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Model in an EFL Speaking Class for Adult Learners

        김수진(Sujin Kim),최문홍(Mun-Hong Cho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거꾸로 학습은 최근 들어 다양한 교과 영역에 적용되고 있다. 영어교육 분야에서도 그동안 거꾸로 학습의 이론적 배경과 현장 적용에 있어서의 문제점들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는데, 대부분은 초중등학생의 읽기 능력에 초점을 둔 나머지 다른 학습자 집단과 언어기술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 연구는 거꾸로 학습을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말하기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전통적인 방식에 비해 더 효과적인지 알아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 관련 변인들을 조사하여, 학습 환경적 변인인 거꾸로 교실이 학습자 내적 변인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열두 명의 성인 한국어 모국어 화자들이 총 24차시 12주 동안의 연구수업에 참여하였다. 이들 중 여섯 명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교실에서 면대면 강의를 수강하였고, 다른 여섯 명은 수업 전에 강의 자료를 시청한 다음 수업 시간은 주로 다른 동료 학생들과 강의 관련 활동이나 과업을 수행하는 거꾸로 교실에 배정되었다. 두 집단에서 유사한 학습자 변인을 가진 학생들의 사전평가, 직후평가, 사후지연평가 성적을 비교하였으며, 관찰일지를 통해 수업 중 행동에 있어서 두 집단이 서로 어떻게 다른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 변인에 상관없이 거꾸로 학습이 면대면 강의에 비해 더 효과적이었으며, 거꾸로 학습 집단의 경우 면대면 강의를 받은 학생들과는 달리 학습한 내용 연결 짓기, 응용/확장성 질문하기, 자기주도적으로 교실활동 제안하기 등과 같은 행동을 보였다. In line with the growing interest in the applicability of flipped learning as an alternative pedagogy to the traditional present-practice-produce model of English language teaching, this study investigated its effects on adult learners’ development in oral proficiency. Twelve intermediate-level Korean learners of L2 English participated in an intensive language course comprised of 24 sessions for a three-month period; six of them were assigned to a traditional group where they learned in a typical teacher-centered classroom setting while the other six participated in flipped learning. Learners with similar backgrounds and attitudinal profiles were chosen as a focus group and their achievements and classroom behaviors were compared in pai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in the flipped class outperformed their counterparts in the traditional class on both immediate and delayed post-tests. The flipped class also demonstrated some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at were not observed in the traditional class, such as connecting prior and current discussions, formulating more elaborated and personalized questions, and exercising autonomy by proposing discussion topics.

      • KCI등재

        Markov Chain을 응용한 학습 성과 예측 방법 개선

        황철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4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0 No.4

        학습 성과를 예측하거나 학습 경로를 최적화하는 연구 분야에서 기계학습과 같은 인공지능 기술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면서 교육 분야의 인공지능 활용은 점차 많은 진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점차 심층학습과 강화학습과 같은 좀 더 고도화된 인공지능 방법으로 진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과거 학습 성과-이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의 학습 성과를 예측하는 방법을 개선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측 성능을 높이기 위해 Markov Chain 방법을 응용한 조건부 확률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기계학습에 의한 분류 예측에 추가하여 학습자가 학습 이력 데이터를 분류 예측에 추가함으로써 분류기의 예측 성능을 향상 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제안 방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증 데이터인 ‘교구 기반의 유아 교육 학습 성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존의 분류 알고리즘과 제안 방법에 의한 분류 성능 지표를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분류 알고리즘만 단독 사용한 사례보다 제안 방법에 의한 사례에서 더 높은 성능 지표를 산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such as machine learning increases in research fields that predict learning outcomes or optimize learning pathways,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is gradually making progress. This research is gradually evolving into more adv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such as deep learning and reinforcement learning.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method of predicting future learning performance based on the learner's past learning performance-history data. Therefore, to improve prediction performance, we propose conditional probability applying the Markov Chain method. This method is used to improve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the classifier by allowing the learner to add learning history data to the classification prediction in addition to classification prediction by machine learning.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a total of more than 30 experiments were conducted per algorithm and indicator using empirical data, ‘Teaching aid-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learning performance data’.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higher performance indicators were confirmed in cases using the proposed method than in cases where only the classification algorithm was used in all cases.

