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an Short-Term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ombined With Visual Biofeedback Training Improve Hemiplegic Upper Limb Function of Subacute Stroke Patients?

        석현,이승열,김지훈,여중호,강형동 대한재활의학회 2016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40 No.6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synergic effects of short-term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 and visual biofeedback training (VBT) in subacute stroke patients.Methods Thirty-two subacute stroke patients were enrolled and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short-term CIMT with VBT, VBT only, and control groups. We applied CIMT for an hour daily during VBT instead of the ordinary restraint time, referred to as ‘short-term’ CIMT. Short-term CIMT with VBT group received simultaneous VBT with CIMT, whereas the VBT the only group received VBT without CIMT for an hour a day for 2 weeks. The control group received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OT) alone. Patients underwent the Purdue Pegboard Test, the JAMAR grip strength test, the Wolf Motor Function Test, the Fugl-Meyer Assessment (upper extremity), Motricity index and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test to evaluate motor functions of the hemiplegic upper limb at baseline, post-treatment, and 2 weeks after treatment.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short-term CIMT with VBT and VBT only group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WMFT and FMA tests. However, the short-term CIMT with VB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p<0.05)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both grasp and pad pinch at post-treatment and 2 weeks after treatment while the VBT only group did not.Conclusion Short-term CIMT with VBT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of hemiplegic upper limb function of subacute stroke patients, compared to VBT only group. Larger sample sizes and different restraint times would be needed to clarify the effect.

      • KCI등재

        Optimal Radial Motor Nerve Conduction Study Using Ultrasound in Healthy Adults

        여중호,김윤태,김수아,오기영,강형동 대한재활의학회 2017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41 No.2

        Objective To obtain reference values, to suggest optimal recording and stimulation site for radial motor nerve conduction study (RmNCS),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RmNCS parameters, demographics and ultrasonography (US) findings.Methods A total of 55 volunte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lateral edge of spiral groove (A)’ was the optimal stimulation site, and the ‘largest cross-sectional area (CSA) of extensor indicis proprius (EIP) muscle (B)’ was the optimal recording site. The surface distance between ‘A’ and the lateral epicondyle of the humerus divided by upper arm length, was named the spiral groove ratio. The surface distance between ‘B’ and the ulnar styloid process divided by forearm length, was named the EIP ratio. Using US, we identified these sites, and further conducted RmNCS.Results Data was collected from 100 arms of the 55 volunteers. Mean amplitude and latency were 5.7±1.1 mV and 5.7±0.5 ms, respectively, at the spiral groove, and velocity between elbow and spiral groove was 73.7±7.0 m/s. RmNCS parameter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height, weight, arm length, and CSA of the EIP muscle. Spiral groove ratio and EIP ratio were 0.338±0.03 and 0.201±0.03, respectively; both values were almost the same, regardless of age, sex and handedness.Conclusion We established a reference value and standardized method of RmNCS using US. Optimal RmNCS can be conducted by placing the recording electrode 20% (about one-fifth) of forearm length from the ulnar styloid process, and stimulating at 34% (about one-third) of the humeral length from the lateral epicondyle.

      • KCI등재

        RIE 표면 텍스쳐링 모양에 따른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영향

        박인규,윤명수,현덕환,진법종,최종용,김정식,강형동,권기청,Park, In-Gyu,Yun, Myoung-Soo,Hyun, Deoc-Hwan,Jin, Beop-Jong,Choi, Jong-Yong,Kim, Joung-Sik,Kang, Hyoung-Dong,Kwon, Gi-Chung 한국진공학회 2010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9 No.4

