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예술 가업계승 대학생이 경험하는 가족의 의미 - Giorgi 현상학적 접근 -

        강수운,이동훈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in family 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family which undergraduate students have when taking over traditional art as family occupation. Five students were selected who majored in traditional art in order to succeed to their family occup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were conducted according to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lin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procedures and resulted in 65 main meanings, 16 emerging themes and 7 essential themes. These essential themes consisted of ‘innate talents in their blood’, ‘internalization of artistic family traditions’, ‘impetus given by the family’, ‘the driving force as a professional artist’, ‘a life like being imprisoned’, ‘the wall impossible to go over’ and ‘family occupations turning into mine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예술을 가업으로 계승한 대학생들의 가족 내 경험 및 가족이 갖는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가업을 계승하여 전통예술을 전공하는 대학생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65개의 중심의미, 16개의 드러난 주제, 7개의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질적 주제는 ‘핏줄내림’, ‘예술적 가풍의 자기화’, ‘가족추동력’, ‘전문예술인으로서의 성장 원동력’, ‘감옥살이 아닌 감옥살이’, ‘뛰어넘을 수 없는 벽’, ‘가족의 길에서 나의 길로’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출소자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자활의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수감횟수 및 최초범죄연령별 다집단분석

        강수운,이동훈 한국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elf-resilience, active stress-coping methods and the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Data was collected from 504 ex-offenders and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path coefficients in the structural model were meaningful on the structural model. Additionally,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resilience and active stress-coping methods were respectively meaningful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Multiple-group analysis based on ex-offenders’ number of incarcerations and age at initial crime indicated that the proposed model had good corresponding level to all the groups distinguished, and that the structural model properly explained all of the groups. 본 연구의 목적은 출소자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활의지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으로부터 숙식지원을 받고 있는 출소자 50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SPSS 23.0,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자활의지의 구조모형에서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출소자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자활의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가 각각 유의하였다. 셋째, 출소자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자활의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다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넷째, 수감횟수 및 최초범죄연령에 따른 측정변인들의 잠재평균 차이를 분석하고, 변인 간 경로계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상정된 연구모형은 수감횟수를 기준으로 구분된 모든 집단과 최초범죄연령을 기준으로 분류된 모든 집단에 대해 좋은 적합도를 보였고, 구조모형이 집단 모두를 적절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의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법무보호대상자(출소자) 대상 심리상담서비스에 대한 기관 내·외부 전문가의 인식: 2017년 이전

        강수운(Su Eun Kang),이동훈(DONGHUN LEE) 한국재활심리학회 2023 재활심리연구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법무보호공단에서 법무보호대상자(출소자)에게 심리상담서비스가 제공된 이래 그동안의 상담서비스에 대한 공단 내·외부 전문가의 인식이 어떠한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에 소속된 상담직 8명, 일반직 8명 및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출소자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공단 외부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Krippendorff(2003)가 제안한 내용분석 절차와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심층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 공단의 심리상담서비스에 대한 인식은 ‘공단 심리상담서비스의 효과’, ‘공단 심리상담서비스 운용 과정에서의 어려움’, ‘공단 심리상담서비스와 보호사업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안’, ‘공단 심리상담 서비스 발전을 위한 제안’의 4개 차원, 28개 범주, 81개의 의미내용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hallenges in the performance and operation of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s provided by the Korea Rehabilitation Agenc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counselors, eight general workers, and eight external experts affiliated with the agency, focusing on prisoner-related duties. Data was analyzed using Krippendorff's (2003) content analysis method, revealing four dimensions: the effects of the counseling service, operational difficulties, synergy creation measures, and development proposals. In total, 28 categories and 81 meanings were identified concerning the counseling service and its operational challenges. The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수감자의 출소 후 가족복귀 경험에 관한 교정기관 상담자의 인식

        이동훈,강수운,지승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2 No.4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family reunion of the ex-offenders. To this end, Korea Rehabilitation Agency under Ministry of Justice and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conducted intensive interviews with ex-offenders, their families and with 8 counselors who are in charge of ex-offenders and their families’ residential,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support.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COR).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the counselors found out that most of ex-offenders had experienced unhappy childhood which was lack of healthy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Secondly, counselors noticed a common feature among the families of ex-offenders. The common feature was that they keep the fact that one of their parents was imprisoned to their children as a secret. Thirdly, through the data analysis, counselors could understand various factors that affect reunion of ex-offenders’ families: the factors that helped successful reunion were ex-offenders’ sense of responsibility, open and healthy communication among family members, and mutual understanding of being a good family member, whereas, irresponsible dependance to other family members, denier and avoidance from the family members against ex-offenders, and lost sense of being a family member were the factors that discouraged the reunion. It turned out that the kinds of crime that ex-offenders committed also affected family reunion. The processes of reunion were easier for those who served their time with fraud, embezzlement, whereas, it was much more challenging for those who served their time with rape, violence, or murder. Fourthly, counselors learned that “relaxation” is the key factor in the process of reunion of ex-offenders’ families. They also emphasized that there should be thorough monitoring process before the intervention in the reunion process. This study contributes in terms of finding healthy ways of intervention with ex-offenders’ families and developing programs that help ex-offenders to recover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본 연구는 상담자의 눈을 통해 성인출소자의 출소 후 가족 관계 회복 과정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법무부 산하의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서울, 인천, 부산, 대구, 경남 지부 및 법무보호복지공단과 가족상담 연계 서비스를 진행하는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출소자와 그 가정을 대상으로 숙식 및 주거 지원, 심리 지원, 자녀 학업 지원을 담당하고 있는 상담 전문가 8명에게 심층 면접을 실시하고, 면접 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담자들은 대부분의 출소자들이 가족이 부재한 어린 시절을 보내며 부모와의 유대나 신뢰관계가 형성되지 못한 구조적․기능적 결손을 경험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상담자가 인식한 출소자의 가족, 즉 배우자와 자녀의 전형적인 특징은 자녀에게 부모의 수감사실을 숨기는 가족의 비밀이 있다는 것이다. 셋째, 상담자들은 가족에 대하여 출소자가 갖는 책임감, 가족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가족 복귀의 성공요인으로 인식하는 반면 가족에 대한 의존심, 출소자에 대한 가족의 거부와 회피, 가족구성원으로서의 존재감 상실을 가족 복귀의 실패요인으로 보고 있었다. 또한 강간이나 알코올 중독, 폭력, 살인 등에 비해 횡령, 사기 등과 같은 경제사범들의 가족복귀가 비교적 원활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출소자의 가족 관계 회복을 위한 상담 및 심리지원에 있어 상담자들은 휴식의 개념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출소자 및 그 가족에 대한 개입을 실시하기 전에 철저한 스크리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출소자 및 그 가정에 대한 심리적․상담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 출소자의 가정 복귀 및 가족 관계 회복을 돕는 프로그램 개발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북한이탈여성이 경험한 삶의 과정에 관한 연구: Mandelbaum의 생애사 분석방법을 토대로

