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체결 토오크에 따른 강성계수 변화

        강성 가톨릭상지대학 사회개발·산업기술연구소 1999 論文集 Vol.29 No.-

        볼트로 체결되어 있는 구조물에서 볼트에 가해지는 체결 토오크에 따라 결합 접촉면의 부재 내부에 발생하는 응력 분포변화를 유한 요소해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유한 요소해석과 진동 실험을 통하여 체결 토오크에 따른 결합 강성을 고찰하고 반정점각의 변화를 규명하였다. 결합부의 체결력이 증가함에 따라서 구조물의 고유 진동수는 증가하다가 일정한 값에 수렴한다. 이는 결합부의 강성이 체결력 증가와 함께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체결력의 증가와 함께 반정점각(α)이 정적인 유한요소 해석과 동적 실험을 통해서 같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The member stiffness in a bolted connection has a direct influence upon safe design with regards to both static and fatigue loading. Osgood and Mischke used a constant half-apex angle(α=30˚, 45˚) to obtain the member stiffness in a bolted connection. They didn't consider the stiffness variation under the clamping tor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mping torque variation and the joint stiffness in a bolted connection. The dynamic experiment and the finite element method are performed. The finite element method uses spring elements for a bolted connection considering clamping torque variation. The results shows that the structures with bolted joints converge to a constant frequenc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clamping torque. The half-apex angle changes as the clamping torque.

      • 환경,경제의 상생기반 구축 및 잠재력 활성화 : 중장기 환경전망 및 대응전략 -KEI 통합환경모형(Integrated Assessment Model) 연구

