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Klebsiella 간농양과 지연 발현된 뇌농양으로 유발된 당뇨병케톤산증

        김동순,김현진,박강서,이성규,이재혁,고봉석,문현진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1 No.5

        Diabetes mellitus is a known risk factor for Klebsiella pneumoniae liver abscess, and may be associated with metastatic complications. We report a case of diabetic ketoacidosis (DKA) precipitated by a K. pneumoniae liver abscess and followed by a brain abscess. A 31-year-old man with uncontrolled type 2 diabetes was admitted for DKA. Abdominal and pelvic computed tomography scans showed multiple abscesses in the lung, liver, both kidneys, and prostate gland. The blood culture yielded K. pneumoniae. The patient’s condition improved following antibiotic and insulin therapy, and he was discharged. However, he was rehospitalized 10 days after discharge due to a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a brain abscess in the right basal ganglia. The patient was given an intravenous injection of antibiotics (vancomycin and carbapenem), and he recovered well with no neurological sequelae. (Korean J Med 2011;81:652-656) 저자들은 잘 조절되지 않는 제2형 당뇨병이 있던 31세 남자 환자가 상복부 불편감을 주소로 내원하여 혈역학적 검사와 영상의학 검사를 통해 간농양을 포함한 복강내 다발성 농양으로 유발된 당뇨병 케톤산증을 진단받았으며 이후 지연성 혈행성 전이로 뇌농양이 발생한 증례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ADR 프리미엄변화와 시장요인간의 관계

        김동순 서울대학교 증권금융연구소 1998 증권 금융연구 Vol.4 No.2

        This paper presents an explanation for the movement of premiums of American Depositary Receipts(ADRs) based on information asymmetry and investment sentiment. Changes in the ADR premium have significant minus coefficient signs in relation to local market return. In the meantime, ADR price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ocal market factors, and also the returns of the markets which they are listed in. ADR's underlying stock returns are also explained by the local market returns. However, the size of coefficients are larger for ADR price returns, than for underlying stock returns. It may be caused by information asymmetry in that local investors, who are in informationally advantageous position compared to ADR investors, reacts more fast to local market movements. In contrast, the latter investors are slow in reacting to local markets, with ADR prices less sensitive to local market returns than underlying stock prices. However, ADR prices seem to react more sensitively to their listed market movements, and therefore, ADR premium change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U.S. market returns. In addition, an index of ADR premium changes explains a cross-section of U.S size-decile portfolio returns, thereby being a proxy for U.S. investment sentiment.

      • KCI등재

        장기간 약제 무살포 사과원에서 포식성 응애류에 의한 잎응애류 밀도 억제

        김동순,정철의,김시용,전홍용,이준호 한국응용곤충학회 200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2 No.3

        생태적으로 교란되지 않은 과수생태계에서 포식성 응애류 종 구성과 그들의 잎응애류 밀도조절 작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장기간 약제를 살포하지 않은 사과원에서 연간 그들의 밀도변화를 조사하였다. 약제를 장기간 살포하지 않은 본 조사 과원에서 발생되고 있는 잎응애류는 일반관행방제 과원과는 크게 달랐다. 점박이응애와 사과응애는 거의 발생이 없었으며 차응애가 연중발생하였다. 포식성 응애로 Amblyseius ehurai (긴꼬리 이리응애), A. kokufuensis (꽃병이리응애), Tyhlodromus vulgaris (대중이리응애), A. womersieyi (긴털이 리응애) 등 4종의 이리응애(Phytoseiid)와 마름응애류(Stigmaeidae)인 Agistemus terminalis 1종이 발견되었다. 그 중 T. vuigaris는 차응애밀도가 낮고 기온이 서늘한 생육초기부터 발생을 시작하여 생육중기 및 생육후기까지 발생하였다. 반면 A. womersleyi는 고온기, 차응애 밀도가 높은 때 한하여 발생되었고, A. eharai와 A. kokufuensis는 초기 발생 후 그 뒤로는 발생하지 않았다. A. terminalis생육중기부터 발생을 시작하여 생육후기까지 지속적으로 밀도를 유지하였다. 이와 같은 포식성 응애류 상은 차응애 밀도를 잎당 약 8마리 이내로 조절하였다. 잠정적 결론으로써 T. vulgaris는 잎응애 밀도가 낮고 서늘한 기온 상태에 정착할 수 있는 종이고 A. womersleyi는 잎응애 밀도가 높고 고온 상태에서 효과적인 포식자로 생각된다. 기타 우리나라 과수원에서 포식응애류 계획적 관리에 기초를 둔 잎응애류 생물적 방제 전략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Spider mites and their predacious mites were surveyed in an apple orchard where pesticides have not been applied for a long time, to understand the undisrupted predacious mite complex and their role in the controling spider mites. Spider mites occurring in the orchard were different to those in conventional orchards. A few Tetranychus urticae and Panonychus ulmi were observed, while T. kanzawai was abundant during growing season. Four species of phytoseiids, Amblyseius eharai, A. kokufuensis, A. womersleyi and Typhlodromus vulgaris, and one stigmaeid species of Agistemus terminalis were observed from leaf samples in the orchard. Among them, T. vulgaris occurred from early cool season with low T. kanzawai densities through to mid-and late-season. A. womersleyi was observed only during mid-season when T. kanzawai densities were high with hot weather. Amblyseius eharai and A. kokufuensis occured only in early season, but A. terminalis density increased from mid-season and lasted to late-season. The predacious mite complex regulated the density of T. kanzawai approximately under 8 mites per leaf. Tentatively concluding, T. vulgaris is an adaptable predator at lower prey density under cool weather condition, and A. womersleyi is effective predator at higher prey density under hot weather condition. Further, the biological control strategies of spider mites in Korean orchard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predacious mite complex.

