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상에 대한 기독교적 고찰

        유명복(Myung B. Yo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4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42

        종교의 영역에서 신비한 것으로 여겨지던 명상이 최근에는 심신의 고통을 치유하는 실제적인 방법으로 인식되어 대중의 관심을 끌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명상의 유형과 특징, 명상의 효과 및 기독교 관점에서 명상을 조명하였다. 명상에는 크게 집중명상과 통찰명상이 있다. 집중명상은 특정한 대상에 주의를 집중함으로 산란한 마음을 고요하게 안정시키는 방법이다. 통찰명상은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고 알아차림으로써 존재의 실상을 체득하는 지혜를 얻는 수행방법이다. 요가, 초월명상, 그리고 마음챙김에 대해 각각 설명하였고 현재 기독교계에 논의가 되고 있는 관상기도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동양의 명상은 변형된 의식을 목표로 하고 하나님을 바라보기보다 자신의 내면을 바라보며, 대부분의 명상체계는 궁극적인 실재와의 합일을 갈망하고, 그 궁극적인 실재는 브라만이나 우주와 같은 비인격적인 실재이다. In this paper, types of meditaiton, characteristics of meditation, the effect of meditation and christian perspective on meditation are discussed. Many people view meditation as a means to develop their natural and psychic powers. In other cases, people practice meditation with the goal of self-relaxation. Whatever the case may be, the fact is, this kind of meditation—that is, Eastern meditation— is characterized by self-centered objectives. In Christian perspective, Eastern meditation draws people away from God by encouraging them to look inwardly to themselves rather than to God. Additionally, the kind of meditation emptying one’s mind opens up the possibility of demonic deception, manipulation, and yes, even possession. In fact, Christian meditation calls us to look upward and outward to God so that our minds may be filled with godly wisdom and insight, and so that our hearts may be filled with comfort, happiness, and joy. Meditation need to be investigated more in order to lead people to have sound doctrine about meditation for sound faith community.

      • KCI등재후보

        The Relationship between Martial Arts Training and Meditation

        Seongkon Choi J-INSTITUTE 2023 International Journal of Martial Arts Vol.8 No.-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mind through the process of meditation, which is receiving increasing attention in modern time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martial arts in medit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mind, identifying the body and mind as inseparable, and the training of the body as a technical means to improve the mind and personality. This will contribute to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martial arts in meditation. Method: As one of the data collection methods to study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the method of collecting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existing literature data was selected. This was approach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collects data and interprets the meaning of the phenomenon through the intuitive insight of the researcher. Results: There are two types of meditation: static meditation and dynamic meditation. Static meditation is a seated, stationary practice that involves sitting in a certain posture and focusing your consciousness on a single thought, clearing your mind of distractions, and calming your mind. Dynamic meditation is a form of meditation that involves repetition of certain movements, such as walking or practicing martial arts, in which you imagine an area as a sanctuary and walk a certain distance every day without stopping. As you continue to perform physical exercises, the mind becomes increasingly unresponsive to external stimuli and focuses only on mental images. Repetitive physical exercises like this have the effect of meditation. In this way, practicing Taekwondo or the Chinese martial art of kung fu can have a meditative effect. The Taekwondo curriculum are consisted of 1)The trainees must perform repetitive movements through 360 hours of training 2)1 Dan/Poom holders require 240 hours of training, 2 Dan/Poom holders require 480 hours, 3Dan/Poom holders require 720 hours, 4 Dan/Poom holders require 960 hours, 5 Dan holders require 1200 hours, 6 Dan holders require 1440 hours, 7 Dan holders require 1680 hours, and 8 Dan holders require 2060 hours of training in nine years. These required hours are divided into units for repetitive training such as Poomsae, competition, defeat, character, self-defense, taekwondo physical fitness, taekwondo gymnastics, taekwondo demonstration, and core exercises.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repetitive physical exercises make the mind increasingly unresponsive to external stimuli and focus on mental images. This has the effect of meditation, so martial arts training and meditation are closely related.

