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극한홍수 대응을 위한 횡적 하천공간의 홍수위 저감효과 분석

        강형식,김성은,홍현정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1 No.6

        In this study, the water surface elevation reduction via securing lateral river space were investigated for extreme 500 year frequency flood in the Nakdong river basin. Also, the GIS analysis on the Nakdong river space was carried out. The HEC-RAS model was used to calculate the water surface elevation in the Nakdong river and its tributary rivers before and after Nakdong river project. For the model verification, the water surface elevation was simulated and compared with measured data at 6 water surface monitoring points of the flood season in 2007. Through the GIS analysis, the change of land use, low land and inundated regions between 1975 and 2007 were also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reduction of water surface elevation was analyzed based on washlands in literature and farmland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computed water surface elevation was decreased by maximum 0.65 m due to storage and detention of floodwater. When there were no washlands in the Nakdong basin, the dangerous sections where freeboard is below 1 m was about 2%. However, when the lateral river space was secured, the dangerous sections are only below 0.4%. 본 연구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하천변 공간에 대한 GIS 분석과 500년 빈도의 극한홍수 발생시 저류지 등의 횡적 공간확보에 따른 홍수위 저감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홍수위 분석을 위해 HEC-RAS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낙동강 본류와 지류에대한 사업전과 후에 대한 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의 검증을 위해 2007년도 홍수기 때의 홍수위를 모의하고, 낙동강본류 6개 지점에서의 실측 홍수위와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한편, 낙동강 유역에서의 GIS 분석을 통해 1975년도와 2007년도의토지이용 변화와 저지대, 침수실적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기존에 제시된 강변저류지와 본 연구에서 선정된 농경지 저류지를대상으로 극한홍수에 대한 수위저감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기존에 제시된 강변저류지와 낙동강 각 지류의 농경지를 대상으로 선정된 저류지 확보에 의해 최대 약 0.65 m의 수위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저류지가 없는 경우여유고 1 m 이내의 고위험 지역이 전체의 약 2%를 차지하였으나, 저류지 확보에 의해 0.4% 미만으로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분석되었다.

      • KCI우수등재

        하천사업에 대한 일반인 및 공무원 인식차이 조사에 관한 연구

        강형식,김민선,조성철,Kang, Hyeongsik,Kim, Minseon,Cho, Sungchul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4

        This study aims to analyze civil society consciousness to river projects,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resident participation, and suggest development directions for river policy.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200 local residents and 100 public officials living and working in the river project areas. The result demonstrates the necessity of formulating river policy in a way that recognizes voices of various policy stakeholders, strengthens partnership among resident groups, and promotes a trend shift in river restoration to reflect residents' consciousness.

      • KCI등재

        극한홍수 저감을 위한 농경지의 저류지화 방안 연구

        강형식,조성윤,송영일 한국수자원학회 201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4 No.10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홍수 저감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농경지의 저류지화를 통한 홍수저감 방안에 대한 정책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하천의 횡적 공간을 확보하여 저류지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실효성 검증을 위해 낙동강구미 상류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극한홍수에 대한 홍수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홍수저감효과분석에는 LISFLOOD 모델이 사용되었으며 과거 침수이력이 있는 농경지를 저류지로 활용 하였을 경우 500년 빈도 홍수 발생 시 최대 약 0 Extreme water events such as heavy rainfalls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are continually increasing and their scale has also shown an increasing trend. To overcome these natural disasters, this policy study suggests securing lateral river space as an eff

      • KCI우수등재

        기후변화를 고려한 생태하천 복원 및 관리방향에 관한 연구

        강형식,Kang, Hyeongsik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물리, 화학, 생물학적의 복합적인 평가요소를 이용하여 수생태 관련 기후변화 취약구간을 선정하였다. 먼저 SWAT 모형을 이용하여 A1B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각 소유역별로 유출량, 유사량, 갈수량 변화를 모의하였다. 또한 환경부의 수질 측정망과 수생태 건강성 측정 지점이 서로 일치하는 48개 지점을 대상으로, BOD 및 TP 등의 수질 데이터와 IBI, KSI의 수생물 데이터를 평가에 반영하였다. 한편, 미래 기온 상승에 따른 낙동강 유역 하천에서의 수온 상승 폭을 예측하였고, 이로 인한 수생물 서식처 영향을 분석하여 평가에 반영하였다. 각 평가요소를 종합하여 가장 취약한 상위 10개 지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하천 생태복원을 위한 취약구간 평가 및 종합적인 평가 결과를 토대로 각 하천 특성에 맞는 하천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식생된 개수로 흐름에서의 난류의 비등방성

