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구 사회에 소개된 〈황조가〉의 양상 고찰

        강혜정(Kang, Hye-Jung)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4

        This paper focuses on introducing three different English translations of “Yellow Birds Song” which was published in the early 20th Century. It compares three different translations, explains the differences of the background stories fromthe original content, and discusses the translators’ ideologies in translation and the purpose of Korean poem translations. The three translators are James S. Gale, a Canadian missionary, Joan S. Grigsby, a Scot poet, and Younghill Kang, Korean-American novelist. They translated the poemof “Yellow Birds Song” which was written in 17 BC by King Yuri of Koguryo, and they cited the translated poeminto the book ofHistory of the Korean People(1928, a book of history),The Orchid Door(1935, a book of poetry), andThe Grass Roof(1931, novel) respectively. They each used the same poembut written in different languages. These different original poems influenced their translations. Gale used the poemwritten in Chinese, Grigsby used the English translation by Gale, and Kang used the Korean song. Gale’s translation is similar to Chinese poem. Grigsby’s translation is free style because she couldn’t understand the original content and tried to adjust to the western style. Kang’s translation is close to the original Korean song. These three translations are different because of their different ideologies in translation. First, Gale put an importance in Korean literature and understanding ofWestern readers. Thus, he tried to be faithful to the original and at the same time, compose his translation as an English poem. Second, Grigsby didn’t even try to translate close to original content, because she felt that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was not important in translation. She thought literal translation of Korean poems couldn’t appeal to average western readers. Third, Kang did his best to be faithful to the original Korean song because he thought Korean songs had ardent sense. These translators translated the background story of the book of SamKookSaKi(三國史記) differently because they have different purpose of Korean poem translations. First, Gale tried to provide the story in detail, and added his opinions as a missionary and historian because he wanted to introduce Korea as a country with a long history and rich literature. Second, Grigsy summarized the story very succinctly because she focused on the ancient beauty of Korean poems rather than the long history, Third, Kang changed whole story in his novel because he tried to show the harsh reality of those days when it was under the Japanese control. His translation of Korean song expresses their pride and deep grief over the country lost.

      • KCI등재
      • BIM과 GIS 연계를 위한 실내 세밀도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실내 시설물 관리 중심으로

        강혜정,황정래,홍창희,Kang, Hye Young,Hwang, Jung Rae,Hong, Chang Hee 한국공간정보학회 2013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1 No.5

        In recent year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interests in indoor space, various researches are being carried out for the construction and services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BIM data is very useful to build indoor spatial information. Accordingly, many studies for the use of BIM data on GIS part are in progress.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BIM data on GIS part, the conversion technology for building indoor data and visualization techniques are required.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are focused on the conversion technology to construct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importing BIM data into GIS applications while there is few research on visualization. In this study, an indoor LOD(Level of Detail) model is proposed to apply to on indoor facility management system when indoor data was constructed based on BIM data for the linkage between BIM and GIS. 최근 국내외적으로 실내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내공간정보 구축 및 서비스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내공간 정보를 구축함에 있어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자료는 매우 유용하다. 이에, BIM 자료를 GIS에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BIM 자료를 GIS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실내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변환기술과 자료 가시화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기존 연구들이 대부분 실내공간 정보 구축을 위한 변환에 집중되어 있으며, BIM을 기반으로 구축된 공간정보들의 가시화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과 GIS 연계를 위하여 BIM 자료기반으로 실내 공간 자료를 구축했을 때, 실내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실내공간 세밀도(LOD:Level of Detail) 모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여성농업인의 농업경영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강혜정 ( Hye Jung Kang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3 여성경제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배우자와 부인 모두 전업농인 농가에서 여성농업인의 농업경영 의사결정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2단계 추정법을 적용하여 분석한다. 전반적인 의사결정 항목에서 여성농업인의 참여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농가자산 및 재무 관련 의사결정에서 여성농업인의 참여도는 상대적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여성농업인의 영농경력이 많을수록 농업경영 의사결정 참여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의사결정 참여도는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여성농업인 본인 명의 소유농지 비중이 높을수록, 농업교육횟수가 증가할수록, 참여하고 있는 농업관련 조직수가 많을수록, 지역사회 활동 단체수가 많을수록, 여성 전업농의 농업경영 의사결정 참여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relating to farm management of full-time women farmers. The ordered probit model is applied. The empirical evidence suggests that the participation level of in decision making increases, as women farmers gain more farming experience. The more the number of family, the lower participation level of women farmers in decision making. As the share of farmland owned by women farmers is larger, women farmers take a more active part in decision making relating to farm management. Lastly, as women farmers attend more agricultural education programs, agricultural organizations, community groups, they take a more active part in decision making relating to farm management.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여성결혼이민자의 노동공급 결정요인 분석

