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체에 있어 도덕은 진화하는가?

        권려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e the problem of moral evolution in Darwin's view of the creation and change of good and evil in Nietzsche's On the Genealogy of Morality. This discussion examines the feasibility of morality, focusing on hypotheses based on the variation and fitness conditions of natural selection. The hypothesis is as follows. 1) If morality evolved, it is because of the variation of value cau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wer of the strong and the weak. 2) If morality has evolved, it is due to altruism of Heerdeninstinkt (group instinct). The former is supported by the evolutionary position that “Life gradually evolves” by the Likelihood Principle. The latter is supported by evolutionary theory that "human morality is evolved by altruism, the group selection” and “tit-for-tat” strategy based on the prisoner's dilemma.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discussion is the possibility that the cooperation and fitness by the variation of good and evil and the altruistic propensity of Heerdeninstinkt (group instinct) have evolved into morality by natural selection. 이 글은 니체의 「도덕의 계보」에 드러난 선과 악의 생성과 변화를 진화론의 관점에서 ‘도덕은 진화하는가?’라는 문제를 증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논의는 자연선택의 조건인‘변이(variation)’와 ‘적응도(fitness)’개념에 근거한 가설을 중심으로 도덕의 진화가능성을 고찰한다. 그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도덕이 진화한 것이라면 강한 자와 약한 자의 힘의 차이에서 발생한 가치돌연변이에 의한 것이다. 2) 도덕이 진화한 것이라면 무리본능의 이타주의에 의한 것이다. 전자는 ‘개연성의 원칙(Likelihood Principle)’에 의해 “생명체는 점진적으로 진화한다.”는 진화론적 입장으로 지지된다. 후자는 “인간의 도덕성은 이타주의 즉, ‘군’선택에 의해 진화된다.”는 진화이론과 죄수의 딜레마에 근거한 ‘팃포탯(tit-for-tat, TFT)’전략에 의해 지지된다. 이 논의를 통해 도출되는 결론은 선과 악이라는 가치돌연변이와 무리본능의 이타주의 성향에 의한 협력과 적응이 자연선택에 의해 도덕으로 진화했을 가능성이다.

      • KCI등재

        환자안전교육이 간호 교수자의 환자안전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권려원,홍주영,배수진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 to identify the effects of patient safety education program on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n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 of nursing faculty. This study used a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2th to September 16th, 2022 and 45 nursing faculty were recruited from K education center. The patient safety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orientation, a pre-survey, a two-section program(2day), and a post-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Win 25.0 program. Compared with before the program,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completion of the patient safety education (t=-9.20, p=.000; t=-3.56, p=.001). Especially compared with before the program, safety knowledge(t=-7.96, p=.000), safety practice guidelines knowledge(t=-8.53 p=.000)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patient safety education, patient safety attitude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fety knowledge(r=.527, p<.001), Safety Practices and Guidelines (r=.509, p<.001). In conclusion, the patient safety education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ective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 of nursing instructor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development of various patient safety education programs is required to enhance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 of nursing instructor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과 전문직 간 태도

        권려원,홍주영,이정화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6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at attempted to identify patient safety competencies and interprofessional attitudes among nursing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atient safety education and developing various clinical practice education program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August 29, 2023 to October 23, 2023, targeting 142 3rd and 4th year nursing students in K City. The PSCSE tool was used for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the IPAS-K tool was used for interprofessional attitud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program.The subjects' patient safety competency scored an average of 4.04±0.53 out of 5, and interprofessional attitudes scored an average of 4.32±0.61 out of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rofessional attitudes according to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t=3.509, p=.001). Interprofessional Attitud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competency(r= .716, p<.001). Factors affecting interprofessional attitudes were attitude of patient safety(β=.424 p<.001), skill of patient safety(β=.377 p<.001) and explained 56% of interprofessional attitud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atient safety education programs and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programs that can improve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apabilities and interprofessional attitudes.