      • KCI등재후보

        중학교 ‘기술ㆍ가정’과 ‘제조 기술 체험과 문제해결활동’ 단원에서 문제기반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함경현,이상봉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가정’과 ‘제조기술체험과 문제해결활동’단원에서 문제기반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Y중학교 3학년 학생 중 교내동아리 참여 학생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은 진정 실험 설계 중 임의배정 통제집단 사후검사 설계이며, 실험집단에는 문제기반학습을,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조별실습을 처치하였다. 실험처치 후 두 집단에게 동일한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여 유의도 .05 수준에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학업성취가 높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둘째, 학습양식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성취를 비교한 결과, 확산·동화·수렴·조절적 학습양식 모두 실험집단의 학업성취가 높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셋째, 출발점 행동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성취를 비교한 결과, 0-20%, 21-80%, 81-100% 모두 실험집단의 학업성취가 높다. 하지만 21-80%, 81-100% 집단에의 차이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0-20%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 그러므로 문제기반학습이 학습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가 없다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는 문제기반학습이 학습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효과를 미침을 뜻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learning achievement for the unit, 'The experience of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Problem Solving Activity’ i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s true experimental design, randomized posttest-only control group design. Problem-based learning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ereas traditional learning was used on the control group. Post evaluation scores were obtained from learning achievement tests given to two groups. The scores were verified at the level of .05 significance by independent sample test through SPSS/sin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es as below. First, It is shown that learning achie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ook the problem-based learning treatment, is higher than the that of the control group, which received traditional group learning. The results of t-test result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t is shown that learning achievement of the divergers․assimilators․convergers․accommodators learning styl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ook the problem-based learning treatment, is higher than the that of the divergers․assimilators․convergers․accommodators learning styles of the control group, which received traditional group learning. The results of t-tes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t is shown that learning achievement of the entering behavior 0-20%, 21-80%, 81-100%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ook the problem-based learning treatment, is higher than the that of the entering behavior 0-20%, 21-80%, 81-100% of the control group, which received traditional group learning. However, t-test results are only significant entering behavior 21-80%, 81-100% and entering behavior 0-20% is not significant. In summary, this study gives evidence that problem-based learning helps to promote learning achievement for ‘The experience of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problem solving activity’ from th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In addition, it is verified that learning style have impact on learning achievement.

      • KCI등재

        교사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수자의 교수⋅학습 인식에 미치는 요인 탐색

        이민효,남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support, learning evaluation support, and student guidance support in teacher education for learner-centered classes, an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instructors' programs for competency development. Method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needs of instructional design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learning evaluation support, student guidance support, and instructor competency development at A University, a four-year general university located in Busan. For the collected data,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support, learning evaluation support, and student guidance support variables affect teaching design suppor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demands for instructional design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support, learning evaluation support, and student guidance support, the demand for instructional design was the highes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support, learning evaluation support, and student guidance support on teaching design, it was found that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support had the greatest influence. Third, looking at the instructor's program requirement for the development of instructor competency, special lectures and workshops on teaching methods were the highest. Conclusions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demand of instructors increase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instructional design and social necessity for effective instruction and difficulty in instructional design of prospective and incumbent teachers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Second, it can be seen that instructo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learner-centered classes,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high demand for special lectures and workshops on teaching method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해 교사교육에서 교수⋅학습 환경 지원, 학습평가 지원, 학생지도 지원이 교수설계지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역량개발을 위한 교수자의 프로그램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부산 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종합대학인 A대학의 교직관련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N=65)를 대상으로 교수설계지원, 교수⋅학습 지원, 학습평가 지원, 학생지도 지원과 교수자 역량 개발을 위한 요구에 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여 교수⋅학습 환경 지원, 학습평가 지원, 학생지도 지원 변인이 교수설계지원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살펴보았다. 결과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설계 지원, 교수⋅학습 환경 지원, 학습평가 지원, 학생지도 지원에 관한 요구 중 교수설계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습 환경 지원, 학습평가 지원, 학생지도 지원이 교수설계에 미치는 영향을분석한 결과 교수⋅학습 환경 지원이 미치는 여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자 역량 개발을 위한 교수자의 프로그램요구도를 살펴보면 교수법 특강 및 워크숍이 가장 높았다. 결론 분석 결과로부터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양성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들의 수업설계에 대한어려움과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 수업설계에 대한 교수자들의 요구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해 교수자들이 교수⋅학습 방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특히 교수법 특강 및 워크숍에 대한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능동적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초등 프로젝트기반학습의 효과 분석

