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률비서의 경력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이지희,박윤희 한국비서학회 2022 비서·사무경영연구 Vol.31 No.1

        This study conducted a needs assessment study of legal secretaries working in large South Korean law firms with more than 200 lawyers and analyzed their career development needs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and according to position and seniority.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data point for a successful 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needs assessment prioritization, this study utilized the t-test, Borich’s needs, and the redundancy of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ap between the current and desirable levels of career development support of organizations was the largest. Second, the legal secretaries hoped that the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necessary for developing their career competency and successful job performance would be operated within the organizations. Moreover, they hoped that job postings within the organizations would allow transfer to another department or task change.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evaluating and managing their job performance operated fairly. Third, the needs and priorities of each position of the legal secretaries differed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seniority. Differentiated career development is required considering the differing demands for career development for each position and seniority. This study, which systematically conducted a needs assessment of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 legal secretaries working in large law firms, has implications for the career development of legal secretaries and law firms. 본 연구는 변호사 수 200명 이상의 국내 대형 로펌에서 근무하는 법률비서를 대상으로, 법률비서가 인식하는 개인적·조직적 차원의 경력개발에 관한 요구를 분석하고, 법률비서의 직급별 경력개발에 대한 요구도를 분석함으로써, 성공적인 경력개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 우선순위결정을 위하여 t 검정,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중복성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의 경력개발 지원현황에 대한 현재 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의 격차가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둘째, 법률비서는 본인의 역량 및 경력개발과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체계적인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이 조직 내에서 운영되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조직 내에 직무 공모제(job posting)가 갖추어져 있어서 다른 부서로 이동하거나 다른 직무로의 전환 등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하고 있었으며, 법률비서 본인의 업무 성과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성과관리 시스템이 공정하게 작동하기를 바라는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법률비서의 경력개발에 대한 직급별 요구도 및 우선순위의 결과는 사원 및 대리급, 과장 및 차장급이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직급별 요구에 맞도록 차별화된 경력개발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형 로펌에 재직 중인 법률비서의 경력개발에 대한 요구분석을 체계적으로 진행함으로써 법률비서의 경력개발에 관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AI 교육 유무에 따른 디지털 학습역량의 차이 및 교육 요구도 분석

        조혜영,오세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1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AI 교육 유무에 따른 디지털 학습역량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과 충청도 지역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281명을 대상으로 SPSS 23.0과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t-검증으로 차이를 분석하였고, IPA 분석,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model로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결과를 보면, 첫째, 대학생의 AI 교육 유무에 따른 디지털 학습역량 차이를 분석한 결과, 디지털 학습역량의 현재 수준인의사소통과 중요도의 창의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AI 교육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디지털 학습역량 요구도 분석결과, 집중관리 영역은 비판적사고이다. 현 수준과 중요도 간의 차이는 의사소통, 협업, 비판적사고, 창의성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Borich 요구도 분석결과, 의사소통, 비판적사고, 창의성 순으로 나타났다. The Locus for Focus Model에서 1사분면인 HH영역은 비판적사고로 나타나 교육 우선순위에서 공통된 하위요인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비판적사고는 Borich 요구도 분석결과 2순위로 나타나 AI 교육경험이 있는 대학생은 비판적사고를 강화시킬 수 있는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을 시사하고 있었다. 셋째, AI 교육경험이 없는 대학생의 디지털 학습역량 요구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중관리 영역은 비판적사고, 창의성이며, 현 수준과 중요도 간의 차이는 의사소통, 협업, 비판적사고, 창의성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The Locus for Focus Model에서 1사분면인 HH영역은 창의성, 비판적사고로 나타났으며, Borich의 요구도 분석과 공통적인 요인이 창의성으로 나타나 이를 최우선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AI 교육 유무에 따른 교육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AI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igital literacy skills among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ir exposure to AI education.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associated with AI education. Methods To accomplish this, a total of 281 students enrolled in 4-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Chungcheong-do region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the Excel program. The differences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d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were examined through IPA,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Results Based on the main results, First, we analyzed the difference in digital learning competencie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AI education, and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domains exceptcommunication, which isthe current level of digital learning competencies, and creativity, which is important. Second, the analysis of the digital learning competency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I education experience shows that critical thinking is a key area of focu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the importa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According to the Borich needs analysis, communicati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first quadrant, HH zone, manifested as critical thinking. While no common sub-factors appeared in education priorities, critical thinking emerged as the second-highest priority in the Borich Needs Assessment. This suggests that university students with AI education experience may need support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skills.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igital learning competency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without any prior experience in AI education are as follows.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are the focus are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import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The Locus for Focus Model shows that the first quadrant, HH, represents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and the common factor with Borich's needs analysis is creativity. Therefore, ways to support them should be prioritized. Conclusion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support fo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based on whether AI education is present or absent. Furthermore, I would like to propose effective measures to enhance the implementation of AI education.

