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의 양육 스트레스가 정신건강과 희망을 경유하여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취업 여부의 조건부 간접효과

        강은선,이창식 산업진흥원 2024 산업진흥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양육 스트레스가 정신건강과 희망을 경유하여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취업 여부가 조절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고 정신건강과 희망을 활용하여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 지역은 전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대상의 표집은 의도적 표집 방법을 적용하였고, 자료수집은 설문조사로 하였다. 최종 분석에 활용된 전체 대상자의 수는 300명이었다. 자료는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양육 스트레스는 정신건강, 희망, 취업 여부 및 양육 효능감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양육 스트레스를 제외한 다른 변수들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취업 여부는 양육 스트레스가 정신건강과 희망을 경유하여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 매개하였다. 즉, 취업 여부는 양육 스트레스가 정신건강과 희망을 경유하여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감소시키는 완충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양육 효능감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employment status moderates and mediates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efficacy through mental health and hope targeting women raising children and to find ways to improve parenting efficacy by utilizing mental health and hope. The survey was conducted nationwide, a purposiv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select the survey subject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used in the final analysis was 300 women.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freq 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parenting stres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ental health, hope, employment status, and parenting efficacy. On the other hand, other variables except parenting 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Second, employment status moderated and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efficacy through mental health and hope. In other words, employment status played a buffering role in reducing the negative impact of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efficacy through mental health and hope. Based on these results, a plan to protect parenting efficacy was proposed.

      • 감마선 및 EMS처리에 의한 유채(Brassica napus L.)와갓(Brassica juncea L.)의 유묘 감수성 평가 및형태적 변이체 선발

        강은선,김준수,은종선 한국방사선산업학회 2014 방사선산업학회지 Vol.8 No.2

        This study was aimed to select useful mutants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and leafmustard (Brassica juncea L.), the seeds of three lines S-14, S-27, and S-28 were treated withgamma-ray and EMS. The optimum ranges of gamma-ray dose and EMS concentration toenlarge the characteristic morphological variations were also separately investigated. The survivalrates of S-28 only linear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gamma-ray dose. The overallgrowth parameters decreased of gamma-ray dose in all three lines of S-14, S-27, and S-28. Thereduction dosage 50 of gamma-ray was identified as 1,200 Gy for S-14 leaf mustard, while those ofS-27 and S-28 rapeseed lines were appeared as same 1,000 Gy. The emergence rates of S-14 andS-27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EMS treatment, while the growth of all three lines weresignificantly decreased. The reduction concentration 50 in S-14 could not be determined,demonstrating that this leaf mustard line is presumably insensitive to mutagenic EMS, whilethose in S-27 and S-28 were identified as 3.0 and 2.5%, respectively, showing that these rapeseedlines possess higher sensitivity to EMS than S-14. Variou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1generation obtained from mutagen treatment were elaborately investigated for further maintenanceof M2 generation. In M2 generation variants showing short stem, yellow color in seed coat,chlorophyll deficiencies in leaf or pod, abnormal flower color were selected as potentially usefulmutants for breeding.

      • KCI등재

        초등학교 1,3,5학년 아동의 다의어 이해 특성

        강은선,정경희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3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understand polysemy in according to the semantic type and word class. Method : The subjects were 31 students in 1,3 and 5 grader elementary school. The tasks presented sentences containing 20 verbs and 20 nouns, including the central and marginal meaning. Results :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higher the grade, the more mean scores of the total points of polysemy understanding of each meaning were gradually increas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significa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third graders but not between the third and fifth graders. Second, in the ability to understand polysemy meanings in according to the type of meaning, average scores of ability to understand central mean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ability to understand peripheral meaning and thi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mantic type and grade in 1st and 3rd grades and in the 1st and 5th grad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3rd and 5th grades. Third, in the ability to understand polysemy in according to the types of word class, the mean scores of the verb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nouns and thi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ts of speech and grade in 1st and 3rd grade and 1st and 5th grad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3rd and 5th grades. Conclusions : These results are important to note that these studies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lexical ambiguity learning, which can help children understand the subtle differences and uses of their meanings and learn various vocabularies. 목적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의미유형(중심의미, 주변의미)과 품사(동사, 명사)에 따른 다의어 이해능력의 발달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 연구대상은 일반 초등학생 1학년(10명), 3학년(11명), 5학년(10명) 총 31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중심의미와 주변의미를 포함한 동사 20개와 명사 20개가 포함된 문장을 제시하였다. 결과 :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이 증가할수록 각 다의어 이해 총점에 대한 평균점수가 점차 증가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정결과 다의어 이해능력은 1학년과 3 학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났으나 3학년과 5학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의미유형(중심의미, 주변의미)에 따른 다의어 이해능력에서, 중심의미 이해능력이 주변의미 이해능력보다 평균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학년 간에서는 1학년과 3학년, 1학년과 5학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3학년과 5학년에서는 유의미한차이가 없었다. 셋째, 품사유형(동사, 명사)에 따른 다의어 이해능력은 동사가 명사보다 평균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학년 간에서는 1학년과 3학년, 1학년과 5학년에서는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3학년과 5학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논의: 이 연구는어휘적 중의성 학습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다의어의 미묘한 의미 차이나 활용법을 이해하고 다양한 어휘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상담자 불안정 성인애착과 작업 동맹의 관계에서 발달수준에 의해 조절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강은선,이영애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3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0 No.3