        다결정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대면적 reactive ion etching (RIE) 장비로 표면 텍스쳐를 형성한 뒤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웨이퍼 표면에 텍스쳐를 형성하는 것은 광학적 손실을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alkaline etching이 사용된다. 그러나 다결정 실리콘 태양전지의 경우 재료의 결정 방향에 따라 식각되는 alkaline etching은 텍스쳐링의 모양을 제어할 수 없어 효과적이지 못하다. 이와 달리 플라즈마 식각방법을 사용하면 표면 텍스쳐의 모양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조금 더 낮은 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텍스쳐 모양 조절로 얻은 낮은 반사율이 항상 높은 변환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대면적 RIE 공정 조건별로 얻은 태양전지 표면 텍스쳐의 모양에 따라 각각의 반사율과 양자효율 및 변환효율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We fabricated a plasma texturing for multi-crystalline silicon cells using reactive ion etching (RIE). Multi-crystalline Si cells have not benefited from the cost-effective wet-chemical texturing processes that reduce front surface reflectance on single-crystal wafers. Elimination of plasma damage has been achieved while keeping front reflectance to extremely low levels. We will discuss reflectance, quantum efficiency and conversion efficiency for multi-crystalline Si solar cell by each RIE process conditions.

      • KCI등재

        공정가스와 RF 주파수에 따른 웨이퍼 표면 텍스쳐 처리 공정에서 저반사율에 관한 연구

        윤명수,현덕환,진법종,최종용,김정식,강형동,이준신,권기청,Yun, Myoung-Soo,Hyun, Deoc-Hwan,Jin, Beop-Jong,Choi, Jong-Young,Kim, Joung-Sik,Kang, Hyoung-Dong,Yi, Jun-Sin,Kwon, Gi-Chung 한국진공학회 2010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9 No.2

        Conventional surface texturing in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have been use wet texturing by Alkali or Acid solution. But conventional wet texturing has the serious issue of wafer breakage by large consumption of wafer in wet solution and can not obtain the reflectance below 10% in multi crystalline silicon. Therefore it is focusing on RIE texturing, one method of dry etching. We developed large scale plasma RIE (Reactive Ion Etching) equipment which can accommodate 144 wafers (125 mm) in tray in order to provide surface texturing on the silicon wafer surface. Reflectance was controllable from 3% to 20% in crystalline silicon depending on the texture shape and height. We have achieved excellent reflectance below 4% on the weighted average (300~1,100 nm) in multi crystalline silicon using plasma texturing with gas mixture ratio such as $SF_6$, $Cl_2$, and $O_2$. The texture shape and height on the silicon wafer surface have an effect on gas chemistry, etching time, RF frequency, and so on. Excellent conversion efficiency of 16.1% is obtained in multi crystalline silicon by RIE process. In order to know the influence of RF frequency with 2 MHz and 13.56 MHz, texturing shape and conversion efficiency are compared and discussed mutually using RIE technology. 일반적으로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에서 표면에 텍스쳐링(texturing)하는 것은 알칼리 또는 산성 같은 화학용액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리콘 부족으로 실리콘의 양의 감소로 인하여 웨이퍼 두께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에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습식 텍스쳐링 방법에서 화학용액에 의한 많은 양의 실리콘이 소모되고 있어 웨이퍼의 파손이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그리하여 습식 텍스쳐링 방법보다는 플라즈마로 텍스쳐링할 수 있는 건식 텍스쳐링 방법인 RIE (reactive ion etching) 기법이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습식 텍스쳐링으로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반사율을 10% 이하로는 낮출 수가 없다. 다결정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텍스쳐링을 하기 위하여 125 mm 웨이퍼 144개를 수용할 수 있는 대규모 플라즈마 RIE 장비를 개발하였다. 반사율을 4% 이하로 낮추기 위하여 공정가스는 $Cl_2$, $SF_6$, $O_2$를 기반으로 RIE 텍스쳐링을 하였고 텍스쳐링의 모양은 공정가스, 공정시간, RF 주파수 등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 RIE 공정을 통하여 16.1%의 변환효율을 얻었으며, RF 주파수가 텍스쳐링의 모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플라스틱 기판 위에 Ge 농도에 따른 a-Si:H/a-SiGe:H 이중 접합 구조의 특성 및 대면적 유연성 박막 태양전지 모듈 제작

        김용현,김인기,편승철,함창우,김성배,박원석,박창균,강형동,유천,강승호,김성원,원동영,최영,남주현 한국물리학회 2011 새물리 Vol.61 No.10

