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식습관 개선을 위한 온라인 코칭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

        김혜영,고 승석,양순정,윤방우,탁진국 한국코칭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습관행동 변화과정 모형(탁진국, 권혜란, 김혜영 등, 2019)을 기반으로 하여, 식습관 개선 성공 요인(최경화, 김혜영, 한석빈, 탁진국, 2020)과 선행 연구에서 습관 개선에 효과를 나타낸 방법들을 토대로 식습관 개선을 위한 온라인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식습관 개선을 희망하며 수도권에 거주 중인 19세이상 성인 중 전화인터뷰를 통해 선정된 20명을 실험 및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일대일 코칭을 진행하였다. 최종분석에는 17명의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체중, 식습관, 식이행동, 식이효능감, 자기조절, 삶의 만족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온라인 코칭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사전, 사후의 시점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과 삶의 만족을 제외한 체중, 식습관, 식이행동, 식이효능감에서 시점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프로그램 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통제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에서 체중, 식습관, 식이행동, 식이효능감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아동의 치아우식성 식품섭취 및 영양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김혜영,원복연,류시현 한국조리과학회 2002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8 No.6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식습관, 간식습관 및 섭식실태를 급식교와 비급식교에 따라 비교 분석함으로서 치아우식증 발생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조사대상 아동들에게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교육효과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1. 급식여부에 따른 식습관 조사 결과, 급식교 아동이 비급식교의 아동보다 아침식사의 규칙성, 식사속도, 식사량의 적당성 및 식사시간의 규칙성에 있어 바람직한 편이었고, 고기나 생선, 해조류, 우유나 유제품의 섭취정도도 약간 높게 나타나 급식을 통하여 올바른 식생활 태도가 형성되는 것으로 보여졌으며 전반적으로 영양교육 후 식습관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 영양교육의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2. 카라멜, 초콜렛 및 사탕류, 비스켓류 등의 치아우식유발 지수가 높은 우시성 식품을 간식으로 자주 섭취하고 있었고 충치유발 요인 인지 시 간식을 덜 사먹겠다는 아동이 급식교에서 다소 많았으며, 물리적 청적작용을 하는 껌을 간식으로 씹는 경우는 1주일에 2∼2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영향교육 후 치아우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시간인 저녁 식사 후에 간식을 먹는 아동과 TV 광고로 인해 간식을 선택하는 아동의 비율이 낮아졌으며, 세정식품인 채소와 과일, 단백질, 해조류, 우유 또는 유제품의 섭취는 교육 후 약간 증가하였다. 3. 치아우식과 관련이 있는 당질군을 제외한 모든 식품군에서 비급식교 아동보다 급식교 아동의 섭취횟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1인 1일 우식성 식품의 평균 섭취 횟수는 평균 5.04회였고, 고체식품보다는 액체식품으로 섭취하는 횟수가 다소 높았다. 치아표면에서 청청작용을 하여 치면세균막의 형성을 감소시켜 우식증을 예방하는 세정식품의 평균 섭취 횟수는 1인 1일 기준식품 표준섭취 횟수보다 높은 9.33회로 나타났다. 1인 1일 우식발생 가능 시간은 100.9분이었는데, 액체 식품의 우식발생 가능 시간은 56.2분으로 44.6분인 고체 식품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식습관이 치아우식발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초등학교 아동에 있어 치아우식을 유발할 수 있는 간식의 섭취를 줄이되 우식성 식품을 간식으로 섭취한 후에는 잇솔질을 반드시 실시하도록 하며 정규식사에서 치아를 보호하는 세정식품의 섭취에 대한 영양교육이 지속적이고 단계적으로 꾸준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e dietary and snack habits of primary students in the schools providing and non-providing lunch 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ose conditions and the occurrence of dental caries. Furthermore, this study also focused on evaluation educational effects by providing children with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1. As a result of dietary habit analysis, it was found that children from the school providing lunch were better in terms of breakfast regularity, eating speed, optimum amount of intake, and meal time regularity than those from the school non-providing lunch. In particular, it was noted that children from the school providing lunch took a little more meat, fish, seaweed and milk or dairy products than those from school non-providing lunch. Thus, it could be assumed that children provided with lunch have more reasonable dietary habit than those without lunch program. In genera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light positive change in children's dietary habit after nutritional instruction than before, suggesting that the nutritional education had effects on improving their dietary habit. 2. It was found that primary students often took snacks causing dental caries such as caramel, chocolate, sweets and biscuits, and children from the school providing lunch were more willing to reduce those snacks upon recognizing the causes of dental caries than those from the school non-providing lunch. For the children who chewed gum with physical cleansing effects, it was shown that the highest frequency was twice or three times a week. Moreover, the ratio of children who took snacks following dinner which might affect their dental caries and the ratio of children who selected snacks because of TV commercial were both reduced after nutritional education. Also the consumption of detergent foods like vegetable, fruit, protein, seaweed, milk or dietary products after nutritional education was increased. 3. It was found that children from the school providing lunch took more often all food groups except for food group Ⅳ affecting dental caries than those from the school non-providing lunch. The average number of consuming foods which cause dental caries was 5.04 times per person a day, and most of those were rather taken by liquid than solid food. The average eating times of rinsing foods which kill the bacteria on the surface of teeth and prevent from dental caries, was 9.33 for a person a day, which was a little higher than recommended time. Exposed time for dental caries for a person a day was 100.9 min, of which liquid dental caries was 56.2 min and solid dental caries was 44.6 min, suggesting that liquid food had a high potential to cause dental caries.

