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간호사를 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과정 개발

        최은숙,김현숙,이소우,유양숙,Choi, Eun-Sook,Kim, Hyun-Sook,Lee, So-Woo,Yoo, Yang-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9 No.2

        목적: 호스피스 완화간호 실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간호사를 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본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방법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국내외 호스피스 완화의료 7개 교육과정의 내용을 비교하였으며, 전국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62명에게 우편으로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1. 국내외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내용은 호스피스 완화요법의 이해, 삶과 죽음의 이해, 말기 환자의 통증 및 증상관리, 기관견학 및 실습, 호스피스 병동 운영의 실제, 가정 호스피스, 건강사정(신체사정), 치료적 의사소통, 아동 호스피스, 호스피스 운영관리, 호스피스 완화의료 팀,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윤리와 법, 심리적 사회적 영적 돌봄, 임종 관리, 사별가족관리 등이었다. 2. 간호사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3.5점 이상인 문항은 34개였다. 교육 요구도가 높았던 문항은 '죽음의 이해 ', '죽음에 대한 태도와 반응', '통증의 이해와 평가' 등이었고, 이전에 교육받은 경험이 많았던 문항은 '통증 및 증상완화', '호스피스의 윤리와 법', '호스피스 협력 및 홍보체계 구축'이었다. 3. 17개 내용을 강의, 토론 및 증례 등의 교육방법을 통하여 이론교육 48시간과 실습교육 30시간, 총 78시간의 기본 교육과정 을 구성하였다. 결론: 앞으로 개발된 교육과정으로 교육을 시행하여 효과를 평가하고, 호스피스 완화의료기관 실무자들의 교육 요구도를 정기적으로 파악하여 실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표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basic curriculum for the nurses who work a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Methods: Seven curricula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he nurs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ere reviewed, and Education Need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surveyed from 162 nurses by mailing the questionnaires to hospice palliative care settings. Results: 1. The curricula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he nurs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in common include 'understanding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understanding of lift and death', 'pain and symptom management for person with terminal disease', 'on-the-spot study and practical training', 'management of hospice and palliative war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t home', 'physical assessment',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children's hospice',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terdisciplinary team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thics and law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care', 'care of the dying', 'bereavement care', etc. 2. The scores above 3.3 were marked for 34 items in education Need Survey. The highest scores were given in the order for the items 'understanding of death and dying', 'attitude and response to death and dying', 'understanding and assessment of pain' etc. respondents marked that they have been trained for 'pain and symptom management', 'ethics and law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building the system for cooperation and publicity activities in hospice' etc. 3. The basic curriculum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he nurses requires 78 studying hours for 17 subjects, comprising 48 hours of theory education and 30 hours of practical training. The education methods are lectures, discussions, and case studies. Conclusion: The efforts of developed basic curriculum should be evaluated after educating n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tandard curriculum and regularly update it based on the result of education Need Survey for actively working nurse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 KCI등재

        국내의 비암성 질환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적용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간경화를 중심으로

        신진영,윤석준,김선현,이언숙,고수진,박진노,Shin, Jinyoung,Yoon, Seok-Joon,Kim, Sun-Hyun,Lee, Eon Sook,Koh, Su-Jin,Park, Jeanno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7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0 No.3

