (LP) and lymphoid aggregates or follicles (LA/F) by immunohistochemistry, and later evaluated by association with disease activity. Results: In the LP of CD group, frequencies of FOXP3+T, CD4+T cells, proportion of FOXP3/CD4+T cells and TGF-β1 ex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In the LA/F of CD group, frequency of FOXP3+T cells, proportion of FOXP3/CD4+T cells and TGF-β1 ex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CD4+T cells also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but this finding was not significant. In the LP and LA/F of CD group, frequency of FOXP3+T cells exhibited positive correlation with CD4+T cells (p<0.05). In the LP and LA/F of CD group, TGF-β1 express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CRP, Pediatric Crohn's Disease Activity Index,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hematocrit and albumin (p<0.05). Conclusion: Increased frequency of FOXP3+T cells and TGF-β1 expression in colonic mucosa of CD can be interpreted as a compensatory increase towards achieving down-regulation of immune responses.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11; 14: 258∼268)

      • KCI우수등재

        마라톤 풀코스 100회 이상 완주자 기록 분석

        길주현(Ju Hyun Gil),이윤희(Yoon Hee Lee),홍종선(Chong Sun Hong),오태규(Tae Gyu Oh),오세현(Se Hyeon Oh)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21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2 No.3

        마라톤 풀코스를 100회 이상 완주한 국내 일반 동호인들의 기록 특징을 분석한다. 완주자의 성별, 연령, 마라톤을 처음 완주한 시점부터 자료가 수집된 시점까지 운동기간과 자료가 수집될 때까지 완주 횟수를 고려하여 개인의 평균기록과 개인 최고기록, 최고기록까지 소요된 운동기간과 완주횟수를 통계적으로 탐색한다. 완주자 개인특성을 고려하여 처음 기록을 기준으로 100회 완주 후 개인기록 변동을 분석하였는데, 연령이 증가함에도 개인기록을 유지하고 완주횟수가 증가하거나 운동기간이 오래될수록 개인기록이 나빠지지 않고 오히려 조금씩 향상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The record that domestic amateur runners have completed marathon full courses more than 100 times are analyzed and explored in this work. We consider the gender, age, exercise period of the marathon from the first race and the number of finishes at the time data was collected. Then the average and best record of the individual as well as the duration of exercise and the number of finishes untill each individual’s best record are analyzed statistically. In order to conside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finisher, the one’s first record is set to 0. And the variations of the personal records after 100th finishes are analyzed. Among many results of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personal record do not gradually worsen as the number of finishes increases and the length of exercise period incr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