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부모화와 자아분화에 따른 군집별 차이

        김희주,선혜연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ification and self-differentiation of college student.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84 college students, and two-stage cluster analysis, cross tabul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a posteriori test were carried out. Cluster 1 was termed the ‘high parentification-low differentiation’, Cluster 2 was termed the ‘low parentification-high differentiation’, Cluster 3 was termed the ‘average parentification-average differentiation’, Cluster 4 was termed the ‘destructive emotional parentification-regression·cut off’.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from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clusters based on birth order, past family type, current family type, family form,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parentification and self-differentiation in the study of college students, and the need for differential diagnosis and discrimination in college counseling by classifying clusters for actual college students. Lastl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화와 자아분화에 따라 어떤 군집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각 군집의 특성을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전북, 대전·충청 소재의 대학생 484명을 대상으로 부모화 척도와 자아분화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군집분석,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화와 자아분화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4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군집1은 부모화가 모두 높고 자아분화가 모두 낮은 ‘고부모화-저분화형’, 군집2는 부모화가 모두 낮고 자아분화가 모두 높은 ‘저부모화-고분화형’, 군집3은 부모화와 자아분화 모두 평균수준인 ‘평균부모화-평균분화형’, 군집4는 정서적 부모화, 불공평, 자아통합은 높고 정서적 단절과 가족퇴행은 낮은 ‘파괴적 정서적 부모화-퇴행·단절형’이며, 각 군집들은 출생순위, 과거 가정형편, 현재 가정형편, 가족형태, 대학생활적응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상담 현장과 대학생 내담자를 위한 상담 개입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추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하둡에서 데이터 접근 제어 설계 및 구현

        김희주,손시운,길명선,문양세 한국정보과학회 2014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30 No.2

        Many projects have been developed integrating the Hadoop package, a current issue in the research area. Access control technology is one of the leading projects that the research area is focusing on. The access control technology has become necessary, in order to satisfy the needs of the data owners and users, especially with the data rapidly increasing due to internet developments and the growth of smart device us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data access control framework based on 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 (HDFS). The proposed method is composed of the new metadata storage module to manage user's file/directory authority information and the access management module which enables to check the authority of the user permission to create/modify/delete a file. With the design of a data access control framework using the two modules, it allows to provide access control function to users who are using platform of bigdata. The proposed framework is designed inside the Hadoop so that no additional installation is needed from the existing platform, expecting higher utilization in the future. Next, the metadata is changed from the XML format to a database format using the HBase. This method is based on the observation that the XML base metadata structure is difficult to be used in the bigdata structure which consist large amount of data, and for security reasons as it does not save the file inside the Hadoop. As for this, we first design the HBase table structure, and ensure that this works within the Hadoop. Finally, by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portal that can be actually utilized, affirmation is made whether the access control function works correctly within the proposed framework. 최근 여러 분야에서 하둡(Hadoop) 환경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데이터 소유자 및 사용자의 니즈에 의해 접근제어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HDFS(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 하둡분산 파일 시스템) 기반의 새로운 데이터 접근 제어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파일/디렉터리에 대한 사용자 권한 정보를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저장 모듈”과 파일 접근 권한 관리 및 사용자 권한 확인기능을 갖는 “접근 관리 모듈”로 구성된다. 또한, 제안한 프레임워크는 기존 플랫폼에 추가적인 설치가 필요 없도록 하둡 내부에 설계하여 향후 활용도가 높을 것이라 기대된다. 제안한 프레임워크는 먼저 XML 기반 메타데이터로 프레임워크의 정상 동작을 확인하고, 이후 메타데이터를 HBase 기반으로 관리 가능하도록 확장한다. 이는XML 기반 구조가 빅데이터 환경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우며, 단일 XML 파일에서 모든 권한 정보를 관리하면 보안상 위험이 있다는 관찰에 기반한다. 이러한 전체 모듈 구성을 바탕으로 접근 관리 포탈을 설계 및 구현하여 제안한프레임워크의 접근 제어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한다.

