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복 경두개자기자극술의 우울증 치료효과 및 최신동향에 대한 고찰

        김신태,김혜원,김세주,강지인,Kim, Shin Tae,Kim, Hae Won,Kim, Se Joo,Kang, Jee I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7 생물정신의학 Vol.24 No.3

        본 종설에서는 우울증에서의 rTMS 임상연구를 임상특성과 TMS 적용방법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새로운 TMS 치료기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rTMS는 항우울제에 반응이 적은 단극성 우울증 환자의 치료에 병용 혹은 단독요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안전하고 비침습적인 뇌조절술이다. rTMS는 고빈도 좌측 DLPFC, 저빈도 우측 DLPFC, 그리고 양측성 DLPFC 적용방법이 비슷한 수준으로 허위자극에 비해 유의하게 항우울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치료저항성 단극성 우울증에 대한 항우울효과 크기는 작았다. 또한 정신병적 증상이 동반된 우울증의 치료와 양극성 장애의 우울삽화에 대해서는 치료효과가 불분명하다. 기존 rTMS의 항우울효과 크기는 작은 정도로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고용량의 자극, 보다 깊이 자극할 수 있는 코일을 이용한 rTMS 치료, 표적영역에 보다 정확하게 코일을 위치시키는 신경항법 등을 이용한 TMS 적용 등의 새로운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세타돌발자극과 자기경련치료와 같은 새로운 치료기법을 이용한 시도가 우울증 치료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비록 현재까지 rTMS의 항우울효과가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임상양상을 세분화한 치료적용과 개선된 치료기법의 적용 등을 통해 더 많은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여러 형태의 TMS 기법에 대해 잘 설계된 허위자극에 대한 통제연구뿐만 아니라 서로의 비교연구를 통해 우울증 치료에서의 근거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is a non-invasive neuromodulation technique which can change cortical excitability in targeted area by producing magnetic field pulses with an electromagnetic coil. rTMS treatment has been used to treat various neuropsychiatric disorders including depression. In this review, we evaluate the literature on rTMS for depression by assessing its efficacy on different subtypes of depression and different technical parameters.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result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and meta-analyses for depression after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pproval in 2008, which acknowledged its efficacy and acceptability. We also review the new forms of rTMS therapy including deep TMS, theta-burst stimulation, and magnetic seizure therapy (MST) that have been under recent investigation. High frequency rTMS over left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DLPFC), low frequency rTMS over right DLPFC, or bilateral rTMS is shown to be effective and acceptable in treatment for patients with non-psychotic, unipolar depression either as monotherapy or adjuvant. Deep TMS, theta-burst stimulation and MST are promising new TMS techniques which warrant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우울 기분과 의복행동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김성완,이무석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6