      • KCI등재

        하이데거의 현존재분석론과 철학상담의 가능성 연구

        권려원(Reoy-Won Kwo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이 논문은 하이데거가 『존재와 시간』에서 전개한 존재론적 조명작업인 현존재분석론(Daseinsanalytik)을 철학실천의 관점에서 해명하고, 실제 철학상담에 적용가능한 방법론으로 구조화하여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 논문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빛과 터로서의 현존재의 개시성’은 현존재의 개방성(Offenheit)과 결의성(Entschloßenheit)을 중심으로 한 개시성에 대한 논의이다. 둘째, ‘현존재의 개시성을 전제로 하는 현상학적 기술과 해석’은 하이데거가 『존재와 시간』에서 존재물음의 방법론으로 채택한 ‘해석학적 현상학’에 대한 논의이다. 두 번째 논의는 현존재분석(dieontische Daseinsanalyse)과 현존재분석론(die ontologische Daseinsanalytik)의 비교, 분석을 토대로 철학상담의 관점에서 조명해보는 것이다. 셋째, ‘현존재의 개시성에 근거한 철학상담 사례와 평가’는 ‘죽음 불안을 호소하는 20대 중반 여성’의 실제 상담사례에 적용된 현상학적 기술과 해석에 대한 소개와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필자는 이상과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현존재분석에 근거한 철학상담의 가능성을 밝히고, 그에 따른 결과를 앞으로의 철학상담 연구의 발판으로 삼고자 한다. This essay has been studied to explain the Daseinsanalytik described in “Sein und Seit” by Heidegger in terms of philosophical practice and to present it as a methodolog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o discuss.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the ‘Erschließenheit of Dasein as Licht and Raum’discusses the Erschließenheit of Dasein, focusing on the openness(Offenheit) and the determination(Entschloßenheit). Second,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based on the Erschließenheit of Dasein’ is a discussion of ‘hermeneutic phenomenology’ adopted by Heidegger as a methodology of existence in “Sein und Seit”. This discussion is ba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Daseinsanalyse’ and ‘Daseinsanalytik’ in term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Third, ‘philosophical counseling cases and evaluations based on the of Erschließenheit’ consist of introduction and evaluation of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s applied to actual counseling cases of ‘women in their twenties who appeal to death anxiety’. Through this essay, I try to clarify the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based on Daseinsanalytik and to make the result as a basis of future philosophical counseling research.

      • KCI등재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남희,권려원,Jo, Nam-Hee,Kwon, Ryeo-Won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7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일 지역에 위치한 3개 대학의 재학생 191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자가보고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피어슨의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로 나타났으며 영향요인에 따른 설명력은 42.3%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 증진을 위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1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one area, and the data collection us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were self-estee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according to the influence factors was 42.3%.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mproving college students' self-estee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can help them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elf-estee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he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추론역량, 임상수행능력 및 학습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상민,권려원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2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교과목 운영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역량, 임상수행능력 및 학습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 실험설계 연구이다. 대상자는 G시 소재 일개 대학 간호학과4학년 학생으로 2022년 2월 27일부터 7월 8일까지 관련 수업에 참여한 97명이었다. 임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고 디브리핑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Paired t-test,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간호학생들은 시뮬레이션 실습을 적용 받은 후 임상추론역량(t=2.29, p<.001), 임상수행능력(t=3.34, p<.001), 학습적 자기효능감(t=1.99, p=.045)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기반실습이 간호학생의 임상추론역량, 임상수행능력 및 학습적 자기효능감에 효과적인 교육방법이며 이를 위한 다양한사례의 시나리오를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교육과정에서 시뮬레이션 기반 교과목들의 적극적인 적용이 필요하다.

      • KCI등재

        Effects of caffeine ingestion and thermotherapy on blood orexin circulation in humans

        박태환,이혜진,권려원,이인호,이승재,박종인,추언아,이정범 한국식품과학회 2022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31 No.9

        Caffeine and orexin can affect awakening, neuroendocrine, and sympathetic nerve function. Our previous study has reported that caffeine intake can increase human body temperature.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combined effects of thermotherapy and caffeine intake on human serum orexin concentrations. Forty-two healthy male subjects with age of 26.72 ± 5.05 years, height of 174.10 ± 7.09 cm, and body weight of 74.68 ± 8.91 kg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CON) group (n = 21) and a caffeine (CAFF) group (n = 21). After thermotherapy (half-body immersion in a hot water bath at 42 ± 0.5 °C, circulating orexin level increased more (p < 0.05) in the CAFF group than in the CON group.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mean body temperature and orexin were observed before and after heat stimulation (p < 0.001). Caffeine intake boosted the upregulation of serum orexin concentrations in subjects undergoing thermotherapy.

