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isk Factors for Death during Pulmonary Tuberculosis Treatment in Korea: A Multicenter Retrospective Cohort Study

        용수,김이형,송재욱,전경만,송준휘,연주,최재철,김호철,고원중 대한의학회 2014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9 No.9

        The data regarding risk factors for death during tuberculosis (TB) treatment areinconsistent, and few studies examined this issu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to evaluate baseline prognostic factors for death during treatment of adult patients withpulmonary TB in Korea. A multicenter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2,481 patients whoreceived TB treatment at eight hospitals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0 wasperformed. Successful treatment included cure (1,129, 45.5%) and treatment completion(1,204, 48.5%) in 2,333 patients (94.0%). Unsuccessful treatment included death (85,3.4%) and treatment failure (63, 2.5%) occurred in 148 patients (6.0%). In multivariateanalysis, male sex, anemia, dyspnea, chronic heart disease, malignancy, and intensive careunit (ICU) admission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death during TB treatment. Therefore,male sex, anemia, dyspnea, chronic heart disease, malignancy, and ICU admission couldbe baseline prognostic factors for death during treatment of adult patients with pulmonaryTB in Korea.

      • KCI등재

        H 대학에서 개발한 교수법을 적용한 방사선과 수업의 활용에 대한 평가

        찬주(Chan-Ju Ryu),용수(Yong-Soo Han),백부길(Bu-Gil Baek),박철수(Cheol-Soo Park) 한국방사선학회 2024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8 No.2

        방사선과에 전공과목을 이수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H대학에서 개발한 Shift+N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 진행을 통해 수강생들의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교수법이 전공과목에 대한 학습성과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기존의 전공수업 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사전 비대면 강의를 통해 예습을 진행하고 본 수업에 대면 강의를 실시하였으며, 강의가 끝난 후 주차에 해당되는 관련 키워드를 제시하고 키워드와 관련하여 수업 내용을 적용시킬 수 있는 문제를 제시하였다. 그 다음 주차에는 문제풀이를 통해 학생들의 복습과 관련하여 어렵거나 부족한 부분을 다시 설명해주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Shift+N 교수법은 기존의 이론 전공수업과는 다른 방식의 새로운 수업 진행에 따라 학생들의 참여도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공역량 강화를 위한 학습 내용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해서는 기존의 전공 수업에 대한 개선과 더불어 전공 과목에 맞는 교수법을 개발하여 보다 효과적이며 혁신적인 수업방식을 통해 학생들의 지식 향상과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Through classes conducted using the Shift+N teaching method developed by H University for students taking major courses in radiolog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eaching methods on learning outcomes and satisfaction with major courses were identified based on a survey of students. The analysis results were described. Compared to the existing major class method, pre-study was conducted through non-face-to-face lectures in advance and face-to-face lectures were conducted for the main class. After the lecture, related keywords corresponding to the parking lot were presented and class contents related to the keywords were applied. A possible problem was presented. In the next week, we proceeded with problem solving and explaining again the difficult or insufficient parts related to the students' review. As a result, the Shift+N teaching method showed high student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due to the new class progres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theory major cla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efficiently deliver learning content to strengthen major competencies, we must improve existing major classes and develop teaching methods tailored to major subjects to improve students' knowledge and satisfaction through more effective and innovative teaching methods. A plan must be found.

      • F-15 : 폐결핵 치료 중 발생하는 사망에 대한 예측인자에 대한 다기관 후향적 연구

        용수,김이형,송재욱,김호철,고원중,전경만,송준휘,연주,최재철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3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16 No.-

