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Sustained Smoking after a Cancer Diagnosis in Korean Men

        구혜연,이기헌,박상민,장주영,김규웅,최슬기,조미희,전지혜,김성민 대한암학회 2020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52 No.1

        Purpose Although smoking has a significant impact on mortality and morbidity of cancer patients, many patients continue to smoke post-diagn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sustained smoking among male cancer survivors. Materials and Methods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Health Screening Cohort database was used for this population-based, retrospective study. Study subjects were 15,141 men who were diagnosed with their first incident cancer between 2004 and 2011. Changes in smoking status before and after a cancer diagnosis were investigated. For patients who were current smokers pre-diagnosis, association between post-diagnosis sustained smoking and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clinical variables were examined. Results Of the 4,657 pre-diagnosis smokers, 2,255 (48%) had quit after cancer diagnosis, while 2,402 (51.6%) continued to smoke. In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younger age at cancer diagnosis (adjusted odds ratio [aOR], 1.37; 95% confidence interval [CI], 1.21 to 1.55; p < 0.001), low socioeconomic status (aOR, 1.29; 95% CI, 1.15 to 1.45; p ! 0.001), pre-diagnosis heavy smoking (aOR, 1.24; 95% CI, 1.09 to 1.41; p=0.001), diagnosis of nonsmoking– related cancer (aOR, 1.67; 95% CI, 1.42 to 1.96; p < 0.001), and high serum glucose level (aOR, 1.23; 95% CI, 1.03 to 1.46; p=0.019) were associated with sustained smoking after a cancer diagnosis. Conclusion Almost half of the male smokers continue to smoke after a cancer diagnosis. Targeted interventions for smoking cess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patients with younger age, low socioeconomic status, heavy smoking history, non-smoking–related cancer, and high blood glucose levels.

      • KCI등재후보

        한국의 안경광학 대학원에서 연구 윤리 교육에 대한 인식도와 필요성에 관한 설문 조사

        구혜연,김달영 대한시과학회 2012 대한시과학회지 Vol.14 No.1

        Purpose: We did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us and necessity of education of the research ethics and induce appropriate form of the education in Korean optometry-major graduate school. Method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31 Korean optometry graduate students and analyze their responses. Results: Although the research ethics awareness of Korean optometry graduate students is not so high, they recognize necessity of the research ethics education. Correspondents who have learned the research ethics highly appreciate the necessity and usefulness of the research ethics education. Conclusion: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ethics education is very high in Korean optometry-major graduate school, so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education is given in forms of a credited subject or a non-credited lecture. 목 적: 본 연구는 한국의 안경광학 전공 대학원에서 연구윤리 교육의 현황과 필요도를 파악하고 적절한 교육 형식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 법 : 국내의 안경광학 전공 대학원 재학생 3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응답을 통계적으로분석하였다. 결 과 : 한국의 안경광학 전공 대학원생들의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도는 높지 않으나, 연구윤리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윤리 교육을 경험한 응답자들이 교육의 필요성과 유용성을더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 론 : 한국의 안경광학 전공 대학원에서 연구윤리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은 매우 높으며, 정규 교과목이나 비공식 특강의 형식을 통하여 필수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VDT 환경에서 누진렌즈와 단초점렌즈 착용자의 한글 읽기능력 비교 연구

        구혜연,김달영 한국안광학회 2012 한국안광학회지 Vol.17 No.2

        목적: 누진렌즈의 착용이 VDT 환경에서 한글의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VDT 환경에서 50명의 피검자를 대상으로 누진렌즈와 단초점렌즈를 착용시키고 웹문서를 읽으면서 지정된 글자를 찾도록 하였다. 피검자들이 웹문서를 읽는데 걸리는 시간과 지정된 글자를 찾지 못하고 누락시킨 숫자를 측정하여 가독성의 기준으로 삼았으며, 누진렌즈를 착용했을 때와 단초점렌즈를 착용했을 때의 측정 결과를, 글자 크기와 가독성, 그리고웹문서의 너비를 변수로 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누진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웹문서를 읽는 시간이 통계적 유의성을가지고 증가하였으며 찾지 못하고 놓친 숫자의 증가 또한 일부의 경우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글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글자 자체의 가독성이 낮을수록, 웹문서의 가로 너비가 넓을수록 누진렌즈에 의한 가독성의 저하가 심해지는 대체적인 경향성이 나타났다. 결론: 시야가 좁은 누진렌즈의 중간부는 VDT 환경에서 한글의 가독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 Purpose: We intended to study effects of wearing the progressive lenses on legibility of Korean letters under the VDT circumstance. Methods: Fifty subjects wearing the progressive lenses and the single focus lenses were asked to find designated characters on web-pages under the VDT circumstance. We measured times for subjects to read the web-pages and numbers of missed characters, considering them as standards of legibility, and compare results of the progressive lenses with those of the single focus lenses by variables of the size and legibility of letters and the width of web-pages. Results: In case of the progressive lenses, all the times to read the web-pages and some of the numbers of missed characters increas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Smaller the character size,lower the legibility of character itself, and wider the width of web-page, the legibility tended to be seriously lowered by the progressive lenses. Conclusions: It is presumed that the intermediate part of progressive lenses with narrow visual field lowers the legibility of Korean letters under the VDT circumstance.

