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온가압 열처리법을 이용한 ITO의 전기적 특성 개선과 가스 센서 응용에 관한 연구

        구지은,조영지,장지호,박승환,이웅,이효종,이상태 한국물리학회 2011 새물리 Vol.61 No.11

        We studied the effect of pressurized high-temperature annealing of ITO films on their electrical properties and application to gas sensors. Low resistivity ITO films were achieved by using pressurized high-temperature annealing. The electr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using Hall effect and four probe measurements. The resistivity of the ITO film was decreased from 11.5×10^(-4)Ω‧cm to 1×10^(4)Ω‧cm by the annealing at a high 600℃ temperature under high pressure (0.2 MPa). A thermodynamic model was applied to explain the resistivity and the carrier concentration variations. Also, an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image was used to characterize the crystallinity of the ITO films to make it clear that those observations were not caused by improved crystal quality. The resistivity of the printed ITO powder film decreased from 1.6 KΩ‧cm to 294Ω‧cm during the pressurized annealing at high temperature. Finally, the response and the recovery properties of the printed ITO powder films were shown to depend on the properties of the ambient gases, which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using printed ITO powder films for the fabrication of gas sensor devices. 고온 가압 열처리법을 이용한 분말 ITO 박막의 전기적 특성 개선과 이를이용한 가스센서의 응용 가능성에 관하여 고찰 하였다. ITO 분말을이용해 낮은 저항을 갖는 박막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압력계가 부착된챔버에 2기압 정도 가압을 하여, 600℃정도의 고온에서열처리를 진행하였다. 이렇게 제작한 시료를 4-단자법 (four-probe measurement)과 홀 측정법 (Hall measurement)을 이용하여 비저항을측정한 결과 가압 하지 않은 경우 1.5×10^(-4)Ω‧cm에서 가압 한 경우 1×10^(4)Ω‧cm로 비저항이 작아지는 전기적 특성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러한 저항변화를 ITO 박막내 케리어 농도가 Sn농도와 산소분압에의존하는 열역학 모델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또한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EBSD) 이미지를 통해 위의 결과가 결정성과는무관한 변화임을 확인하였으며, 분말 ITO 박막에 고온가압열처리를하였을 경우 1.6 KΩ‧cm에서 294Ω‧cm로 열처리만한 경우에 비교해 82 %의 비저항 감소를 관찰하였다. 마지막으로가스센서응용을 위해 가압열처리 된 분말 ITO 박막을 인쇄공정을 통해가스센서를 제작하였고 그 특성을 관찰하였다. 실온에서 Ar, N₂,O₂의 다른 특성의 가스를 주입하였을 때, 양호한 응답 및 회복특성을관찰할 수 있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가압열처리법을 적용한 가스센서응용을 위한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인공지능이 추천한 음악 플레이리스트 선호에 관한 연구: 사용자의 감정을 중심으로

        구지은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3 No.3

        Empathy is no longer the preserve of humans.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becomes ubiquitous in consumers’ daily lives, they tend to favor AI that can read, understand, and resonate with their emotion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how consumers perceive AI, this research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valence and the perception of AI’s empathy, specifically in the context of music streaming services. The results of three experiments demonstrate two important findings. First, consumers believe that an AI music curator is less able to empathize with listeners’ negative emotions than positive ones. Second, due to this biased belief, they prefer AI-curated playlists made for negative mood less than those made for positive mood. These results provide insights into how to design and complement empathetic AI, particularly in the domains where sensitivity to users’ emotions is vital. 공감은 더 이상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다. 인공지능이 우리의 일상생활에 보편화되면서 소비자는 자신들의 감정을 파악하고, 이해하고, 공감해 주는 인공지능을 선호하고 있다. 소비자가 인공지능을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본 연구는 소비자가 느끼는 감정가(emotional valence: 긍정 vs. 부정)에 따라 인공지능의 공감 능력에 대한 판단이 달라지는가를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세 개의 실증연구를 통해 두 개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소비자는 음악 추천 인공지능이 사용자의 긍정적 감정 대비 부정적 감정에 대해 공감하는 능력이 떨어진다고 믿는다. 둘째, 이 왜곡된 믿음으로 인해 소비자는 인공지능이 긍정적 감정을 느끼는 사용자에게 추천한 음악 대비 부정적 감정을 느끼는 사용자에게 추천한 음악을 덜 선호하게 된다. 이 결과는 특히 사용자의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는 산업에서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활용할 때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산소분압제어를 통한 ITO박막의 고온열처리방법에 대한 연구