        목적: 폐결핵치료 중 발생하는 사망에 대한 기저 예측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2009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국내 8개 수련병원들에서 결핵으로 진단받고 항결핵제 투약을 시작한 459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 미생물 검사, 혈액검사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총 4595명의 환자들 중 내성결핵 347명, 폐외결핵 1026명과 전출, 진단변경, 치료중단으로 치료 종료 시 결과를 알지 못하는 796명의 환자를 제외한 2426명의 폐결핵환자가 대상이 되었다. 치료결과는 사망 83명(3.4%), 완치 1107명(45.6%), 완료 1236명(51.0%)이고 실패는 없었다. 치료 중 발생하는 사망에 대한 독립적 예측인자들로는 고령(연령≥65세, odd ratio [OR]=2.47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48-5.860), 치료 시작 시 호흡곤란(OR=3.507, 95% CI 1.504-8.177), 흡연력(OR=3.507, 95% CI 1.504-8.177), 기저심혈관질환 (OR=3.110, 95% CI 1.128-8.574), 조절되지 않는 암(OR=6.485, 95% CI=2.654-15.845), 좁쌀결핵(OR=5.165, 95% CI 1.127-23.676), 치료 시작시 빈혈(OR=3.559, 95% CI 1.479-8.564)이었다. 결론: 고령, 호흡곤란, 흡연력, 심혈관질환, 조절되지않는 암, 좁쌀결핵, 빈혈이 폐결핵치료 중 발생하는 사망에 대한 기저 예측 인자들이었다.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Baseline Predictors of Unfavorable Outcome in Pulmonary Tuberculosis: a Multi-institutional Retrospective Study of 1,973 Patients

        용수,김이형,송재욱,김호철,고원중,전경만,송준휘,연주,김우열,최재철,박소영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2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14 No.-

        Objective; To evaluate the baseline predictors of treatment outcome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TB).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ohort of 2713 patients who were suspected of having active TB and received anti-TB therapy in 10 teaching hospitals from Jan. 2009 to Dec. 2009. Results: Of all patients, we excluded 740 patients with extrapulmonary TB (n=504), changing their final diagnosis (n=156), known multi-drug resistant TB who received 2nd-line anti-TB drugs at the start of treatment (n=18), insufficient data for treatment outcomes (n=59) and others (n=3). Finally 1973 patients were enrolled (age=50±19, male=57%). The favorable outcome including cured or completed therapy was achieved for 78% of all patients. Male, elderly (≥65), ever smoking, bilateral lung involvement, positive sputum AFB stain at the start of treatment, previous TB treatment, and co-morbid conditions: diabetes, neurologic disease, lung cancer, and other solid organ tumors except lung cancer were associated with unfavorable outcome in univariate analysis. However, elderly (odd ratio [OR]=2.5, 95% confidence interval [CI] 1.8-3.3), ever smoking (OR=2.5, 95% CI 1.7-3.6), bilateral lung involvement (OR=1.5, 95% CI 1.1-2.1), previous TB treatment (OR=1.8, 95% CI 1.3-2.5), and combined neurologic disease (OR=2.4, 95% CI 1.2-4.8)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unfavorable outcome in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Elderly, ever smoking, bilateral lung involvement, previous TB treatment, and combined neurologic disease could be baseline prognostic factors for pulmonary TB.

      • KCI등재

        양성 기도협착질환에서 실리콘 기도스텐트의 임상경험 -Dumon 스텐트와 Natural 스텐트의 비교-

        연주,서수원,김진국,김호중,유창민,최재철,용수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05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59 No.1

