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C Bias가 인가된 ICPHFCVD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수직 배향과 전계방출 특성

        김광식,류호진,장건익,Kim, Kwang-Sik,Ryu, Ho-Jin,Jang, Gun-Eik 한국세라믹학회 2002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9 No.2

        본 연구에서는 DC bias가 인가된 유도결합형 플라즈마 열선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580$^{\circ}C$의 저온에서 탄소나노튜브를 수직 배향시켰다. 성장된 탄소나노튜브의 기판으로는 강화유리 위에 촉매층으로 Ni과 전도층으로 Cr을 300/200 ${\AA}$(Ni/Cr) 증착된 것으로 R-F magnetron sputtering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성장 시 RF power와 DC bias power는 150W와 80W이며 텅스텐 필라멘트 power는 7∼8 A로 인가하였다. 성장된 탄소나노튜브는 속이 비어 있는 다중벽으로 이루어 졌으며 성장된 탄소나노튜브 끝단에는 금속 촉매로 보이는 Ni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탄소나노튜브는 흑연화도가 우수하며 그에 따라 탄소나노튜브의 전계 방출 특성도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성장된 탄소나노튜브의 구동 전압은 약 3 V/${\mu}m$이었다. In this study, the vertical aligned carbon nanotubes was synthesized by DC bias-assisted Inductively Coupled Plasma Hot-Filament Chemical Vapor Deposition (ICPHFCVD). The substrate used CNTs growth was Ni(300 ${\AA}$)/Cr(200 ${\AA}$)-deposited one on glass by RF magnetron sputtering. R-F, DC bias and filament power during the growth process were 150 W, 80 W, 7∼8 A, respectively. The grown CNTs showed hollow structure and multi-wall CNTs. The top of grown CNT was found to Ni-tip that the CNT end showed to metaltip. The graphitization and field emission properties of grown was better than grown CNTs by ICPCVD. The turn-on voltage of CNT grown by DC bias-assisted ICPHFCVD showed about 3 V/${\mu}m$.

      • KCI우수등재

        광역지방정부의 전산화방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의 전산화 현황 및 추진방향을 중심으로 -

        김광식,이성복 ( Kwang - Sik Kim,Sung - Bok Lee ) 한국행정학회 1991 韓國行政學報 Vol.25 No.1

        地方自治를 실시를 앞두고 지방행정이 당면하고 있는 중요한 과제는 地方政府의 정책 관리능력의 향상이다. 地方政府의 정책관리능력을 상상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기능의 적정배분, 지방행정에 참여하는 인력자원의 능력개발 및 지방행정의 관리체계를 발전시켜야 한다. 地方行政의 관리 체계는 행정업무의 전산화를 통하여 개선할 수 있다. 1975년부터 중앙정부차원에서는 행정전산망이 체계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1990년 1월부터 교통업무를 시작으로 자동차관리, 부동산 및 통관관리, 주민등록, 경제통刻, 교통관리 등의 업무를 단계적으로 실시할 예정으로 있다. 이에 비하여 地方政府次元에서는 행정전산화업무가 단편적으로 전개되고 있어 중앙정부와의 업무실시차원에서 문제를 내포시키고 있다. 地方政府의 행정업무기능을 탐색하고 지방행정에서 전산화가 실시되고 있는 업무 및 앞으로 전산화의 실시가 가능한 업무를 선정하며 地方政府의 관리능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代案을 제시하려고 한다. 地方政府에서 전산화가 실시된 업무는 地方稅에 대한 납부 및 공과금의 처리와 같이 업무가 반복되고 정확성이 요구되는 업무 등으로 지적될 수 있다. 따라서 행정기관의 입장에서 편리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업무가 우선적으로 전산화로 처리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앞으로는 주민의 편리제공과 행정업무의 비용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능 중에서 전산화로 처리가 가능한 업무를 선정하며 단계적·종합적으로 전산화전략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Preparation of Antibiotic-Resistant Bradyrhizobium japonicum and Its Inoculation Effects on Soybean [Glycin max(L.) Merr]

        김광식,김길용,손보균,이영환,김용웅,성기영,Kim, Kwang-Sik,Kim, Kil-Yong,Son, Bo-Gyun,Lee, Young-Hwan,Kim, Yong-Woong,Seong, Ki-Young 한국토양비료학회 199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25 No.2

