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마을 재생을 위한 정자쉼터 공간구조분석과 이용 후 평가 - 경산권, 김천권 정자쉼터를 대상으로 -

        구민아,엄붕훈,Koo, Min-Ah,Eom, Boong-Hoon 한국농촌계획학회 2017 농촌계획 Vol.23 No.4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 and POE of Jungja(pavilion) shelter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 14 Jungja shelter space at rural villages in Gyungbuk province, were investigated. An interview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otal 139 residents as POE. The use behavior and satisfaction for Jungja shelter space, were investigated.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mean of satisfactions,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nd discussions can be objective data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 In satisfaction level, 'Continuous use intention'(3.99), 'Well-suited approach'(3.87), and 'Helpful in resident living'(3.84) were shown to be high points of agreement in 5 point Likert type scale. But, the mean points were low as 2.01 in 'Surrounding landscape', 'Creation of green areas'(3.22), and 'Traffic safety'(3.22), respectively. Within use satisfaction, 5 factors were categorized, 'Use', 'Safety', 'Facility', 'Management' and 'Users'. By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variables of 'Continuous use', 'Convenient location', and 'Image improvement', were shown to be main affecting variables to overall satisfaction. Furthermore, in spatial structure analysis, 4 types were categorized with the aspect of landform, roads, and location in village. The levels of satisfaction were shown to be high in village type of semi-open, road type of circular, and location type of center/back. Conclusively, these findings could be utilized as basic data and useful tool of space-structural satisfaction analytic method, and for each stage of planning/design and remodeling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

      • KCI등재

        과학관련 신문기사 분석을 통한 과학적 소양인의 과학적 소양 발현 메커니즘

        구민아,박다혜,박종석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科學敎育硏究誌 Vol.45 No.1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scientific background is developed in order to raise the systematic strategy of scientific literate person's training, and provide the necessary foundation for the structure of future scientific literate person's training program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newspaper articles at the expert workshop of science education, discussed the true nature of scientific literate person, and derived the mechanism of manifesting scientific background. The derived mechanism was ranked in the order of understanding, empathy, execution, and sympathy. Using the presented stages and the parameters of stage transi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 educational program and train the actual scientific literate person through science education when it is applied to school sites. 이 연구는 과학적 소양인 양성의 체계적 전략 마련을 위해 과학적 소양이 어떻게 발현되는가를 확인하고 앞으로의 과학적 소양인 양성 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필요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과학교육 전문가 워크숍에서 신문기사를 분석하고 과학적 소양인의 참모습을 논의하여 과학적 소양 발현 메커니즘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메커니즘은 이해, 공감, 실행, 교감 순으로 위계적으로 나타났다. 제시된 각 단계와 단계 이행의 매개를 활용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 적용한다면 과학교육을 통해 실제적인 과학적 소양인을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스토리텔링 테마골목 이미지 및 만족도에 관한 이용 후 평가-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을 대상으로 -