        목적: 2017년 8월부터 말기 암 이외에도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간경화 환자들에게도 호스피스 완화의료가 적용될 예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암성 질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세 가지 질환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목표, 내용 및 적용 방법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통해,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생각, 인식, 태도에 대해 살펴보아, 국내 실정에 맞는 비암성 호스피스 완화의료 진료 모델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반구조적 심층 면담조사를 통한 질적 연구이다. 암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담당하는 네 명의 임상 의사가 85편의 문헌 검색을 통해 핵심 질문을 선정하여 총 11명의 비암성 질환 전문가들에게 면담을 하고 질적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되었다. 결과: 전문가들은 비암성 질환의 말기환자를 정의하기 어렵다고 하였고,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목표와 내용은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과 다르지 않다고 하였지만, 통증보다는 다른 신체 증상과 정서적 문제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말기라고 진단할 수 있는 시점에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적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질환 별로 특수한 점들(AIDS 환자들의 항바이러스제 사용, COPD 환자들의 호흡곤란, LC 환자들의 간이식)과 의료진들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적용 시 환자들이 자신을 포기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고 하였고 정부의 재정 지원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결론: 비암성 질환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도입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비암성 질환의 말기환자에 대한 정의를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암성 말기환자들을 돌보는 의료진과 현재 말기 암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담당하고 있는 인력의 협력이 필요하다. Purpose: From August 2017, hospice-palliative care (HPC) will be provided to patients with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nd liver cirrhosis in Korea. To contribute to building a non-cancer (NC) hospice-palliative care model, NC specialists were interviewed regarding the goals, details, and provision methods of the model. Methods: Four physicians specializing in HPC of cancer patients formulated a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questions extracted from literature review of 85 articles on NC HPC. Eleven NC disease specialists were interviewed, and their answ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Results: The interviewees said as follows: It is difficult to define end-stage NC patients. HPC for cancer patients and that for NC patients share similar goals and content. However,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alleviating other physical symptoms and emotional care rather than pain control. Timing of the care provision should be when patients are diagnosed as "end stage". Special issues should be considered for each NC disease (e.g., use of anti-retroviral drugs for AIDS patients, oxygen supply for COPD patients suffering from dyspnea, liver transplantation for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an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healthcare professionals. NC patients tend to negatively perceive HPC, and the government's financial assistance is insufficient.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fine end-stage NC patients through in-depth discussion to minimize issues that will likely accompany the expansion of care recipients. This requires cooperation between medical staff caring for NC patients and HPC givers for cancer patients.

      • 말기 암 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의사들의 태도

        문도호,이명아,고수진,최윤선,김수현,염창환,Moon, Do-Ho,Lee, Myung-Ah,Koh, Su-Jin,Choi, Youn-Seon,Kim, Su-Hyun,Yeom, Chang-Hwa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9 No.2

        목적: 본 연구는 말기 암 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의사들의 태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과 경지지역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전문의를 대상으로 호스피스 완화의학 연구회에서 자체 개발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말기 암 환자에서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총 1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 중앙값과 백분율로 분석되었다. 결과: 총 81명(남자 46명, 여자 35명)이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나이의 중앙값은 35세였다. 내과가 36명(44.4%)으로 가장 많았다. 전문의 경력의 중앙값은 4년이었다. 1주일에 진료를 하는 환자 수는 거의 환자를 보지 않는 경우가 43명(53.2%)으로 가장 많았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정확한 정의를 알고 있는 의사수는 37명(45.6%)이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필요성에 대하여 80명(98.8%)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이 중에 73명(91.2%)이 완화의학 전문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말기 암 환자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의뢰하겠는가에 대한 질문에 55명(67.9%)이 그렇게 하겠다고 응답하였으며 이 중 17명(30.9%)은 주저한 경험이 있는데 이유로 가족의 반대가 6명(35.3%)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환자를 포기하는 것 같아서'로 응답한 의사가 4명(23.5%)이었다. 적극적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의뢰하지 않은 22명(27.2%)에 대하여 이유로 '환자를 포기하는 느낌'과 기타 사항으로 '절차를 모른다'가 각각 6명(27.2%)으로 가장 많았다. 37명(45.7%)의 의사가 임종 전 3개월에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좋다고 응답하였으며 가장 도움을 받는 것은 정신적, 심리적 조절이라고 응답한 의사가 58명(71.6%)으로 가장 많았다. 결론: 대부분의 의사들이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말기 암 환자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의뢰하는 적극적인 자세는 부족하였다. 의사들에게 지속적인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교육과 정보, 홍보가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doctor's attitude towar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Methods: Specialists who work at general hospital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abou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The questionnaires comprise 17 item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Eighty one doctors responded. Their median age was 35 years old. Thirty six doctors (44.4%) were from internal medicine. The median of specialist's experience was 4 years. Forty three respondents (53.2%) have rarely examined and treated cancer patients even a week. Thirty seven respondents (45.6%) knew the exact defini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ighty respondents (98.8%) felt tha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s necessary, and 91.2% of them responded the necessity of palliative medicine specialist. As to the question 'Do you positively referred terminal cancer patient to hospice and palliative care?', 55 respondents (67.9%) responded 'Yes' and 22 (27.2%) 'No'. Among the 'Yes' respondents 17 (30.9%) had an experience of hesitation for referring patients to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e most common reason was the disagreement of family members (6, 35.3%). As for the reasons of responding 'No', 6 doctors (27.2%) did so because of their 'feeling of abandoning the patients' and the other f for the 'lack of information on the referral procedure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irty seven specialists (45.7%) thought it is most desirable for the patients to hav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3 months before death. Fifty eight specialists (71.6%) responded tha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help controlling the patient's psychological symptoms before all. Conclusion: While most doctors recognize the need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patients with terminal ranter, their attitude towar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rather reserved. We suggest that continuing education, information and promotion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hould be provided for doctors.