        현재 대두근류군 접종제로서 이용되고 있는 Bradyrhizobium japonicum의 토양중에서 그 추이를 밝히고자 항생제 내성균주를 조제하여 그들의 특성을 모균주와 비교하고 아울러 토양에서 접종효과를 추적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USDA110K-$STR^r$, USDA110N-$STR^r$, R138-$STR^r$은 pH9에 내성이 약했으며, R214-$STR^r$, $NAL^r$, USDA110N-$STR^r$은 sorbitol에 R138-$STR^rNAL^r$은 xylose에 대한 자화성이 불분명했다. 2. Serogroup에 의해 각 균주들은 서로 다른 균주로 동정되었으나 원균주와 표식균주(標識菌株)간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3. Plasmid size는 생육 촉진형 군이 지연형보다 약간 컸으나, 야생균주와 그들의 표식균간(標識菌間)에는 각각 차이가 없었다. 4. 5년이상 대두 재배 토양에 표식균주(標識菌株) 접종시(接種時) 0~12.5%, 대두 무재배 토양에서는 5~22.5%의 접종률을 보였다. 5. 원균주와 표식균주(標識菌株)를 각각 접종시 5년이상 대두재배 토양에서는 접종효과가 없었으나 대두 무재배 토양에서는 상당한 접종효과가 있었으며 원균주가 표식균주(標識菌株)보다 더 큰 효과를 나타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fate of inoculant Bradyrhizobium japonicum and the inoculation effect on soybean in complex soil environment. To moniter Rhizobium strains from the root, streptomycine and streptomycine and nalidixic acid resistant marker strains were prepared by spontaneous mutagenesis. The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antibiotic marked strains were not altered by the mutagenesis. The comparison of properties of wild type and antibiotic resistant Bradyrhizobium strains are summarized as follow : 1) The strains of USDA110K-$STR^r$, USDA110N-$STR^r$ and R318-$STR^r$ showed weak tolerance to pH 9.0. The utilization of carbon sources by fast growing group was different from that of slow growing group. The marked strains of R214-$STR^rNAL^r$, USDA110K-$STR^r$ and USDA110N-$STR^r$ was doubtful in utilization of sorbitol and R138-$STR^rNAL^r$ was doubtful in utilization of xylose as a carbon source. 2) By examining the agglutination reaction of serogroups, the strains used were identified as different one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wild type and marked strains in agglutination titer values. 3) The plasmid size of fast group was slightly greater than that of slow grou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s in plasmid size between the wild type and antibiotic resistant strain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antibiotic resistance was not encoded in plasmid. 4) The recovery of the inoculated strains was up to 12.5 % in soybean cultivated soil and was up to 25 % in soybean uncultivated soil. 5) When the wild type or marked strains were inoculated.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soybean plant, whereas the inoculation effect was pronounced in soybean uncultivated soil. The inoculation effect seemed to be more pronounced in wild type strains than antibiotic resistant strains.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 KCI등재

        네트워크 서비스의 생존성을 높이기 위한 예측기반 이상 트래픽 제어 방식 분석

        김광식,Kim Kwang sik 한국통신학회 2005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0 No.4c

        ATCoP(Abnormal traffic controller based on prediction) is presented to securely support reliable Internet service and to guarantee network survivability, which is deployed in Internet access point. ATCoP is a method to control abnormal traffic that is entering into the network When unknown attack generates excessive traffic, service survivability is guaranteed by giving the priority to normal traffic than abnormal traffic, that is reserving some channels for normal traffic. If the reserved channel number increases, abnormal traffic has lower quality service by ATCoP system and then its service survivability becomes worse. As an analytic result, the proposed scheme maintains the blocking probability of normal traffic on the predefined level in the specific interval of input traffic.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의 생존성을 보장하고 신뢰성 높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의 액세스점에 위치하는 예측기반 이상 트래픽 제어기(ATCoP, Abnormal Traffic Controller based on Prediction)를 제안한다. ATCoP는 네트워크로 유입되는 트래픽 중 이상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알려지지 않은 공격에 의해 트래픽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경우에, 정상 트래픽에 우선권을 주기 위해 서비스 성공률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기준으로 정상 트래픽용 예약 채널의 수를 결정하여 정상 트래픽의 서비스 수준을 보장함으로써 서비스 생존성을 높히는 방법이다. 만일 예약 채널의 수가 증가하면, 이상트래픽에 할당되는 채널의 수가 감소하게 되어 이상트래픽의 서비스 생존율은 감소하게 된다. 분석결과, 제안 방식은 입력트래픽의 특정 범위에서는 정상트래픽의 블록킹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켜주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농약(農藥)의 토양미생물상(土壤微生物相)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제초제(除草劑)가 토양중(土壤中)의 미생물(微生物)과 효소활성(酵素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김광식,김용웅,김지애,김현우,Kim, Kwang-Sik,Kim, Yong-Woong,Kim, Ji-Ae,Kim, Hyun-Woo 한국토양비료학회 1988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21 No.1