        강혜정 ( Hye Jung Kang ),이규용 ( Kyu Yong Lee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2 여성경제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집합적 가구 노동공급 모형을 적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노동시장 참여여부와 시장노동 공급시간의 결정 요인을 동시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허들모형을 이용하여 시장노동 참여 여부 및 시장노동시간을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모형 추정 시가사노동시간 변수의 내생성(endogeneity)을 해결하기 위해 2단계 추정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이 많을수록 여성결혼이민자의 시장노동 참여 확률은 감소하지만 일단 시장노동에 참여하면 연령이 높을수록 노동시간이 증가한 후 시간이 지나면 점차 감소한다. 둘째, 남편 소득이 많은 가구일수록 여성결혼이민자의 시장노동 참여 확률이 낮아 여성의 취업은 가구의 보완소득원로서 작용하고 있다. 셋째, 한국어 능력과 취업교육 참여 경험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시장노동 참여 확률과 양(+)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넷째, 부인 취업에 대해 남편이 부정적일수록 여성결혼이민자의 시장노동 참여 확률 및 시장노동시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 촉진을 위해서는 남편의 지원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끝으로 도시거주자 보다 농촌 거주자일수록 취업 및 창업 관련 비용이 더 많이 소요되고 취업 확률도 상대적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work decisions and working hours of married immigrant female in the context of an intrahoushold decision process, in which the husband plays a role in his wife`s decision on labor supply, using a national survey data. This study employs a hurdle model,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Tobit model, which allow simultaneous estimation of the models determining participation decision and working hours. A two-step estimation procedure has been invented and used to resolve the endogeneity problems between housework hours and working hours. The results demonstrate work participation and working hours are negatively related with a negative attitude of husband. Also, the probability of work participation decreased as husband`s income is higher. The probability of work participation is positively related with employment capability, implying job placement education and acquirement of nationality would lower employment barriers. The othe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family size also play important roles in participation decisions and working hours of immigrant female.

      • KCI등재

        기획논문 : 기혼 여성농업인의 농외노동시간 결정 요인 분석

        강혜정 ( Hye Jung Kang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1 여성경제연구 Vol.8 No.2

        이 연구는 배우자의 농외소득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여성농업인의 농외노동시간 결정요인을 2단계 추정법을 적용하여 분석한다. 여성농업인의 생애주기, 배우자의 경제활동 행태, 농가 및 농업특성에 따라 여성농업인의 농외소득활동 참여 및 농외노동 투입시간은 다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여성농업인의 연령이 상대적으로 젊을수록 농외소득활동 참여는 증가하고, 영농경력이 적을수록 농외노동시간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 겸업농에서 미취학 자녀수가 많을수록 여성의 농외소득활동 참여는 감소하며, 농외소득활동에 참여하더라도 농외노동시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학 자녀수가 많을수록 여성농업인의 농외노동시간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지면적이 많을수록, 노동집약적인 영농형태를 가진 농가일수록, 여성농업인의 농외소득활동 참여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부가 모두 겸업활동을 하는 경우, 특별시 및 광역시에 비해 다른 지역의 여성농업인은 농외노동시간을 덜 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off-farm activities of women farmers. The two stage estimation method is appli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determination of their participation of off-farm activity and off-farm labor hours as well. The empirical evidence suggests that the participation rate of off-farm labor increases, as women farmers get younger. The women farmer with more farming experience spend much time in their off-farm activity. The more school-age children, the shorter off-farm labor time of women farmers in case of couple working together in off-farm activity. As the cultivated land is larger and the farm type is labor-intensive, off-farm labor time is longer. Lastly, women farmers in urban area are more spend off-farm labor time rather than those of rural area.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만횡청류의 형성 기반과 여항가요와의 친연성에 대한 고찰