        구민아,엄붕훈 한국조경학회 2018 韓國造景學會誌 Vol.46 No.5

        본 연구는 최근 도시재생사업으로 재개발, 계획되고 있는 가로 중 스토리텔링에 의한 테마골목인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을 대상으로 이용 후 평가를 이미지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시행하였다. 이는 새로운 장소성을 가진 공간으로 스토리텔링테마골목 중 낙후된 골목재생을 위해 우리나라 최초로 대중가수의 음악과 예술에 관한 주제로 스토리텔링 장소로써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계획, 관리에 필요한 자료가 되기 위해서이다. 이용자 200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문항과 이용행태, 동기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미지선호도와 만족도평가는 신뢰도분석, 평균치 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추출하였다. 또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그룹의 이미지와 만족도 차이를분산분석과 독립표본t-검정과 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 특성은 20대 학생이 가장 많았고, 이용 동기와활동유형은 산책과 구경, 사진촬영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미지평가 변수들은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평균치들은상징적인(5.03), 친근한(4.84), 아름다운(4.71), 밝은(4.63) 등의 순으로 높았다. 요인분석 결과, 거리의 분위기, 디자인성및 역동성 등의 3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상징적인(β=.314), 안정된(β=.248), 친근한(β=.204), 시원한(β=.142)과 같은 이미지 변수들에 의해 이미지 선호도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만족도평가 또한 매우 높은신뢰도를 가지며, 요인분석 결과, 시설관리측면, 체험 요인, 이미지 요인 3가지로 분류되었고, 시설물디자인(3.81), 대표거리(3.78), 거리이미지(3.81), 지속적 이용(3.66), 체험관광(3.53) 순으로 만족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거리이미지(β=.296), 관리(β=.277), 지속적 이용(β=.205), 대표거리(β=.183)에 관한 4개 변수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김광석다시그리길 스토리텔링 골목의 재생사업 이후, 골목의 이미지는 상징성과 경관미, 친근감 등에서 높은평가를 받으며 이미지 개선에 성공한 것으로 보이고, 만족도에 있어서는 시설물디자인의 개선, 대표거리로서의 상징성과이미지의 강화, 다양한 체험 등에서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추후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의 계획과 관리에서는 좀 더 스토리텔링을 통한 장소성을 확립하고, 그로 인해 골목의 정체성과 상징성 또한 높아질 수 있도록 해 나가야함을 말해 주는 결과로 사료된다. This study deals with post-occupancy evaluation (POE) of ‘Kim Gwang-seok Street’as storytelling road for urbanregeneration. The evaluation focused on image preference and use satisfaction of visitors. This is the initial project of popularsinger-storytelling street as a new attraction, and the result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ustainable planning andmanagement of storytelling streets. 200 respondents of visitor group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for demographics,use, behavior, reliability, and means, were evaluated.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image preference and use satisfaction. Responses showed high frequency of twenties in age, who were typically students. In use motives and activities, strolling, sightseeing, and taking pictures were shown to be the most common. The meanscores of image variables showed symbolic (5.03), familiar (4.84), beautiful (4.71), and bright (4.63), the highest. The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led to 3 factors being categorized; the mood of street, the design, and the dynamics. Due to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reference of space imag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4 imagevariables; symbolic (β=.314), stable (β=.248), friendly (β=.204), and fresh (β=.142). In the use satisfaction analysis, themean scores were highest concerning facility design (3.81), typical street (3.78), the image of street (3.81), continued use(3.66), and experiential tourism (3.53), respectively. The mean score of parking space (2.56) was the lowest. In factoranalysis concerning use satisfaction, 3 factors were categorized; facility management, experience, and image. By the result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total satisfaction of us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4 independent variables; imageof street (β=.296), management (β=.277), continued use (β=.205), and typical street (β=.183). As storytelling road forurban regeneration, ‘Kim Gwang-seok Street’ has shown considerable success in significant improvement of image preferenceand user satisfaction. Therefore, the enhancement of ‘placeness’ through storytelling of Kim Gwang-seok, and thestrengthening of its identity and symbolism, should be the basic focus of development for the street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대학 캠퍼스 공간구조 유형에 관한 연구

        구민아,김영대 한국조경학회 1999 韓國造景學會誌 Vol.26 No.4

        This study is about the pattern of spatial structures of major university campuses in Korea. The pattern is composed of buildings, circulation, and open space within the campus. It is physical structural system which makes campus more educational environment as well as new academic landscape. The pattern is checked on the basis of existing sub-patterns of eleven universities with base data by using computer program, Autocad and Landcadd. The result is that most of campus spatial structures consists of simple and unified grid pattern. Basic educational facilities are at the center of the whole structure as well. Some universities are located in suburb and have large site which makes it more open space oriented pattern, more various exterior space and more specific circulation system. So the campus patterns of recently built is more diverse and has more design components. In most cases, campus does not have strong spatial coherence among its buildings, circulation, and open space. It is important to develop Korean formal campus spatial structure which is intrinsic to its site and is proper to its academic plan. Campus spatial structure should be formulated to embrace diverse demands of university and to accumulate unique university landscape.