      • KCI등재

        어원적 관점에서 보는 暝想과 相談 - Homo Meditatus and Homo Consiliatus

        윤희조 한국불교학회 2019 韓國佛敎學 Vol.90 No.-

        There are two areas and meanings related to the etymology of meditation. Myung(暝) covers the fundamental area, sang(想) covering the higher area. Bhāvanā signifies to develop the original state of the mind. Homo Meditatus or meditating man is a characteristic and possibility that human beings inherently have. Meditation is a methodology and is associated with a certain purpose. Among meditations, Buddhist meditation shares the purpose of the Buddha's problem-solving. Buddhist meditation can be called one of the methodologies for solving the suffering. If the area of Buddhist meditation includes all areas of the fundamental, the higher, and the ordinary, it can be the area of the Noble Eightfold Path. This problem solving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ges, and it can be seen through the changes of problems in Mahayana Buddhism. A triangle model of meditation would be possible in that the area covered by meditation might be posited as the base of both ends of the fundamental and the higher, with its objective as a point on the base. Due to the dynamics of the three points, various triangular models will be possible. The area of the fundamental and the higher might be approached not only by meditation but also by counseling. Counseling is also a methodology, associated with a certain purpose. In counseling, Buddhist counseling shares the purpose of the Buddha's problemsolving. And the triangular model of meditation can be applied to counseling. The triangular model of counseling becomes possible when the fundamental and the higher, as the area of c ounseling, are posited as the base of the triangle with the goal of the counseling as one point. Due to the dynamics of the three points, various types of triangular models become possible. Unlike these common points of meditation and counseling, the specificity of counseling can be found in the etymology of counseling. This can be seen in relation to the etymology of counseling. There are two assumptions about the etymology of counseling. It can be seen that the relational field is formed from the sang(相) and the changes through the vibration can be seen through the dam(談). Homo Consiliatus or counseling man is a characteristic and possibility that human beings inherently have. 본고는 어원에 기초하여 명상과 상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모색함으로써 둘의관계를 보고자 한다. 나아가서는 불교심리학 안에서 불교명상과 불교상담의 위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명상의 어원에서 명상과 상담의 공통점을 볼 수 있고, 상담의 어원에서 명상과 상담의 차이점을 볼 수 있다. 명상의 두 영역은 명상과 상담의 공통된 특징이라고 할 수 있고, 상담의 두 전제는 상담의 고유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명상의 어원에서 명상의 두 가지 영역을 볼 수 있다. 한자어 명(暝)은 근원적인영역, 상(想)은 고원적인 영역을 의미한다. 빨리어 바와나는 마음의 원래 상태를계발하는 것을 말한다. 인간에게 근원에 대한 호기심과 고원에 대한 추구가 있다면 호모 메디타투스 즉 명상하는 인간은 인간이 본래 가지고 있는 특징이고 가능성이라고 할 수 있다. 명상은 방법론으로, 목적과 연관되어 있다. 명상 가운데 불교명상은 붓다의 문제의식에 따른 목적을 공유한다. 괴로움의 해결이라는 목적을위한 방법론 가운데 하나를 불교명상이라고 할 수 있다. 명상이 다루는 영역인근원과 고원의 양 끝점을 밑변으로 하고, 목적이 밑변 위에 존재하는 하나의 점이된다면, 명상의 삼각형 모델이 성립할 것이다. 세 점의 역동성으로 인해서 다양한삼각형 모델이 가능할 것이다. 근원과 고원의 영역은 명상뿐만 아니라 상담의 영역이기도 하다. 상담 또한 방법론으로, 목적과 연관되어 있다. 상담 가운데 불교상담은 붓다의 문제의식에 따른 목적을 공유한다. 그리고 명상의 삼각형 모델은상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담의 영역인 근원과 고원을 삼각형의 밑변으로 하고상담의 목표를 밑변 위의 하나의 점으로 보면, 상담의 삼각형 모델이 가능해진다. 세 점의 역동성으로 인해서 다양한 형태의 상담의 삼각형 모델이 가능하게 된다. 상담의 어원과 관련해서 상담의 두 가지 전제를 볼 수 있다. 상(相)으로부터연기적 장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고, 담(談)을 통해서 진동을 통한 변화를 볼수 있다. 여기서 ‘함께[相]’는 함께 생활하는 존재 즉 중생으로서 모든 생명체의특징과 연관되어 있다. 함께 모여서 이야기함으로써 진동으로 인한 변화의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그러므로 호모 콘실리아투스 즉 상담하는 인간은 인간이 본래가지고 있는 특징이면서 가능성이다. 명상하는 인간과 상담하는 인간은 인간에게 내재해 있는 가능성을 계발하고, 인간에게 내재해 있는 전제에 기반하고 있다고할 수 있다.