        본 연구는 상담자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작업동맹의 관계에서 발달수준에 의해 조절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청소년 및 성인 심리상담사 2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6.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심리적 소진은 상담자의 성인애착 중 애착불안과 작업동맹 사이를 부분매개 하였으며, 애착회피와작업동맹 사이는 완전매개 하였다. 둘째, 심리적 소진과 작업동맹의 관계에서 발달수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상담자의 애착불안, 애착회피가 심리적 소진을 매개하여 작업동맹으로 이어지는경로에서 발달수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발달수준이 낮거나 평균인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 요인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이별불안장애

        강은선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특수교육과 1998 특수교육 사례연구 Vol.3 No.-

        대상아동은 8세의 경도 정신지체 남자 아동으로, 시흥시에 소재한 유치원에서 3년째 교육을 받고 있다. 아동은 사회성에 문제를 보이며(또래 아동들과의 관게에서 미숙함), 특히, 어머니와의 이별을 심하게 무서워하고 불안해한다. 아동은 길을 다닐 때 어머니의 손을 꼭 잡고 다닌다. 또한 어머니가 잠시 관리실이나 가게에만 가도 소리치며 울고, 돌아올 때까지 방의 구석에서 고개를 숙이고 앉아있는다. 유치원에 가지 않겠다는 말을 자주해서 어머니가 바래다 주고, 집에 올 때 유치원버스에서 내린 뒤 교사에게 인사도 하지 않고 집으로 뛰어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유치원 교육 1년째에 캠프를 갔는데, 그때도 어머니가 동행하는 조건으로 억지로 갔다. 그 이후로는 캠프에 가는 것을 매우 두려워하여 두통이나 복통 등의 증상을 거짓으로 호소한다고 한다. 어머니와 헤어지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은 어머니 이외의 가족, 즉, 아버지, 누나 등에게도 나타났으나, 그 정도는 덜하였다. 아동의 어머니와 이별하는 것을 불안하다고 느끼는 것은 연구자와의 수업상황에서도 나타났다. 예컨대 수업 도중에 수시로 "엄마 어딨어요?"라는 질문을 하거나, 어머니의 발소리나 말소리에 집중하고, '수업시간에 의자에서 일어나지 않기'라는 규칙을 어기는 등 자기통제가 되지 않았다. 또한 바깥에 어머니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종종 소변이 마렵다는 등의 거짓말을 한다. 그리고 어머니가 집안에 없다는 것을 확인하면 불안한 모습으로 울거나 어머니가 있는 곳을 알아내기 위하여 재차 질문하여 수업이 지연되었다. 내년에 학교에 간다는 것에 대해 이야기할 때에도 "엄마랑 같이?"라고 항상 묻는다. 어머니는 학교에 가지 않는다고 얘기하면 얼굴을 찌푸리며 "나 학교 안가"라고 말하고, 수시로 "나 학교 안가지?"라고 묻는다. "○○야! 너 이렇게 말 안 들으면 엄마 못 오시게 한다"라는 말을 어떤 체벌보다도 두려워한다. 또한 가까운 가게에 보내는 심부름도 어머니가 벌을 주거나 강화물을 주어야 마지못해 하며, 또래와 놀지 않고 어머니의 뒤를 하루 종일 따라 다닌다.

      • KCI등재

        Fate of Transplanted 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in Rats by Transplantation Routes

        강은선,하기용,김영훈 대한의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7 No.6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transplanted cells’ survival and differentiation, and its efficacy according to the delivery routes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Allogenic mesenchymal stem cells (MSCs) were transplanted intravenously (IV group)or intralesionally (IL group) at post-injury 1 day in rats. Behavioral improvement,engraftment and differentiation of the transplanted cells and the expression of neurotrophic factors of the transplanted group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At 6 weeks post-injury, the mean BBB motor scales in the control, IV and IL groups were 6.5 ± 1.8, 11.1 ± 2.1, and 8.5 ± 2.8, respectively. Regardless of the delivery route, the MSCs transplantation following spinal cord injuries presented better behavioral improvement. The differentiations of the engrafted cell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livery routes. The engrafted cells predominantly differentiated into astrocytes in the IV group and on the other hand, engrafted cells of the IL group demonstrated relatively even neural and glial differentiation. The expressions of neuronal growth facto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L group (mean relative optical density,2.4 ± 0.15) than those in the control (2.16 ± 0.04) or IV group (1.7 ± 0.23). Transplantation of MSCs in the early stage of spinal cord injury gives a significant clinical improvement. However, the fate of the transplanted MSCs and expression of neuronal growth factors are different along the transplantation rou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