      • KCI등재

        주간근무 및 교대근무 여성근로자의 여성건강 비교연구

        이진숙,홍경주,권려원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3

        본 연구는 주간근무 및 교대근무 여성 근로자의 일반적 요인 및 여성건강관련 요인들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제7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초로 하였으 며 설문 조사에 참여한 조사자는 모두 10,430명이었다. 그 중 1,995명 근로자의 건강관련 변수와 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를 분석하였다. 여성 근로자의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 종사상지위, 출산경험은 주간근무 근로자와 교대 근무 근로자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소득이나 주관적 건강인식, 스트레스 인지, 우울경험, 초경연령, 폐경연령, 수유기간과 건강관련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교대근무는 산업의 발전과 탄력 근로 제를 위하여 불가피하게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교대근무로 인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근로자 개인 뿐만 아니라 사회적, 국가적인 관심과 대책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general and female health-related factor between day-work and shift-work worker. It is based on the data of the Korea National Health&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2nd year on 7th perio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10,430. Out of the participants, 1,995 workers’ dara was analyzed. The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occupational status and childbirth experience of female worker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ay and shift work. By contras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id not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these factors; income, subjective health cognition, stress perception, depression experience, menarcheal age, menopausal age and breastfeeding period. The shift work is inevitably implemented as an industrial development and flexible work hours. Therefore, social and national attention and measures as well as those of individual workers are required to reduce the side effects from shiftwork.

      • KCI등재

        통합적 DMT가 비행 청소년들의 정서조절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추언아,이정범,권려원,이승재 한국교정학회 2020 矯正硏究 Vol.30 No.3

        본 연구는 소년원학교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12주간의 혈액학적 면역기능에 도움 을 주는 통합적 무용동작심리치료(Dance movement therapy, DMT)를 적용하여 면역기능(Lymphocyte, T cell, B cell, NK cell, T helper cell, T suppressoer)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생물학적 요인과 감정은 신체움직임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 고 서로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특히, 적응문제와 정서조절이 필요한 청소년들에게 DMT 접근을 하여 심리뿐만 아니라 신체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여자 소년 원생 8명으로 평균 연령은 17.75세, 신장은 157.63cm, 평균 체중은 59.25kg이다. DMT 프로그램을 주 1회, 90분씩 총 12주간 적용하였으며, DMT 처치 전과 후의 혈 액검사를 통해 신체 면역기능을 분석하였다. DMT 처치 전과 후의 Lymphocyte, T cell, B cell, NK cell, T helper cell을 비교분석 한 결과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는 DMT를 통해 비행청소년들의 염증이 감소되어 면역 력이 증가되었으며, 심리적 안정과 스트레스 감소로 인한 적응력 향상과 감정조절 능 력이 향상되었음을 시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immune function (Lymphocyte, T cell, B cell, NK cell, T helper cell, T suppressoer) by applying 12 week Integrated Dance Movement Therapy(DMT). Because the biological factors and emotions are closely related to the body movements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DMT approach to adolescents who need adaptation problems and emotional regulation has confirmed not only psychological but also physical chang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 female girls, with an average age of 17.75 years, a height of 157.63cm and an average weight of 59.25kg. The DMT program was applied once a week for 90 minutes for a total of 12 weeks and the body immunity function was analyzed by blood test before and after DMT treatm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lymphocytes, T cells, B cells, NK cells and T helper cells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DMT. These results suggest that DMT decreased inflammation and increased immune function in juvenile delinquents and improved adaptive capacity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due to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tress reduction.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허약 노인의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상민(Sang Min Kwon),권려원(Ryeo Won Kwon),이혜란(Hye Ra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허약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알아보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D지역 재가 방문 서비스를 받는 대상자 중 65세이상의 허약 노인 164명이었으며, 2020년 1월부터 2월 2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WIN 23.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분석,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분석, Scheffe test 사후검정,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울은 10.67점, 주관적 건강상태는 6.71점, 건강증진행위는 2.59점으로 나타났고, 건강증진 하위영역별 점수는 영양이 2.83점으로 가장 높았고, 스트레스 관리가 2.06점으로 가장 낮았다.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우울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연령, 교육수준, 우울로 나타났고 이 변인들은 건강증진행위를 73.6%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울이 허약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규명함으로써 허약 노인이 장애 노인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우울 중재가 포함된 다양한 프로그램 통한 허약 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지속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frail elderly. The subjects were 164 frail elders aged over 65 registered with the home visiting services of two welfare centers in D city. Data was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January 2 to February 21, 2020. Data was analyzed using the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3.0 program. The mean depression score was 10.67, perceived health status was 6.71, health promotion behavior score was 2.59.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depress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as positively correlated .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age, education level, and depression.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73.6%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it is important to continue health promotion for the frail elderly through various programs including interventions for depression to prevent the elderly from progressing to dis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