      • KCI등재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에서의 효율적인 동기화 기법

        김혜영,임영종 한국게임학회 2010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0 No.3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Real-Time Strategy, RTS)에서는 게임 유저가 내리는 명령이 빠른 시간 안에 게임에 반영되어야 하며, 그 명령은 여러 객체에게 전달될 수도 있으며, 게임에 참여한 모든 게임 유저가 같은 진행상황을 유지하며 게임이 진행되어야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기반게임에서 다른 게임 유저에게 그 명령을 전달하기까지는 일정시간이 소요되며, 짧은 시간 안에 많은 명령에 대한 동기화는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서버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에서의 효율적인 동기화를 위한 이벤트 잠금 기법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한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서버 및 클라이언트를 구현하였으며, 여러 클라이언트들과의 게임 실행을 통한 테스트를 통해 제안 기법의 효용성과 신뢰성을 보였다. The command that game users give should be reflected to the game immediately and should be transferred to several objects at once. Also, all game users who participate in game should keep the same progress situation in Real-Time Strategy game. But it takes a certain amount of time to get the command pass to other users, and it is important issue that many commands are synchronized in a short amount of time on server of RTS game. Therefore we propose a scheme for an efficient synchronization based on event locking method on RTS game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the gaming server applying to our proposed scheme. Also, we show efficiency of our proposed scheme by performance analysis in this paper.

      • 한국군과 독일군의 군 생활 만족도가 전역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김혜영 대한군상담학회 2014 대한군상담학회지 Vol.3 No.1

        이 연구는 한국군과 독일군의 군 생활 만족도가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군 과 독일군의 자아존중감, 군 생활 만족도, 리더십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및 독일에 거 주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총 306부를 SPSS 20.0 프로그램을 통해 분 석하였다. 연구내용은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둘째, 한국군과 독일군의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검증하고, 셋째, 한국군과 독일군의 군 생활 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고, 넷째, 한국군과 독일군의 리더 십의 차이를 검증하며 다섯째, 한국군과 독일군의 군 생활 만족도에 따른 리더십의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 다. 연구결과, 첫째, 독일군이 한국군보다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한국군이 독일군보다 군 생활 만 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독일군이 한국군보다 리더십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한국군의 군 생활 만족도에 따라 리더십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독일군은 군 생활 만족도에 따라 리더십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군의 군 생활 만족도가 자아존중감이나 리더십에 관계가 없는 것 은 군 생활과는 무관하다고 볼 수 있는데, 독일은 현재 모병제로써 자원해서 입대를 하고 6개월 동안 복무를 하기 때문에 군 생활이 리더십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가 없다. 이에 반하여 한국군은 군 생활 만족도에 따라 리더십에 차이가 있는 것은 앞으로 우리 군이 군 생활을 통하여 상호간에 소통이 잘되고 계급간의 관계 형성을 통하여 만족스러운 군복무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군 안에 각종 성장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이를 실시함으로 병사들의 자아개념이 잘 형성되어 군 생활을 통하여 개인이 성장되고 리더십이 잘 발휘할 수 있 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Effects of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on Malpractice Insurance Premiums