        Background : The clinical results of a Natural stent in patients with a benign tracheobronchial stenosis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clinical outcomes and complications of those patients who underwent Dumon and Natural stenting in the management of benign airway stenosis. Methods : The medical records of 94 patients (39 Dumon and 55 Natural stent) with a benign tracheobronchial stenosis were reviewed and analyzed. Results : Post-tuberculous stenosis was the leading indication for airway stenting (74%), which was followed by post-intubation stenosis (21%). After intervention, the dyspnea had improved among those patients who underwent Dumon (90%) and Natural (86%) stenting. After stabilizing the dyspnea, the stent could be successfully removed in half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both Dumon (54%) and Natural (49%) stenting. During the 42 month follow-up period, the complication rate was similar in those patients who underwent Dumon and Natural stenting: migration (46% vs 53%),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36% vs 49%), mucostasis (21% vs 16%) and restenosis (51% vs 36%). Conclusion : The clinical results of Natural airway stent was similar to those of Dumon stent in the management of benign tracheobronchial stenosis. (Tuberc Respir Dis 2005; 59: 62-68) 연구배경 : 양성 기도협착질환 환자에서 새로 개발된 Natural 기도스텐트의 임상결과를 Dumon 스텐트와 비교하였다. 방 법 : 양성 기도협착으로 스텐트를 삽입한 94명의 환자 (39 Dumon, 55 Natural)를 대상으로 임상증상, 시술 전 검사결과, 시술방법, 그리고 추적관찰시의 임상경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원인질환으로 기관지결핵 후 기도협착 (74%)이 가장 많았고, 기관삽관 후 기관협착 (20명), 기관절개술 후 기관협착 (2명)등이 있었다. 스텐트를 삽입한 후, 전체 94명의 환자 중 82명 (87%)에서 주관적으로 호흡곤란이 개선되었고, Dumon 스텐트군 (35/39, 90%)과 Natural 스텐트군 (47/55, 86%) 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모두 48명 (51%)에서 중앙값 14개월 (범위 6-37개월)후에 스텐트를 성공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고, Dumon 스텐트군 (54%, 16개월 후) 과 Natural 스텐트군 (49%, 12개월 후)간의 차이는 없었다. 스텐트 삽입 후 부작용은 스텐트의 위치 변동이 45명 (48%)에서, 육아종 과형성이 41명 (44%)에서, 점액저류에 의한 스텐트 내경 50% 이상의 감소가 17명 (18%)에서, 그리고 스텐트 삽입 전후부위의 협착이 40명 (43%)에서 발생하였다. Dumon 과 Natural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들 사이에서 부작용의 분포의 차이는 없었다.

      • 金谷面一帶의 나방相에 대하여

        朴重錫,柳容秀 慶尙大學校 기초과학연구소 1986 基礎科學硏究所報 Vol.2 No.-

        1982년 3월 7일 부터 12월 5일 까지 40주 동안 慶尙南道 晋陽郡 金谷面一帶의 나방相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된 나방類(Heterocera)는 총 19科 256屬 352種 5,655 개체가 채집 동정되었으며, 이 중 4科 15種은 韓國末記錄種이었다. 2. 월별, 계절별 출현개체수는 7월과 여름에 각각 가장 많이 채집 되었다. 3. 나방류의 출현양상은 년중 1회, 1개체만 출현한 종, 계절별로 봄, 여름, 가을에만 각기 출현한 종등 크게 6가지 유형으로 고찰되었다. 4. 優占種은 곧은띠비단명나방(Herculia glaucinalis Linne)이었으며, 優占科는 밤나방科(Noctuidae)였다. 5. 생물지리학적 분포계열은 舊北區系의 종이 전체의 73%로 가장 우세 하였다. 6. 시간별 출현양상은 21시~23시 사이에서 활발하였으며, 그 중 22시에서 가장 활발 하였다. 계절별로는 봄은 23시, 여름은 22시, 가을은 21시에서 가장 많이 채집 되었다. 7. 기온별 출현양상은 18℃~24℃ 사이에서 활발하였으며, 19℃와 24℃에서 각각 가장 많이 채집 되었다. 24℃까지는 기온이 높을수록 유의적(P<0.05)으로 출현 개체수가 증가되었다. 8. 습도별 출현양상은 70% 대에서 부터 다소 출현하기 시작하여 90% 대에서 가장 활발하였으며, 습도가 높아질수록 유의적(P<0.01)으로 출현이 증가 되었다. Seasonal changes of the moth fauna in relation to time,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investigated in Kuˇmgok-myon, Kyoˇngsangnam-do, Korea from(March 7, to December 5, 1982. This study was based on an examination of 5,655 individuals. 1. The collected and identified moths were 352 species, 256 genera, 19 families, and the dominant species and family were Herculia glaucinalis; Linne and Noctuidae, and the unrecorded species in Korea were 15. 2. Biogeographically the ratio between the Paleoarctic and the Oriental species race was 4 to 1, Kumgok-myoˇn belongs to the Paleoarctic. 3. Appearance pattern was classified to 6 types according to the collecting frequency, and the collecting numbers of individuals were most abundant in July and through summer. 4. The moths appeared most abundantly from 21 to 23 o'clock through the year, and at 23, 22 and 21 o'clock in spring, summer and autumn, respectively. 5. The collected numbers of individuals were most at 18℃∼24℃. 6. The collected numbers of individuals were none below 50% of the relative humidity, increased from 70%, and most at 9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