      • KCI등재

        아스팍영화제와 한국의 냉전 세계주의

        구민아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9 아시아문화연구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Cold War strategy through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Asian-Pacific Film Festival. The Asian-Pacific Film Festival is a non-competitiv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organized by Cultural and Social Center for the Asian Pacific Region, an affiliated organization of the Asian and Pacific Council,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free-world” Asian countries and to prevent the spread of communism in Asia. By holding the Asian-Pacific Film Festival, the Korean government pursue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Asian film industries and sought to build up a sense of cultural solidarity among member countries. The cultural policy of the United States had a great impact on the emergence of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s the venues reflecting the desire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ilms. The Asia Foundation, which implemented the cultural enrichment programs in Asia, encouraged Korea to participate in the Asian Film Festival in order to consolidate a network of anti-communist filmmakers. The Asian Film Festival became a venue for the Korean film industry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in various ways. The Asian Film Festival provided opportunities not only to open up the overseas market for Korean films, but also to boost the Korea’s national image. Furthermore, it was also a venue to stimulate the postcolonial resistance against Japanese cultural imperialism. This article will examine how the US cultural policy influenced the desire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ilms, and then explore the process in which the desire is realized as the Asian-Pacific Film Festival by national policy. By doing this, I would like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horizon of historical research on Korean international festivals. 이 글의 목적은 1969년에 막을 올린 아스팍영화제의 종합적인 연구를 통해 한국의 문화적 냉전 전략이 아스팍영화제를 통해 구현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데 있다. 아스팍영화제는 한국의 주도로 출범한 아스팍 사회문화센터가 아시아 자유 진영 국가의 결속을 강화하고 공산 세력을 영향력을 저지하기 위해 주최한 비경쟁 국제영화제이다. 한국 정부는 아스팍영화제를 통해 회원국의 문화적 우수성을 선전하여 아시아 영화의 국제화를 꾀하고, 각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 회원국 간의 문화적 연대감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냉전기에 국제영화제가 한국영화의 국제화에 대한 열망을 반영하는 장으로 부상하게 된 데에는 미국의 문화정책이 큰 영향을 끼쳤다. 아시아지역을 대상으로 문화 원조 사업을 시행한 아시아재단은 반공 영화제작자 네트워크 형성을 공고히 하기 위하여 한국이 아시아영화제에 참가하도록 독려하였다. 아시아영화제는 한국영화계가 국제영화제의 가능성을 다각도로 모색하는 장이 되었다. 아시아영화제는 한국영화의 해외시장 판로를 개척하기 위한 수단이 되었으며, 국가 이미지를 쇄신하기 위한 기회로 활용되었다. 또한, 일본의 문화적 영향력에 대한 탈식민지적 욕망을 자극하는 장이기도 하였다. 아스팍영화제를 주관하였던 아스팍과 사회문화센터의 설립과정을 살펴보면 아스팍영화제가 아시아영화제를 거치며 배태되었던 국제화에 대한 열망과 일본의 헤게모니에 대한 견제 의식, 해방 이후부터 한국 정부가 견지해온 반공 이데올로기가 결합하여 탄생한 냉전 세계주의의 산물임을 알 수 있다. 이 글은 냉전기의 미국의 문화정책이 한국영화의 국제화에 관한 관심과 열망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피고, 이러한 열망이 아스팍영화제를 통해 국가 정책적으로 실현되는 과정을 냉전의 맥락에서 검토하며, 한국의 국제영화제 역사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전후 미·일 관계와 원폭 영화 : 1950년대 초반 일본영화를 중심으로