        제초제(除草劑)가 밭토양(土壤) 및 고추연작지토양(連作地土壤)의 미생물상(微生物相)의 균수변화(菌數變化)와 효소활성(酵素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여 얻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미생물(微生物)의 수(數)는 Pythium속균(屬菌)을 제외(除外)한 Actinomycetes, Bacteria, Fungi 및 Fusarium속균(屬菌)의 경우 약제처리(藥劑處理)에 의해 일반적(一般的)으로 감소(減少)하다가 30일(日)경부터는 대조구(對照區)와 비슷한 수준(水準)이었다. 특히 fungi는 2~10일(日)에 약 7배(倍)의 현저한 감소(減少)를 보였고 Actinomycetes는 Linuron처리시(處理時) 20일(日)에 대조구(對照區)보다 증가(增加)하였다. 한편 Pythium속균(屬菌)은 초기(初期)부터 균수(菌數)가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효소활성(酵素活性)은 시일(時日)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활성(活性)이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Urease와 Phosphatase는 MO, Linuron 및 Simetryne 처리시(處理時) 6일(日) 및 10일(日)에 대조구(對照區)보다 높은 활성(活性)을 보이고 Protease는 Simetryne 처리구(處理區)에서 높은 활성(活性)을 보였으나 30일이후(日以後)에는 급격히 감소(減少)하였다. ${\beta}$-Glucosidase 및 Polygalacturonase활성(活性)은 제초제(除草劑)에 의해 별 영향(影響)이 없었고 Cellulase활성(活性)은 초기(初期)에는 저해(沮害)를 받다가 20일이후(日以後)에는 회복(回複)되어 대조구(對照區)보다 높은 활성(活性)을 보였다. Fungi를 제외(除外)한 미생물균수(微生物菌數)와 호흡량(呼吸量)과의 관계(關係)는 5% 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있는 상관(相關)을 나타냈으며, Linuron을 처리시(處理時) 전토양미생물(全土壤微生物) 균수(菌數)와 호흡량(呼吸量)과의 관계(關係)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냈다. 전토양미생물(全土壤微生物) 균수(菌數)와 5종(種)의 효소활성(酵素活性)과의 관계(關係)는 일반적(一般的)으로 Protease활성(活性)과 가장 높은 상관(相關)을 나타냈으며, Polygalact uronase와 ${\beta}$-Glucosidase활성(活性)과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특(特)히 Dicamba와 Simetryne의 처리시(處理時) Protease와 Urease활성(活性)과의 관계(關係)에서 $5{\mu}g/g$농도(濃度)의 Simetryne과 Urease와의 관계(關係)를 제외(除外)하고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herbicides on soil micro-organism and soil enzyme in loam soil, and on pathogenic microorganism in continuous pepper cropping soil. The result was summarized as follows: When herbicides were treated, the number of soil microorganism generally decreased at the early stage of incubation, and gradually increased at 30 days incubation. The number of fung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seven times comparison with control plot. The number of actinomycetes was increased at 20 days incubation and that of pytium was increased for all days incubation in Linuron treatment plot. Although the activity of soil enzyme tended to decrease when herbicides were treated, the activities of urease and phosphatase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plot at the early stage of incubation in MO, Linuron and Simetryne treatment plot. In Simetryne treatment plot, the activity of protease was increased at the early stage, and suddenly decreased after 30 days incub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herbicides on the activities of ${\beta}$-glucosidase and polygalacturonase. The activity of cellulase was inhibited at the early stage of incubation, but that of cellulase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plot after 20 days incubation. High significance was show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oil microorganisms except fungi and soil respiration as herbicides were treated, and the total microorganism and soil respiration in Linuron plot. when Dicamba and Simetryne were treat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otal microorganism and the activities of protease and urease were considerably significant.