      • 마음챙김 명상, 치료인가 종교적 수행인가?

        신경철(Kyung-Chul Shin),박이진(E-Jin Park)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6 사회정신의학 Vol.21 No.2

        동양문화에서 발생한 명상은 20세기에 와서 Maharishi Mahesh의 초월명상(Transcendental meditation)과 Jon Kabat-Zinn의마음챙김 명상(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MBSR)등의 형태로 서구에 소개된 이후, 명상이 여러 신체 질환과 정신 질환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증명되었고, 치료의 영역에서 명상의 사용이 확대되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서구보다 명상에 대해 오히려 많은 편견들이 있어 명상이 치료에 사용되는데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치료적 목적으로써의 명상과 종교적 수행으로써의 명상이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음챙김(mindfulness)이란 지금-여기에서(here and now) 일어나는 모든 것들에 대해서 또렷이 깨어있는 것(awareness)을 말한다. MBSR의 마음챙김 명상에서 삶을 보는 견해가 달라지고 심상과 욕망의 집착을 끊는 성장을 통해 치유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MBSR 프로그램을 통한 훈습이 명상의 종교적 수행과 완전히 별개의 것이라고 보기도 어렵다. 해탈이라는 목표를 명시적으로 하느냐와 해탈을 목표로 할 때 수행의 치열함 등이 다르다고 할 수 있겠다. 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과 각종 스트레스에 직면한 일반인들은 치유적인 MBSR 프로그램을 통해 배움과 성장, 치유를 얻고 자각의 삶이 주는 건강함을 가지게 되는 것만으로도 MBSR의 의미가 충분이 있다고 하겠다. 심리적 안정이나 자아의 발달 과제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사람들은 마음챙김 명상을 통해서만 모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것이 아니라 수행자 개인의 심리적 특성에 따라 심리치료와 같은 개입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Oriental Meditation in the 20th century was introduced to the West in the form of Transcendental meditation by Maharishi Mahesh and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MBSR) by Jon Kabat-Zinn. It has been proved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physical illness and mental disorders, and the use of meditation in the field of therapy has been expanded. In Korea, however, there are many prejudices about meditation rather than western, which makes meditation an obstacle to its use in therapy. In this paper, we tried to investigate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meditation as therapeutic purpose and meditation as religious practice. Mindfulness means awareness of everything that happens here and now. In mindfulness meditation, the view of life is changed and the healing is achieved through growth that breaks the attachment to thoughts and desires. Therefore, meditation practice in MBSR is hardly regarded as completely separate from the religious practice of meditation. They differ in the explicitness of the goal to enter into nirvana and the fierceness of practice in the goal of nirvana. Patients suffering from the disease and those facing various stresses can learn, grow and MBSR has enough meaning just to have the health of life through awareness. Those who need to achieve psychological stability or developmental tasks should not only solve all problems through mindfulness meditation but also intervene with psychological treatment according to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알아차림 명상의 치유적 효과