        강성,김민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14 No.-

        본 연구는 ‘중장기 환경전망 연구(강성원 외, 2013)’의 후속연구로서, ‘중장기 환경전망연구(강성원 외 2013)’에서 제시한 1국 통합환경모형 구축 로드맵에 따라 한국의 통합환경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통합환경모형은 모형을 구성하는 각 부문의 모듈이 구조형 방정식인 거대모형과, 배출부문을 제외한 부문 모듈이 축약형 방정식인 단순모형 두 가지 모형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거대모형 구축을 위해서는 각 부문별 모형의 연계 방식을 점검하였고, 단순모형 구축을 위해서는 배출부문의 배출량 전망 기능을 비산업부문으로 확장하였다. 강성원 외(2013)에서 구축한 로드맵에 따르면, 1년차에는 거대모형을 구성하는 부문별 모형간의 연계방식 및 부문별 모형 조정 작업을 구체화하여 거대모형의 청사진을 도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배출부문과 기후변화 부문, 배출부문과 영향부문의 대기질 모형, 배출부문과 영향부문의 수질 모형 간의 연계방식을 점검하였고, 연계를 위한 배출부문 조정 작업을 파악하였다. 점검 결과 기후변화 부문은 IPCC의 RCP 시나리오에서 제공하는 추정치로 전환하기로 하였고, 영향부문의 대기질 모형 및 수질 모형과 배출 부문 간에는 자료의 공간적·시간적 해상도 차이가 커서 이를 연계하는 별도의 모듈 구축이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기후변화 부문의 경우, 기후변화가 전 지구적인 배출량에 영향을 받는 현상이어서 국내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미치는 영향은 미약하다. 따라서 기후변화 현상은 한국의 통합환경모형 내에서 내생적으로 결정된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기후변화 정보를 직접 산출하는 기후변화 부문을 구축하는 대신, IPCC에서 제공하는 RCP 시나리오의 기후정보 추정치를 활용하기로 하였다. 영향부문의 경우, 프로그램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 문헌에서 자주 언급되는 대기질 모형 CMAQ, 수질 모형 QUAL2K 및 WASP를 통합환경모형 부문별 모형 후보로 선정하였고, 이들 모형과 배출부문을 구성하는 일반균형모형과의 연계가능성을 점검하였다. 검토 결과 두 부문 모형과 배출부문 모형을 연계하는 연계모듈이 별도로 필요하고, 배출부문은 오염원별로 세분된 국가 배출량 추정기능을 구비해야 함을 파악하였다. 대기질 모형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배출원-기초지자체별로 세분된 연간배출량 자료가 필요하였고, 동시에 좌표 수준의 개별 점 오염원의 위치, 점 오염원의 물리적 특성, 좌표 수준의 식생 및 지목정보가 필요하였다. 그리고 수질 모형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수력학적 특성이 일정한 소구역 단위로 분할된 비점 오염원 수질오염물질 배출 부하량, 개별 점 오염원 수준으로 분할된 점오염원 수질오염물질 배출 부하량, 좌표 수준 개별 점 오염원의 위치정보가 필요하였다. 반면, 배출부문을 구성하는 일반균형모형으로는 광역지자체의 연간배출량까지는 추정이 가능하나, 그 이상으로 지역적으로 세분된 배출량은 추정 불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통합환경모형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배출부문은 배출원별로 국가 및 광역자치단체 배출량을 추정할 수 있도록 조정되어야 하고, 배출부문의 추정치를 수질 및 대기질 모형의 분석단위로 분할하고 점 오염원의 좌표 수준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연계모듈이 별도로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통합환경모형은 중장기 전망을 목적으로 하므로, 연계모듈은 이들 지역적으로 세분된 배출량 및 배출원의 위치에 대한 중장기 전망을 수행하는 난제를 소화해야 함을 파악하였다. 단순모형 구축과 관련해서는 배출부문의 배출량 추정 기능을 기존의 산업배출량에서 비산업 배출량으로 확장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강성원 외(2013)에서 활용한 배출부문 일반균형모형에 가계의 차량운용 및 주거에너지 소비와 관련된 온실가스 배출량 및 가계의 차량운용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추정 기능을 강화하였다. 이렇게 강화된 모형으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전망하였고, 정책실험의 일환으로 탄소세 도입 시파급효과를 점검하였다. BAU 시나리오에서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연 1.8%,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연 3.2~3.3%, 수질오염물질 배출부하량은 연 1.9~2.1%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탄소세는 2020년 이후 온실가스 배출량을 BAU의 70%로 유지하는 수준으로 도입하였고, 생산자에만 과세하는 경우와 가계의 소비 과정에서 발생한 온실가스에도 과세하는 경우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계의 소비 과정에서 발생한 온실가스에 탄소세를 부여하면 총배출량 감축 성과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소비조합을 저탄소화하는 효과는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탄소세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BAU의 2.9~12.6% 감축하는 효과는 있었으나, 수질오염물질 배출부하량을 억제하는 효과는 미미하였다. 이는 탄소세로 인해서 산출이 증가하는 산업이 주로 경공업이고, 이들 산업이 산출량 증가에 따른 수질오염물질 배출부량 증가량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으로 파악되었다. In this report, we build up a Korean Integrated Assessment Model following IAM roadmap from Kang et al. (2013). According to Kang et al. (2013) roadmap, our IAM has two versions-The Big model and The Simple model. The Big model consists of structural form equations for four modules-Emission-Cycle-Climate Change- Effect-consisting IAM. The Simple model shares Emission module with The Big model, but for other modules, it has reduced form equations mimicking The Big model counterpart. For The Big model, this report checked the links between modules. And for The Simple model, this report expanded the emission forecasting from industrial emission to non-industrial emission. For The Big model, the roadmap requires to map out linking strategy between modules and list up required adjustments of each module for the linking in the first year. We checked if the output of one module can be used as input data for other modules, and if not, what adjustments should be done to match them. We focused on the links between Emission and Climate Change, Emission and Air Quality in Effect module, and Emission and Water Quality in Effect module. Regarding Climate Change module, we decided to replace the module with IPCC RCP scenario climate estimates. Since Climate Change is global phenomenon, Korean GHG emission wouldn``t have much effect on Korean Climate. The Korean Climate, therefore, couldn``t be determined endogenously within Korean IAM model. So, we replaced Climate Change module with reliable forecasts. In Effect module, we choose widely used in Korean environmental researches and open-source models as our potential candidates-CMAQ air quality model, QAUL2K water quality model, and WASP water quality model. And we checked if these models can be linked with our Emission module based on national CGE model. We found that standalone linking modules connecting air quality model and CGE model, and water quality model and CGE model are needed respectively. And the Emission model should be modified to produce National and Large Cities and Locals emission estimates from each emitter in official pollution statistics. Both air quality model and water quality model needs emission data disaggregated to very finely determined grid, and exact location of point emitters. But CGE model cannot produce smaller than Large Cities and Locals level emission estimates. So, a linking module which can disaggregate emission estimates from CGE model to be used in air quality model and water quality model, provide location of point emitters, and predict the evolution of the composition of emission and the location of point emitters in the medium and long term is required. For The Simple model, we expanded the emission forecast coverage from industrial emission to household emission-especially the emission from household auto-drive and housing. With this model, we estimated GHG , Air pollutants, and Water pollutants emission up to 2030. We also analyzed the effect of carbon tax. Without carbon tax, GHG emission would increase by 1.8%/yr, Air pollutants emission would increase by 3.2~3.3%/yr, Water pollutants emission by 1.9~2.1%/yr Our carbon tax was set to keep GHG emission under 70% of BAU emission from 2020 on. In this report, we concentrated on the effect of the carbon tax on household emission. We found that the carbon tax on household wouldn``t make much difference in total emission, but it would promote low-carbon household consumption. Also we found that carbon tax would cut down Air pollutant emission by 2.9~12.6% of BAU emission, but it wouldn``t cut down Water pollutant emission much. This results may suggest that the carbon tax would promote less energy intensive industries, which tends to have higher water pollutant emission.

