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협업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연구

        김선주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3

        The Study on the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to Collabor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ur education is at an urgent point to change into a talented person training program to cope with the future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about collaboration, one of the important competencies that college students should ha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raining programs for strengthening collaboration capabilities and to help students to operate their curriculum to enhance their collaboration capabilitie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collabora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407 college students in Seoul, Gyeonggi area, A, B, and C colle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less than five times of collaboration experience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all respondents, indicating that our college students lacked the ability to collaborate. Therefore, in order to cultivate the capacity to liv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fulfill its role as a successful worker, I think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in universities. In the form of collaborative participation, we found that our students tend to be sincere and actively involved in collaboration. However, because of the inconvenience of collaboration, 'stress due to unfaithful team members' is the highest.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responsibility education, communication ability, leadership education should be given priority for the performance of collaboration. Second, as more collaborative experience, more involvement as a leader, and more positive experience as a collaborator were found, the perception of collaboration necessity was higher.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instructor to create a collaborative environment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o plan for a positive and positive experience. Third, the more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effect of collaboration, the higher the mutual trust, the higher the necessity of collabo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elp the students to acquire the effect of collaboration by creating a positive experience environment for collaboration. To develop college students' ability to collaborate, education for competency development should be promoted in the operation of university curriculum. In addition, the role of teachers as assistants and motivator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students perceived the perception of the collabo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plan and operate collaborative programs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contribute to enhance collaboration performance. 협업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연구김선주(성신여자대학교)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우리 교육도 미래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인재 양성 교 육으로 변화해야 할 시급한 시점에 놓여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중요 역량 중 하나인 협업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협업 인식을 토대로 하여, 협업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과 협업 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목 운 영에 도움이 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A, B, C 대학의 대학생 407명의 자료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업을 경험한 횟수가 5회 미만인 학생이 전체 응답자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 리 대학생들의 협업 역량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4차 산업 혁명시대를 살아가는 데 필 요한 역량을 기르고 성공적인 직장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협업의 기 회를 증가시켜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협업 참여 형태에서는 우리 학생들이 협업을 할 때 주로 성 실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협업이 불편한 이유로 ‘불성실한 팀원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협업의 성과를 위해 자신의 역할 수 행에 대한 책임감 교육과 의사소통 능력, 리더십에 대한 교육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둘째, 협업 경험이 많을수록, 리더로 참여할수록, 협업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이 있을수록 협업 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자가 교육현장에서 협업 환경을 만들어주고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경험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셋째, 협업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상호간 신뢰가 있을수록 협업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협업에 대한 긍정적 경험 환경조성으로 협업의 효과를 스스 로 체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학생들의 협업 역량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대학의 교육과정 운영에서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을 증진시켜야 한다. 또한 조력자, 동기부여자로서 교수자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 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혐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초 록35협업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협업 프로그램을 계획,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며 협업의 성과를 높이는데 일조 할 수 있을 것이다.

      • SCOPUSKCI등재

        칼만증후군 (Kallmann s Syndrome) 2예

        김선주,오도연,허갑범,이현철,조용욱,황성규,한세환 대한내분비학회 1990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5 No.4

        Kallmann's syndrome is congenital, often familial, defect in GnRH secretion involving both sexes and can be associated with midline cranio-facial defects. The mode inheritance has not been fully elucidated, and the defect in patients with Kallmann's syndrome occurs at a suprapituitary level involving mechanisms that regulate GnRH synthesis or release. The successful stimulation of spermatogenesis and fertility are enabled to administration of gonadotropin or pulsatile GnRH. We have experienced 2 patients with Kallmann's syndrome and presented cases wit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J Kor Soc Endocrinol 5:308 313, 1990).

