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제주형 신남방정책의 발전 방향 모색

        강수정(Soo-Jeong Kang),공민석(Min-Seok Gong) 제주학회 2023 濟州島硏究 Vol.5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특별자치도가 추진하고 있는 신남방정책인 제주-아세안+α 정책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고 제주 도시외교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제주-아세안+α 정책은 지방정부 차원에서 독자적으로 외교활동 영역을 개척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책이 경제 부문에만 집중됐고, 정책 전체를 아우르는 가치는 부재했다. 시민사회의 참여에서도 미진함을 드러냈다. 본 연구는 보편적 가치에 기반해서 외교분권과 시민사회의 참여를 강조하는 도시외교 논의를 통해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우선, 제주 도시외교의 성과와 역량, 그리고 제주 지역사회의 정체성과 요구를 고려해 평화, 생태, 포용의 가치를 제안했다. 또 외교적 자율성과 외교역량 극대화를 위해서는 관(官) 주도 외교, 전문가 중심의 외교를 지양하는 시민 참여와 시민사회 간의 교류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제주-아세안+α 정책이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환경을 정비하고, 관련 행위자들을 효과적으로 묶어낼 수 있는 거버넌스 구조를 확립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 제주-아세안+α이 향후 제주 도시외교 대전략을 혁신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mits and possibilities of Jeju-ASEAN+α policy and to search for an effective way for its development as a city diplomacy. Jeju-ASEAN+α policy is of paramount importance because it is an attempt to promote ‘diplomatic decentralization’ and diplomatic autonomy of a local government. Nevertheless, it is narrowly focused on economic issues, and therefore the core value of the policy could not be clearly defined. Deficiencies in the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y and the integrated governance structure of policy implementation are also significant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three alternatives regarding core values of the policy, citizens’ participation in the policy processes, and governance structure of the policy. First, in terms of core values, Jeju-ASEAN+α policy should follow peace, ecology, and inclusion, which are the common elements of successful city diplomacies. Second, to enhance legitimacy and sustainability of the policy, citizen’s demands should be embraced and their participation in the policy process should be encouraged. Last, but not least, to reinforce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of the policy,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the structure of governance that integrates multiple actors ranging from local government to NGOs and each citizens. In addition,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is also essential in this light. Jeju-ASEAN+α policy is not just a single policy, but it is a critical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grand strategy of Jeju island’s city diplomacy. Its development and outcome would be the cornerstone of Jeju’s international renown as an innovative leader in the field of city diplomac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교사의 교수 몰입과 행복과의 관계에서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조절 효과

        강수정(Kang, Sujeong),이지연(Lee, Jeeyon),장진이(Jang, Jinyi)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교사를 대상으로 교수 몰입, 감사 성향, 대인관계 유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교수 몰입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력이 개인차 변인인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수 몰입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조절 효과를 가정하는 연구 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사 성향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하였으나, 대인관계 유능성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교수 몰입이 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교사 개인의 감사 성향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감사 성향 수준이 낮은 교사들의 교수 몰입은 감사 성향 수준이 높은 교사들의 교수 몰입보다 행복감을 더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함의를 기술하고, 교사 연수나 교사 자문 및 상담적 개입에서 감사 성향에 대한 평가와 이를 훈련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 전략의 모색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gratitude disposi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s teaching flow and happines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232 male and female teacher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The data was submitted to SPSS/WIN 18.0 statistics program to test mu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eachers's teaching flow, gratitude disposi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ir happiness.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gratitude dispos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s teaching flow and happiness. Thirdly,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wasn't seen as significant. These results implied that it'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romoting teachers's gratitude disposition.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discussed.

      • KCI등재

        「고전과 윤리」의 교수-학습 방향성 제언 - 수용자 중심의 고전읽기 방법과 고전텍스트의 재구성 -

        강수정 ( Kang¸ Su-j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1 윤리교육연구 Vol.0 No.59

        본 연구의 목적은 ‘고전 교육’을 실시한 대학들의 사례와 국어과의 「고전」교과의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고전과 윤리」가 나아갈 교수-학습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선행연구의 분석 결과 고전텍스트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과 이로 인해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고전과 윤리」도 이러한 문제에 부딪힐 수 있다고 판단하여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두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는 율곡(栗谷)이 『격몽요결』에서 제시한 독서의 목적과 방법을 「고전과 윤리」의 고전 텍스트를 읽는데 적용하는 것이다. 둘째는 수용자를 중심으로 고전 텍스트를 구성하는 것이다. 수용자 중심으로 구성된 교재를 「고전과 윤리」교과서의 보조교재로 활용함으로써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고전 텍스트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이를 통해 능동적인 참여가 가능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This study presents a direction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lassics and Ethics’ by drawing on colleges that have implemented classics education and the practices within the ‘Classics’ subject. An analysis of earlier studies sheds light on the difficulties involved in approaching classical texts and in inducing the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Hence, this paper suggests two solutions to prevent this. The first is to apply the purpose and method of reading as presented by Yulgok, in his 『Gyeokmongyogyeol』to the reading of classics and classical texts in ethics. The second is to organize classical texts with a focus on the recipient. Using textbooks focused on the recipients as supportive materials can facilitate teachers and learners’ access to classical texts to enable their active participation.

