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stimation of Soil Moisture Curves of Mixed Media Using a Dielectric Moisture Sensor

        강승원,서상규,이긍표,박천호 한국원예학회 2010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Vol.51 No.1

        Soil water content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irrigation scheduling for horticultural crop production. In this study, a moisture sensor (Thetaprobe ML2X) was used to measure water content of several soilless media containing peatmoss, perlite and vermiculite at different ratios. First of all, a calibration test was performed. It was found that parameters, a0 and a1, needed for calibrat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 and were negatively related to a mixing fraction of peatmoss (a0=1.165-3.3×10-2・Pe, R2=0.800*, and a1=8.356-0.566・Pe, R2=0.858**). Volumetric water content (θv)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to root square of dielectric constant (Ka) and a polynomial (cubic) relationship to Ka. Also, relationship between θv and Thetaprobe output (V) was evaluated. Both linear and polynomial equations were obtained with a high significance (R2=0.999***) and therefore, results shows θv can be estimated using output (V) by using a simple linear equation.

      • KCI등재

        C-형강 매트 저면관수 시스템을 이용한 분화 국화 재배 시 정식시기와 Daminozide 처리에 따른 초장 조절

        강승원,서상규,이긍표,박천호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1 화훼연구 Vol.19 No.1

        저면관수 방식인 C-형강 매트재배 시스템을 이용한 소형 분화 국화 재배 시 daminozide 농도에 따른 관 주처리, 저면공급 및 정식시기에 따른 생장억제 효과의 지속력 및 저면공급의 처리효과를 구명하고자 본 실험 을 수행하였다. 1차 정식처리구에서 4,000 mg·L-1 이상 의 관주 처리구에서 초장신장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차 정식처리구의 경우 5,000mg·L-1 에서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분산분석 결과 정식시기도 초장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양액과 저면 공급한 처리구에서 daminozide가 화뢰의 형성, 생 체중 및 건물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하여 정식시기를 조절하여도 초장을 조절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초장신장 억제를 위한 생장조절제 처리 시 정식시기와 공급방법의 다양 화를 통해 분화 국화의 효율적인 초장 조절이 가능 할 것이다. Effect of daminozide concentration and application methods, in combination with different planting period, on the growth of chrysanthemum was investigated for small pot-plant production. Daminozide, a plant growth regulator widely used for plant height control, was applied by drench or sub-application. For pot chrysanthemums of first planting time, plant height was reduced over 4,000 mg·L-1, when daminozide was drenched directly into the pot medium. However, 5,000 mg·L-1 of daminozide drench affected plant height reduction for secondarily planted pot chrysanthemum.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the plant height was affected by planting time. For sub-application experiment of daminozide, it showed that the daminozide affected the number of flower buds formation and fresh and dry weight. These results suggest that planting period affected growth retardation of chrysanthemum. Therefore, application of growth retardant in combination with planting time and application methods may provide more efficient growth control for pot-chrysanthemum production.

      • 스토리텔링관점에서 바라본 2007 및 2009 개정 수학 교과서 비교 연구 - 중학교 3학년 ‘실수와 그 연산’과 ‘통계’단원을 중심으로-

        강승원,전영미 한국교육컨설팅학회 2015 교육컨설팅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2009 개정 수학 교과서가 이전의 2007 개정 수학 교과서와 비교하여 스토리텔링의 요소가 어떻게 얼마나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두 출판사의 교과서 와 익힘책을 동일한 출판사의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와의 문항을 비교 분석하였다. 구체적 으로 두 교과서는 전체적인 교과서 구조 측면에서, 그리고 실생활연계, 수학적 흥미, 창의성과 의사소통 이라는 세가지 스토리텔링형 유형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연구 분석 결과, 새로 개정된 2009 A와 2009 B에서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첫 째, 스토리텔링을 반영한 전체적인 문제의 수나 스토리텔링적 요소에서는 2009 개정 교과서와 이전 교 과서간에 큰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2009 개정 교과서는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활동이 증 가하였다. 셋째, 2009 개정 교과서는 자기주도적 학습의 요소가 증가하였다. 이상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2009 개정 교육과정과 「수학 교육 선진화 방안」이 추구하는 스토리 텔링이 잘 구현된 수학 교과서 개발을 위해 첫째,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스토리텔링이 무엇인지, 현재의 교과서가 어떤 점에서 변화되었는지를 명확히 한 후 이에 대한 연수가 필요하며 둘째, 수학 교 과 내용과 일상생활과의 연계를 위한 다양한 소재를 발굴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 이야기적 요소를 보충 하고 넷째, 다양한 활동을 이끌고 다섯째, 공학적 도구를 다양하게 사용하는 기회가 주어져야 함을 제 안하였다. Mathematics is directly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reasoning, log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However, mathematics is composed of abstract terms and a strong hierarch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roceed to the next step if learning loss and alienation occurs in the course. To solve this problem, when announcing its plan for the advance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has adopted storytelling in the mathematics textbook to increase students’ motivation and interest. Storytelling is an educational method for learning by a story format. Recently, storytelling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Storytelling makes it easy to understand math and evokes curiosity for learning. It also develops learners'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2009 revised math textbook adapted to storytelling and the 2007 revised math textbook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lements of storytelling. For this study, two kinds of 2007 revised middle school mathematics books, three textbooks and workbooks, were compared with two kinds of 2009 revised middle school mathematics books, three textbooks adapted to storytelling. The following are several proposals to make the 2009 revised textbooks adapted to storytelling more effective. First, it is necessary to train teachers on using the revised curriculum to emphasize storytelling. Second, there is a need for a variety of materials excavated for the connection of mathematics and everyday life. Third, the narrative elements should be supplemented. Fourth, it should lead to a variety of activities. Fifth, there is a need for the opportunity to use various engineering tools.

      • 가축의 렙토스피라병

        강승원 대한수의사회 1986 대한수의사회지 Vol.22 No.3

        여러 축산농가들은 렙토스피라병이 경제적 손실을 가져다 주는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인식을 가져야 하며 소와 돼지가 렙토스피라에 대하여 감수성 동물임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절병의 진단, 치료 및 근절대책이 그렇게 간단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부언하면, 렙토스피라병은 인수공통전염병으로써 공중위생학적으로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