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스웨덴 보육의 배경과 현황

        권정윤(Jeong Yoon Kwon),한유미(You Me Han) 한국아동학회 2005 아동학회지 Vol.26 No.2

        Sweden has one of the world`s most progressive and comprehensive childcare systems; synonymous with quality, it is the envy of many other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ackground factors important to the development of the Swedish childcare system and the current childcare policy and system. This study found that underpinning the Swedish childcare system is not only the expectation that men and women will participate equally in the workforce, child rearing, and domestic life but also an awareness of the right of children to development and education. Implementation of the Swedish childcare policy has provided for easy access and affordable childcare centers following principles of childcare universalism. This provides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Korean childcare policy and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유아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권정윤(Kwon Jeong-Yoon),정미라(Chung Mi-Ra),홍소영(Hong So-Young),박수경(Park Su-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5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결과를 총체적으로 검증하고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이 무엇인지를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10년 2월까지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발행된 석, 박사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81편을 대상으로 가중 평균 효과크기를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성을 신장하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에 유의한 효과를 미치는 조절변인은 출판, 실험설계, 검사구인 변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유아의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성을 발달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effects of social development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and to verify significant moderate variables in the effects by meta-analysis. A total of 81 study results of social development programs for preschool children in journal articles, theses, and dissertations from the year of 2000 to 2010 in Kore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 development programs for preschool children showed that the overall weighted mean effect size of the social development programs were .97. It means that the social development programs for preschool children had a great effect for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Second, the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variables of publication, design, and instrument of the social development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The study discussed the main issues of the study results in terms of the method of meta-analysis and concluded that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the generalization.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전문성 및 CCTV 필요성 인식과 역할수행, 어린이집 조직건강 간의 구조적 관계

        권정윤 ( Kwon Jeong Yoon ),조혜영 ( Jo Hye 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6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및 CCTV 필요성 인식과 역할수행, 어린이집 조직건강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교사 246명을 대상으로 SPSS 18.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어린이집 조직건강은 보육교사의 전문성, 역할수행, CCTV 필요성 인식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전문성이 역할수행과 CCTV 필요성 인식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역할수행과 CCTV 필요성 인식이 조직건강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전문성은 교사의 역할수행과 CCTV 필요성 인식을 통해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린이집 조직건강에 교사의 역할수행과 CCTV 필요성 인식이 필요한 변인임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며,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교사의 전문성 고양과 CCTV 활용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structural associations among the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and needs for CCTV, their role performance, and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child care centers. A number of 246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metropolitan area completed the questionnaire for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PSS 18.0 and AMOS 22.0.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the child care center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needs for CCTV, and their rol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child care teachers’ perceived professionalism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perceived role performance and nees for CCTV, which is, in turn,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child care centers(i.e., full medi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the perceptions of needs for CCTV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child care centers. We discussed ways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child care centers in relation to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role performance, and the usage of CCTV in the classroom.

      • KCI등재

        유아를 위한 비폭력 의사소통 프로그램이또래유능성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권정윤 ( Jeong Yoon Kwon ),황인주 ( In Joo Hwa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비폭력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유아를 위한 비폭력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35명에게 9주간 적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교사평정용 또래 상호작용 행동 척도와 또래평정용 또래 수용도 평정(HIFTO) 척도를 이용하여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고, 면접을 통한 정서상황 검사와 공감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의 또래유능성 중 또래상호작용과 공감능력의 점수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 유아의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또래유능성 중 또래수용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프로그램은 유아의 또래상호작용과 공감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nonviolent communication program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empathy. The nonviolent communi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view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nonviolent communication program and children`s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s. The nonviolent communi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was applied to thirty five 5-year-olds for 9 weeks at a private kindergarten in Gyeonggi-do. Teacher and peer rated peer interaction scale and HIFTO scale, and children`s empathy 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program effects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empath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onviolent communi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peer interaction. Second, this program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empathy. With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eaching children nonviolent communication skills can help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empathy.