      • KCI등재

        호스피스・완화의료 환경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인식 및 지식에 대한 조사 연구

        정선아,홍덕기,이충진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1 No.2

        목적 : 본 연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환경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인식 및 지식을 확인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 치료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전국의 작업치료사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총 41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6문항,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사 역할 관련 10 문항,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측정 20문항,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일반적 특성과 호스피스·완화의료 환경에서의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 스피스·완화의료 지식측정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Mann-Whitney 검정과 Kruskal-Wallis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리고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이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우선순위는 죽음에 대한 준비, 통증 예방과 감소, 삶의 질 순서로 높았다.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대해서는 낮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와 교육과정에 대 한 필요성은 높았다.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의료 지식에 대한 비교분석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또한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이 지식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p>.05). 결론 :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작업치료에 대한 견해 및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작업치료에 대한 교육과정 개발 및 관련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 : In this study, we tried to establish the basic data of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by confirming the role, awareness and knowledg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environment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00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all over the country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41 questions, including 6 general characteristics, 10 questions related to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hospice·palliative care, 20 questions on knowledge measurement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5 questions on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palliative care .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riority, frequency, and proportion of occupational therapy role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Kruskal-Wallis test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knowledge measure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percep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n knowledg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Results : The priority for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high in the order of prepare for death, pain prevention and reduction, and quality of life. Overall awarenes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low, and the need and curriculum for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ere high. Comparative analysi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knowledg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therapis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opinion and level of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ccupational therapy and to conduct related research.

      • KCI등재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전략

        이영숙,Lee, Young 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3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6 No.2

        본 종설의 목적은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가 어떤 활동을 전개했고 어떤 위치에 놓여 있는지를 이해함으로써 향후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가 해야 할 미래전략 제시한다. 문헌조사와 참여관찰을 통해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가 전개해 온 활동을 과거, 현재, 미래전략으로 나눠서 역할 및 자격 기준, 교육, 연구, 정책 활동의 네 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첫째,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고 자격기준이 미비하다. 사회복지사의 불명확한 역할과 미비한 자격기준은 전문성 발휘를 어렵게 한다. 미래 전략은 역할의 재정립과 인력 및 자격기준의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에 있어서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교육이 충분하지 못하다. 또한 교육자가 부족하다. 미래전략은 전문교육의 강화와 교육자 개발 교육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연구에서 사회복지사의 학술지 게재 편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타 전문직에 비해서 학술활동의 참여도가 낮다. 미래전략은 연구 및 학술활동의 활성화와 개입효과성 증명 등 정책반영에 필요한 근거 중심의 연구가 필요하다. 끝으로 제도적으로 인력확보 및 수가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미래전략은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전담 인력확보, 수가인정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 활동이 필요하다.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는 전략적인 접근을 가지고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하고 이에 집중해야 한다. 또한 관련 학회, 협회, 학교와 네트워킹과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인프라를 구축하며, 실행 조직체계를 구성하고 실행 주체를 강화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future goals and strategies for social work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Korea by understanding its historical background. Both literature re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performed to examine historical data relating to social work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Korea. Also reviewed were the current trends with a focus on the roles of social workers in the said arena, qualifications, education, research and medical insurance policy. First of all, the roles of social workers do not appear to be clearly defined in the field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hich seems to lead to the lack of recognition as professional workers. The qualification standard for social worker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remains inadequate. Second, there seems to be insufficient professional social worker training resources, in terms of both the number of educators and training programs. Third, social workers in Korea produce significantly less publications than those in other professions. There is also a dearth of qualified evidence-based research that is needed to prove benefits of intervention and ultimately for policy implications. Last, the current medical insurance policy needs to be revised to secure fees for social work services and dedicated full-time social worker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Korea needs to approach social work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ith specific goals to develop future strategies. Related infrastructure and an executive 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via networking and partnership with academic societies, associations and schools.