      • KCI등재

        공학역량에 대한 산업체의 요구분석

        이정은 한국공학교육학회 2019 공학교육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industry for engineering education using the engineering competencyscale. For needs assessment, t-test,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LFF) were conducted using 400 employees’answers of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importanceand actual level. Second, all items were ranked using the Borich’s needs assessment formula. Third, as a result of LFF model, 19items were placed in the highest priority HH section. Fourth, 17 items with the highest priority in engineering education were selected. Finally,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were 6 items related with interpersonal skills, 2 items related with leadership, and 9 items relatedwith professional attitude and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ap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an education program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industry requirement and the current level of engineering students.

      • KCI등재

        IPA기법을 활용한 요양보호사 교육요구도 분석

        이금숙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8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0 No.28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 교육을 통한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교육내용에 대하여 중 요도-수행도(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요양보호사 19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T검정을 통해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고 둘째, Borich의 요구도 공식을 통한 우선순위를 제시한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한 좌표평면 결과를 제시한 다. 넷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HH분면에 속한 항목 개수 확인 및 그 개수 만큼 Borich 요구도 상위 순위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Borich의 요구도 공식의 상위순위항목들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HH분 면 항목들 간 중복성 확인을 통해 최우선 순위군과 차순위군을 결정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우선 순위군에 포함된 직무교육은 ‘욕창관리와 낙상관리’이고 차순위 역량군으로 ‘노인의 인권’, ‘노인학 대’, ‘경청과 의사소통’, ‘식사준비와 영양관리’, ‘식품 및 식기 등의 위생관리’, ‘쾌적한 거주 환경유지하기’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육요구를 반영한 요양보호사 교육이 필요하며 이는 긍극적으로 요양서비스의 질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job training of caregivers through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IPA) to gain caregivers' expertise. To do research, data was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bout job training for 190 caregivers, First, T-test was shown to compare the difference the desired level and the current level. Also,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gives the priority of them. Third. results were presented through the coordinate plane. In addition, it needs to check the number of items belonging to the HH division and determines the number of Borich top ranks. Finally, the redundancy check was performed between the top priority items of the Borich Needs formula and items in the HH division of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then, the highest priority and the next lowest priority group were determin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highest priority belonging to job training is 'Bedsore management' and 'Fall Management', And then, the next lowest priority is 'human rights of the elderly', 'Abuse for the elderly', 'Listening and communicating', 'Nutritional Supplements' and 'Nutrition management', 'Hygiene management of food and tableware', and ' Pleasant living environment management'. For caregivers. job training including these contents should be improved. Afterwards, these things can expect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nursing care service.