        연구목적: 옷을 입는 것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로서, 옷은 자기 보호의 기능과 함께 자기표현의 기능이 있어, 사람의 마음과 기분을 드러낸다. 본 논문에서는 가장 흔한 정신과적 문제 중 하나인 우울 기분과 가장 기본적인 일상생활 중의 하나인 의복행동의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는데, 특히 우울증으로 치료받고 있는 사람들의 우울 기분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방 법: 전남대학교 병원의 정신과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들 중에서 우울증으로 치료받고 있는 환자 88명을 대상으로 하여 의복행동과 우울 정도를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의복행동에 대한 설문은 선행 연구에서 문항을 선택한 후 기초 설문 조사를 통해 신뢰도가 높은 문항을 뽑아 재구성하였고, 우울 정도는 BDI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BDI 점수 16점을 기준으로 하여 우울군과 비우울군으로 나누어 이 두 집단 사이의 의복행동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우울 정도와 의복행동 사이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 우울 정도에 따른 의복행동의 유의한 차이는 5개의 변인 중 의복에 대한 `심리적 의존도`와 `의복 만족도`에서 나타났다. 의복에 대한 심리적 의존도는 자신에서 어울리는 옷을 사거나 입으면 울적한 마음이 나아지지만, 마음에 들지 않는 옷을 입으면 사람들 앞에 나서기가 꺼려지는, 즉 옷에 따라 우울 기분이 영향을 받고 기분에 따라 입을 옷을 선택하는 정도를 측정한 것이다. 이러한 `심리적 의존도`는 우울 증상이 심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우울군에서 의복에 대한 심리적 의존도가 컸다. `의복 만족도`는 입고 있는 옷 자체에 대한 만족, 옷을 고르는 자신의 안목에 대한 만족, 그리고 옷을 입은 자신의 모습에 대한 만족의 정도를 알아보는 것으로, 우울 증상이 심할수록 이러한 의복 만족도는 저하되었고, 반면에 비우울군은 상대적으로 의복 만족도가 높았다. 결 론: 우울 기분은 자신에 대한 만족감과 자신감을 저하시키고 무가치감을 일으키는데, 본 연구 대상자들도 우울 기분이 심할수록 의복행동에서도 심한 불만족을 나타냈다. 또한 우울증에 대한 반동형성으로서의 의복행동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즉 우울 기분이 심할수록 자신감을 높이고 기분을 나아지게 하기 위해 적극적인 의복행동을 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Objective: The dressing is the basic human need and daily activity. Clothing have the function of self expression as well as self protection. The clothing behavior is closely related to psychic world and one`s emo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behavior as daily activity and depressive mood as popular human emotion. Method: Out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N=88) were selected among those visit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ose who had been diagnosed as depressive disorder and treated were selected by reviewing of medical records. Questionnaires for clothing behavior were initially selected from previous studies and finally 25 questions were chosen through preliminary study. Depressive symptom scales were rated by Beck Depressive Inventory(BDI). We compared the two groups divided by BDI score of 16 on 5 variable elements about clothing behavior and evaluated correlation between depressive mood clothing behavior. Results: The psychologic dependency and clothing satisfaction were related to depression. The psychologic dependency was defined as appropriate clothing behavior relieving depressive mood, but unsatisfying clothing makes one humble, so one`s dressing is affected by one`s mood. This psychologic dependency was high in depressive group and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The clothing satisfaction defined as satisfaction about clothes, clothing selection and clothed self image was reversely related with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Conclusion: We found that depressive men had unsatisfying clothing behavior as they had diminished satisfaction about self and feelings of worthlessness. And the clothing behavior functions as reaction formation about depression to overcome inner depressive and empty state in depressive one. These resul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behavior and depressive mood provide the need and possibility about therapeutic meaning of clothing for depressive people.

      • KCI등재

        도시와 농촌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강현욱(Kang, Hyunwook),박경민(Park, Kyungmin)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1

        목적: 우울은 노년기에 발생하는 가장 빈번한 정신과적 문제 중의 하나이며 조기 발견 및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신체ㆍ정신기능 및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도시와 농촌은 노인 인구의 수, 사회ㆍ경제적 상태, 그리고 의료시설에의 접근성 등 여러 측면에서 다르며, 이러한 차이들은 두 지역 노인 간의 우울 정도 및 우울 관련 요인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측된다.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이 두 집단 노인에게 적절한 우울 중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조사하는 것이 일차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와 농촌 노인의 우울 영향 요인을 비교하여 각 지역 노인의 특성에 적합한 우울 중재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연구이다. D광역시와 이에 인접한 D군에서 각각 205명과 265명의 65세 이상이며 의사소통이 가능한 노인 대상자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상자의 우울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판 단축형 노인 우울 척도가 사용되었고, 이와 아울러 인구학적 및 건강 관련 특성, 지역사회활동 참여정도가 조사되었다. 결과: 도시와 농촌 두 집단간 일반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및 지역사회활동 참여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울은 농촌 노인대상자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우울과 관련 있는 요인으로는 두 집단 모두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 지역사회활동 참여정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노인집단에서는 시력도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포함되었다. 결론: 도시와 농촌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시력을 제외하고는 유사하였다. 다음 연구를 위하여 한국 노인의 신체적, 정서적 우울발현증상을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우울도구를 연구에 사용할 것과 인지기능도 함께 측정하여 한국인의 우울 증상과 원인에 적합한 우울 중재를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Purpose: Depression is one of the most frequent mental health problems in the elderly. Delayed diagnosis and untreated depression may impa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functions, and quality of life in the affected individuals. Urban and rural areas differ in the number of aged population, socioeconomic status, and access to health care. Thus it is expected that these differences may affect the prevalence and the correlates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two areas. In order to provide tailored intervention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to compar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between those group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to compare the correlates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living in an urban and a rural area in South Korea. Method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A total of 470 older adults over 65 years who were able to perform appropriate communication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 Korean vers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Short Form was administered to assess depression of the participants. Results: Correlates of depression in the urban group were 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economic status, the level of community activity participation, and vision. Those in the rural group were the same with the urban group except for vision. Conclusion: This study compared the correlates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residing in urban and rural areas.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to address physical symptoms as well as emotional symptoms of depression together with cognitive impairment of older adults.