      • KCI등재

        코로나19이후 사회 경제적 변화와 청소년 정신건강의 연관성

        김희주,김민혁,민성호,이진희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2 정신신체의학 Vol.30 No.1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according to socioeconomic changes after COVID-19 among Korean adolescent. Methods:Data on the study population were obtained from the 1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S). The KYRBS i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adolescents (aged 12-18 years) that originally included over 103 questions in 15 domains of health-risk behaviors. In the 16th KYRBS, a total 54,948 students from 793 schools responded to the survey.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garding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Results:This study suggests that changes in the family household before and after COVID-19 pandemic are also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the adolescents. The study shows that worse change of family household is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Adolescents reporting worse (AOR 1.38; 95% CI 1.38-1.57) and much worse (AOR 2.07; 95% CI 1.87-2.29)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report depression. Adolescents reporting worse (AOR 1.34; 95% CI 1.34-1.60) and much worse (AOR 2.01; 95% CI 1.76-2.29)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report suicide ideation. Conclusions: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young people from socially disadvantaged backgrounds are at high risk of suicide ideation and more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e should consider improving the screening and prevention of mental health problems for adolescents with poor socioeconomic changes of COVID-19.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들의 코로나19이후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우울 증상과 자살 사고를 조사하는 것이다. 방 법이 연구는 제 16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건강 위험 행동 15개 영역에서 103개 이상의 질문을 포함하는 한국 청소년(12-18세)의 대표 통계이다. 제 16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793개 학교, 총 54,948명의 학생들이 질문에 응답했다. 설문조사는 한국 청소년의 정신 건강과 관련된 코로나19이후 사회경제적 변화에 관한 것이다.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른 우울 증상과 자살 사고에 대해 교차분석과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코로나19이후 가정 경제의 변화가 청소년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했다. 가정의 경제 변화가 나빠졌다고 보고한 청소년은 자살 사고와 우울 증상에 높은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가정 경제의 변화가 나빠졌다고 보고하는 청소년(AOR 1.38, 95% CI 1.38-1.57)과 더 나빠졌다고 보고하는 청소년(AOR 2.07, 95% CI 1.87–2.29)은 우울 증상과 높은 연관성이 있었다. 가정 경제의 변화가 나빠졌다고 응답한 청소년(AOR 1.34; 95% CI 1.34-1.60)과 더 나빠졌다고 응답한 청소년(AOR 2.01; 95% CI 1.76-2.29)은 자살 사고와 높은연관성이 있었다. 결 론이번 연구에서 사회 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의 청소년이 코로나19와 관련된 사회 경제적 변화와 자살 사고및 우울 증상의 연관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이후 사회 경제적 변화가 좋지 않는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 선별 및 개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구조중심 협동학습이 초등학교 4학년의 영어 듣기 이해 및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김희주,정혜영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3 교육과학연구 Vol.3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 instructional method improving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and interests toward English by applying structural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in a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ntroduced the structural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as an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 for learning English, which based on four essential principles of cooperative learning (i.e., Positive interdependence, individual accountability, equal participation, and simultaneous interaction). The strategies were applied for 4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o analyze the effects on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and interests toward English. The results represented that the English classroom with the structural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not only in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tests but in English learning interests tests. Therefore, learning English with the structural cooperative strategies was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and interests toward English.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 교육에서 구조중심 협동학습 활용을 통한 영어 학습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적용하여 영어 듣기 이해의 향상과 영어 학습의 흥미를 높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는 아동들이 제한된 영어 학습 시간에 구조중심 협동학습으로 영어 학습을 함으로써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자연스럽게 생겨나게 하고 적극적으로 영어 학습을 하도록 만드는 학습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협동학습 중에서도 협동학습의 핵심적인 원리인 긍정적인 상호 의존(Positive Interdependence), 개인적인 책임(Individual Accountability), 동등한 참여(Equal Participation), 동시다발적인 상호작용(Simultaneous Interaction)을 강조하는 구조중심적인 방식의 협동학습을 영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아동들이 서로 도와가며 활발하게 상호 작용하게 만드는 영어 학습 활동이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를 적용하여 초등학교 4학년 아동들의 영어 듣기 이해(소리 식별, 적응 기능, 내용 중심 사항 이해, 세부사항 이해, 종합적 이해, 모사 기능) 및 학습 흥미도 향상에 효과적인지 분석하여, 아동의 영어 듣기 학습에 유의미한 학습 방법으로서의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정된 연구 문제를 통해,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활용한 영어 학습을 한 학생들이 영어 듣기 이해 및 영어 학습 흥미도 측면에서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위치한 S초등학교 4학년 한 학급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8주간 8차시에 걸쳐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활용한 영어 학습을 투입하였다.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활용한 영어 학습의 실시 결과, 학생들의 영어 듣기 이해의 사후 검사 평균 점수가 사전 검사보다 높게 나왔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여섯 가지 듣기 이해 기능별(소리 식별, 적응 기능, 내용 중심 사항 이해, 세부사항 이해, 종합적 이해, 모사 기능)로 효과를 검정한 결과 소리 식별 기능과 적응 기능에서는 구조중심 협동학습 활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소리 식별 기능과 적응 기능은 기계적인 반복 연습을 많이 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는 기능이기에 단기간이라는 실험 기간과 협동학습 상황에서는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움을 유추할 수 있다. 반면에 듣기 이해 기능 영역들 중 내용 중심 사항 이해 기능, 세부사항 이해 기능, 종합적 이해 기능과 모사 기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대상 학생들의 영어 학습 흥미도 검사 결과 사후 영어 학습 흥미도 검사 평균 점수가 사전 검사의 그것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활용한 영어 학습은 영어 듣기 이해와 학습 흥미도의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상의 연구 결과는 한 학급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4학년 영어 교과서에 국한된 내용을 가지고 단기간에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으므로 구조중심 협동학습의 효과를 일반화시키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다른 학년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내용과 목적에 맞도록 구조중심 협동학습의 활용 방안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α-Bisabolol을 함유한 PIT Nanoemulsion의 최적화 및 피부흡수연구