        Experimental results relating to the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a-SiGe:H layers and the light conversion efficiency of a-Si:H/a-SiGe:H tandem cells are presented. Tandem cells have been integrated on polyimide films by using large area (450×450cm²) DC sputtering,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and laser scribing. For all the a-SiGe:H films, their optical energy band gaps, photo conductivities, and crystalline structures are analyzed by using an UV/Visible spectrometer, a source measurement unit, and a Raman spectrometer,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light conversion performances are characterized by using a Sun simulator to measure the efficiency, Voc, Jsc, and FF of a-Si:H/a-SiGe:H tandem cells. The 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 test for the tandem cells has been performed. The results reveal better conversion performance, such as a higher initial efficienc of 8.7%in a small area (0.25 cm²) and 7.96% in a large area (504cm²). All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light conversion efficiency is satisfactory for applications to thin film solar cells, particularly flexible,foldable, portable solar cells. 본 연구에서는 플라스틱 기판 위에 3.5세대 (450×450cm²)급스퍼터, 금속유기 화학기상증착장치,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장치, 레이저가공장치를 이용하여a-Si:H/a-SiGe:H 이중접합을 갖는 태양전지를제작하였고, 광 변환효율 특성을 평가하였다. 전도도, 라만 분광 및UV/Visible 분광 분석을 통하여 박막의 전기적, 구조적, 광학적 물성을평가하여 단위박막의 물성을 최적화 했다. 또한 제작된 태양전지는 쏠라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고, 상/하부층의 전류정합을 위해 외부양자효율을 분석하였다. 제작된 접이식 이중접합태양전지는 소면적 (0.25cm²) 에서 광변환 효율 초기8.7%, 대면적(504cm²)에서 7.96%를 확보하였으며, 성능 향상을 위해 대면적패턴 가공 및 공정 기술 개선을 수행 중이다.

      • 플라스틱 기판 위에 a-Si:H/a-SiGe:H 이중 접합 구조를 갖는 박막 태양전지 제작

        김용현(Kim, Y.H.),김인기(Kim, I.K.),편승철(Pyun, S.C.),함창우(Ham, C.W.),김성배(Kim, S.B.),박원석(Park, W.S.),박창균(Park, C.K.),강형동(Kang, H.D.),유천(You, C.),강승호(Kang, S.H.),김성원(Kim, S.W.),원동영(Won, D.Y.),최영(Choi, Y.),남주현(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가볍고,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 박막(thin film)형 플랙서블 태양전지(flexible solar cell)는 상황에 따른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기존 혹은 신규 구조물의 지붕(rooftop)등에 설치가 용이하여, 차세대 성장 동력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플랙서블 태양전지는 제작시 열에 의한 기판의 변형, 기판 이송시 너울 현상, 대면적 패터닝(patterning) 기술 등 많은 어려움 등으로 웨이퍼나 글라스 기판에 제조된 태양전지 대비 낮은 광전환 효율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플랙서플 태양전지 성능개선을 위해 3.5세대급 (450{times}450cm²) 스퍼터(sputter), 금속유기 화학기상장치 (MOCVD), 플라즈마 화학기상장치 (PECVD), 레이저 가공장치 (Laser scriber)를 이용하여 a-Si:H/a-SiGe:H 이중접합(tandem)을 갖는 태양전지를 제작하였고, 광 변환효율 특성을 평가하였다. 전도도(conductivity), 라만(Raman)분광 및 UV/Visible 분광 분석을 통하여 박막의 전기적, 구조적, 광학적 물성을 평가하여 단위박막의 물성을 최적화 했다. 또한 제작된 태양전지는 쏠라 시뮬레이터 (Solar Simulator)를 이용하여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고, 상/하부층의 전류 정합 (current matching)을 위해 외부양자효율 (external quantum efficiency) 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작된 이중접합 접이식 태양전지로 소면적(0.25cm²)에서 8.7%, 대면적(360cm² 이상) 8.0% 이상의 효율을 확보하였으며, 성능 개선을 위해 대면적 패턴 기술 향상 및 공정 기술 개선을 수행 중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