      • 일 도농복합지역 주민의 우울증 유병률 조사

        최수련(Soo Ryun Choi),연병길(Byeong Kil Yeon),한창환(Chang Hwan Han),홍나래(Narei Hong),권희정(Hee Jung Kwo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7 사회정신의학 Vol.12 No.1

        목 적: 우울증의 조기 발견 및 치료는 정신보건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우울증을 조기에 발견해서 치료함으로써 정신 및 신체 질환의 일반적인 예후를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자살률 또한 낮출 수 있다. BDI는 일차 진료현장에서 비교적 쉽고 빠르게 우울증상을 발견할 수 있는 척도이다. 이 연구는 BDI를 이용하여 우울증 및 우울증상의 유병률을 밝혀 지역 사회 정신건강 증진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 법: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온양 3동에 거주하는 주민 291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기초정보 및 BDI를 조사하였다. 우울증은 BDI 점수를 기준으로 남성의 경우 23점, 여성의 경우 24점 이상으로 정의하였고 우울증상은 BDI STEN 점수 7점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 연령 보정 후 우울증의 유병률은 전체 8.9%, 남성 4.1%, 여성10.0%로 나타났으며 우울증상의 유병률은 전체 17.9%, 남성 12.5%, 여성 23.1%이었다. 우울증상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성별, 정신과 질환의 가족력, 내과적 질환 등으로 나타났으며 나이, 교육정도, 수입, 결혼력과의 관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도농복합지역에서의 우울증 및 우울증상의 유병률은 국가 전체를 대상으로 했을 때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우울증 및 우울증 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보건 서비스를 제공하여 우울증상을 조기 발견, 치료한다면 지역사회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community mental health. Finding and treating depression early can improve general prognosis of mental and physical diseases and reduce the rate of suicide. Using BDI, primary practitioner can easily find depressive sympto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and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to suggest baseline data. Methods:We investigated 291 people who were residing in Onyang 3-dong and Dogo-myun, Asan-si, Chungcheongnam-do. Our research team visited their residence and gathered information using the questionnaire about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BDI. Depression was defined as BDI total score over 23 in males and over 24 in females. Depressive symptom was defined as BDI STEN score over 7. Results: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Asan-si was 8.9% in total, 4.1% among males, 10.0% among females.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was 17.9% in total, 12.5% among males, 23.1% among females. The related factors of depressive symptoms was sex, family history of psychiatry and medical disease. Age, education years, incomes and marital statu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Prevalence of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mixed region of urban and rural communities is similar with those among national wide sample. With mental service for those who are in high risk group, early detection of depressive symptoms from community will be needed to improve general health status.

