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산강 배수갑문 및 연락수로 제수문 운영 기준 정립에 관한 고찰

        박지성 ( Jisung Park ),김진환 ( Jinhwan Kim ),이재남 ( Jaenam Lee ),석만 ( Seokman Kang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1982년 준공된 영산강하구둑은 설계 당시 영산강 하구호 구간이 대부분 미개수 상태였으나 현재 일부를 제외한 전 구간에 걸쳐 제방이 축조되어 제내지로 편입이 되고, 상류부 토사유입으로 인한 영산호 내용적 감소, 평균해면 상승, 기상요인의 여건 변화로 배수갑문 확장에 따른 효율적 물관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경제사회의 급격한 발전과 주변 환경의 많은 변화가 있었고, 당초 계획 때 보다 확률강우량이 증대되고, 담수호가 축조된 지 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퇴적으로 인한 내용적 감소현상이 나타나는 등 수문조건이 변화하였다. 또한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일환으로 영산강 본류에 건설된 승촌보와 죽산보로 인해 보 건설 전의 영산강 하류의 유황 변경 및 영산강 구조개선사업에 따른 기존에 운영하던 영산호, 영암호 및 금호호의 새로운 배수갑문과 제수문 운영 방법을 제시해야하는 상황이 도래하였다. 따라서 수자원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서는 최근 수문조건과 하천구조물의 신설 등을 고려한 전반적인 수문해석과 수리계산 재검토가 필요하며, 물수지 결과에 따라 수자원의 최대 활용방안을 강구함과 동시에 수위관리 등 이상적인 담수호 운영 방안에 대한 검토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산호, 영암호 및 금호호의 배수갑문과 제수문 운영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먼저 현장조사 및 현장 실무자들의 의견으로 배수갑문 인근 해역의 김양식장 및 기타 어업인의 안정적인 생산활동을 반영하여 배수갑문 개방 순서를 금호배수갑문, 영암배수갑문, 영산강하구둑 기설배수갑문, 산이배수갑문, 영산강하구둑 신설배수갑문 순으로 설정하였으며, 상류부에서 유입되는 유입량을 빈도별, 죽산보 방류량별 사례를 검토하여 관리수위를 기준으로 배수갑문 개방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빈도별, 죽산보 방류량별 시뮬레이션에 따라 영산호, 영암호, 금호호의 수위변화를 산정하여 유입량에 따른 배수갑문 운영사례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운영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영산강 통합물관리시스템 사업이 진행되어 계측기 설치 등을 통해 과학적인 운영기준이 정립되기 전까지 영산강 현장에서 유용하게 이용 될 것이다.

      • KCI등재

        척골 주두 골절에 대한 이중 긴장대 강선 고정술

        석 ( Suk Kang ),황정수 ( Chung Soo Hwang ),정필현 ( Phil Hyun Chung ),김영성 ( Young Sung Kim ),정진욱 ( Jin Wook Chung ),김종필 ( Jong Pil Kim ) 대한골절학회 2008 대한골절학회지 Vol.21 No.2

        목적: 척골 주두 골절 중 주두 근위 1/3 부위를 포함하는 분쇄 골절에 대해 이중 긴장대 강선 고정술을 시행하고 임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척골 주두 분쇄 골절 중 근위 1/3 부위를 포함한 골절에 대해 이중 긴장대 강선 고정술을 시행하고 10개월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의 분류는 골절이 주두 관절면 근위 1/3만 침범한 경우가 2예, 근위 및 중위부를 포함하는 골절이 6예, 원위 1/3까지 골절선이 연장된 경우가 1예였다. 골유합 시기와 방사선학적 변형의 정도, 관절면 간격, 정복 소설, 고정 핀의 이동 및 최종 추시상 주관절 동통, 운동 범위, 합병증, 기능적 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예에서 부가적 수술 없이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유합 시기는 평균 10.3주였다. 9예 중 8예에서 해부학적 정복을 얻었으며 1예에서 1 ㎜의 관절면의 계단 변형을 보였다. 총 36개의 고정 핀 중 원위부에 위치한 핀 18개 중 1개가, 근위부에 위치한 핀 18개 중 2개가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정복소설은 없었으며, 원위부에서 핀이 이동한 1예에서 피부 자극이 있어 조기 핀 제거가 필요하였다. 관절의 평균 운동범위는 굴곡 구축 3.3도, 후속굴곡 137.8도였으며, 기능적 평가상 8예에서 우수, 1예에서 양호의 결과를 보였으며 불량의 결과는 없었다. 결론: 척골 주두 근위부를 포함한 분쇄 골절에서 이중 긴장대 강선 고정술은 심각한 핀 문제 없이 충분한 고정력으로 골유합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double tension band wiring for communited olecranon fractures involving proximal 1/3.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9 cases of communited olecranon fractures involving proximal 1/3 treated with double tension band wiring followed for minimum 10 months. There were 2 cases of olecranon fractures involving only proximal 1/3, 6 cases of olecranon fractures involving from proximal 1/3 to middle 1/3 and 1 case of olecranon fractures involving from proximal 1/3 to distal 1/3. We analyzed the bone union time, radiologic results for gap, reduction loss, pin migration, pain, range of motion, complications and functional outcomes at last follow up. Results: All patients had solid bone union without additional surgery and average union time was 10.3 weeks. Anatomical reduction could be obtained in 8 of 9 cases but there was 1 mm step off in one case. 36 pins were used to fix the fractures, 1 pin of 18 distal pins and 2 pins of 18 proximal pins were migrated to backward but there was no reduction loss. Only 1 distal pin needed early removal due to skin irritation. Average range of motion ranged from flexion contracture 3.3˚ to further flexion 137.8˚. On functional analysis, we got 8 cases of good result, 1 case of fair result and there was no poor result. Conclusion: Double tension band wiring for comminuted olecranon fracture involving proximal 1/3 was concluded to give a firm fixation of the fracture site as bone union could be acquired without serious pin problems.