        구민아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sharing and reproducing the memories of the atomic bomb with focusing on Japanese films produced in the 1950s. Whereas earlier studies had focused on either tracing back the pedigree of the atomic bomb films or reconfirming the Japanese victim consciousness which is already a fait accompli, this article will identify the social and historical origins of ‘atomic bombed nationalism’. Focusing on Japanese films and discourses on them, we can verify the process in which the experience of the atomic bombing had begun to converge into a single memory of the people. Immediately after the defeat, the memories of the atomic bomb was suppressed because of the censorship of GHQ(Supereme Commander of the Allied Powers/General Headquaters). In the atomic bomb film that appeared in the occupation period, survivors of the atomic bombings, who were called as hibakusha, are portrayed as benevolent and devoted victims pursuing human values. These kinds of characters reflected the intention of the US to conceal the conflicts and the disagreements between the US and Japan. After the US occupation ended, Japanese filmmakers were released from the restrictions and depicted the devastation caused by the atomic bomb more directly. Nevertheless, they didn’t specify the US, the subject who caused the damage. The absence of subject reflected the twist of postwar Japan which was in the contradictory position as a oppressor who colonized several asian countries and as a victim of the atomic bomb. 이 글의 목적은 1950년대의 일본영화를 중심으로 원폭의 기억이 공유되고 재생산되어가는 과정을 고찰하는 데에 있다. 기존의 연구가 원폭 영화의 계보를 연대기 순으로 정리하거나, 이미 기정사실화되어있는 일본인의 피해자 의식이 영화 속에서 어떻게 재현되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주안점을 둔 것에 반해, 이 글은 피폭의 경험이 집단의 단일한 기억으로 수렴되기 시작하는 50년대 전반에 등장한 일본영화를 대상으로 ‘피폭 내셔널리즘’의 사회적·역사적 근원을 추적한다. 패전 직후의 점령기에 원폭에 대한 기억은 점령군의 검열로 인해 억압되었다. 점령기에 등장한 원폭 영화에서 피폭자들은 인류애적 가치를 추구하는 자애로운 모습으로 그려지는데, 이러한 피폭자의 표상에는 미·일간의 갈등과 대립을 은폐하고자 했던 미국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다. 점령이 종결된 이후, 일본의 영화인들은 보다 직접적으로 원폭이 초래한 참상을 묘사하였으나, 피해를 초래한 주체인 미국은 명시하지 않았다. 이처럼주체가 부재하는 원폭의 표상에는 침략전쟁이라는 가해의 역사와 원폭이라는 피해의 역사 사이에서 갈등해 온 전후 일본의 비틀림이 담겨있다.

      • KCI등재

        경주지진피해로 본 국가지정문화재를 보유한 전통공간의 지형적 입지유형 분석

        구민아 한국전통조경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1

        본 연구는 2016년 9월 12일 발생한 경주지진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국가지정문화재를 보유한 전통공간 44곳을 대상으로 다각적인문화재 연구를 위해 지형적 입지정보 데이터화와 지형별 유형에 따른 피해 경향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지형의 유형은 위요형이가장 많이 추출되었으며, 위치형은 도시와 농촌과 같이 주변이 건물인 지역의 빈도가 더 많았다. 수문형은 산의 정상쪽을 제외하고는모두 강, 하천, 계곡, 호수, 바다를 끼고 입지하였으나 이 지역은 퇴적층 지역으로 위요형과 함께 지질학적인 면에서도 지진에 취약한곳으로 밝혀져 지진과 문화재 관리적 측면에서 참고하여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체 44개 중 26곳이 사찰이었으며, 평지형, 배경형, 위요형, 산지형, 정상형으로 갈수록 고도와 경사가 높아졌으며, 1-20% 경사지에 가장 많이 입지하였으며, 사면향은 남쪽을 끼고 있지않는 경우가 더 많았다. 진원지에서 10km 범위 내에 23%가 집중되어 있었으며, 거의 65km 범위 내에 있었으며, 배경형이 가장가까웠고, 진원지로부터 북동쪽과 남서쪽에 집중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지진피해를 조경문화재인 전통공간의 입장에서 다각도로분석한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전통공간 계획과 설계,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data and the damage trends according to the type of landform for the study of various cultural properties in 44 traditional places with national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damaged by the racing earthquake on September 12, 2016. The landform type was the most enclosed type, and the location type was more frequent in the surrounding area, such as urban and rural areas. The waterside type was located along rivers, rivers, valleys, lakes, and oceans except for the top of the mountain, but this area was found to be vulnerable to earthquakes, It is understood that it should be referred from cultural property managementthe side. 26 of the total 44 were temples. The elevation and slope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the flat type, the background type, the enclosed type, the mountain type, and the top type. Most often located on 1-20 % slopes, with the slope facing south more often than not. Within the 10 km range from the epicenter, 23% were concentrated, within the range of nearly 65 km, the background type was closest, and was concentrated in the northeast and southwest from the epicenter.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analyze earthquake damage in various aspects from the viewpoint of traditional space which is a landscaping cultural property and it will be used for planning, designing and managing traditional spaces.