      • KCI등재

        TV 드라마 <킬미, 힐미>에 나타난 정신병리학적(精神病理學的) 모티프 연구(硏究)

        강성애(姜聖愛) ( Kang Sung-ae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2

        드라마 <킬미, 힐미>의 남자 주인공 차도현은 다중인격장애를 앓고 있는 재벌 3세이다. 이 글은 주인공을 중심으로 <킬미, 힐미>에 나타난 정신병리학적 모티프를 분석한다. 도현의 가족들은 모두 자본의 노예들로 도현을 탄압한다. 도현은 가족을 위해 회사에 도움이 되는 모습만을 지니며 살아간다. 고등학생이 되자 결국 도현이 억압한 부분들이 인격의 모습을 띄고 도현에게 돌아온다. 도현은 인격들과 화해하며 그들을 인정하기 시작한다. <킬미, 힐미>는 도현의 질병이 완전히 나은 상태로 끝나지 않는데 이는 언제든지 도현의 인격들이 돌아올 것을 의미하고, 그것은 도현이 자유로운 정체성을 획득했음을 상징한다. 즉, 이 드라마는 표면적으로는 인격들이 사라지고 도현이 평화를 찾으면서 해피엔딩을 이룬 것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고정된 정체성을 고집하며 살았던 도현이 유동적인 정체성을 획득하면서 해피엔딩을 이루었다. 리진의 사랑만으로 도현이 치유를 받은 것은 아니다. 도현은 리진을 강제 휴직시키는 등 강압적인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런 모습을 통해 리진은 승진을 위해 희생당한 피해자의 모습도 띄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ha Do Hyun, the male protagonist in TV drama < Kill me, Heal me > is the generation of conglomerate who is suffering multiple-personality disorder. This article analyzes psychopathological motif seen in < Kill me, Heal me > mainly on the basis of protagonist. As the slaves of capital, all family members of Do Hyun oppress Do Hyun. Do Hyun lives bearing only the feature helpful to company for family. When he becomes a high school student, the parts oppressed by Do Hyun eventually return to Do Hyun, bearing the feature of personality. Do Hyun’s disease is caused, because Do Hyun attempts to have fixed identity. Meeting the female protagonist Origin, Do Hyun begins to be healed. Rigin tells Do Hyun that Do Hyun should affirmatively accept personalities, because all of them are also part of himself. Reconciling with them as he is told by Rigin, Do Hyun begins to accept them. < Kill me, Heal me > does not end with complete convalescence with Do Hyun’s disease, which means that Do Hyun’s personalities may return anytime. This symbolizes that Do Hyun acquires free identity. Namely, this drama seems to make happy ending as personalities superficially disappear and Do Hyun acquires peace. In fact, however, Do Hyun who actually sticks to fixed identity realizes happy ending as he acquires liquid identity. Do Hyun is not heled only with Rigin’s love. Receiving considerable amount of money, Rigin becomes Do Hyun’s attending physician, knowing that she is in slavery contract. They fell in love thereafter. Do Hyun uses co ercive method, e.g., coercively laying off Rigin. Such scene implies that Rigin bears the feature of victim who sacrifices only for promotion. Then, this drama shows that love is also built on the basis of desire for capital.