      • 하절기 베네시안 블라인드의 자동 제어 방안에 관한 연구

        구혜연(Ku Hye-Yeon),박영준(Park Young-Joon),구소영(Koo So-Young),김지현(Kim Ji-Hyun),여명석(Yeo Myoung-Souk),김광우(Kim Kwang-Woo)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7 No.1

        In comparing to manual blind, automatic blind operated and controled according to exterior environment is working to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as well as the reduction of cooling load of a buildings. This paper deals with the experiment based on an algorithm for allowing adequate sunlight and providing a sense of openness by the control of Vertical Position. The verification experiment aims to figure out ways not to cause discomfort by excessive direct sunlight out of a prediction of the change related to control variables.

      • KCI등재

        한국의 안경광학 대학원에서 연구 윤리 교육에 대한 인식도와 필요성에 관한 설문 조사

        구혜연,김달영 대한시과학회 2012 대한시과학회지 Vol.14 No.1

        목 적: 본 연구는 한국의 안경광학 전공 대학원에서 연구윤리 교육의 현황과 필요도를 파악하고 적절한 교 육 형식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 법 : 국내의 안경광학 전공 대학원 재학생 3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응답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한국의 안경광학 전공 대학원생들의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도는 높지 않으나, 연구윤리 교육에 대 한 필요성은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윤리 교육을 경험한 응답자들이 교육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더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 론 : 한국의 안경광학 전공 대학원에서 연구윤리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은 매우 높으며, 정규 교과목이 나 비공식 특강의 형식을 통하여 필수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urpose: We did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us and necessity of education of the research ethics and induce appropriate form of the education in Korean optometry-major graduate school. Method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31 Korean optometry graduate students and analyze their responses. Results: Although the research ethics awareness of Korean optometry graduate students is not so high, they recognize necessity of the research ethics education. Correspondents who have learned the research ethics highly appreciate the necessity and usefulness of the research ethics education. Conclusion: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ethics education is very high in Korean optometry-major graduate school, so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education is given in forms of a credited subject or a non-credited lecture.

      • 열교를 고려한 커튼월 벽체부의 열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구혜연(Ku Hae-Yeon),여명석(Yeo Myoung-Souk),김광우(Kim Kwang-Woo)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08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 No.-

        Building envelope is important system affecting energy consumption of the build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a wall is represented by simple R-value. The modified zone method is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the clear wall R-value of steel stud walls with insulated cavities. However, this analysis does not consider the thermal bridges impact of connection with other building compon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hermal impact of thermal bridges on the thermal performance of curtain walls. Simulation was performed by Physibel Trisco based on 3-D finite difference computer modeling. The R-value of Stone and GFRC(Glass Fiber Reinforced Concrete) panel system were calculated considering connection components which cause thermal bridges in curtain walls. The result of simulation show that steel components of curtain wall have important impacts on the overall wall thermal performance and thermal bridging impact of the connection with other building component is important especially in the case that steel component such as fastener has important impacts on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wall.