      • KCI우수등재

        도시 경관색채의 시퀀스 분석기법과 공간 개방도에 따른 도시색채 특성연구 - 대구광역시 지상철 조망을 중심으로 -

        구민아,Koo, Min-Ah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6

        본 연구는 경관의 색채를 시간의 개념을 포함하는 연속적 지각의 시퀀스로 보고, 그 흐름과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기법과 그것을 활용하여 개방성에 따른 도시색채 변화경향을 연구한 것이다. 이는 매우 경험자의 체험에 근접한 리듬으로 대구시 도시철도 3호선인 모노레일 속에서 바라다보는 도시의 색채 시퀀스를 좌우 양쪽에서 동영상을 촬영하여 2초 간격의 프레임에서 대표색 데이터와 시각량을 산출하여 색상, 명도, 채도, 고채도 분포로 시퀀스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법들을 도출하였다. 공간의 개방성, 밝기 정도, 선명도 정도, 고채도 분포와 코드, 시각량의 우위, 지배적 노출인자, 한난색의 이미지, 각 세분별 시퀀스 리듬의 다이나믹 정도를 비교 분석할 수 있는 기법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시퀀스 데이터 중 하늘의 시각량으로 공간 개방도를 결정하고, 개방도에 따른 도시 색채의 경향을 회귀분석하였다. 도시색채는 개방도가 높아질수록 명도는 낮아지고, 채도는 미세하게 증가하였으며, 한색계열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또한 린치의 공간 위요비례와도 매우 관계가 깊었으며, 도시 색채변화경향을 실제 경관을 통해 더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This study, views the color of scenery not as a static state, but rather as a continuous sequence of perceptions that incorporates the concept of time. This study derived technique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flow and data from this sequence. By utilizing this, urban color trends can be based on openness. This is very close to what would be experienced by an actual viewer: it extracted color data and visual amount from frames at 2-second intervals by shooting a video of the color sequence of the city as seen from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from the inside of the monorail (line 3 of the Daegu urban railway). These images were classified by color group, brightness, chroma, high chroma distribution derived techniques such as openness of space, brightness level, clarity level, high-chroma distribution and code, advantage of visual amount, dominant factor exposure, hot and cold color image and dynamic of sequence rhythm. During the derived sequence, the data determines the openness in the visual amount of sky and it was found that the tendency of the colors of the city was opening regression analysis. The more colorful the city is opening the brightness is lowered, the chroma increased slightly, cold colors significantly increased, which also had a very deep relationship with Lynch enclosed proportion, color change of the city trends through the actual scenery could grasp in more detail.