      • KCI등재후보

        동반된 양성 갑상선 질환에 따른 갑상선 유두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강성이,박진우,김동주,Sungyi Kang,Jin-Woo Park,Dongju Kim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14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14 No.2

        Purpose: Thyroid papillary carcinoma is the most common endocrine tumor. There are many known factors affecting the pathophysiology of papillary carcinoma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deter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pillary carcinomas with other benign pathologies. Methods: From May 2007 to December 2012, a total of 994 patients underwent thy-roidectomy and were diagnosed as papillary carcinomas.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using medical records. We categorized them according to five groups depending on associated benign disease, Papillary carcinoma with Graves disease (Group 1), Multinodular goiter (Group 2), Hashimoto thyroiditis (Group 3), Multinodular goiter and Hashimoto thyroiditis (Group 4), and Papillary carcinoma only (Group 5), and we performed a comparison analysis. Results: T and N stage of group 2 were lower than those of group 5 and T stage of group 3 was lower than that of group 4. T and N stage of group 4 were lower than those of group 5 and extrathyroidal extension rate of group 4 was lower than that of group 5. Conclusion: Papillary carcinomas have variable clin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underlying benign thyroid disease. Conduct of advanced research regarding the mecha-nisms of the effect of benign thyroid disease on papillary carcinomas is needed.

      • KCI등재
      • KCI등재

        행정이론 생산양식의 이동

        강성남(姜聖男) 한국정책과학학회 2018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2 No.2

        이론은 맥락의 자식이다. 맥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기존의 이론생산양식을 고수하기엔 이론의 유용성이 크게 손상된다. 강한 통섭력을 지닌 이론을 만들어내는 일은 이론의 설명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론생산양식의 내용에 커다란 변화가 예상된다. 빅 데이터, 인터페이스혁명, 복잡성과학은 새로운 행정이론 생산양식으로의 이동을 추동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행정이론 생산양식을 위한 과제가 제시된다. 첫째, 실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 둘째, 방법론에 대한 새로운 통찰이 요구된다. 셋째, 새로운 연구정향을 정립해야 한다. 끝으로 복잡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해야 한다. 이를 토대로 세계관, 인식론 존재론, 방법적 논리, 연구방법, 연구초점 및 발견, 이론형성의 성격을 새롭게 정립해야 할 것이다. Theories are children of context. In a context where the context is rapidly changing, the usefulness of theory is severely compromised to adhere to existing theoretical production mode. Creating a theory with strong power is closely related to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theory. A major change is expected in the content of the theoretical production mode. Big Data, Interface Revolution, and Complexity Science are driving the shift to a new administrative theory of production. Thus, the tasks for a new administrative theoretical production mode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a new awareness of reality is needed. Second, new insights into methodology are required. Third, we need to establish new research orientations. Finally, we must deepen our understanding of complex systems. Based on this, we need to newly establish the view of world, epistemology, methodological logic, research method, research focus and discovery, and the formation of theory.

      • KCI등재

        8세기 60년대 초반 당 · 발해 · 신라를 잇는 교통로에 대한 고찰

        강성산(姜成山) 고구려발해학회 2018 고구려발해연구 Vol.60 No.-

        8세기 60년대 초반에 당나라 사신 韓朝彩가 일본승려 戒融을 발해에 바래다주고 그 안부 확인 차 신라에 들어간 사실이 『續日本記』에 수록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그 부분적 노선을 동시대 賈耽의 『道里記』에 수록되어 있는 내용과 연관시켜, 그가 경유한 唐 登州, 渤海, 新羅를 이어주는 교통로에 대해, 최근 고고 자료와 위성지도를 활용해 복원해보고자 했다. 본 주제와 관련해, 발해교통로 등 선행 연구에서 이미 적지 않게 언급된바 있지만, 한조채의 구체적인 사행 노선과 가탐의 『도리기』를 결합시켜, 그 경로를 체계적으로 복원하고자 한 시도는 없었던 것 같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를 비판적으로 수용해, 그에 기초하여 한조채의 대략적인 출사 경로를 복원해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당 등주에서 발해에 이르는 경로, 그리고 발해부터 신라까지의 노선, 신라에서 당에 이르는 노선으로 나누어 살폈다. 한조채의 출사 경로는 발해나 신라 혹은 일본 등 특정 1國 출행이 아니라, 세 나라를 모두 아우르는 사행이었다. 그러므로 한조채 사행에서 남긴 자료에는 훗날의 발해, 나아가 신라 관련 지리 정보가 적지 않게 담겨 있어, 가탐의 『도리기』에도 그 흔적을 남겼고, 또한 9세기에 정립된 발해 교통로에도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