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타자 개념

        강선형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23 인간연구 Vol.- No.51

        이 논문은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타자 개념 사이의 차이를 탐구한다. 두 사람은 타자 개념을 자신의 철학의 중심 개념으로 삼았던 철학자들인데, 서로 간의 긴밀한 교류 속에서도 양자의 사유는 하나의 합치점을 찾지 못했다. 이 논문은 양자의 좁힐 수 없는 차이 속에서도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타자 개념을 함께 사유함으로써 타자에 대한 사유의 의의를 밝힌다. 이를 위해 먼저 데리다가 「폭력과 형이상학」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후설과 하이데거 뒤에 레비나스를 놓는지 살펴보고, 레비나스가 이러한 데리다의 비판에 대해 어떻게 답하게 되는지를 존재와 달리 또는 존재성을 넘어 를 통해 드러낸다. 그리고 이후 레비나스 사후에 발표된 데리다의 아듀 레비나스에서 데리다가 어떻게 레비나스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유지하면서 함께 나아가고자 하는지 다룬다. This paper explor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ncepts of “the other” in the philosophies of Levinas and Derrida. Both philosophers have placed significant emphasis on the concept of “the other” in their works; however, despite their close intellectual engagement, their thoughts have not reached a singular point of convergence. This paper aim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inking about “the other” in the philosophies of Levinas and Derrida by considering them together, despite their inherent and irreconcilable differences. To achieve this goal, the paper first examines how Derrida places Levinas within the philosophical traditions established by Husserl and Heidegger in “Violence and Metaphysics.” It then examines Levinas’ responses to Derrida’s critiques, as presented in his work Otherwise Than Being. Additionally, the paper explores Derrida’s attempts to further the discourse on Levinas, while simulta- neously upholding his own perspective on evinas, as demonstrated in his work Adieu to Emmanuel Levinas, which was published after Levinas’ passing.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reconsider the significance of thinking about “the other” in the present day.

      • 위의 인환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에서 내시경적 절제술: 가능성과 한계점

        강선형,정현용,Sun Hyung Kang,Hyun Yong Jeong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18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Vol.6 No.2

        Gastric signet ring cell carcinoma (SRC) is a poorly differentiated or undifferentiated cancer of the stomach. However, early gastric SRC showed lower LN metastasis in many studies, thus some endoscopists now regard early gastric SRC as a candidate for endoscopic treatment. But there are unsolved problems of the validity of endoscopic resection in early gastric SRC. In this review, we will comprehensively review the previous clinical studies and discuss the limitation of current studies and the possibility of endoscopic resection of early gastric SRC.

      • KCI등재

        아메드, 니체, 들뢰즈에서 행복과 우연성의 문제

        강선형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3 철학탐구 Vol.69 No.-

        This paper examines Sara Ahmed’s critique of the concept of happiness and it’s temporality of ‘what would come after.’ Ahmed challenges the traditional notion of happiness and highlights its contingency. This paper illustrates how the affirmation of contingency can be discussed in relation to Nietzsche and Deleuze, whom she both references and distances herself from. Like Nietzsche, Ahmed identifies the fallacy of the causal way of thinking that associates happiness with external factors. She emphasizes that the feeling of happiness is actually a habitual expectation. Often, we simply “expect” that something that has made us happy in the past will bring us happiness again. Although the temporality of happiness is not necessary, it takes the form of a promise that happiness will come after certain actions, based on a specific image of happiness promoted by society. Ahmed aims to completely s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t and the future, specifically the notion of happiness as a future goal. We do not act to achieve a happy future, we simply act, and the future, independent of the present, is left entirely th chance. This affirmation of contingency can also be found in Deleuze’s philosophy. By studying the affirmations of contingency of Ahmed, Nietzsche, and Deleuze, this thesis reveals how the affirmation of life itself can be achieved, rather than through the pursuits of happiness. 이 논문은 행복의 정향성(orientation)과 ‘뒤따라오는 것(what would come after)’이라는 시간성에 대한 사라 아메드(Sara Ahmed)의 비판을 살펴보고, 아메드가 전통적인 행복 개념을 비판하고 행복의 우연성을 긍정하기 위해 참조하면서 동시에 거리를 두고 있는 니체와 들뢰즈에게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우연성에 대한 긍정이 이야기 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아메드는 어떤 대상이 나에게 행복한 느낌을 준다는 인과적인 사고방식을 니체와 함께 지적하면서, 그것은 사실 습관적인 기대일 뿐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종종 행복을 주었던 어떤 것에 대해 다시금 행복을 줄 것이라고 단지 ‘기대’할 뿐이라는 것이다. 행복의 뒤따라온다는 시간성은 이렇게 결코 필연적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사회가 부여하는 행복에 대한 특정한 이미지를 통해 ‘이렇게 저렇게 할 때 뒤따라 올 수 있다’는 약속의 형태로 자리 잡는다. 아메드는 현재라는 시간과 이러한 목표로서의 행복, 즉 미래와의 관계를 완전히 끊어내고자 한다. 우리는 우리가 희망하는 행복한 미래를 위해 무언가를 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하는 것이며, 미래는 현재와의 무관계 속에서 전적으로 우연에 내맡겨지게 된다. 그리고 이 우연성에 대한 긍정은 곧 니체와 들뢰즈의 철학을 마주하게 된다. 이 논문은 아메드와 니체, 그리고 들뢰즈의 우연성에 대한 긍정을 탐구함으로써, 행복을 통한 삶의 긍정의 방식이 아니라 삶 그 자체에 대한 긍정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탐구한다.

      • KCI등재

        영화의 사운드와 자유간접적 역량

        강선형 한국미학회 2022 美學 Vol.88 No.2

        이 논문은 들뢰즈가 두 권의 방대한 영화에 관한 저서를 써내려가면서 마지막 부분에 이르기까지 남겨두었던 영화의 사운드의 문제를 다룬다. 그는 『시네마Ⅱ: 시간-이미지』의 9장에서 이전까지 이미지를 중심으로 전개해왔던 운동-이미지로부터의 시간-이미지로의 이행 과정을 사운드의 관점에서 새롭게 풀어내는데, 결국 이 과정은 운동-이미지에서 시간-이미지로 이행하면서 시간-이미지가 얻게 되는 자유간접적 역량(puissance de l’indirect libre)을 사운드 또한 가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록 들뢰즈가 운동-이미지의 영화와 시간-이미지의 영화를 ‘나쁜 영화’와 ‘좋은 영화’로 구분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시간-이미지에 이르러 새롭게 얻게 되는 영화의 역량은 그의 영화 이론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들뢰즈가 어떠한 방식으로 영화의 사운드에 접근하고, 어떻게 그로부터 사운드가 시간-이미지와 동등한 역량을 발견하는지 다룸으로써, 그 동안 들뢰즈의 영화론 가운데 주목되어오지 못했던 영화의 사운드에 대한 탐구의 중요성을 밝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