      • KCI등재후보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를 이용한 암 생존자와 정상대조군의 식이패턴 분석: 국민건강영양조사 2013-2015년 자료이용

        이유진,구혜연,조인영,조민경,김경철,엄윤희,김주영,김사라,한종수,배우경,이혜진,김사라,한종수,배우경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2

        Background: Dietary pattern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rognosis, recurrence, and survival in patients with cancer. This study investigated dietary patterns using the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in cancer survivors compared to those in the general population without cancer. Method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I data, cancer survivors were defined as those diagnosed with cancer more than 1 year before the survey. The associations between possible predictors and the DQI-I score were examined using t-tests and analysis of variance. Adjust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DQI-I scores between cancer survivors and controls. Results: In univariate analysis of 9,351 subjects (433 cancer survivors and 8,918 controls), age, sex, body mass index,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income, residential area, smoking status, and alcohol consumption were associated with the DQI-I score (each P-value <0.05). After adjustment, cancer survivors showed higher DQI-I scores than the controls (67.40±8.90 vs. 65.50±9.40, P-value=0.007). In subgroup analysis, cancer survivors within 5 years after cancer diagnosis showed higher DQI-I scores than the controls (68.70±8.30 vs. 65.50±9.40, P-value=0.034), whereas those who survived beyond 5 years post-diagnosi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controls (66.70±9.20 vs. 65.50±9.40, P-value=0.063). Conclusion: Cancer survivors within 5 years of cancer diagnosis showed better dietary patterns than those in the general population.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after 5 years post-diagnosis. To reduce the risks of second primary cancer and mortality, targeted inventions for dietary habits are necessary for long-term survivors of cancer. 연구배경: 암 생존자에서 식이패턴은 예후, 재발 및 생존에 중요한영향을 미친다. 이번 연구에서는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DQI-I)값을 이용하여 암 생존자의 식이패턴을 일반 대조군과 비교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자료(2013–2015년)를 이용하여 암진단받은 후 1년이 지난 군을 암 생존자 군으로 정의하였다. 암 진단여부에 응답하지 않은 사람과 연구 변수에 결측값이 있는 대상자들은 제외하여 총 9,351명이 연구에 포함되었고, 이 중 암 생존자는 433명, 대조군은 8,918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결과:암 생존자가 일반 대조군에 비해서 높은 DQI-I 점수를 보였다. 나이, 성별, BMI, 결혼 상태, 교육수준, 월 수입, 주거지역, 흡연, 음주수준등을보정한후에도암생존자의점수가대조군에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5년을 기준으로 층화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5년 미만의그룹은 대조군에 비해서 점수가 높았으나, 5년 이상의 그룹은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34, P=0.06). 결론: 암 생존자가 일반 대조군에 비해서 좋은 식이습관을 가지고있으나, 5년이 지나면 대조군과 차이가 없어진다. 암 생존자 관리에서 생존기간과 상관없이 지속적인 식이습관 평가 및 중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Patient Health Questionnaire-2를 이용한 우울증 선별의 유용성

        조민경,구혜연,조인영,이유진,윤소정,양예슬,김주영,이기헌,이기혁,정세영,이혜진,한종수,김사라,배우경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4

        Background: While various screening tools are available for depression, they are not feasible in clinical practice because of their excessive number of questions.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2 (PHQ-2) consists of two questions gauging the frequency of depressed mood and anhedonia over the past two week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usefulness of the PHQ-2 as a brief screening tool for depression. Methods: This study used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from 2014, and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4,946 individuals. We analyzed the validity of the PHQ-2 compared with ‘depression by PHQ-9,’ and obtained the optimal cut point for screening depression. The agreement between PHQ-2 and depression by PHQ-9 and the agreement between PHQ-2 and ‘currently diagnosed as depression’ were analyzed using Cohen’s kappa. The correlation between EuroQol-5D (EQ-5D) index scores and PHQ-2 scores was analyzed using Student’s t-test. Results: Using ‘depression by PHQ-9’ as the criterion standard, PHQ-2 scores ≥2 had a sensitivity of 89% and a specificity of 87%, and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identified PHQ-2 ≥2 as the optimal cut point for screening. The agreement between PHQ-2 and depression by PHQ-9 was 0.430 when PHQ-2 ≥2 was used as a cut point. The agreement between PHQ-2 and ‘depression by questionnaire’ was poor. The EQ-5D index score of the depressiv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Conclusion: The PHQ-2 is an effective measure for screening depression and is expected to be useful in busy clinical settings. 연구배경: Patient Health Questionnaire-2 (PHQ-2)는 ‘일을 하는 것에대한 흥미나 재미가 거의 없음’, ‘가라앉은 느낌, 우울감 혹은 절망감’의 두 항목을 최근 2주 동안 겪은 빈도를 알아보는 설문으로, 일차진료에서 신속한 우울증 선별을 위한 도구로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국민건강영양평가 2014년 2기 자료 중 19세 이상 성인 4,946명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기준우울증’에 대한 PHQ-2의 민감도, 특이도와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s 곡선 분석을 시행하여 우울증 선별을 위한 PHQ-2의 최적절단점을 제시했다. ‘PHQ-9 기준우울증’과 ‘설문지 기준 우울증’에 대한 PHQ-2의 일치도는 Cohen’s kappa 계수, EuroQol-5D (EQ-5D) indexscore에 대한 외적 타당도는 Students’ t-test로 평가했다. 결과: ‘PHQ-9 기준 우울증’에 대한 PHQ-2의 민감도 및 특이도는 각각 1점 이상일 때 0.95, 0.71, 2점 이상일 때 0.89, 0.87, 3점 이상일 때0.70, 0.96이었으며, PHQ-2 총점 2점이 최적절단점으로 산출되었다. ‘PHQ-9 기준 우울증’에 대한 PHQ-2의 일치도는 2점 이상일 때 0.430,3점 이상일 때 0.590이었다. ‘설문지 기준 우울증’에 대한 PHQ-2의 일치도는 2점 이상일때 0.120, 3점 이상일 때 0.160의 값을 보였다. PHQ2 총점 2점을 기준으로 EQ-5D index score는 정상군에 비해 우울증으로 선별된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0.954 vs. 0.864). 결론: PHQ-2는 기존의 우울증 척도와 높은 일치도를 보여 일차 의료 환경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우울증 선별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NO.1 패션기업 ㈜남영비비안의 소비자중심경영(CCM) 사례 연구