        김희주,윤경섭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0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7 No.6

        The skin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epidermis, the dermis, and the subcutaneous fat, and the stratum corneum, which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epidermis, acts as a barrier that prevents drug delivery. Nanoemulsions are known to be effective in transdermal delivery of drugs through intercellular lipids because of their unique small particle size. In this study, phase inversion temperature (PIT) nanoemulsion containing α-bisabolol was optimize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for effective skin absorption of α-bisabolol. As a preliminary experiment, the 2 5-2 fractional factorial design method and the 2 3 full factorial design method were performed. Box-Behnken design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actorial design method. The content of surfactant (6.3∼12.6%), co-surfactant (5.2∼7.8%) and α-bisabolol (0.5∼5.0%) were used as factors,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particle size of the nanoemulsion. PIT nanoemulsion optimiz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SM results, and as a result, the optimal nanoemulsion formulation conditions were predicted to be 10.4% surfactant content, 6.3% co-surfactant content, and 5.0% α-bisabolol content. As a result of the skin absorption test, the final skin absorption rate of the PIT nanoemulsion was 35.11±1.01%, and the final skin absorption rate of the general emulsion as a control was 28.25±1.69%, confirming that the skin absorption rate of the PIT nanoemulsion was better.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표피의 가장 윗부분에 존재하는 각질층은 약물의 피부 전달을 방해하는 장벽 역할을 한다. 나노에멀젼은 특유의 작은 입자크기 때문에 세포간 지질을 통과하여 약물의 피부전달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α-bisabolol의 효과 적인 피부흡수를 위해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이용하여 상반전온도 (phase inversion temperature, PIT) 유화법으로 제조한 α-bisabolol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을 최적화하였 다. 예비실험으로 2 5-2 일부요인배치법과 2 3 요인배치법이 수행되었다. 요인배치법의 결과를 바탕으로 계면 활성제(6.3∼12.6%), 보조계면활성제(5.2∼7.8%) 및 α-bisabolol (0.5∼5.0%) 함량을 인자로 하고 반응 변수를 나노에멀젼의 입자크기로 하는 Box-Behnken design을 수행하였다. RSM 결과에 따라 PIT 나노에 멀젼 최적화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 최적의 나노에멀젼 처방 조건은 계면활성제 함량 10.4%, 보조계면활성제 함량 6.3%, α-bisabolol 함량 5.0%로 예측되었다. 피부흡수시험 결과 PIT 나노에멀젼의 최종 피부흡 수율은 35.11±1.01%, 대조군인 일반에멀젼의 최종 피부흡수율은 28.25±1.69%로 PIT 나노에멀젼의 피부흡수율이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정보 추구 전략에 기반한 데이팅 앱 이용자 유형에 관한 연구: 이용 동기, 프라이버시 우려, 신뢰, 오프라인 관계 형성 의도, 관계 만족도를 중심으로

        김희주,이수영 한국광고PR실학회 2022 광고PR실학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데이팅 앱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데이팅 상대에 대한 불확실성을 낮추기 위한 정보 추구 전략에 따라서 어떻게 유형화 될 수 있는지,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자의 특성은 무엇인지, 또한 각 유형에 따라서 데이팅 앱 경험인 실질적인 유대관계 형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팅 앱 이용자들을 정보 추구 전략에 기반하여 유형화한 결과 ‘관찰형’, ‘적극형’, ‘소극형’의 세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둘째,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한 결과, 연애동기가 높을수록 소극형 보다는 관찰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고, 소통용이성과 자기확인 동기가 높을수록 소극형 보다는 적극형에 그리고 프라이버시 우려가 높을수록 관찰형과 적극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셋째, 각 이용자 유형별로 신뢰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소극형에 비해서, 관찰형이 더 높은 오프라인 관계 형성 의도를 보였으며, 적극형은 더 높은 관계 만족도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