        신문승(Shin, Moons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기반학습(PBL)이 능동적 학습자의 학업성취 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초등 프로젝트기반학습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분석 대상과 분석 방법을 정하고, 2013 년부터 2018년 8월까지 최근 5년간 출간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중 체계적 문헌고찰 흐름도(QUOROM)에 의해 본 연구의 분석 대상 설정 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73편을 선정하여 모두 269개의 효과크기를 산출․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프로젝트기반학습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726으로 나타났고, 비중복 백분위 지수(U3)는 76.73%ile로, 프로젝트기반학습(PBL)이 학업성취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별로는 교과에 대한 흥미와 태도의 신장에 매우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향과 자아효능감, 창의성, 융합인재역량, 자기주도적학습, 학업성취, 교과지식/기능, 문제해결력의 순서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imary school project-based learning (PBL) on active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PBL, the analytical objects and methods of analysis were determined and the systematic review of the master s thesis, doctoral dissertation, and academic journal papers published from 2013 to august 2018. From 73 papers, a total of 269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PBL on prim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as 0.726, and the non-overlapping percentile index (U 3 ) was 76.73%, indicating that PBL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The interest and attitude toward the subject (0.882) were very significant, and the effect of others were in order of tendency, self-efficacy, creativity, convergent talent capacity, self-directed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subject knowledge/ skill. Thi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PBL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enhancing interest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primary school students curriculum.

      • 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상담 수준이 평생학습 참여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 매개효과

        김윤아(Yoon A Kim),이복희(Bok Hee Lee) 한국평생교육HRD학회 2022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상담 수준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평생학습 참여 성과에 어떻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비형식 평생교육기관에서 평생학습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성인 학습자 550명을 대상으로 SPSS 21.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상담 수준이 학습몰입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상담 수준이 학습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습몰입이 평생학습 참여 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학습만족도가 평생학습 참여 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상담 수준이 평생학습 참여 성과에 직접 영향은 없었지만, 학습몰입, 학습만족도를 매개로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상담 수준을 높이는 것이 성인 학습자의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는 물론 평생학습 참여 성과를 향상할 방법임을 검증하고 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상담과 관련 변인에 관한 후속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the level of lifelong learning counseling ofadult learner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learning immers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a study was conducted using SPSS 21.0 and AMOS 22.0 programs for 550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programs at non-formal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Research Results Firs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lifelong learning counseling of adult learners directly affects learning immers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lifelong learning counseling of adult learners directly affects learning satisfac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learning immersion directly affects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directly affects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performance. Fourth, although the level of lifelong learning counseling of adult learner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performance, it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through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s a medium. This study verifies that raising adult learners' lifelong learning counseling level is a way to improve adult learners'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s well as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performance, and is a follow-up study on adult learners' lifelong learning counseling and related variables. It is meaningful in laying the found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성취동기 수준에 따른 학습몰입,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의 차이

        방희원(Bang, Hui-Won),조규판(Cho, Gyu-P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취동기 수준에 따른 학습몰입,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 소재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86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취동기, 학습몰입,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에 대한 설 문을 실시하였으며, 성취동기 수준을 구분하기 위해 성취동기 총점을 기준으로 상,하 수준을 각 50%로 범주화한다음 SPSS 24.0 프로그램으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학습몰입은 차이가 있다. 성취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몰입이 높고, 수준이 낮을수록 학습몰입이 낮다. 둘째,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학업적 정서조절은 차이가 있다. 성취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적 정서조절이 높고, 수준이 낮을수록 학업적 정서조절이 낮다. 셋째,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학습전략은 차이가 있다. 성취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전략이 높고, 수준이 낮을수록 학습전략이 낮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학생들의 성취동기는 학습몰입,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을 학습상황에 맞게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조절하는 데 중요성을 가진다. 따라서 성취동기의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를 위한 학습-상담-진로-취업의 연계프로그램 등의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learning flow,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863 undergraduate students at four universities in Busan were sampled for the study.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Learning Flow Scal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Scale, Learning Strategy Scale were used. To distinguish achievement motivation levels,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performed with the SPSS 24.0 program, categorizing the upper and lower levels into 50% of each based on the total score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The conclusion from the result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flow according to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higher the learning flow. The lower the level, the lower the learning flow. Seco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differs according to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The higher the motivation level of achievement, the higher the control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The lower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lower the control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learning strategies depending on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higher the learningstrategy. The lower the level, the lower the learning strateg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rovement of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voluntary and active control of learning flow,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learning situa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achievement motiva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integrated and systematic programs such as learning-counseling-career-employment linkage for learners.