      • KCI등재

        태양광 발전 설비 분야 전문교과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우선순위 분석 연구

        이찬주,이병욱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4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y about educational contents of training program for vocational teachers related to the field of PV facility oper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importance level and their ability level for educational contents of 3 educational domains recognized by vocational teachers. And also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e priority as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Borich’s educational need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the importance level of 28 items for basic learning PV was 4.02 and the ability level was 3.16. The high priority items of educational needs are 5, (A-1, C-2, C-3, C-4, D-2), and the lower priority items are 8(D-1, D-3, D-4,D-5, D-6, D-7, D-8, D-9). Second, the importance level of 23 item for solar cell module was 3.66 and the ability level was 2.63. The high priority items of educational needs are 5, (F-8, G-1, G-4, G-5, H-1), and the lower priority items are 3(F-7, H-5, H-7). Third, the importance level of 17 item for practice of PV system was 4.04 and the ability level was 2.86. The high priority items of educational needs are 5, (K-1, K-3, M-1, M-2, M-3), and the lower priority items are 4(L-1, L-2, L-3, M-4). 이 연구의 목적은 태양광 발전 설비 분야의 전문교과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학습요소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산출하고, 이에 대한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결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3개 영역(태양전지 기초, 태양전지 모듈 제조, 태양광 발전 시스템 실무)의 학습요소에 대해서 전문교과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자신의 능력 수준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Borich의 교육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우선순위를 제안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양광 기초의 학습요소 28개 항목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는 4.02, 자신의 능력 수준은 3.16으로 나타났다.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연수를 위한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 항목은 5개(A-1, C-2, C-3, C-4, D-2)이고, 차순위 항목은 8개(D-1, D-3, D-4, D-5, D-6, D-7, D-8, D-9)로 나타났다. 둘째, 태양전지 모듈 제조의 학습요소 23개 항목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는 3.66, 자신의 능력 수준은 2.63으로 나타났다.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연수를 위한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 항목은 5개(F-8, G-1, G-4, G-5, H-1)이고, 차순위 항목은 3개(F-7, H-5, H-7)로 나타났다. 셋째, 태양광 발전 시스템 실무의 학습요소 17개 항목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는 4.04, 자신의 능력 수준은 2.86으로 나타났다.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연수를 위한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 항목은 5개(K-1, K-3, M-1, M-2, M-3)이고, 차순위 항목은 4개(L-1, L-2, L-3, M-4)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Borich 요구 분석

        서원석,쑹차오징,배가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敎員敎育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eds and implementation of process-based assessment as perceived by high school teacher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334 teachers working at high school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see if the high school teachers were largely awar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mand and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the process-based assessment. The Borich Needs and the LF model were also applie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igh school teacher's demand and performance for the process-based Assessment. Second, the high demand regarding process-based assesment were multi-faceted evaluation of process-based assessment, execution of lessons that derive results, evaluation of the learning process using performance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in collaboration with fellow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practical priorities in implementing process-based assessment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related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실행도와 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일반계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33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고등학교 교사가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요구도와 실행도 간 차이를 크게 인지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과정중심평가를 실행하는데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내용들이 무엇인가를 도출하기 위해 Borich 요구도와 LF 모델을 적용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 첫째,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요구도와 실행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요구가 높은 부분은 과정중심평가를 다면적 평가하는 것으로 이해, 결과를 도출하는 수업을 실행, 수행평가를 활용하여 학습의 과정도 함께 평가, 동료 교사와 협업하여 평가도구 개발, 평가결과를 학생에게 제공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정중심평가를 시행하는데 있어 실질적인 우선순위를 통해 어떠한 부분이 개발 및 보완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의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보건․복지 공무원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적 요구도 분석: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진선미,송윤희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3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health and welfare officialswho have changed after COVID-19 to strengthen their competencies and improve their practicalwork skills.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30 educational needs were identified through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FGIs with 12 health and welfare officials organized byposition. Based on these, a questionnaire was created and sent to health and welfare officialsthrough an online platform to receive responses, with a total of 240 participants. The collecteddata was analyzed using the Borich Needs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theeight areas with overlapping factors among the priorities derived from both methods werepresented as the top priorities. The top priority educational needs identified were digitalcompetencies, communication skills tailored to subject characteristics,, understanding andpracticing health and welfare services, disaster and crisis command and management in localcommunities, integrated practices in health and welfare services, counseling techniques foraddressing grievances, understanding and mediating inter-organizational conflict, andself-leadership.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an educational system todevelop the capacity of health and welfare officials and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보건·복지 공무원의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적인 업무능력향상에 필요한 교육적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 및직급별로 구성된 12명의 보건·복지공무원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한 결과 30개의 교육적 요구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작성한 설문지를 보건복지 공무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응답받았으며, 참여한 인원은 모두 240명이다. 수집한 자료는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Focus Model을 통해 요구분석을 하였으며, 두 가지 방법에서 도출된 우선순위 중 중복된 요인 8가지 영역을 최우선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도출된 최우선순위의 교육적 요구는 디지털 역량, 대상자특성별 의사소통 기술, 보건․복지 서비스 이해와 사례, 지역사회 재난재해 지휘 및 관리, 보건․복지연계 실무, 고충처리 상담기법, 조직 간 갈등 이해 및 조정, 셀프 리더십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건․복지 공무원의 역량 개발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체계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소·중견기업의 스마트팜 교육 수요 분석: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황두희,박금주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