      • KCI등재

        원격의료를 활용한 가정형 호스피스 활성화 방안

        조병모,조현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3 대한보건연구 Vol.49 No.2

        Purpose: This study proposed a home-based hospice model and activation plan using telemedicine as a way to solve insufficient bed problems and limitations of medical resources, reduce the economic burden of hospitaliz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Methods: In this study,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home-based hospice and telemedicine were analyzed through the review of related statistical data and literature and expert advice, and a plan to activate home-based hospice using telemedicine was proposed through case studies in advanced. Results: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hould be activated as a prerequisite for the activation of home-type hospice; 1) Improving access to home-based hospice 2) Providing active pain and symptom control and establishing a home care service system 3) Establishing a hospice linkage system 4) Establishing a hospice cluster 5) Supporting professional care providers 6) Providing hospice in nursing homes. Improvement tasks for promoting home-based hospice using telemedicine, First, doctors are given separate qualifications for telemedicine, Second, the scope of patients subject to telemedicine is limited, Third, legal requirements or standards are eased to enable telemedicine on-site, Four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regulations on where to be responsible, such as immunity measures in the event of a medical accident, in a situation where certain procedures cannot be observed and controlled. Telemedicine is now not the subject of debate, but a demand of the times that needs to be implemented. As the number of terminal patients who wan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s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 of terminal patients and their families should be improved by expanding home-based hospice utilizing telemedicine. A telemedicine model for home-based hospice patients was presented by referring to the above and telemedicine cases using hospice information system in Taiwan. Conclusion: Since most of the home-based hospice are provided to patients who need care through home visits by medical staff without requiring separate surgery or treatment, telemedicine can be a good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patients' lives by reducing the time and cost for home visits. 연구목적: 입원형 호스피스·완화의료 환자들의 부족한 병상 문제와 의료자원의 한계를 해결하고 입원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이며 환자의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원격의료를 활용한 가정형 호스피스 모델과 활성화 방안 모색연구방법: 관련 통계자료 및 문헌 고찰을 통하여 각국의 가정형 호스피스와 원격의료 사례를 분석하고 전문가 자문 실시연구결과: 가정형 호스피스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1) 가정형 호스피스 접근성 제고 2) 적극적인 통증 및 증상 조절 제공 및 가정 간병서비스 체계 구축 3) 호스피스 연계 체계 구축 4) 호스피스 클러스터 구축 5) 전문적인 돌봄 제공자 지원 6) 요양 시설의 호스피스 제공. 원격의료를 활용한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를 위한 개선과제로 첫째, 의사에게 원격의료에 관한 별도의 자격을 부여하고 둘째, 원격의료 대상 환자의 범위를 한정하며 셋째, 방문간호 및 응급 상황 시 현장에서 원격의료가 가능하도록 법적 요건이나 기준을 완화하며 넷째, 일정한 절차를 준수하고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의료사고 발생 시 면책 방안 등 책임 소재에 대한 규정 마련이 필요하다. 호스피스·완화의료를 희망하는 말기 환자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므로 원격의료를 활용한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확대로 말기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대만의 호스피스정보시스템(HIS)를 참조한 원격의료 활용 가정형 호스피스 환자들을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결론: 가정형 호스피스는 임종이 얼마 남지 않아 별도의 수술이나 치료가 필요없이 의료진의 가정방문을 통한 돌봄이 제공되고 있어 의료진의 가정방문을 원격의료로 대체하면 방문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가족들의 간병부담을 줄일 수 있어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호스피스 완화의료 연구에서의 윤리적 고려사항

        윤가현,Youn, Gahyu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9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2 No.2