        구지은,조영지,장지호,박승환,이웅,이효종,이상태 한국물리학회 2012 새물리 Vol.62 No.1

        We have studied about limiting factors of the resistivity in ITO films annealed at high temperature. AFM and transmittance measurements were used to estimate the surface morphology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ITO film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electr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using Hall effect and four probe measurements. The resistivity of the ITO film increased from 1.5 × 10-4Ω·cm to 6 × 10-4 Ω·cm during the annealing at high (600℃)temperature, however, it decreased from 1.5 ×10 -4Ω·cm to 1 × 10 -4Ω·cm during the annealing at high (600 ℃) temperature under Ar 0.2 MPa pressure. We confirmed by using a theoretical model that resistivity and the carrier concentration depended on both oxygen pressure and the Sn concentration. Finally, the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image was used to characterize the crystallinity of the ITO films to make clear that those observations were not caused by an improved crystal quality. ITO 박막을 고온가압 열처리를 하였을 때의 저항변화와 그 원인에 대한고찰을 하였다. 압력계가 부착된 챔버내에 가압가스로는 Ar을 이용하여,실온에서 600 ℃까지 30분간 고온가압 열처리 하였다. 원자 힘현미경 (Atomic Force Microscopy; AFM)을 이용하여 표면 변화를확인하였으며, 투과측정을 통해 박막의 투과율을 비교하였다. 또한4-단자법(four-probe measurement)과 홀 측정법 (Hall measurement)을이용하여, 고온 열처리에서 1.5 × 10-4Ω·cm에서6 × 10-4 Ω·cm로 커지는 비저항 변화와 고온가압열처리에서 1.5 × 10-4Ω·cm에서 1 ×10-4 Ω·cm로 비저항이 작아지는 전기적 특성변화를관찰하였다. 이러한 저항변화는 ITO 박막에 도핑 된 Sn의 농도에 의한것으로, 산소 분압을 무시할 수 있는 경우 케리어 농도는 Sn의 농도에의해 박막의 농도가 결정이 되며, 산소 분압이 높을 경우 케리어 농도가감소한다는 모델을 이용하여 가압열처리를 통해 케리어 농도가 증가하고,저항이 감소하는 변화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변화는전자후방산란회절(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EBSD) 이미지를통해 결정성과는 무관한 변화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심리적 파워가 보상형 크라우드펀딩 참여에 미치는 영향