      • KCI등재

        다솔사와 항일 비밀결사 卍黨 - 한용운, 최범술, 김범부, 김동리 역사의 단면 -

        김광식(Kim, Kwang Sik) 한국불교연구원 2018 불교연구 Vol.48 No.-

        본 고찰은 다솔사(경남, 사천)와 불교계 항일 비밀결사로 알려진 卍黨과의 상관성을 정리한 글이다. 다솔사는 1,500년 역사를 갖고 있는 고찰이지만, 근대기에 와서는 불교 독립운동의 관점에서도 중요한 대상이 되었다. 그는 최범술이 주지로 있으면서 전개된 역사이다. 최범술은 다솔사가 위치한 사천 출신으로 3·1운동 참가, 해인사 주지, 제헌국회 의원, 불교 총무원장, 해인대(현, 경남대) 설립자 등다양한 행보를 간 인물이다. 그는 일제하에는 한용운을 추종하면서 불교청년운동을 주도하였다. 그는 조선불교청년총동맹의 집행위원장과 만당의 당원이었다. 그런데 만당은 내분으로 1933년 자진 해소되 었다. 그러나 만당 당원들은 최범술이 주지로 있었던 다솔사에 왕래를 하면서 민족의식을 유지하였다. 당원이었던 김법린, 허영호가 다솔사에 머물기도 했다. 그리고 1930년대 중반 다솔사는 불교전문 강원과 광명학원을 설립하여 학승과 지역 어린이를 교육시켰다. 강원에는 동양학자인 김범부가 있었고, 광명학원에는 김범부의 동생인 소설가 김동리가 교사로 있었다. 그리고 다솔사는 애국지사, 독립운동가, 문학인, 지식인, 승려 등이 왕래하는 경남지방의 명소가 되었다. 즉, 민족의식을 창출하고, 민족 운동을 추진하는 거점이었다. 그래서 일제 경찰은 늘 감시를 하였다. 이런 전제하에서 다솔사는 민족운동, 항일의 역사가 짙게 배어 있다. 본 고찰은 이런 역사와 문화를 자료, 증언에 의지하여 정리한 글이다. 이 글이 한용운, 최범술, 김범부, 김동리를 비롯한 근대기 지식인 연구와 다솔사의 근대사 정리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is review summar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Dasolsa Temple(Sachuan in Gyeongnam) and Mandang, which is known as a Buddhist-style anti-Japanese resistance group. Despite the fact that it has a history of 1,500 years, it has also become an important object in the modern period from the standpoint of the Buddhist independence movement. He is a history that has been developed with the help of Choi BumSul. Choi Bumsul is a member of Native Sachuan, where is Dasolsa Temple located, and has participated in a variety of activities such as participating in the March 1 Movement, Haeinsa Temple, a member of the Constitutional Assembly, the General Secretary of Buddhism, and the founder of Haein Dae (Kyungnam University). He led the Buddhist youth movement following Han Yongwoon under Japanese rule. He was the executive chairman of the Chosun Buddhist Youth Alliance and a member of the Mandang Party. By the way, the self-sacrifice was resolved in 1933 by internal affair. However, the members of the per capita kept visiting the national ceremony when they visited the ceremony where Dasolsa Temple. Kim bunglin and Huh Youngho,who were party members, stayed at the ceremony. And in the mid-1930s, Daithol founded the Buddhist Gangwon(講院) and Gwangmyeong(광명학원) that to educate monk studying and local children. There was Kim Bumbu, an orientalist in Gangwon, and Kim Dongri, a younger brother of Kim Bumbu, was a teacher. And it became a famous place of Gyeongnam province where patriot governors, independence activists, literati, intellectuals, and monks go and go. In other words, it was a base for creat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promoting national movement. So the Japanese police always monitored. Under this presupposition, the history of the national movement and the anti-Japaneseism is deeply inferred. This review summarizes this history and culture based on data and testimony. I hope that this article will be helpful in the study of modern intellectuals such as Han Yong Woon, Choi Bum Sul, Kim Bum Bub,