        김형록(인경)(Kim, Hyung-Rog (Ven. Inkyung)) 질적연구학회 2013 질적연구 Vol.14 No.2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therapy effect of counseling based on mindfulness mediation(meditation counseling) on study-participant, Ms. Sunshine, who has depressive feeling. Methods: This study chose meditation counseling, which is based on meditation interventions such as respiration meditation, feeling meditation and image medit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the depression symptom of Sunshine largely decreased at the time-point 3, which was when she was before meditation training, for meditation study, and finished mindfulness meditation counseling. Regarding physical symptoms, the stuffiness as large as a soccer ball changed to garlic shape and then to “ㄱ" shape. It became smaller and eventually disappeared. As for other achievement, her conflictive relation with aunt improved to relatively flat relation though the personal relation aspect was not dealt directly by the author. Sunshine reported that her difficulty with boyfriend also naturally settled down. Conclusion: It is judged that these changes have been caused by her new reality-acceptant attitude, enlightenment achieved by respiration meditation, the sufficient staying and experiencing during feeling meditation, repeated exposure to image meditation and the observation.

      • KCI등재

        불교명상의 성격과 그 특징 - 명상과 선정의 차별성을 중심으로 -

        김호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2023 명상심리상담 Vol.29 No.-

        Today, general meditation is widely practiced around the world. In addition to the history, types and methods of meditation, industries that utilize meditation are also developing. Modern meditation began to have such a popular character in India in the 1950s, when it was introduced to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in the 1960s. There are many reasons why modern people meditate. The basis of meditation is to maintain and improve the function of the body and mind. Furthermore, meditation is used to pursue physical and psychological tranquility and relaxation, and furthermore to promote overall health and well-being. On the other hand, Buddhist meditation emphasizes that you are always awake. In particular, meditation on the sitting type of Buddhist meditation aims at the achievement of enlightenment, for example, solving problems of oneself. Self-problem solving is to know oneself clearly and to achieve oneself. This kind of meditation began with the meditation of the Buddha. Meditation in general focuses on relieving stress. Sitting meditation, on the other hand, focuses on calming stress and moving toward enlightenment. In this respec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general meditation and sitting meditation. In this thesis,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meditation and Sitting meditatin are examined and some differences are examined. As a result,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ultimate goal of general meditation and Sitting Meditatin.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ubject, Thirdly, the methods, Fourth, the effects, Fifth, the characteristics, and Sixth, the Features.

      • KCI등재

        身念處 수행을 원용한 절 수행 연구 ‒ 법왕정사 절 수행법을 중심으로 ‒

        임형준 한국불교학회 2017 韓國佛敎學 Vol.81 No.-

        Bow meditation has become a popular meditation method among Buddhist practitioners in recent years. Sever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bow meditation, but research efforts have done a poor job in documenting the meditational aspects. Bow meditation is incorporated into various meditation methods, of which this study focused on the method of incorporating mindfulness (sati) into bow meditation. Beopwang Jeong-sa Temple is known for the systemization and spread of bow meditation among Buddhist temples across Korea. Beopwang Jeong-sa has incorporated the mindfulness (sati) method into the bow meditation practice. This approach uses kāyānupassanā meditation from the Mahāsatipaṭṭhāna sutra and Kāyagatāsati sutra. In short, kāyānupassanā-based bow meditation is a meditation method used to reach a realization beyond the dimensions of old health care methods and repentance. This study thus analyzes the bow meditation method of Beopwang Jeong-sa Temple based on kāyānupassanā meditation. 절 수행은 근래에 많은 불자들이 실천하는 수행법이다. 절은 주로 참회나기도, 업장소멸의 방법으로 행한다. 일반 사람들에게는 운동법의 성격이 강하다. 절 수행의 육체적 심리적 효과는 몇몇 자료와 연구에서 입증한다. 그러나수행적 측면의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절 수행은 다양한 수행법과 접목한다. 그 중 절 수행에 알아차림(sati)을 대입하는 방법에 주목한다. 국내 사찰 중 절 수행을 가장 체계화하고 보급한 곳은 법왕정사다. 법왕정사는 절 수행에 알아차림을 대입하여 불자들에게 수행지도 한다. 절 수행 시 각 동작에 알아차림을 대입하여 끊임없이 몸의 움직임, 현상을 알아차려야 한다. 이러한 방법은 「대념처경(大念處經)」과 「염신경(念身 經)」에 있는 신념처(身念處)수행을 원용했다. 이들 경전에 따르면 신념처 수행은 가장 기본적이면서 궁극적으로 열반을 성취할 수 있는 수행법이다. 신념처를 원용한 절 수행은 기존의 건강법, 업장소멸, 참회의 차원을 넘어깨달음으로 이끄는 수행법이다. 법왕정사 절 수행은 신념처 수행을 현대적으로 원용한 실제 사례이다. 따라서 본고는 신념처 수행을 원용한 법왕정사 절수행법을 분석하여 판단하겠다.