        의료기술 발달 및 경제개발 수준 상승 등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hospice & palliative care) 서비스를 받는 말기 환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 호스피스 완화의료 분야 임상전문가들은 환자나 가족 대상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하는 연구에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편 정부의 연구대상자 보호 정책이 강화되면서 IRB(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 연구의 연구계획서를 심의할 때 환자의 취약성과 관련된 다양한 윤리적 사안들을 더 엄밀하게 점검하고 있다. 그러나 말기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 및 유지를 위해서는 질적으로 보장된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윤리적으로 안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연구의 시도가 지지되어야 한다. 이에 필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연구의 윤리지침을 종설 논문 형식으로 제안했다. 이는 윤리적으로 안전하고 과학적으로 가치가 있는 연구계획서를 준비해야 하는 연구자 및 그 연구계획서를 심의하는 IRB가 적절하게 참조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함이다. Along with the advances in medical technology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more terminally ill patients are receiving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rvices. Moreove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clinicians have been showing considerable interest in studies that aim to improve the quality of said care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Meanwhile, after the government has strengthened its policy to protect research participants,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s (IRBs) are more closely examining various ethical issues related to patients' vulnerability when reviewing protocols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research. However, terminally ill patients should be provided with guaranteed qualitie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o improve and maintain their quality of life. To that end,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efforts to conduct ethical and safe studies with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atients. Thus, this review paper proposes ethical guidelines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research. The guidelines could be appropriately used as a reference for researchers who should prepare for ethically safe and scientifically valued research protocols and the IRBs that will review the protocols.

      • KCI등재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현황 및 과제

        이건세,주지수,김정회,김건엽,Lee, Kun-Sei,Joo, Ji-Soo,Kim, Jung-Hoe,Kim, Keon-Yeop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1 No.4

        목적: 본 연구는 현재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의 인력 및 시설, 제공서비스 등이 말기 암환자 전문의료기관 지정 기준에 부합하는 정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향후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자료는 2007년 10월부터 12월까지 수집되었으며 설문내용으로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의 일반현황, 인력현황, 시설현황, 장비현황, 호스피스 서비스 운영현황 등을 포함하였다. 총 62개 의료기관이 응답하였다. 결과: 전체 62개 기관 가운데 42개 기관이 종합병원 이상인데 비하여 의원의 경우 9개 기관에서 호스피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호스피스 의료기관은 수도권 지역 위주로 분포하고 있어 지역적인 불균형 공급을 보이고 있다. 의사의 경우 환자 10명당 1인의 의사를 갖추고 있는 기관은 종합병원 이상(80.0%)인데 비하여 의원의 경우 이 기준을 충족하는 비율은 낮았다(42.9%). 간호사의 경우 호스피스 간호를 위해 필요한 조건인 환자 1.5 명당 1인의 기준에 충족하는 기관은 의원급(71.4%)이 종합병원 이상의 기관(65.0%), 병원(50.0%)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호스피스 지원기관의 기준에 해당하는 1병실 4인 기준을 충족하는 기관은 전체 62개 기관에서 14개 기관으로 22.6%를 차지하고 있었다. 호스피스 환자들을 위한 특수요법의 경우는 의원급(66.7%), 병동 및 독립형(64.9%), 지원 사업 기관(73.9%)일수록 2개 이상의 특수요법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종 및 사별관리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임종관리, 장례준비, 유가족지지모임, 사별가족 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기관의 비율이 높았으며, 의원급, 병동 및 독립형, 지원 사업 수록 실시율이 높게 나타났다. 팀 인력에 대한 교육은 의원급(55.6%), 병동형 및 독립형(55.8%), 지원기관(65.2%) 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시행하고 있었다. 현재 가정 호스피스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곳은 절반 수준인 32개(51.6%) 기관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것은 호스피스 기관을 양적으로 확대하는 것과 함께 지역적인 분포를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과 아직도 호스피스 지원 기관의 인력, 시설 수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호스피스 기관의 종별 특성에 따라 인력 및 시설 확보 수준, 프로그램 운영에 차이가 있으므로 시설의 특성을 고려한 개선 방안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and to identify problems and improve hospice palliative care in Korea. Method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implemented from October to December, 2007. It was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health manpower, facilities & equipments, service programs, and so on. Sixty two (79.5%) out of 78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returned the questionnaires. Results: They were 42 hospital-based hospice palliative care hospitals and 9 clinics, and most of them are located at central metropolitan areas (Seoul and Gyeonggi Province). more than 80% of hospitals met with the requirements (one doctor per 10 patients and one nurse per 1.5 patients), whereas 42.9% of clinics met the requirements. Approximately 22% of them met the requirement of sick room (4 patients for 1 room). Most of them provided various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The proportion of giving regular education programs to hospice palliative care personnels were about half (41.9%). Thirty two (51.6%) facilities provided home visiting hospice palliative care service. Conclusion: There were lack of enough health manpower, rooms, and programmes and they varied among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with consideration of regional fair distribution and standardization of programmes.