      • 단부객차대차의 정적강도 및 피로강도 평가

        조우(Cho Woo-Kang),한성욱(Han Sung-Wook),송시엽(Song Si-Yeop),박근수(Park Guen-Soo),박형순(Park Hyung-Soon) 한국철도학회 2007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A bogie frame is typical safty part of railway vehicle. Main performance of a bogie frame is to support a car body and passenger weight and transfer traction and braking force.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static strength and fatigue strength for the end trailer bogie with UIC 615-4 code. Therefore stress analysis of the end trailer bogie frame has been performed for various loading condition according to the UIC 615-4 code and haigh diagram is used for evaluation of fatigue strength. By the results of these analysis, static and fatigue strength of the end trailer bogie is satisfied with a applied criter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미래사회에 대비한 유아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상(Kang, sang),류경희(Ryu, Kyung-hee)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미래사회의 변화와 유아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I시와 J시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88명이다. 유아교사의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인식 및 유아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인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문항별로 빈도,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미래사회에 대비한 유아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의 방안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수준은 중간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래사회에 대비한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의 방안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먼저 의사결정능력 중 가장 필요한 능력으로는 ‘정서활용능력’, 교육활동으로는 ‘상황에 따른 적절한 의사소통 기술을 활용해 볼 수 있는 활동’이라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또한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의 방안으로 ‘교재교구 및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라고 요구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교사연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상황에 적절한 여러 가지 대안을 모으고 최적의 선택을 하는 과정에서 자신을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다양한 교육활동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연수를 통해 의사결정능력과 관련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 교재교구 및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and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ducation to develop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88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I-city and J-city areas. To find out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awareness about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and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frequency, percentage, and average depending on questions were produce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produced to find ou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direction of education to develop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for the future society.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was shown to be positive by and large.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awareness about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was shown to be upper-middling. Lastly, when it came to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direction of education to promote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for the future society, the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emotional literacy’ and ‘ability to use situational proper communication techniques’ were most needed. The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as necessary to develop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lead to the following facts. First, a program development and a related teacher training are needed to improve the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Second, in the process of gathering some situational alternatives and selecting optimal conditions,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to give chances to regulate and control themselves need to be provided. Third, through teacher training, concrete information related to decision-making ability and various teaching materials need to be provided.

      • KCI등재

        Sandler의 그림읽기 절차에 따라 풍속화를 활용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상 ( Sang Ka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Sandler의 그림읽기 절차에 따라 풍속화를 활용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학적 맥락이 있는 풍속화를 선정하여, 그림읽기 절차에 따라 과학활동을 전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I시 S유치원 만 5세 2학급을 선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Sandler의 그림읽기 절차에 따라 풍속화를 활용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andler의 그림읽기 절차에 따라 풍속화를 활용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과학활동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Sandler의 그림읽기 절차를 통한 풍속화 활동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work was intended to investigate how childhood science education genre pictures in Sandler`s picture-reading process affects young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s. To do that, this researcher chose the genre pictures that have the scientific context, conducted scientific activities according to Sandler`s picture-reading procedures, and examined its effects. As study subjects, two classes with young children`s aged five years in S kindergarten in the city of I were chose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conducted with the use of SPSS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education using genre pictures in Sandler`s picture-reading process positively affected young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secondly, the science education using genre pictures in Sandler`s picture-reading process positively affected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competencies. The results showed the applicability of genre pictures using picturereading procedures a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the scientific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통합학급의 사회적 지지가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소외감과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라 ( Mi Ra K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2

        이 연구는 통합학급을 사정할 수 있는 예비척도의 구성요인을 밝히고, 통합학급의 사회적지지가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소외감과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의 학급 적응을 측정하기 위한 통합학급 사정 예비척도의 구성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통합학급의 사회적 지지는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소외감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통합학급의 사회적 지지는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 학생의 자기결정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연구 결과,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EFA)의 베리맥스 회전을 통해 산출된 5개 요인을 가족 관계, 교사지원, 급우관계, 소외감, 자기결정행동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높은 신뢰도 수준을 나타내었고,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이 확인되었다. 모델부합도에서도 적합성이 확인 되었다. 둘째, 소외감(역채점)의 높은 점수는 실제로 낮은 소외감으로 해석되는데, 소외감과가족관계, 교사지원, 급우관계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 가족관계와 급우관계가 소외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그 중 급우관계가 소외감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셋째, 자기결정행동과 가족관계, 교사지원, 급우관계 간에는 모두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 교사지원과 급우관계가 자기결정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독립변수 중에서 급우관계가 자기결정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주었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Inclusive Classroom Assessment Scale, and the effect of inclusive classroom-related social support on the sense of alienation and self-determined behavior of undergraduate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ilitie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FAs with principal components extraction and Varimax rotation were performed to derive the most optional structural representation of the data in each sample. Five factors were named family, teacher, classmates, alienation and self-determined behavior. Cronbach``s α derived from this sample were .893 for 23 items(.809≤α≤.893). The measurement model was characterized by adequat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goodness of fit of measurement model were favorable.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 sense of alienation with family and classmates. And, inclusive classroom-related social supports, which are family and classmates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sense of alienation. Thir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determined behavior with family, teacher, and classmates. And, teacher and classmates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 on self-determined behavior. Finally,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