      • KCI등재

        치유의 숲 산림명상공간 인자의 중요도와 만족도

        정경미,신원섭 한국환경생태학회 202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7 No.4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echniques and effects that can be applied to forest meditation in domestic forest healing meditation research,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space where forest meditation takes place. Nevertheless, a meditation space is not just a place concept but a forest environment element responsible for the healing function of a forest, i.e., a place containing healing factors, and can be an essential clue to the healing mechanism. Therefore, to determine whether a healing forest meditation space is suitable for meditation, this study selected the attribute items of the meditation space using the Delphi expert survey and then surveyed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healing forest meditation space using the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techniqu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November 2022, targeting 315 adults who used the forest meditation space at the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the Saneum Healing Forest, and the Jathyanggi Pureunsup Arboretum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 of the IPA analysis showed the average satisfaction with the forest meditation space was relatively high at 4.33 points on a 5-point Likert scale (4.33 points for the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4.34 points for the Saneum Healing Forest, and 4.37 points for the Jathyanggi Pureunsup Arboretum), indicating that the three healing forest meditation spaces were suitable for forest meditation. Satisfaction with the “Sounds of nature” was high in all three forests. On the other hand, all three forests showed a relatively low satisfaction with “Quietness,” indicating it to be a priority problem to be addressed. Also, an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the mediation space’s natural elements, such as natural sounds, scenery, air, forest spaces, and scents, had a higher positive impact on meditation satisfaction than artificial elements, such as faciliti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ecure sound resources such as the sound of water and birds around the meditation space, and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create a meditation forest in an independent area to avoid encounters with visitors and allow only participants in the forest healing meditation program to enter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forest meditation. 국내 산림치유명상연구에 있어 산림명상에 적용할 수 있는 기법과 효과에 대한 연구들은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산림명상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상공간은 단순한 장소적 개념이 아니라 산림의 ‘치유’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산림환경요소 즉, 치유인자를 담고 있는 곳으로 치유메커니즘을 밝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치유의 숲 산림명상공간이 명상에 적합한 공간인지 알아보고자 델파이 전문가 설문조사(Delphi Expert Survey Method)로 명상공간의 속성항목을 선정 한 후, IPA기법(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을 활용하여 치유의 숲 산림명상 공간 이용자의 만족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은 국립산림치유원과 산음 치유의 숲, 경기도 잣향기 푸른숲에서 산림명상공간을 이용한 일반성인 315명을 대상으로 2022년 8월부터 11월까지 진행하였다. IPA분석 결과 산림명상공간의 만족도 평균은 5점 리커트 척도에 4.33점(국립산림치유원 4.33점, 산음 치유의 숲 4.34점, 잣향기 푸른숲 4.37점)으로 높게 나타나 세 곳 치유의 숲 명상공간은 산림명상에 적합하게 조성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세 숲 모두 ‘자연의 소리’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반면 세 숲 모두 ‘고요함’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 또 개방형설문 결과 자연의 소리, 경관, 공기, 숲 공간, 향기 등 명상공간의 자연요소가 시설과 같은 인공요소보다 명상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명상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명상 공간 주변에 물소리 새소리 등의 소리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고, 방문객과의 조우를 피하는 독립된 공간에 ‘명상 숲’을 따로 조성하여 산림치유명상 프로그램 참여자만 입장하는 방법 등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호흡명상의 심리 치유적 효과- 영상관법에 의한 상담사례를 중심으로 -