      • KCI등재
      • KCI등재

        해방 전후 시기 최상수 편 조선전설집의 변용양상 고찰

        김광식(Kim, Kwang-Sik),이복규(Lee, Bok-Kyu) 한국민속학회 2012 韓國民俗學 Vol.56 No.-

        본 연구는 최상수가 해방 전후에 펴낸 조선전설집의 개편양상을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해방 후에 간행된 최상수의 전설집을 전국규모의 최초의 조선전설집으로 평가하는 것이 관례였으나, 새롭게 발굴된 해방 전 자료를 소개하되, 특히 1944년에 간행된 전설집을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최상수는 해방공간에서 많은 저술을 발간했는데, 이는 해방 전의 연구를 바탕으로 전개된 것이었다. 최상수는 1944년 7월에 『과학소화(科學小話)를, 8월에 편저 『현대동요ㆍ민요選』를, 9월에 서간집 『여학교(女の學校)』를, 10월에 『조선의 전설(朝鮮の傳說)』(大東印書?)을 간행하였다. 이들 저서 중 『현대동요ㆍ민요選』을 제외하면 모두 일본어로 간행되었고, 9월 이후에 출판된 두 권은 일본명 ‘풍야실(豊野實)’로 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론에서는 1944년판 『조선의 전설』과 1958년판 『한국민간 전설집』을 구체적으로 비교 대조하여 그 차이 및 변용과정을 명확히 하였다. 1944년판은 처음으로 최상수가 펴낸 조선전설집으로 그 가치가 높다. 1944년판에는 전설 및 민담 등을 포함한 조선설화 61편이 수록되었고, 1958년판에는 317편의 전설만이 수록되었다. 일본어로 작성되었지만, 1944년 판에만 수록된 유일 설화가 존재하며, 1958년판에도 공통으로 수록된 개별 설화는 그 개편과정을 살피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1944년판과 1958년판을 비교하면, 개별 설화 내용에 주목할 만한 개편 작업이 이루어져 있음을 명확히 하였다. 1958년판은 1944년판과는 달리 구체적인 지역명, 채집자, 채집 시기가 밝혀져 있어 학술적인 가치를 높였고, 제목을 다듬고, 서술의 명확화, 평서형으로 문체 통일, 도입부와 결말부분의 개편 등 발전 방향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해방전의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하여, 해방 후에 최상수가 전설집에 특화시켜 전국 규모의 방대한 자료집을 집대성해 나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시사적이다. 한편 1944년판은 일정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첫째로 수록된 61편 중, 민담과 야담도 존재하며 완전한 전설집은 아니다. 둘째로 수록된 전설 중, 〈17. 조선인삼의 유래〉는 『조선야담ㆍ수필ㆍ전설』에 수록된 이마무라 도모에의 〈인삼유래기(人蔘由來記)〉를 그대로 무단 전재한 것이다. 61화 중 적어도 이 1편은 직접 채집한 것이 아니라 다른 책을 그대로 인용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셋째로 1958년판에 비해, 채집자의 감상을 집어넣거나, 심리묘사 부분이 개입되어 있고, 채집자와 채집 시기를 명기하지 않았다. 다행히 1958년판을 통해 그 대부분을 복원할 수 있다. This research tries to point out the contents of Korean legendary collection published by Choi Sang-soo before and after liberation in terms of comparison. While some of the previous studies rated Choi’s collection as the first nationwide Korean legendary collection conventionally, this study presents newly unearthed documents before liberation and especially focuses on the collection published in 1944. Choi published many narratives after liberation based on the studies before liberation. Choi Sang-soo published “Kagaku Kobanashi(Science anecdotes)” in July 1944, “Modern folk tales and songs collection” in August, “Onna no gakkou(Women’s school)” in September and “Chosen no Densetsu(Legends of Chosun)” in October. All books but “Modern folk tales and songs collection” were published in Japanese and the author statement of two books published after September was ‘Minoru Toyono’ as his Japanese name. This study compares the 1944 edition of “Chosen no Densetsu(Legend of Chosun)” with the 1958 edition of “Korean folktale collection” and clarifi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m. The 1944 edition is Choi Sang-soo’s first Korean folktale collection and evaluated in high quality. This edition contained 61 folktales including folk tales and legends while the 1958 edition contained 317 legends. There are some folktales only in the 1944 edition published in Japanese, while some folktales in both 1944 and 1958 edition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in analyzing the revision process. Comparing the 1944 edition with the 1958 edition, we clarify the fact that remarkable revisions were made to each folktale. The 1958 edition described concrete regional names, collector’s names and the time of collection differently from the 1944 edition and enhanced its academic value. The titles were also arranged in this edition and it enabled us to confirm its developing direction such as clarification of description, consistent style of writing and the revision of introduction and ending. On the other hand, the 1944 edition seems to be with a bit of limitation. First, it’s not a complete folktale collection; even stories(yadam) are mixed in the 61 tales. Second, 〈17. Origin of Korean Ginseng〉 which is one of the contained tales is exactly the same as “Origin of Ginseng” written by Tomoe Imamura contained in “Chosen Yadan, Zuihitsu, Densetsu(Korean yadam, essay and legend)”, Choi reprinted this tale without leave. This edition has the problem that at least one tale in contained 61 tales is not collected directly but cited from the other book. Third, compared to the 1958 edition, Choi seemed to try to describe the collectors’ sentiment and emotion accurately, but the collector names and the time of collection were not specified. Fortunately the most part can be restored collated with the 1958 edition.