      • 글로벌금융위기 및 유럽재정위기가 유럽 및 신흥국 국채시장에 미친 영향과 한국 국채에 대한 외국인투자

        김동순 한국금융연구원 2014 금융연구 working paper Vol.2014 No.7

        본 연구는 선진국에서 일어난 글로벌금융위기와 유럽재정위기에 따라 PIIGS 국가들의 국채스프레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신흥시장 국가를 추가하여 각국의 거시경제지표가 국채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의 국채시장에 대한 분석으로서 외국인투자자의 국적별로 채권투자행태를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한편, 외국인투자 행태가 국내 국채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럽재정위기와 관련된 구제금융 지원관련 부정적인 뉴스는 벤치마크인 독일 국채수익률 대비 PIIGS 국가들의 국채스프레드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국의 재정취약성증가도 스프레드를 상승시키는 가운데, 글로벌위험도 스프레드를 상승시켰다. 둘째, PIIGS 국가와 신흥시장 국가의 거시경제지표, 특히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의 상승 또는 재정수지의 악화는 국채수익률의 상승을 가져왔다. 또한 미국 국채수익률의 상승에 따른 유동성위험 전이효과와 순수기대가설 내지 인플레위험의 국채수익률 반영 현상도 나타났다. 셋째, 한국 국채에 투자한 외국인의 국적별에 따른 국채 순매수 결정요인으로 미국 투자자는 차익거래 유인과 국채의 유동성위험을 중시하는 반면, 유로존과 중국 투자자는 한국의 국가신용위험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국인투자자의 단기 채권 순매수의 경우에만 국내외 이자율 차이와 유의한 양(+)의 관계를 나타내서, 국내 채권수익률의 상대적인 상승 내지 가 격 하락이 외국인 매수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미국 및 유로존 투자자의 국채 순매수 증가는 국채수익률의 유의 한 하락을 가져온 반면, 중국 투자자의 순매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여섯째, 외국인투자자의 만기별 순매수 변화가 국채시장에 미치는 효과는 단기 국채 순매수의 경우에만 유의하게 단기, 중기, 장기 등 모든 만기의 국 채수익률 변화와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으로는 글로벌 금융위기 및 유럽재정위기 등 선진국의 위기가 해당 국가의 국채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편, 신흥국 등 다른 국채시장에도 간접적인 영향 내지 전이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또한 각국의 국가부채, 재정취약성 등 경제펀드멘탈 요인들과 전통적인 채권 시장 위험 요인들인 국가위험, 유동성위험, 인플레위험 등도 국채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global financial and European debt crises on the so-called PIIGS countries and emerging market countries in terms of their sovereign bond spreads and yields. I look into both internal and external macroeconomic factors relating to the bond markets, and for the Korean government bond market, I focus on the differential effect according to the nationality of foreign investors. The main empirical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ail-out financing related news increased the sovereign bond spreads of the PIIGS countries. In addition, the local fiscal vulnerability and global risk are also factored in. Second, the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the ratios of government debt and fiscal balance to GDP affected bond yields. Global liquidity risk and inflation risk turned out to be relevant factors. Third, U.S. investors in the Korean government bonds consider arbitrage incentive and liquidity risk as important factor, but Eurozone and Chinese investors consider Korea`s sovereign credit risk. Fourth, relative yield increase in Korean short-term bonds leads to foreign investors` net purchases. Fifth, increases in net purchases of Korean bonds by U.S. and Eurozone investors give rise to decrease in the yield, but Chinese investors do not. Sixth, the effect of foreign investors` net purchases on bond yields is significant only for short-term bond purchases. The result implies that crises in industrialized countries have an indirect or spill-over effect on emerging market countries` bond markets, and further that economic fundamentals and conventional bond market risks such as sovereign, liquidity and inflation risks are relevant.

      • KCI등재후보

        어두음절구조 차이에 따른 말더듬 발생 차이: 한국아동과 일본아동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동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2

        본 연구는 학령기에 있는 말더듬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과 일본의 말더듬 아동의 말더듬의 언어적 특성을 각각의 음절구조를 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말더듬 아동 15명(평균연령 9세 1개월)과 일본어를 모국어로 하는 말더듬 아동 20명(평균연령 9세 0개월)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속된 6장면의 그림과 한 장의 풍경화를 도구로 산출된 아동의 자발화를 전사, 분석한 것이다. 결과, 한국의 말더듬 아동의 말더듬 평균 발생률은 21.2%, 일본의 말더듬 아동의 말더듬 발생률을 17.4%였다. 자음으로 시작되는 말과 모음으로 시작되는 말의 말더듬 발생률은 한국과 일본의 말더듬 아동이 모두 모음으로 시작되는 말에서 높은 경향이 있었고, 단모음으로 시작되는 말과 이중모음으로 시작되는 말의 말더듬 발생률은 한국과 일본의 말더듬 아동 모두가 단모음으로 시작되는 말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발생률을 나타내었다. 말더듬의 반복유형을 어두자음(C), 어두자음과 모음((C)V), 어두자음과 모음과 종성자음((C)VC)으로 나누어서 비교 분석한 결과, 양국의 말더듬 아동은 모두 (C)V를 단위로 하는 반복유형이 그 외의 반복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발생률을 나타냈다. 한편, (C)VC를 단위로 하는 반복유형은 한국의 말더듬 아동이 일본의 말더듬 아동보다 발생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말더듬이 개별언어의 어두음절구조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