        김형록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5 No.-

        Breathing meditation is a self-discipline that has been used for psychological healing not only in the Buddhist tradition but also in various other cultural areas. As many related studies are needed, many literar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hereas field studies are lacking.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approach based on two perspectives. First, questionnair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healing effects of breathing meditation performed by modern practitioners. Seco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Reflected Image Meditation (RIM) with a focus on examining the effects of breathing mediation on emotion control and the reasons for its effects. Fort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mixing statistical methods and qualitative analysis and the findings were mostly consistent with existing literary studies. However, the study was useful in the sense that it provided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mindfulness, attention, tranquility and stability, clear mind, emotion control, relaxation and insight regarding the healing effects of breathing meditation. Secondly, according to the cases of Reflected Image Meditation (RIM) on the reason for the psychological healing effect of breathing meditation, breathing meditation “prevents” other thoughts, maintains “balance” in the midst of distracted thoughts, “brings down” elevated energy, allows for the “observation” of various phenomenon of the mind, and helps to gain “insight” into areas that have not been realized. Such factors bring about the psychological healing effects of breathing meditation. To answer the remaining questions,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an extensive research study by sampling a large popul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breathing meditation.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qualitative case studies would be need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breathing meditation. There is also a need to establish a psychological theory on the reason why breathing meditation is effective. 본 연구는 호흡명상과 관련된 질문지 조사연구와 질적 사례의 두 가지 방향에서 진행하였다. 첫째는 현대 수행자들의 호흡명상의 치유적 효과에 대한인식조사이고, 둘째는 호흡명상이 감정조절에 어떻게 효과가 있었는지에 초점을 맞춘 영상관법에 의한 사례연구를 하였다. 첫 번째, 설문지에 대한 분석은 60개의 설문가운데 회수된 39개를 통계적방법과 질적 분석을 혼합하였다. 그 결과 대체로 전통적인 문헌연구와 일치하였다. 하지만 호흡명상의 치유적 효과에 대해서 알아차림, 주의집중, 고요와안정감, 맑은 마음, 감정조절, 이완, 통찰과 같은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여 주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발견되었다. 두 번째, 호흡명상은 왜 심리치유적 효과가 있을까에 대한 영상관법의 사례연구인데, 여기에 의하면 호흡명상은 다른 생각을 ‘방지’하고, 산란한 생각에서 ‘중심’을 잡게 하고, 올라간 기운을 아래로 ‘끌어내리고’, 마음의 다양한현상을 ‘관찰’하게 하고, 미처 깨닫지 못한 부분을 ‘통찰’하게 한다는 것이다. 호흡명상을 하게 되면 바로 이런 변화요인들이 심리치유적 효과를 가져다준다고 말할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논의에서는 이론적인 고찰을 하였는데, 호흡명상의 효과를 ‘접촉과 분리’의 메커니즘으로 불교심리학적 관점에서 설명하였고, 이것을 다시간단하게 서구의 심리학에서 개발한 생리학적 의미와 체계적 둔감화 등과 비교하였다.