        김혜영,이진형 대한의료정보학회 2015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21 No.2

        Objectives: The widespread adoption of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IT) will help contain health care costs by decreasing inefficiencies in healthcare delivery. Theoretically, health IT could lower hospitals’ malpractice insurance premiums (MIPs) and improve the quality of care by reducing the number and size of malpractic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IT investment and MIP using California hospital data from 2006 to 2007. Methods: To examine the effect of hospital IT on malpractice insurance expense, a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GEE) was employed. Results: It was found that health IT investment was not negatively associated with MIP. Health IT was reported to reduce medical error and improve efficiency. Thus, it may reduce malpractice claims from patients, which will reduce malpractice insurance expenses for hospitals. However, health IT adoption could lead to increases in MIPs. For example, we expect increases in MIPs of about 1.2% and 1.5%, respectively, when health IT and labor increase by 10%.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health IT investment on MIPs controlling other hospital and market, and volume characteristics. Against our expectation, we found that health IT investment was not negatively associated with MIP. There may be some possible reasons that the real effect of health IT on MIPs was not observed; barriers including communication problems among health ITs, shorter sample period, lower IT investment, and lack of a quality of care measure as a moderating variable.

      • KCI등재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oly(L-lactide)-Polyether-Poly(L-lactide) Triblock Copolymers

        김혜영,김성철 한국고분자학회 2011 Macromolecular Research Vol.19 No.5

        The influence of the copolymer composition and soft segment molecular weigh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ly(L-lactide)-polyether-poly(L-lactide) triblock copolymer were investigated. The triblock copolymers were synthesized by ring opening polymerization of the L-lactide monomer using polyether as the initiator. A comparison between the M_n level measured by ^1H NMR and the theoretical M_n level considering the yield showed good agreement in all samples. The PLLA-polyether-PLLA triblock copolymer was prepared by injection molding. An improvement in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of the copolymer was observed (30%, 70% increase). The impact strength of the block copolymer was also enhanced, from 1.3 to 2.1 kg cm/cm, compared to neat PLLA.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전환적 진로선택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김혜영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2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of transitional career choice for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successfully living their lives after transition to a different system labor market.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what is the process of transitional career choice for North Korean defectors due to the system transition? At present, he (Ed- who is he?) has a subjective sense of success in his professional life and conducted in depth interviews with three men and eight women as objects that can explain the process of experience in rich and detailed ways. To this end, the author interviewed three men and eight women who a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job and analyzed them with the grounded theory method proposed by Strauss & Corbin (1998). As a result, the paradigm model was derived from the central phenomenon of 'conversion of perspective', and the core category was 'conversion of perspective and challenge new career'. The transitional career choice process was derived into four stages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and interaction as 'reality recognition stage', 'active change recognition stage', 'support and coping strategy stage', and 'growth stage' and positive reflections from transitional learning and potential factors of planned chance skills were found. 본 연구는 상이한 체제 즉, 사회주의 노동시장에서 자본주의 노동시장으로의 이행 후 성공적인 직업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전환적 진로선택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북한이탈주민의 전환적 진로선택과정은 어떠한가, 이 과정에 어떤 학습요소가 선택에 영향을 주는가? 라는 문제를 제시하였다. 현재 자신의 직업에 대한 주관적 성공감을 가지고 있으며, 경험의 과정을 풍부하고 상세하게 잘 설명할 수 있는 남성3명, 여성8명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방법은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하위범주와 범주를 관계 짓는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관점전환’이라는 중심현상으로부터 패러다임 모형이 도출되었다. 핵심범주는 ‘관점을 전환하여 새로운 진로에 도전함’이었다. 전환적 진로선택 과정은 ‘현실인식 단계’, ‘적극적 변화 인지단계’, ‘지지/대처전략 단계’, ‘성장 단계’로 시간의 흐름과 상호작용에 따른 4단계가 도출되어 진로선택 과정에서 전환학습에 따른 긍정적 반성과 계획된 우연기술의 잠재적 요소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