        This study determined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i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related educational demands for SME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area of smart farms. In order to derive the approprate educational strategi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nd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mart farm technological field. As a result, the education demand survey showed high demand for production systems and intelligent farm machinery. In detail, Borich's analysis showed the need for pest prevention and diagnosis technology (8.03), network and analysis SW linkage technology (7.83), and intelligent farm worker-agricultural power system-electric energy hybrid technology (7.43). In contrast, smart plant factories (4.09), lighting technology for growth control (4.46) and structure construction technology (4.62) showed low demands. Based on this, the IPA portfolio shows that the network and analysis SW linkage technology and the CAN-based complex center are urgently needed. However, the technology that has already been developed, such as smart factory platform development, growth control lighting technology and structure construction technology, was oversize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ossible to strategically suggest the customized training programs for industrial sectors of SMEs that reflect the needs for efficiently operating smart farms. This study also provides effective ways to operate the relevant training programs.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기반 스마트팜 분야의 중소∙중견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관련 교육 수요를 조사·분석하여 효과적인 교육전략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육전략 도출을 위해 스마트팜 기술 분야 도출, 교육수요조사 실시, 교육수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IPA 분석과 Borich 요구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수요조사에서는 생산시스템 분야와 지능형 농작업기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Borich 요구도 분석에서 병충해 방지 및 진단기술(8.03), 네트워크 및 분석SW 연계기술(7.83), 지능형 농작업기-농업동력 기계시스템-전기에너지 하이브리드 기술(7.43)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스마트 식물 공장(4.09), 생육조절을 위한 조명기술(4.46), 구조물 건설기술(4.62)은 낮은 요구도를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 IPA 포트폴리오 분석 결과는 집중노력영역의 네트워크 및 분석SW연계기술, CAN기반 복합센터 활용 기술은 시급히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분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마트공장플랫폼개발, 생육조절조명기술, 구조물건설기술 등과 같이 이미 상용화된 기술에 대해서는 과잉영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팜 분야의 수요를 반영하여 중소∙중견기업 산업현장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전략적으로 제시하고, 교육프로그램 운영방안의 제안이 가능하다.