      • KCI등재

        사전학습 기반의 학습자 수행 중심 수업이 창의적 인성, 문제해결,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용민(Lee Yongmi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5 창의력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사전학습 기반의 학습자 수행 중심 수업이 창의적 인성, 문제해결 능력, 대인관계 능력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소재의 K대학 C학부 신입생 108명을 대상으로 사전학습 기반의 학습자 수행 중심 수업 방법의 효과를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사전학습 기반의 학습자 수행 중심 수업은 창의적인성 및 문제해결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제해결 능력의 하위 요인 중 접근-회피 양식과 자기 통제에서 증진 효과가 있었다. 둘째, 사전학습 기반의 학습자 수행 중심 수업의 학습성과 측면에서 사전학습은 교실 수업, 문제해결 능력 및 대인관계 능력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사전학습 기반의 학습자수행 중심 수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사전학습 설계의 중요성 및 팀 학습 스킬 지원 등에대한 제언과 함께 사전학습 기반의 학습자 수행 중심의 수업의 효과 분석을 위한 후속 연구과제에 대해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on creative personality, problem solving and human relationship by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on pre-learning. The results obtained by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on pre-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creative persona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2) The pre-learning activiti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lassroom activitie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human relationship. Finally, it should be studied continuously to analysis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attitude,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on prelearning

      • KCI등재

        대학생의 성찰학습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이효선(Hyo-Seo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2

        이 연구는 대학생의 성찰학습, 학습몰입, 진로관여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대학생의 성찰학습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성찰학습과 진로관여행동 사이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충북소재 4년제 대학의 항공계열 학생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203부의 설문응답을 최종 표본으로 사용하고, SPSS 25.0, AMOS 25.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찰학습은 학습몰입과 진로관여행동 모두와 유의한 정적관계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성찰학습은 진로관여행동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고 학습몰입은 성찰학습과 진로관여행동의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대학생들의 성찰학습이 이루어질수록 진로관여행동이 증진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인지적 특성인 성찰학습에 심리적 특성으로 볼 수 있는 학습몰입이 더 해질때 진로관여행동은 더욱 큰 효과를 만들어낼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은 학생이 자기성찰의 학습태도를 습득하고 학업에 몰입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reflective learning, learning flow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erefore, the influence of reflective learning on university students’ occupational engagement was examined and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between reflective learning was verified. The survey questionnair was distributed to 203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ttending in aviation college, and SPSS 25.0 and AMOS 25.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reflective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occupational engagement and learning flow. Also reflective learning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areer engagement and learning flow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reflective learning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ore students develop their reflective learning and learning flow, the more students enhance their occupational engagement level. Therefore, universities should try to provide the educational envionment so that students can improve their levels of reflective learning, leaening flow andoccupational engagement.

      • KCI등재

        학습분석 기반 적응적 협력학습 지원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조영환 ( Young Hoan Cho ),김관훈 ( Kwan Hoon Kim ),한정윤 ( Jeong Yun Ha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1

        과거에 없었던 복잡하고 역동적인 문제의 등장으로 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습자들이 협력학습에 어려움을 겪거나 다른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에 소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학습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학습분석에 기반한 적응적 협력학습 지원방법을 개발하고 그 효과와 개선점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탐색하고자 한다. 총 89명의 대학생이 2회에 걸쳐 대형 강의실에서 협력적 논변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학습분석 기반의 대시보드와 교수자를 통해 협력학습을 적응적으로 지원하였다. 학습자용 대시보드는 학습자들이 그룹의 협력학습 과정을 점검하고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적응적인 피드백과 안내를 제공하였으며, 교수자용 대시보드는 전체 그룹의 협력학습 상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교수자의 적응적 협력학습 지원을 촉진하였다. 학습자 면담과 설문조사 결과, 학습분석 기반의 적응적 협력학습 지원이 학습자의 참여, 공유정신모형 및 그룹조절, 학습자 간 상호작용, 논변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체적인 피드백의 제공, 자기보고식 데이터의 제한점 극복, 심리적 부담감 감소 및 학습자의 자율성 증진이 주요한 개선점으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협력학습 과정에 있어서 저성취 그룹은 고성취 그룹에 비해서 그룹원의 불성실한 참여, 피상적인 상호작용, 그룹조절에 대한 부정적 태도, 시간 관리의 문제를 더 많이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학습자와 그룹의 요구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적응적 협력학습 지원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learning, many students have difficulty in collaborating with peers and passively participate in group work.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learning,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adaptive collaborative learning supports based on learning analytics and to investigate how students perceive the effectiveness and weakness of the adaptive supports. In this study, a total of 89 undergraduates participated in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s part of their coursework in a classroom for two weeks. The students and an instructor received information, feedback, and guides about collaborative learning in real time via a dashboard, which used learning analytics in order to analyze argumentation activities in a group. The adaptive collaborative learning support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 participation, shared mental models and group regulation,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However, students perceived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providing specific feedback,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self-reported data, reducing psychological pressure, and supporting student autonomy.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lower-achieving groups encountered more challenges like passive participation, superficial interaction, negative attitudes toward group regulation, and inefficient time management than higher-achieving groups. More research is necessary to design a learning environment that adaptively supports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continuously analyzing the needs of an individual and a group, which keep changing dynam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