      • KCI등재

        이주민 대상 한국어 평가 연구의 발전 방향 모색 :사회통합프로그램 관련 평가 연구 고찰을 통한 시사점과 개선방안 도출을 중심으로

        강수정 ( Kang Su J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이주민 대상의 한국어 평가와 관련된 정책과 현황 추이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들의 주요 논의와 개선점에 대한 고찰을 통해 향후 발전적 연구 방향을 탐색하였다. 우선 전반적인 실태 관련의 분석 결과에서는 사회통합프로그램이 이주민 대상의 강력한 한국어 평가 도구로서 부각되고 있음이 도출되었다. 또한 이주민 한국어 평가 도구의 전체유형은 9개로서 활발한 개발 이후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들은 특정한 연구자와 학술지 게재 연구 유형 등이 주로 출현하는 편중성이 드러났다. 그리고 사회통합프로그램 평가 자체에 대한 타당성 검증 논의보다는 기존 평가들과 귀화시험 등 간의 연계방안 논의만이 반복되고 있음도 드러났다. 이어서 4개의 주제별 세부적인 탐색 결과에서는 사전, 단계별 구술평가에서의 평가 요소와 기준의 구체화가, 귀화시험에서는 언어적 난이도를 통한 출제 방법의 측면 등이 문제점임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 과정을 통해 시사점을 얻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도 할 수 있었다. 그런데 올해 2020년에는 이주민 한국어 교육이 사회통합프로그램으로 일원화될 현시점이기에, 이번 고찰이 적극적인 관련 논의의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도 더욱 의미 있는 연구였다고 볼 수 있었다. This research has been seeking future developmental insight through crucial discussions and observations of modification on the basis of policies and current statu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valuation for migrants. Foremost, according to the overall analysis on the current situation, it was apparent that the Korean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KIIP) was being acknowledged as the most effective Korean evaluation tool. Furthermore, despite active improvements in the total of nine types of Immigrant's Korean Evaluation tool, related researches showed tendencies in involving specific researchers and in being a certain research type, such as those for a journal publication. Moreover, it was also found that only the existing evaluations and the discussions on the resolutions for strengthening connections, such as Korea naturalizaton tests, were repeated, instead of holding discussions on verify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evaluation of the Korean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In addition, in concern with the results of the four topic-specific investigation,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 concretization of the factors and criteria of pre-valuation and step-by-step oral evaluation and the aspects of setting the Korea naturalization test through appropriate adjustment by lingual level of difficulty were problematic. Thus this research has been most worthwhile considering that it was able to propose the potential long term course of direction for it in light of the implications deduced from the aforementioned discussion process and have provided the foundation for active discussion by 2020 where the Korean education for migrants will have been integrated by the Korean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KIIP).

      • KCI우수등재

        아버지의 유아기 양육참여가 초등학교 1학년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실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강수정(Sujeong Kang) 한국아동학회 2021 아동학회지 Vol.42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ongitudinal effects of father involvement in child-reaering during early childhood on first graders’ school adjust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By doing so,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fathers’ involvement in childcare during early childhood. Methods: This study used the 4th, 5th, and 8th data sets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 total of 1,711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Results: Fathers’ rearing involvement during early childhood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first graders’ school adjustment by reducing levels in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with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ren’s gender being considered as a confounder. However, fathers’ rearing involvement during early childhood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first graders’ school adjustment.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fathers’ rearing involvement in early childhood is important for first graders’ cognitive development and school adjustment in the long ter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d not simply reveal the longitudinal influences of fathers’ rearing involvement on children’s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but also explained these influenc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executive skills.

      • KCI등재

        바이오디젤부산물인 폐글리세롤을 이용한 친환경 가소제의 개발

        강수정 ( Soo Jung Kang ),배성재 ( Sung Jae Bae ),진대언 ( Dae Eon Jin ),김진환 ( Jin Hwan Kim ) 한국산업보건학회 2014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24 No.3

        Objectives: The major objective is development of an eco-friendly non-phthalate plasticizer using crude glycol derived from the biodiesel process. Methods: Glycerol monolaurate(GML) was synthesized from glycol and triglyrcerides. Glycerol diacetomonolaurate(GDAL) was synthesized from GML and acetic acid. Results: The synthesis of the GDAL plasticizer was measured with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NMR). Mechan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and the experimental values were compared with phthalate plasticizers such as dioctyl phthalate (DOP). In particular, the values for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s with GDAL were higher than with DOP. Conclusions: We confirmed the development of an eco-friendly non-phthalate plasticizer by NMR. Based on our results, applicability for food and drug packaging materials was found.

      • KCI등재

        보호책임의 개념과 이행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태도

        강수정 ( Kang Su-jeong ) 대한정치학회 2021 大韓政治學會報 Vol.29 No.2

        거부권을 가진 UN 안보리의 상임이사국이자 신흥강대국인 중국의 보호책임에 대한 입장과 태도는 이러한 규범의 발전과 이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보호책임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면서 다음 두 개의 연구 질문에 분석의 초점을 맞춘다. 첫째, 중국은 보호책임의 개념화와 이행에 어떻게 관여해왔고, 그러한 개념이 등장한 이후 그 규범적 발전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왔는가? 둘째, 보호책임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태도에서 다른 국가들과 구분되는 특징이 나타나는가? 그렇다면, 그 특징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들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질문을 다루는 데 있어서, 본 연구는 주로 UN에서의 보호책임에 대한 주제 토론이나 특정 국가의 대량인권침해사태에 대한 UN 차원의 대응과 관련한 중국의 공식적인 발언과 행동에서 얻어진 경험적 증거에 근거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보호책임의 규범적 발전과 실행에서 중국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As a rising power and a veto-wielding permanent member of the UN Security Council, China’s position and attitudes towards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R2P) ca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norm’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In this sense, this study examines China’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s the R2P, focusing on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has China been engaged with the conceptual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R2P and influenced the concept’s normative development since its emergence? Second, do China’s position and attitudes towards the R2P show distinctive features? If so, what are their key elements? In addressing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draws primarily on empirical evidence gleaned from China’s official statements and practice at the UN level, both in thematic discussions on the R2P and in responses to specific cases of large-scale human rights violations. Through this analysis, this article shows which role China plays in the normativ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the R2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