      • KCI등재

        기계·금속교과 정교사 자격연수 개선을 위한 교육 요구도 우선순위 구명

        서원석,송교원,이창훈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3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reliminary data to improve in-service qualification training for secondary Mechanical and Metallurgical Subject (MMS) teachers by conducting a survey of satisfaction and needs assessment.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we utilized the survey research method using Borich’s five steps needs assessment model. The population of the survey consisted of the 65 mechanical and metallurgical subject teachers who were undergoing in-service qualification training, which was operated by an in-service training institute at a university in 2014.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needs questions and, was sent to all participants. The questionnaire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 satisfaction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and priority decision making were examined using Borich’s rank competencies method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atisfaction score for overall in-service training was 3.47, the effect of training was 3.36, the satisfaction with training operation and evaluation was 3.21, the satisfaction with faculty was 3.78, and the average environment satisfaction was 3.95. Second, the highest perceived priorities of training subjects were as follows: ① MMS Assessment,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Career guidance in the Pedagogical content area; ② Automotive Chassis, Automotive Engine, and Theory of Mechatronics in the Basic Area of Mechanical Engineering; ③ Advanced Mechanical Drawing, Grinding, CAM, and Measurement in the Practical Area of Mechanical Engineering; ④ General Material Engineering in the Basic Area of Material Engineering; ⑤ Material Testing, Heat Treatment, CO2 Welding, Tungsten Inert Gas (TIG) Welding, Metal Inert Gas (MIG) Welding, and Submerged Arc Welding in the Practice Area of Material Engineering; and ⑥ MMS Best Practice in the Others Area. 이 연구는 기계・금속교과 정교사 자격연수에 대한 기계・금속 교사의 만족도와 교육 요구도를 구명하여 향후 기계・금속교과 자격연수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Borich(1980)의 5단계 요구 사정 모델을 활용한 조사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조사 연구는 2014년 C대학 교육연수원의 기계・금속 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교사 6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격연수에 대한 만족과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는 영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연수 만족도 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통계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자격연수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고 교육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Borich(1980)가 제안한 우선순위결정 방법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연수 만족도’ 평균은 3.47, ‘연수 효과’는 3.36, ‘연수 운영 및 평가 만족도’는 3.21, ‘강사진 만족도’는 3.78, ‘연수환경 만족도’는 3.95로 나타났다. 둘째, 기계・금속교과 자격연수에서 고려해야 할 우선순위 교과목으로 ① 교과교육 영역에서는 기계・금속 교육평가, 산학협동, 직업진로지도, ② 기계기초 영역에서는 기계기초공작, 자동차새시, 자동차기관, 전자기계이론, ③ 기계실무 영역에서는 전문제도, 연삭가공, CAM, 측정, ④ 재료기초 영역에서는 재료일반, ⑤ 재료실무 영역에서는 재료시험, 열처리, CO2 용접, 티그용접, 미그용접, 서브머지아크용접, ⑥ 기타 영역에서는 기계・금속 수업혁신사례로 나타났다.

      • KCI등재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조대연(Cho, Dae-Yeo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5

        요구분석은 HRD 프로세스의 첫 단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서 올바른 요구분석을 실천한 연구를 찾아보기 힘들며 우선순위결정을 위한 노력은 더욱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 결정방법을 고찰하고 이들의 단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합리적인 과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과정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한 요구분석 우선순위결정을 위한 과정으로 t 검정, Borich의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중복성을 활용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존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t 검정을 통해 전반적인 경향성을 파악하고, Borich의 요구도 값을 산출하여 우선순위를 파악한 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HH분면 항목과 개수를 확인하여 그 개수 만큼 최종적으로 Borich 요구도 순위와 중복된 항목을 최우선 순위군으로 결정한다. 또한 한쪽에만 나타난 항목들은 차순위군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우선순위결정을 위해 3가지 기법을 통해 5가지 과정을 활용한다면 요구분석 결과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있어 이해관계자와 의사결정자에게 보다 설득력 있는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Need analysis is the first step in the HRD process. Nevertheless, few previous studies investigated true gaps between 'what is' and 'what should be.' Rather, there has been limited to use some appropriate methods of prioritizing needs. This study proposed a more systematic procedure to set priority of needs based upon t-test,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at are popularly used when data are collected with a survey. In particular, the proposed procedure is a way to minimize the weaknesses, at the same time, to maximize the strengths of these methods. The procedure propos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steps: (1) screening the tendency of needs(=gaps) through t-test, (2) prioritizing needs by using Borich's educational need equation, (3) identifying needs and its numbers fell into the HH sector of a scatter diagram, (4) double checking the rank orders of Borich's equ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needs fell into the HH sector, and (5) identifying the highest priority among needs if needs are appeared as highly ranked on both methods and the second priority with needs that are shown as highly ranked on only one method. Finally the simulations supported this systematic procedure. some implications for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