      • KCI등재
      • KCI등재

        어린이집 CCTV 의무화로 인한 유아 문제행동 지도의 어려움 및 개선방안

        권정윤 ( Kwon Jeong Yoon ),송나리 ( Song Na R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들이 유아의 문제행동을 지도할 때 CCTV로 인해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개선방안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교사 1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017년 5월부터 9월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부가적으로 참여관찰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실에 CCTV가 설치된 상황은 교사가 적극적인 문제행동 지도를 할 수 없는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CCTV 설치 이전에 비해 제한적인 신체접촉을 하거나 적극적인 지도를 회피하고 소극적인 방식으로 지도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한계를 느끼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또한 교사들은 CCTV 설치로 인해 유아의 문제행동을 지도할 때 지도와 아동학대라는 경계선 사이에서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교사들은 문제행동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CCTV를 의식하여 위축되고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어떻게 보이는가’의 측면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CCTV 의무화로 인한 유아 문제행동 지도의 어려움 개선방안에 대해서 교사들은 문제행동 지도 측면을 고려한 새롭고 명확한 아동학대 기준 마련, 문제행동지도 상황 이해를 위한 부모 소통 기회 확대, 변화된 환경을 반영한 문제행동 지도 관련 연수 및 전문가 자문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어린이집 CCTV 의무화 법안의 개정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유아를 존중하면서 문제가 되는 행동을 지도하는 긍정적인 행동지도 방법의 실천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iculties that teachers experience when teaching children with behavior problems due to the mandatory CCTV in child care centers and how to improve these difficulties regarding address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 number of 10 child care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subjected to in-depth interviews from May to September, 2017.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text in which CCTV is installed in the classroom is causing difficulties in teaching method and psychological stress for teachers. Teachers showed limited physical contact, only used verbal notice, avoided active guidance, and felt restricted as compared to the time before the CCTV’s installation. Teachers we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 guiding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due to the installation of CCTV, oscillating between the boundary of guidance and the concern for being accused of child abuse. Teachers are concerned that the process of teaching behavior problems might be seen as child abuse, showed a shrinking and anxious state, and expressed difficulties in terms of ‘how it looks'. As for the ways to improve the difficulties in teaching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due to the mandatory CCTV in child care, teachers suggest that new standards of child abuse should be established considering the aspect of problem behavior, expand parent participation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child care and behavior guidance, and training and expert support for behavior problems guid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to reform the mandatory CCTV in child care legislation was raised, and the necessity of practicing positive behavior strategies to guide problem behaviors while respecting children was discussed.

      • KCI등재

        어머니의 사회적지지 인식, 부부관계, 자아인식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관계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권정윤 ( Kwon Jeong Yoon ),조혜영 ( Jo Hye-yo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어머니가 인식한 사회적지지, 역기능적 부부관계, 자아인식 및 양육행동과 만 3세아의 또래관계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조사 4차년도(2011)년 패널 데이터의 만 3세아 자녀를 둔 2,150명을 대상으로 구조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유아의 또래관계는 어머니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인식, 양육행동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역기능적 부부관계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또래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가 역기능적 부부관계를 매개로 자아인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역기능적 부부관계가 자아인식을 매개로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 역기능적 부부관계와 자아인식이 양육행동을 매개로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maternal social support, dysfunctional marital relationships, self-perception,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and 3-year-old children`s peer relations, and its mediating effects on 3-year-old children`s peer relations. The data of 4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that consist of 2,150 mothers with 3-year-old children were analyzed. First, the peer relations of 3-year-old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maternal social support, self-perception, and parenting behavior; however, the peer relations of 3-year-old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dysfunctional marital relationships. Second, the parenting behavior had direct effects on peer relations of 3-year-olds. Third, dysfunctional marital relationships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perception of mothers. The mothers` self-percep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ived maternal social support and dysfunctional marital relationships and parenting behavior. Also, the parenting behavior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ived maternal social support, dysfunctional marital relationships, and self-concept and peer relations of 3 year-old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어머니의 담론 분석

        권정윤(Kwon Jeong-Yoon),이승숙(Lee, Seung-Sook),송나리(Song, Na-Ri)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요구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의 연계 방법에 대해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과 요구에 대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자녀의 수나 출생순위 및 어머니의 양육방법에 따라서 기관에서의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도 달랐다.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로는 교사가 객관적인 태도를 가지고 지도하기를 원했으며,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솔직한 의사소통, 부모교육 및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다양한 자료제공과 상담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how mothers understand the teachers’ teaching methods or guidance for children’s behavior problems in educational settings; as well as what are the mothers’ demands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teachers’ guidance for children’s behavior problems. In order to meet these purposes, in-depth interviews regarding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mothers as to problem behavior guidance were conducted with 10 mothers who have young children.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The mothers had the perception that there was insufficient information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and the mothers’ perceptions varied depending on their children"s tendency or their parenting method. As for demands for guiding young children with behavioral problems, the following responses were obtained: consistent, objective attitude of teachers; sincere communication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s to behavioral problems of young children; various information and consultation on the education of parents and guidance for problem behavio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