      • 동국대의 한용운 기억 · 계승

        김광식 ( Kim Kwang-sik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20 전자불전 Vol.22 No.-

        본 고찰은 만해 한용운 정신의 기억, 추모, 계승 등에서 중요한 대상인 동국대의 문제를 다른 글이다. 동국대에서는 만해를 제1회 졸업생, 동창회장, 동국정신의 연원, 동국문학의 근원 등으로 인식하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를 다룬 학술적인 글은 빈약하였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측면을 주목하여 그를 정리하였다. 첫째, 한용운의 삶과 동국대 역사와의 관련성을 다루었다. 구체적으로는 제1회 졸업생, 초대 동창회장, 1930년대 중반 교장 추대의 문제이다. 필자는 이에 대한 기록, 증언을 종합하여 비판적인 서술을 시도하였다. 둘째, 동국대에서의 한용운 인식에 대한 것을 다루었다. 즉 만해 정신의 인식 및 계승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만해 비석 건립의 추진위원회(1965)에 대한 대응, 동국문학의 연원으로서의 만해, 『동대칠십년사』에 나온 만해, 만해 탄신 100주년 사업, 만해 시비 건립(1987), 만해광장 조성(1988) 등이다. 셋째, 추후에 만해 연구의 주제를 피력하였다. 그는 동국대에서 만해연구의 부진성, 동국대의 만해 자료, 동국대에서 만해사업을 촉구한 동국사상연구회의 연구 등이다. 이 글이 만해 한용운의 사업, 동국대 정체성, 동국대의 만해정신 계승 등을 탐구함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글이 되길 바란다. efficiencies of preservation, access, and searchability engendered by digitalization.This review is another article on the issue of Dongguk University, which is an important object in the memory, memorial, and succession of the spirit of Han Yong-un in Manhae. Dongguk University recognized and insisted that Manhae was the first graduate, alumni chairman, the origin of Dongguk spirit, and the origin of Dongguk literature. However, the academic writing on this was poor. So, in this article, I summarized him by paying attention to the following aspects. First, it dealt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of Han Yong-un and the history of Dongguk University. Specifically, it is a matter of the first graduate, the first alumni president, and the election of the principal in the mid-1930s. I tried to make a critical statement by synthesizing the records and testimonies about this. Second, it dealt with the perception of Yongwoon Han at Dongguk University. That is, it is about the recognition and succession of the spirit of Manhae. Specifically, in response to the Committee for Construction of Manhae Monument(1965), Manhae as the origin of Dongguk Literature, Manhae, Manhae 100th Anniversary Project, Manhae City Monument Construction(1987), Manhae Square(1988) ), etc. Third,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presented later. He is the sluggishness of the Manhae Research at Dongguk University, data on Manhae at Dongguk University, and the research of the Dongguk Thought Research Association, which urged Dongguk University for Manhae Project. I hope this article will be helpful in exploring the business of Han Yong-un, Dongguk University's identity, and the succession of Dongguk University's Manhae spiri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