      • KCI등재

        종교의 자유와 명상에 관한 헌법적 해석

        전지수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가천법학 Vol.16 No.3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 종교의 자유의 보호대상에 명상은 포함되는지 의문이다. 전통적으로 명상은 종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현대의 명상은 종교성에서 세속화·대중화·산업화로 변천되었다. 명상의 세속화는 종교의 개념에 대한 재해석을 요청한다. 명상의 개념은 더 이상 종교에 국한하지 않는다. 명상은 종교적 차원과 세속적 차원이 조응 혹은 분리된 개방적 개념으로 확장된 것이다. 그렇다면 명상을 종교로 포섭하여 일률적인 종교의 자유의 보호영역으로 설정할 수 없다. 국가는 종교의 자유를 보호할 수 있도록 종교의 범위에 대하여 고민하여야 한다. 합의된 헌법적 정의는 부재하다. 이에 대한 헌법적 대답을 부과한다. 헌법질서 아래 상이해진 두 개념 간에 평화적 공존을 위해서는 새로운 정립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명상에 관한 헌법적 문제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명상은 종교인가? 둘째, 헌법상 명상의 개념은 무엇인가? 셋째, 종교의 자유와 명상은 어떠한 관계를 갖는가? 종교적 명상과 세속적 명상으로 구분하여 종교의 자유에 대한 실효성 있는 헌법해석을 시도해 볼 수 있다. 종교적 명상의 경우 종교가 추구하는 유일한 목적에 이르기 위한 수단이다. 이와 달리, 세속적 명상의 경우 각인의 다양한 목적을 내적으로 경험하기 위한 생활의 실천이란 점에서 합리적인 헌법적 해석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고는 종교성을 갖는 명상의 경우 종교의 자유의 영역이지만, 세속성을 갖는 명상의 경우에는 무종교의 자유의 영역으로 보는 것은 정당한지 여부에 대하여 고찰한다. 이를 논증하기 위하여 헌법상 종교와 명상의 개념, 종교의 자유와 무종교의 자유를 구분하여 탐색한다. 그리고 무종교의 자유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무신앙의 자유, 무종교적 행위의 자유, 무종교적 집회·결자의 자유, 무종교의 자유 제한의 한계를 명상의 개념을 접목하여 살펴보고, 이어서 종교의 자유와 무종교의 자유에서 각기 파생되는 가칭 ‘종교적 명상의 자유’와 ‘세속적 명상의 자유’에 대하여 제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헌법상 종교와 명상의 개념을 살펴보고, 헌법해석을 통해 상충할 수 있는 종교적 명상과 세속적 명상의 기본권 보호의 범위를 법익형량 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함에 있다. The Constitution guarantees freedom of religion. It is doubtful whether meditation is included in the protection of religious freedom. Traditionally, meditation has been used as a means to achieve religious goals. Modern meditation is losing its religiosity. In other words, modern meditation is changing into secularity, popularity, and industrialization. The secularization of meditation calls for a re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religion. The concept of meditation is no longer limited to religion. Meditation is an expansion of an open concept in which the religious dimension and the secular dimension correspond or separate. Meditation cannot be embraced as a religion and set as a uniform protection area for religious freedom. The state should consider the scope of religion to protect religious freedom. There is no agreed upon constitutional definition. A constitutional answer to this is required. This is because a new interpretation is needed for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the two different concepts under the constitutional order. The constitutional issues regarding meditation are largely organiz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is meditation a religion? Second, what is the concept of meditation in the constitution?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dom of religion and meditation? It is possible to try an effectiv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religious freedom by dividing it into religious meditation and secular meditation. In the case of religious meditation, it is a means to the only end pursued by religion. Unlike this, in the case of secular meditation, a reasonabl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must be premised in that it is a practice of life to internally experience the various purposes of each person. This study considers whether it is legitimate to regard meditation with religiousness as the realm of freedom of religion, but in the case of meditation with secularity, as the realm of freedom from religion. To prove this, the concept of religion and meditation, and freedom of religion and freedom from religion in the Constitution were distinguished and explored. The specific content of freedom from religion was reviewed by grafting the concept of meditation on the freedom of unbelief, freedom of non-religious activities, freedom of non-religious assembly and assembly, and the limits of freedom from religion. And, tentatively named 'freedom of religious meditation' and 'freedom of secular meditation' derived from freedom of religion and freedom from religion are pres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legal interests by setting the concept of religion and meditation in the Constitution 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basic rights of religious meditation and secular meditation that may conflict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