        양민숙,강수운,이동훈 한국재활심리학회 2023 재활심리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이 경험한 삶의 과정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심층면접 자료 분석은 Mandelbaum(1973)이 제시한 세 가지 생애사 분석틀, 즉 삶의 영역, 전환점, 적응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삶의 영역은 「아버지의 과거 전력이 원죄가 되어 소수자 중의 소수자로 삶아가는 삶」, 「남편을 잃은 후 온몸으로 세상의 비난을 받아낸 삶」, 「중국 한족 노인 수발인으로서의 삶」, 「희망의 땅 남한에서 두 번의 결혼과 배신」으로 4개, 전환점은 「흥남 철수 탈출 실패와 반동분자로서의 북한잔류」, 「반동분자 자손들 간의 결혼」, 「남편과 사별 후 고난의 행군 시대 두 자녀의 상실」, 「중국으로의 밀입국 후, 열여덟 살 많은 한족 노인과 결혼」, 「한국 정착 후 네 살 연하의 남편과 결혼」, 「노인과의 결혼과 병수발」으로 6개, 적응은 「반동분자의 딸로서 무조건 참아내는 적응전략」, 「남편을 잃은 후 고난의 행군시절, 과부로서의 삶의 적응」, 「중국에서의 적응 전략: 도구적 수단으로서의 결혼」, 「남한에서의 적응 전략: 나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2번의 결혼」, 「사회적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든든한 의지처 찾기」으로 5개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a life history study of a woman born in north Korea as the daughter of a reactionary. She faced family loss and lacked protection in and China and South Korea. Using Mandelbaum's frameworks, the study analyzed in-depth interveiw data on dimensions, turnings, and adaptation. Key finidings include participants remaining non-class members in North Korea due to their father's activities, survival through instrumental marriage in China, and subsequent challenges in South Korea. The study discusses North Korean defectors' lives as nomo sacer and proposes suggestions for restoring adaptation and improving the lives of defectors.

      • KCI등재

        아버지의 정서표현 및 정서반응이 자녀의 정서표현 양가성에 미치는 영향

        정소영,강수운,이동훈 한국교육치료학회 2020 교육치료연구 Vol.12 No.2

        This study investigated fathers’ emotional expressions and reactions to the negative emotions of children as a developmental variable of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For this, questionnaire study was conducted on 267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fathers' unsupportive response, the children’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ambivalence of self-defense. Also, the positive expression and supportive response of the father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on of the children, and the negative expression and unsupportive reaction of the fath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on of the children.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as it investigates how fa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reaction has influence on children’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exploring a better way of bringing up of children.

      • KCI등재

        아동의 부애착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김문재,강수운,이동훈 한국교육치료학회 2020 교육치료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attachment to their father and self-esteem and aggressiveness. To this end, the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attachment and the other two factors were investigat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steem in the relation of attachment and aggression was also examin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420 sixth grade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P city, and the data from 393 students were analyzed, excluding unfaithful respon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attachment to fathers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but aggressiveness shows negative correlations with both attachment and self-esteem. Second, self-esteem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path of children’s attachment to aggressio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on seeking solutions to reduce social problems like school-violence by investigating children's aggressiveness.

      • KCI등재

        출소자의 아동기 학대 외상,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수감횟수간의 관계구조 분석

        김미현(Mi-Hyun Kim),이동훈(Dong-Hun Lee),강수운(Su-Eun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출소자의 아동기 학대 외상과 수감횟수의 관계에서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으로부터 숙식지원을 받고 있는 출소자 51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SPSS 21.0, M-plus 7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출소자의 아동기 학대외상은 수감횟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부모애착을 완전매개하여 수감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기학대 외상은 자아탄력성을 완전매개하여 수감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 attachment and self-resilience between childhood abuse trauma among Ex-offenders, prsent study collected data from 510 Ex- offenders who are given the housing support from Korea Rehabilitation Agency. SPSS 21.0, M-plus 7 programs were used to analysis the collecting data. As a resul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recidivism, a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 among the recidivism, parent attachment, and self-resilience. Indirect affect of parnet attachment was found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recidivism. Also, indirect affect of self-resilience was found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recidivism among the Ex-offender.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