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철학의 즉체즉용(卽體卽用) 논리와 철학적 의미

        강진석(姜眞碩)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8 철학과 문화 Vol.16 No.-

        체와 용은 둘이 아니어서 떨어질 수 없으며 한 몸을 이루어야 완성 된다는 이 논리는 매우 간결하고 압축적이다. 선종이 중국 불교의 특색을 가장 잘 보여준다면, 이 논리는 중국적 사유의 특색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다. 승조의 반야공 사상, 혜능의 무념 사상, 왕양명의 지행합일 사상, 웅십력의 주역 사상의 저변에 즉체즉용의 논리가 흐르고 있다. 즉체즉용의 논리를 통과하면서 반야공 사상은 체와 용이 지닌 장력(張力)의 장이 형성되었고, 무념의 사상은 체와 용이 한 몸을 이루어 힘을 발휘하게 되었고, 지행합일의 사상은 체와 용의 동시성과 상보성이 강조되었고, 주역의 세계는 체용의 구조를 통해 입체화 되었다. 즉체즉용은 가장 간결하고 압축적으로 철학의 원리를 재구성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국적이다. 중국철학이 지니는 실천의 강조와 즉체즉용의 논리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논리를 깨달아 이를 몸으로 체득하여 실천공부를 통해서 절대 경지에 올라야 하는 과정 속에서, 즉체즉용은 가장 간결하면서도 압축적인 길을 제시하였다. 간결할수록 힘은 더욱 집중되며 그 힘을 바탕으로 가장 농후한 철학적 실천이 발현된다. 即体即用表明体用不可离又不可分,此逻辑十分简易,但包含着深奥的意义。中国禅宗最为具有此特点,即具有中国人的思维方式。僧肇的般若思想,慧能的无念思想,王阳明的知行思想,熊十力的周易思想等都具备了即体即用的思维方式。般若思想通过即体即用产生了体与用的张力。无念思想通过即体即用产生了体一不二。知行思想通过即体即用产生了即体即用。周易思想通过即体即用产生了体用不二。即体即用不但具备了中国特色的逻辑方式,并且含有了实践的精神。体会即体即用的原理就必须把它体现于自身里。由此可说体用是逻辑又是工夫。最简易的逻辑就能发挥最强劲的力量,即是即体即用的工夫了。

      • KCI우수등재

        아동의 스트레스수준과 상담자의 상담양식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모의연구

        강진령(姜鎭靈),양철기(梁哲基) 한국교육학회 1997 敎育學硏究 Vol.35 No.1

        오늘 아동들은 갖가지 스트레스 상황에 처해 있으면서도 적절한 심리적 조력을 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장면에서 아동의 스트레스수준에 따른 상담자의 상담양식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260명의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지시적 상담사례와 비지시적 상담사례가 녹음된 모의상담사례 테이프를 듣게 한 후 결과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지시적인 상담방법에 다 만족스러워 했으며,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아동이 더 만족스러워 했다. 그러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아동인 경우 비지시적인 상담방법을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아동인 경우 지시적 상담에 더 만족스러워 했다. 본 연구는 특정학생을 대상으로 모의연구인 만큼 전체아동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겠으나, 아동을 상담할 경우 상담자는 아동의 스트레스수준을 고려하여 그에 적절한 상담양식을 사용한다면 더 좋은 상담결과를 거둘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중학생의 정서지능과 일상적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강진,조규판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etacogni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everyday creativity of middle-school students. 275 middle-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metacognition, social support and everyday creativity questionnaire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metacognition and social support. In the results,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metacognition, social support and everyday creativity. Metacognition and social support operated as a factor to mediate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everyday creativity. This means that metacognition and social support effec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on everyday crea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to improve metacognition,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at affect everyday creativity. 본 연구는 중학생의 정서지능과 일상적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생 275명을 대상으로 정서지능, 메타인지, 사회적 지지 및 일상적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메타인지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지능과 메타인지, 사회적 지지 및 일상적 창의성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정서지능과 일상적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와 사회적 지지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정서지능은 일상적 창의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메타인지와 사회적 지지를 부분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일상적 창의성 향상을 위해서는 정서지능과 메타인지, 사회적 지지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신체 및 표현활동 중심의 실외놀이를 통한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강진,심성경,류경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n infants' self-efficacy and social competence by devising and conducting outdoor activities centered in physical and expressive activities in infant education institut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56 infants aged 3, 4, and 5 of A Day Care Center and B Day Care Center located in J city, Chollabukdo. Those inf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28 infants of A Day Care Center) and the control group (28 infants of B Day Care Center). And those infants did outdoor activities focused on physical and expressive activities devised by the present researcher. To find out the effects of outdoor activities centered in physical and expressive activities on infants' self-efficacy, social competen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resurts of pre- and post-test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calculated, and t-test was us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tdoor activities centered in physical and expressive activities improved infants' self-efficacy, and their effects got bigger in order of infants aged 3, 4, and 5. Second, Outdoor activities centered in physical and expressive activities improved infants' social competence, and their effects got bigger in order of infants aged 4, 3, and 5.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신체 및 표현활동 중심의 실외놀이를 고안, 실시하여 유아의 자기 효능감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J시에 소재한 A어린이집과 B어린이집 만 3, 4, 5세 유아 56명이다. A어린이집 유아 28명을 실험집단, B어린이집 유아 28명을 통제집단으로 임의배정하여 연구자가 고안한 신체 및 표현활동 중심의 실외놀이를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신체 및 표현활동 중심의 실외놀이는 유아의 자기 효능감을 향상시켰으며 만 3, 4, 5세 순으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신체 및 표현활동 중심의 실외놀이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만 4, 3, 5세 순으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