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 발달에 따른 매체언어교육

        강은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0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2 No.-

        현대 기술공학의 발달은 아동의 삶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래서 교사와 학부모들은 다양한 매체가 아동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기울여 왔으며, 아동에게도 매체언어에 관해 가르쳐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정작 아동들의 매체언어능력은 어떻게 발달하는지에 대해 정리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3~7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매체언어 관련 연구들을 중심으로 아동의 제 발달과 매체언어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아동의 연령에 따른 매체언어교육의 내용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New technologies have influenced the lives of contemporary young children. Many teachers concerned about media effects and suggested that young children would be trained a media literacy in school. However, a few articles have covered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ecause we rarely don’t have no idea whether young children have capacities to learn the media literacy, or how young children’s media literacy is developed. This study aims to seek the direc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children. In order to this study, some articles related to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media literacy was analyzed and reorganized according to children’s age. Then this study suggested the content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based on children’s age and development.

      • KCI등재

        유아교사의 애니메이션 활용실태 및 인식 :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강은진,현은자 한국유아교육학회 2001 유아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애니메이션 활용, 유아교사의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대한 인식, 그리고 애니메이션 선정기준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부산·경남, 전북지역의 유아교사 4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다음,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살펴보았다. 설문지 조사 결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애니메이션을 일주일에 1-2번 정도 보여주었고, 대부분의 유아교육기관에서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보여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은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교육적으로도 바람직하다고 답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애니메이션 선정기준과 유아 교사를 위한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early childhood teachers' use of animation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their perception of animation, especially, Disney Animation, and their criteria for selecting animation. Subjects were 439 teachers in Seoul·Kyungki, Pusan, Kyungsangnamdo, and Chollabukdo areas, Korea.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searche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survey results were as following: 1) Regarding watching animation i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teachers showed to children 1∼2 times per week. 2) Regarding watching Disney Animation i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the majority of teachers showed Disney Animation. 3) The majority of teachers thought Disney Animation was appropriate use i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4) The majority of teachers said they fel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criteria for selecting anim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eachers feel there is need to develop viable criteria for appropriate animation selection and to have a media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실내조건에서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 : Coleoptera: Coccinellidae)의 각 발육단계에 친환경농자재가 미치는 영향

        강은진,강명기,이희진,이대홍,석희봉,김다아,길미라,서미자,유용만,윤영남,Kang, Eun-Jin,Kang, Myong-Ki,Lee, Hee-Jin,Lee, Dae-Hong,Seok, Hee-Bong,Kim, Da-A,Gil, Mi-La,Seo, Mi-Ja,Yu, Yong-Man,Youn, Young-Nam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1

        무당벌레(H. axyridis)는 세계적으로 진딧물의 포식자로 널리 알려지면서 농생태계내에서 진딧물을 방제하기 위한 방제인자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농약의 사용을 억제하는 정부정책과 소비자의 요구 등으로 인하여 친환경농업이 확대되면서 친환경농자재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농자재의 사용은 무당벌레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살충성친환경농자재(IEFAMs)의 경우 무당벌레의 각 발육단계에 대하여 대부분 안전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살균성친환경농자재(FEFAM)의 경우에도 FEFAM A를 제외한 다른 종류들은 무당벌레에 대하여 영향이 적다. 토양미생물친환경농자재(EFAMSM)인 EFAMSM C와 H는 무당벌레 알의 부화율을 떨어뜨릴 수가 있으며, EFAMSM A와 F는 1령 유충에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물성추출물친환경농자재(EFAMPE)는 EFAMPE A와 D는 무당벌레 알에 치명적인 독성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외의 다른 조사된 농자재들은 무당벌레에 비교적 독성이 약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The multicolored Asian ladybird beetle (Harmonia axyridis) has been commonly used with biological control agents for control of several kinds of aphids in agroecosystems. Also,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have been commonly applied in crop fields because the government held down pesticide application and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es are gradually increased with consumer's desires. The multicolored Asian ladybird beetles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under the influence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In crop fields. The insecticidal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IEFAMs) might be saff against each developmental stage of multicolored Asian ladybird beetle. Fungicidal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FEFAMs) had a miner effect to each developmental stage of multicolored Asian ladybird beetle with the exception of FEFAM A.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contained useful soil microorganisms (EFAMSMs) C and H might be down the hatching rate of eggs, and EFAMSM A and F had a killing effect to 1st instar of lady beetles.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contained plant extracts (EFAMPEs) A and D might be suffered effect a deathblow of egg hatching with lady beetles. Otherwise, there was a miner effect to lady beetles with the rest of tested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 아동권리측면에서 바라본 유아 미디어 이용과 교육

        강은진 육아정책연구소 2021 육아정책포럼 Vol.69 No.-

        어린 유아들이 더 빨리 미디어 이용을 시작하고, 유아의 미디어 이용 시간은 건강한 발달을 저해한다는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네이티브이며, 디지털이 기본값인 환경에 살아갈 유아들에게 미디어는 이제 삶과 문화의 한 종류라 할 수 있다. UN이 제시한 디지털 환경 관련 아동권리에 대한 일반 논평 제25조에 따르면 미디어에 대한 접근과 보호는 모두 유아에게 권리에 해당된다. 이제는 미디어를 예방, 보호의 측면에서 바라보는 입장과 유아의 미디어 역량을 갖추도록 하는 투트랙 전략이 필요할 때이다. 이를 위해 본 고에서는 유아 및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리터러시교육이 확대될 것과 미디어 환경 속 유아의 권리보호를 위한 기준이 마련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영유아 양육 및 보건의료 서비스 통합을 위한 탐색적 연구- 국내 사례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강은진,이윤진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9 사회복지정책 Vol.46 No.3

        It is true that our childcare and health care service policy has been implemented segmentally. This is due to the segmentation of parenting and health care services itself, as well as the process leading to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and the provision of health care services at the time of childcare support does not meet consumer needs. In the meantime, the integration of welfare and health care has been widely discussed, but the link between childcare support for infants and toddlers has attracted attention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infant and child care and integration of health care services in Korea through case studies and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ystem of child - rearing and health care service in Korea is segmented by law, but some local governments are attempting to link services in terms of service provision. Most of them are supported by the center. Community-based integrated health and child care support service system for infants and toddlers can be expand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size of each community. In order to ensure that these services are carried out smoothly within the community in the future, it should be accompanied by an active support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a social awareness that the support for health and nursing should be integrated in the nursing period. 우리나라의 영유아 양육 및 보건의료 서비스 정책은 그 동안 분절적으로 시행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이는 양육과 보건의료 서비스 자체의 분절적인 특성에 기인하는 것과 더불어 임신, 출산, 육아로 이어지는 과정과 육아 중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이 수요자 욕구를 충족하고 있지 못하는 것에 의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그간 복지와 보건의료 간 통합은 최근에 들어서야 비로소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례연구를 통해 한국 영유아 양육 및 보건의료 서비스 통합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영유아 양육 및 보건의료 서비스 제도가 법제도상 분절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연계를 시도하고 있다. 대부분 지역사회 내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기관중심 서비스통합’ 이 핵심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지역사회 중심 영유아 건강 및 양육 지원 통합을 ‘네트워크 연계’ 로 극복하고 있는 지자체도 살펴볼 수 있었다. 향후 지역사회 내에서 이러한 보건-양육 서비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거점이 될 수 있는 공간 중심의 서비스 통합 및 네트워크 통합의 병행, 적극적인 중앙정부의 지원, 영유아 양육과 보건의료서비스는 생애주기에 걸쳐 단절 없이 통합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는 사회적 인식 등이 함께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