        구지은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20 마케팅관리연구 Vol.25 No.3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hypothesis that low psychological power increases the intention to contribute to reward crowdfunding. Past studies showed that a state of low psychological power has greater tendency to read, response to, and sympathize with others’ emo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low psychological power are more likely to sympathize with the difficulties that companies go through due to lack of funds, and that the sympathy stimulates their altruism to support the companies. As a result, the intention to contribute to crowdfunding projects is expected to increase. Two empirical studies showed that the intention to support reward crowdfunding was higher for the low-power than high-power condition. In addition, Study 2 measured the sympathy with companies longing for fund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level of sympathy was higher in the low-power condition and it mediated the influence of power on the intention to support crowdfunding. This research provides a theoretical implication that the success of reward crowdfunding depends on investors’ psychological power, which differentiates crowdfunding from traditional funding system. For marketers, this research recommends that crowdfunding platforms identify where consumers with low psychological power go online/offline and install marketing messages in those places. 본 연구는 투자자의 심리적 파워가 낮을수록 보상형 크라우드펀딩 참여 의도가 올라간다는 가설을 제시하고 실증연구로 검증하였다. 과거 연구에 따르면 파워가 낮을수록 타인의 감정을 읽고, 그에 반응 하고, 공감하는 능력이 높아진다. 이러한 연구를 보상형 크라우드펀딩 상황에 적용하면, 투자자의 심리 적 파워가 낮을수록 자금을 필요로 하는 기업의 절실한 상황에 더 잘 공감하고 그럴수록 해당 기업을 도우려는 이타심이 자극될 수 있다. 그 결과 크라우드펀딩에 투자자로 참여할 의향이 높아질 것이라 예 상된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두 개의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두 연구 모두 낮은 파워 조건에서 크라우드펀딩 참여 의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자금을 필요로 하는 기업의 입장 에 얼마나 공감하는 지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예상대로 낮은 파워 조건에서 더 큰 공감을 보였고, 공감은 파워가 크라우드펀딩 참여 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 의 학문점 시사점으로는 보상형 크라우드펀딩이 가진 독특한 성격, 즉 투자자의 심리적 파워가 펀딩에 영향을 주는 요소라는 점을 보였다는 데 있다. 또한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이 펀딩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심리적 파워가 낮은 소비자들의 온라인/오프라인 동선을 파악하어 그곳 에 펀딩 관련 마케팅 메시지를 노출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 청소년의 일차적 분노사고와 이차적 분노사고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에 대한 연구 현황 및 향후 방향 제시

        구지은,송현주 서울여자대학교 2010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0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분노사고와 정서조절전략에 관한 연구들을 전반적으로 고찰하였다. 분노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빈번히 경험하는 부정적인 정서이며, 일상생활 속의 사건에 대한 자연스러운 반응으로 정서적 문제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서수균, 2004). 분노 경험은 정서적, 생리적, 인지적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세 가지 요인들은 거의 동시에 경험된다(Deffenbacher & McKay, 2000). 이 중에서도 특히 인지적 요인은 분노 경험을 일으키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여러 분노 이론들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Beck, 2000; Berkowitz, 1990; Deffenbacher & McKay, 2000; Lazarus, 1991). 아동기 후반과 청소년기에는 자기비난, 죄책감, 자기비하, 무가치함 등 인지적 측면이 두드러지는데(김은정, 오경자, 1992), 이러한 요인들은 인지의 작용으로 비합리적인 개인의 신념이나 개인이 가지고 있는 인지왜곡으로 인해 개인의 행동표출에 다양한 방법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이은주, 2007). 최근 심리치료 영역에서는 인지적, 행동적 접근의 커다란 두 가지 접근 관점에 체험적 접근을 추가하여 정서적 정보처리의 역할을 강조하는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다(이지영, 권석만, 2006).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분노에 대한 인지적인 사고과정과 정서적인 정보처리 역할을 정확하게 고찰하며, 청소년의 공격행동과 비행, 부적응 등을 유발하는 분노에 대한 치료와 분노조절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 중재를 제시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the studies related with adolescent's anger thought and thei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ger is the most frequent negative emotion, and a natural response we experience in our daily life, which is also deeply related to emotional issues (Seo 2004). Emotional, physiological, and cognitive factors are the three factors that construct anger experience, and these three factors are experienced mostly simultaneously (Deffenbacher & McKay, 2000). In many theories, especially the cognitive factor was most considered as the major factor of the cause on anger experience (Beck, 2000; Berkowitz, 1990; Deffenbacher & McKay, 2000; Lazarus, 1991). The cognitive aspect during late childhood and adolescence, such as self-condemnation, guilt, self-degradation and worthlessness strikes remarkably (Kim and Oh, 1992), and these cognitive factors effect in many ways on individuals action, due to individuals illogical believes or their cognitive distortion (Lee, 2007). Recently, in the field of psychotherapy, experience approach is added into the main approach cognitive and behavioral to emphasize the role of emotional information process (Lee and Kwon, 2006).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make an accurate consideration about adolescent's cognitive thought process of anger and it's emo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also to provide efficient intervention of anger regulation and treatment on anger that provokes adolescents aggressive behavior and maladjustment,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further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