        강형식,최성욱 한국수자원학회 200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8 No.10

        본 논문은 식생된 개수로 흐름에서 난류의 비등방성이 평균유속 및 난류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수치모의 연구이다. 비등방성 난류모형인 레이놀즈응력모형을 이용하여 식생이 없는 일반 개수로 흐름과 침수 및 정수식생된 개수로 흐름에서의 평균유속 및 난류구조를 수치모의하였다. 수치모의 결과를 기존의 실험결과 및 k- 모형과 응력대수식모형에 의한 계산 결과와 비교하였다. 식생이 없는 일반 개수로 흐름과 정수식생된 개수로 흐름에서의 평균유속과 레이놀즈응력

      • KCI등재

        식생된 개수로에서 난류 구조와 부유사 이동 현상의 수치해석

        강형식,최성욱 한국수자원학회 2000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3 No.5

        본 연구에서는 식생된 개수로에서의 난류 구조와 부유사 이동을 수치모의하였다. 난류폐합식으로는 난류모형을 사용하였다. 수치모의를 통해 평균유속, 난류강도, 레이놀즈 응력, 난류에너지 생성 및 소멸의 분포를 계산하였으며, 기존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식생에 의한 항력으로 인하여 평균유속이 전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이에 따라 난류강도와 레이놀즈 응력의 분포 역시 약화되었다. 침수식생의 경우, 식생높이보다 높은 구간에서는 전단에 의한 난류에너지 생성이 지배 Turbulence structure and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capacity in vegetated open-channel flows are investigated numerically in the present paper. The model is employed for the turbulence closure. Mean velocity and turbulence characteristics including tur

      • KCI등재

        유역 모형과 하천 모형의 연계를 통한 낙동강 본류 흐름 예측

        강형식,장재호,안종호,김익재 한국수자원학회 201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4 No.7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하천 흐름 연계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 흐름 및 수질 영향 분석을 위한 전단계의 연구이다.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 수문 모형인 SWAT 모형을 구축하고 낙동강 본류 EFDC 모형에 유량 경계자료를 제공하여 본류 흐름을 예측하였다. 유역 모의를 통해 계산된 유출량을 본류 13개, 지류 30개 지점에서 2004년부터 2009년까지의 환경부8일 자료를 이용하여 검보정하였다. 모형의 In this study, the watershed and water body models were linked for the simulation of the Nakding river flow. This is a pre-step study for the estimation of the effect of the flow and water quality on the climate change. For models of watershed and river f

      • KCI등재

        기후변화에 따른 낙동강 수계 어류 서식처 영향 분석

        강형식,박민영,장재호,Kang, Hyeongsik,Park, Min-Young,Jang, Jae-Ho 한국수자원학회 201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6 No.1

        In this study, the potential effects of increased water temperature on fish habitat were analysed in the streams of Nakdong River watershed. The changes in suitable habitats for each fish species and in species number at a habitat site were predicted, based on the maximum thermal tolerances of 22 fish species. The estimated maximum thermal tolerance ranged between $27.7^{\circ}C$ and $33.1^{\circ}C$. Then, the increase of water temperature in 78-sites of Nakdong River watershed by 2100 was predicted by using the estimated air temperature data by 2100 in the literature and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air-temperature and water-temperature at each sites. The water temperature was estimated to have increased by $0.69^{\circ}C$, $1.76^{\circ}C$, and $2.32^{\circ}C$ in 2011~2040 (period S1), 2041~2070 (S2), and 2071~2100 (S3), respectively. With such increases in water temperature, the averaged suitable habitats for all 22 fish species would be influenced by 21.9%, 36.3%, and 51.4% in periods S1, S2, and S3,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