      • KCI우수등재

        도시근린공원 미세먼지(PM)저감과 공간차폐율과의 관계 -대구광역시 수성구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구민아 한국조경학회 2019 韓國造景學會誌 Vol.4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uch particulate matter at the center of the urban park is reduced compared to the entrance of the park, where the particulate matter problem is serious. It also endeavor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closure rate and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rate in the center of the park throug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experimental data. Seven flat land type urban neighborhood parks in Suseong-gu, Daegu were measured at the same place for three day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enter of the urban neighborhood park had an average temperature 1.05°C lower than at the entrance and an average humidity of 2.57% higher. Second, the rate of fine dust reduction was PM1- 17.09%, PM2.5- 17.65%, PM10- 14.99%. As for the reduction rate of particulate matter, the smaller the size of the park, the greater the reduction rate. In addition, the reduction rate at the center of the park was lower on days when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based on the weather reports was low.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at the park entrance, the higher the reduction rate was. Third, a higher the rate of space closures at the center of the park resulted in a higher effect of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Noting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and the space closure rate in urban neighborhood parks was clearly shown. We hope to be the basis for more extensive experimental data collection. 본 연구는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한 도심에서 도시근린공원의 중심이 입구에 비해 어느 정도 저감된 공간인지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공원중앙의 공간 차폐율과 미세먼지 저감율과의 상관관계를 실험을 통해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대구시 수성구 평지형 도시근린공원 7개를 대상으로 3일동안 같은 장소에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도시근린공원 중심은 입구보다 온도는 평균 1.05℃ 낮고, 습도는 평균 2.57% 높았다. 둘째, 미세먼지 감소율은 PM1 17.09%, PM2.5 17.65%, PM10 14.99%의 저감율로 초미세먼지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공원의 규모가 작을수록 저감효과가 더 높았다. 또한 기상청발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날일수록 공원중앙에서의 저감율은 낮았으며, 공원입구의 농도가 높을수록 저감율은 높았다. 셋째, 공원중심에서 공간차폐율이 높을수록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도시근린공원의 미세먼지 저감정도와 공간 차폐율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더 확대된 실험데이터들의 기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경관의 시각량 산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통한 연속경관 시퀀스 분석기법 연구

        구민아,Koo, Min-Ah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5

        본 연구는 경관을 시간의 개념을 포함한 연속적 시퀀스로 분석하기 위해 연속경관의 무수히 많은 프레임을 추출하여 각 프레임들이 가지고 있는 구성요소들의 시각량을 수치화하여 데이터화한 다음 시퀀스 리듬으로 산출하여 경관계획, 설계 시 필요한 정량적인 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경험자 시선흐름에 근접하도록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연속적 경로인 경관회랑에 따라 경관구역과 경관통제점에 컴퓨터 Motion 기법들을 각각 적용하였다. 동영상에서 일정간격으로 많은 프레임을 추출하여 각 프레임별 경관 구성요소들의 시각량을 연속적으로 산출하기 위해서 CRVP Koo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검증한 다음 대상지에 적용해 보았다. 적용결과, 각 경관의 구성요소별로 수치화된 정량적인 리듬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Photoshop에서 수작업한 결과와 오차도 매우 작았으며, 수작업의 단점을 극복할 수도 있었다. 도출된 시퀀스 리듬은 경관의 경험자 체험에 근접한 것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정량적인 분석기법 도출이 가능하였으며, 경관계획이나 설계를 위한 정량적인 데이터와 분석기법으로 활용 가능하였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facilitate analysis in a continuous sequence, including the concept of the landscape experience time, countless frames of a continuous landscape were extracted. The amount of visual elements in each frame was data-converted numerically to take advantage of the quantitative data necessary for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was calculated in the rhythm of the sequence. In Order to shoot video with the flow of the line of sight of experience in landscape districts and landscape control points along the landscape corridor which is a continuous path, each of the corresponding computer motion techniques. This study developed a CRVP Koo computer program to effectively calculate the continuous visual number of specific landscape components by extracting uncounted frames at regular intervals, and after verifying, attempting to apply this to the target site. Through the applied result, it was possible to extract the digitized quantitative rhythm for each component of each landscape, the margin of error is very small whe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manual in photoshop, it was able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the manual. Using the rhythm of the derived sequence, and those close to the experience of the landscape, it was possible to achieve quantitative analysis derived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as well as was possible to be used as quantitative basis data and analysis technique for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