      • KCI등재

        농업용수 정량화를 위한 경제적 수위계측망 설계

        김선주,권형중,김일정,김필식,Kim, Sun Joo,Kwon, Hyung Joong,Kim, Il Jung,Kim, Phil Shik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8 No.5

        This study was to design the optimal locations of the water level monitoring to quantify the agricultural water use in irrigation area supplied from an agricultural reservoir. In most of agricultural areas without TM/TC (Tele-Monitoring and Tele-Control) or monitoring network, irrigation water have been supplied on conventional experience and agricultural reservoir have been operated based on the operating simulation results by HOMWRS (Hydrological Operation Model for Water Resources System). Therefore, this study quantified the amount of agricultural water use in an irrigation area (Musu Reservoir, Jincheon-gun) by establishing water level monitoring network and analyzed the agricultural water saving effec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the economic values for water saving effect, the saving agricultural water of 1.7 million ton was analyzed to have economic values of 0.85 million won as water for living, and 1.78 million won as water for industrial use. It is identified to secur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new water monitoring network by establishing one monitoring point in the entrance, irrigation area and endpoint through the economic analysis.

      • 한국 기복 (祈福) 상징의 가치 제고를 위한 장신구 개발 연구 : 시나리오 모델 기반을 중심으로

        김선주 한국귀금속보석학회 2013 한국귀금속보석학회지 Vol.7 No.1

        사람은 누구나 행복하기를 원하며, 행복의 정서적 가치를 중요시 한다. 이러한 행복은 전통 기복사상에서 비롯된 표상으로써 복(福)에 대한 인간의 소망과 염원은 예부터 민간 층에 뿌리 깊게 자리 잡아 사회문화 전반에 영향을 끼치며 민족적 정서를 나타내었다. 한국 기복사상의 대표적인 유형은 수(壽), 부(富), 귀(貴), 다남(多男)으로 나눠지며, 기복사상이 반영된 상징은 인간이 추구하는 염원의 목적에 따라 그 의미를 함축하여 표현한 수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 상징적 요소로 활용되었다. 특히 장신구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지속적으로 기복적 주술 기능을 갖춤으로써 인간의 정서적 가치를 만족시키고 있으며, 그 가치를 바탕으로 더 나은 장신구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세스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인간의 정서적 가치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신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한국 기복사상의 상징을 소재로 하였다. 그리고 그 가치 유형에 따라 상징 요소를 유닛화하였으며, 착용자가 추구하는 행복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시나리오 모델 기반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즉, 복을 추구하는 인간의 본능이 내제된 한국 기복사상을 바탕으로 모든 사람들이 쉽게 공감하고 기억할 만한 장신구로써 정서적 가치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신체상이 폭력비행에 미치는 영향 - 성별, 학교 급별을 중심으로

        김선주,김영희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시민인문학 Vol.24 No.-

        본 연구는 성별, 학교 급별, 또래애착, 신체상이 청소년 폭력비행에 미치는 영 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6, 중2, 고2 남녀학생 856명이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별에 따라 또래애착은 여학생이 , 신체상과 폭력비행은 남학생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학교 급별에 따라 또래소외감과 부정적신체 상은 초 6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폭력비행의 신체폭력, 기물파괴, 금품갈취 모두 고2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폭력비행과의 상관은 남학생이, 학년 이 올라갈수록, 또래와의 낮은 신뢰감과 의사소통, 높은 소외감, 신체상이 부정 적일수록 더 높은 상관을 보였다. 넷째, 폭력비행에 대해 성별(남학생), 또래애착 (소외감), 신체상(긍정적, 부정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 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남학생 폭력비행의 증가와 심각성을 알 수 있었으며, 신 체상과 청소년 폭력비행과의 높은 연관성을 입증해 주었다. 끝으로 연구가 갖는 의미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effects of sex, class, peer attachment and body image of youths on juvenile violence misbehaviors. The subjects were 856 Grade 6 elementary school, Grade 2 middle school and Grade 2 high school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er attachment was higher in girls and body image and violence misbehaviors were higher in boys. Second, peer alienation and negative body image were the highest among Grade 6 elementary school students. Physical violence, vandalism and rip off of violence misbehaviors were highest in Grade 2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correlation with violence misbehaviors was higher in boys, higher grades, those who had lower trust and less communication with peers, higher sense of alienation and negative body image. Fourth, sex (boys), peer attachment (sense of alienation) and body image (positive/negativ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violence misbehaviors. Such study results showed the increase and the seriousness of male violence misbehaviors and proved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body image and juvenile violence misbehaviors. In the final section, the meaning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proposals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