      • KCI등재

        간호사의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및 태도

        강경아,김현숙,권소희,남미정,방경숙,유수정,정연,최성은,정복례,Kang, Kyung-Ah,Kim, Hyun Sook,Kwon, So-Hi,Nam, Mi Jung,Bang, Kyung-Sook,Yu, Su Jeong,Jung, Yun,Choi, Sung Eun,Chung, Bok-Yae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4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7 No.4

        목적: 본 연구는 말기아동 간호에 대한 교육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인 ELNEC-PPC에 참여한 간호사의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PPC)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2012년 ELNEC-PPC 교육자를 위한 교육과정에 등록한 간호사 중 연구참여에 동의하고 서명날인 후 설문조사에 응답한 총 19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20문항의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결과: 학력수준과 소아과병동 및 호스피스 근무경험에 따라 PPC에 대한 지식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소아과 근무경험, PPC 경력 및 교육경험 이수 정도에 따라 소아 호스피스완화의료 태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기혼 간호사는 자녀의 완화의료서비스 결정에 대한 보호자의 권리에 대해 더 긍정적이었으며, 석사 이상군은 PPC에 대한 지식과 태도 정도가 높았다. 결론: PPC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 및 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표준화된 교육이 필요하다. Purpose: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nurse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pediatric palliative care (PPC) in Korea.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A total of 196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ELNEC-PPC course held in Seoul, Korea.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20-item survey questionnaire which assessed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PPC using a 7-point Likert scale. Results: Nurses' knowledge of PPC correlated with their educational level and work experience in the pediatric unit and hospice care unit. The work experience in the pediatric unit, career length in PPC and completion of palliative education course made differences in the attitudes toward PPC. Married nurs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the parental rights in determining palliative care service for their child, and nurses with master's degree or higher showed a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of and attitudes toward the differences between PPC and adult palliative care. Conclusion: The factors influencing nurse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PPC need be considered to develop a pediatric palliative training program.

      • KCI등재

        아동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아동병동 간호사의 인식과 지식

        유주연,방경숙,Yu, Juyoun,Bang, Kyung-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8 No.3

        목적: 본 연구는 아동병동 간호사들의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과 지식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일개 대학병원의 어린이병원 내과계 병동과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식 관련 23문항, 지식 관련 2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총 13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의 하위영역 중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의사소통과 관련된 어려움을 크게 인식하고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이 아닌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 경험에 따라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지식은 20점 만점에 $8.83{\pm}2.64$점으로 '통증과 증상관리', '철학과 원칙', '돌봄의 정신 사회적 측면'의 순으로 점수가 낮아졌다. 현재 근무지가 병동인 경우가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경우보다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와 관련된 경험에 따른 지식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아동병동 간호사의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과 지식의 향상을 위해 간호사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과 부족한 지식을 보완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하여 아동병동 간호사들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diatric nurses' perception and knowledge about pediatric hospice and palliative care.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132 nurses who are stationed in pediatric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The participants were requested to fill out a questionnaire comprising 23 items for perception and 20 items for knowledge. Data were collected after obtaining written consent.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Results: Participants perceived difficulties in pediatric hospice palliative care, especially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among participants were observed according to pediatric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xperience, but not general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knowledge was $8.83{\pm}2.64$. Nurses who work in a ward showed higher level of knowledge about pediatric hospice/palliative care. Conclusion: An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pediatric nurses to improve their perception and knowledge about pediatric hospice/palliative c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