        강혜정 ( Hye Jung Kang ) 민족어문학회 2010 어문논집 Vol.- No.62

        이 글은 만횡청류의 형성 기반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17세기 이전에 창작된 사설시조와 만횡청류의 관계를 살폈다. 사설시조의 사대부 창작 향유설의 중요한 논거가 되고 있는 조선 전기 사설시조는 5명의 사대부에 의해 14수의 작품이 창작되어 전하지만 이 중 만횡청류로 유입된 것은 단 한 수 뿐이었다. 즉 조선 전기 사설시조가 만횡청류의 형성 기반이 되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다음, 음악적인 면에서 만횡과 만횡청류의 관계를 살폈는데 악곡 만횡을 기반으로 만횡청류가 형성되었다기 보다는 만횡청류가 만횡의 기반이 되었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였다. 그리고 『청구영언』(진본) 의 기록을 통해 볼 때, 김천택을 비롯한 당대인들은 일관되게 가집 내에 명공석사가 지은 것과 여항가요라는 두 부류의 작품군이 있다고 하였다. 작품의 성격상 전자는 평시조를, 후자는, 만횡청류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았다. 즉 만횡청류는 그 형성 기반을 여항가요에 두고 있다는 것이다 여항가요를 여항인의 노래라고 할 때 여항인은 중인층을 포함하여 그 아래 계층까지 포괄하는 것으로 보았으며, 여항가요는 일반 민요와 달리 도시를 배경으로 하는 도시적 시정의 정서를 담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This paper is aimed at finding the origin of Manhoeingchungryu.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 between Manhoeingchungryu and Sasulsijo which was created in early Chosun Dynasty was examined. Although there were fourteen works of early Chosun Sasulsijo written by the gentry, only one was flown into of Manhoeingchungryu. In fact, it is farfetched to say that Manhoeingchungryu was originated from early Chosun`s Sasulsijo. Next, the relation between Manhoeing and Manhoeingchungryu was reviewed from musical standpoint.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o say music-tune Manhoeing was derived from Manhoeingchungryu rather than Manhoeingchungryu was originated from Manhoeing. In addition, Kim Chuntaek states that there are two types of works in 『Chungguyoungeun』; the works by MyunggongSeoksa (the renowned nobility) and Yeohangsongs. And the works by nobility were designated regular Sijo, and the works by Yeohang-people were called Manhoeingchungryu,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a valid view that Manhhoeingchungryu was originated from the works by Yeohang-songs. In this study, Yeohang-people includes the lower class as well as the middle class, and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Yeohang-songs have urban setting and contain urban atmosphere unlike general folk songs.

      • KCI등재

        과학 계산 응용 실행을 위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에서의 SLA기반 VM 오토-스케일링 기법

        강혜정(Hyejeong Kang),고정인(Jung In Koh),김윤희(Yoonhee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40 No.6

        클라우드 컴퓨팅은 동적인 자원 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계산 과학 응용 수행에 활발히 이용되어 왔다. 계산 과학 분야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이용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이슈 중 하나는 응용 수행에 실제 필요한 양만큼 자원을 할당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실제 필요한 양만큼의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자원 사용비용을 줄이기 위함이다. 그러나 가변적인 작업 부하를 갖는 현대 응용의 특성상 이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기존 상용 클라우드들은 규칙 기반의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동적인 자원할당을 시도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기법들은 단순히 자원의 성능 지표만을 기준으로 삼음으로써 응용의 Service Level Agreement(SLA; e.g. 데드라인, 비용 등)는 고려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사설/상용 클라우드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변적인 자원 요구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고 SLA 위반을 최소화하는 오토-스케일링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주어진 데드라인 내에서 동적인 자원 활용을 통해 작업을 수행하는 결과를 보임으로써 제안하는 오토-스케일링 기법의 우수성을 검증한다. Cloud computing facilitates on-demand resource usage. Scientists can perform large-scale scientific computational experiments over cloud environment. Executing experiments in a timely manner with the proper number of resources is important for the scientists. Scientists can save the cost by using resources actually needed. However, providing resources for processing dynamic workload of modern applications have difficulty. Rule-based and schedule-based mechanisms have been tried to allocate resources dynamically, but most of the auto-scaling methods just simply support performance metric such as CPU utilization but rarely are aware of Service Level Agreements (SLA) including execution deadline or cos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scaling method that automatically allocates resources depending on variable resource requirements in hybrid clouds satisfying a user’s requirements on SLA. We hav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our auto-scaling method. The result shows that the method can perform a scientific application with the proper number of resources in deadline constra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