        김정숙,옥경영,구혜연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4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2013년 소비자중심경영(CCM) 인증을 받고 지속적으로 개선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남영비비안 사례연구로, 소비자중심경영의 도입 배경, 체계, 운영 및 성과를 살펴보고 소비자중심경영의 발전전략을 제시하였다. ㈜남영비비안은 소비자중심경영 체계 구축으로 소비자업무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였으며 긍정적 성과들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CCM팀, CCM위원회 CCM리더 등 소비자업무 관련 조직이 신설되었다. 둘째, 소비자 관련 정책이 수립되고 시행되면서 소비자 응대시스템이 표준화되고 수선서비스가 개선되었다. 2012년 80,317건에서 2013년 56,769건으로 약 29% 감소되었으며, 처리기간은 기본수선은 3일에서 1일로, 특수수선은 1주일 이상에서 5일로 단축되었다. 셋째, 소비자검색 프로세스 개선으로 합리적 의사결정, 수선서비스, 소비자피해구제 등의 정보를 다양한 채널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넷째, 고객상담실 운영으로 다양한 VOC를 통합․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성과는 소비자중심경영이 기업의 경쟁력과 소비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소비자중심경영 인증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장평가를 강화하고, 내부고객 만족도를 평가해야 하며, 공적서 양식을 표준화하고 항목별 평가기준을 상세화해야 할 것이다. 소비자중심경영 인증제도가 권위 있고 영향력 있으며 소비자에게 인정받는 제도가 될 수 있도록 인증기관, 운영기관, 기업, 소비자 모두가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Development and Usability of a Life-Logging Behavior Monitoring Application for Obese Patients

        이주연,김주영,유승주,김유수,구혜연,김정현,김소혜,박정하,한종수,길시예,김혜림,양예슬,이경민 대한비만학회 2019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8 No.3

        Background: Obesity is a global epidemic. Behavior change monitoring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app) can support weight management in obese patients. These apps must undergo usability testing, which is an important step in mobile healthcare app development. The current study aimed to develop a mobile app for behavioral monitoring and to test its usability including technical effectiveness, user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for obese adults. Methods: Development of the Dr. Youth app components included information on behavioral monitoring indicators and their obesity subtypes. The usability of the app was tested with 50 obese adults in a university hospital.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eight tasks for evaluating the technical effectiveness of the app. The time to complete each task was measured to test user efficiency. To explore user satisfaction, each participant completed the System Usability Scale (SU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examine the mean user efficiency and SUS scores. Results: Fifty adults (14 men and 36 women, aged 20–59 years) who are obese (body mass index ≥25 kg/m2) were recruited. The mean age of participants was 42.6 years (standard deviation [SD], 10.8 years); their mean body mass index was 29.6 kg/m2 (SD, 5.7 kg/m2). The tasks were completed with a 99% success rate. The overall mean SUS score was 76.65 (SD, 15.43). Conclusion: The Dr. Youth app shows acceptable technical effectiveness, user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Future study is warranted to establish the app’s clinical 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