      • KCI등재

        연구논문 : 1991∼2010년 신문기사 분석을 통해 살펴본 한국 우울증 담론의 변화와 그 문화적 함의

        이현정 ( Hyeon Jung Lee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2 韓國文化人類學 Vol.45 No.1

        최근 한국 사회에서 자살률 증가와 더불어 우울증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본 논문은 그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사회 문화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한가지 시도로서 지난 20년간 한국 신문기사에서 우울증을 다루어 온 방식과 시각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살펴본다. 연구자는 1991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한국의 다섯 개 주요 일간지(조선, 동아, 국민, 경향, 한겨레)의 전체 기사 중 제목에 ‘우울증’이라는 단어를 포함한 기사를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검색 프로그램(KINDS)을 이용하여 선별하였으며, 그 결과 총 958개의 기사를 획득하였다. 이 기사들을 정해진 유목에 따라 Excel 2007을 이용하여 분류하고 빈도 분석한 후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내용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세 가지 특징이 발견되었다. 첫째, 지난 20년간 제목에 우울증을 포함한 기사 수는 1996년과 2005년 두 번의 시기에 크게 급증하였으며, 이러한 급증의 배경에는 국가적 규모의 사고와 IMF 구조조정으로 인한 사회적 불안(1996) 및 유명 연예인의 자살사건(2005)이 주된 관련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지난 20년간 우울증 기사는 우울증 환자의 ‘폭력적’이고 ‘비정상적’인 사건을 드러내는 ‘사건 보도’의 성격으로부터 점차 질병으로서의 우울증의 개념과 치료법 및 예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의 성격으로 변화되어 왔다. 셋째, 지난 20년간 우울증의 생물학적/유전적 요인이 전체 중에 차지하는 비율은 시간에 따른 변화가 별로 없었지만, 생물학적/유전적 요인을 언급한 기사 수의 변화는 생의학적 연구결과를 포함한 기사 수나 정신의학 관련 전문가 의견이 인용된 기사 수의 변화와 대체로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인다. 이러한 자료 분석 결과로부터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문화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난 20년간 한국의 매스미디어 담론 속에서 우울증은 단순히 의학적 질병을 넘어서 현대 한국인의 일상적 위험과 불안을 상징하는 사회적 은유로서 사용되고 있다. 둘째, 대중 독자의 관심을 유발하고자 하는 매스미디어 담론의 특성으로 인하여, 유명 연예인과 관련된 우울증 기사는 특별히 집중 보도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후 매스미디어를 통한 우울증 담론의 확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점차 ‘정보 제공’의 성격을 띠고 나타나는 우울증 기사들은 개인의 지속적인 자가진단과 관리에 의해서 우울증을 야기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거나 조기치료할 수 있다는 사고를 확산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신자유주의적 통치 담론을 지지 ·배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넷째, 우울증에 관한 기사가 점차 ‘과학’이나 ‘건강’과 같은 전문 섹션에서 다루어짐에 따라, 최신 과학적 실험 결과를 강조하는 생의학적 관점은 특히 정신의학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매스미디어 담론 속에서 확산되고 있다. A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sociocultur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the increasing degree of social concern with depression today, this paper examines how daily newspapers in South Korea have treated depression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using KINDS(Korean Integrated Newspaper Database System), from which I selected a total of 958 articles with a title including the word “depression” from five daily newspapers between January 1, 1991 and December 31, 2010. The selected articles were cod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using content analysis. The analysis provided three main findings: First,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 number of the articles with a title including the word “depression” has remarkably increased, particularly in two contexts. The increase is associated with widespread socioeconomic anxiety in the mid-1990s, while it is also related to the shocking news of a celebrity`s suicide motivated by depression in the mid-2000s. Second, articles about depression have gradually focused more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and its treatment and prevention methods, rather than on recounting ``violent`` and ``exceptional`` episodes surrounding the victim of depression. Third, articles published during the last twenty years have contained a consistent yet smaller proportion of biological/ genetic causes of depression every year, compared with that of the social causes. From these results, I discussed four cultural implications: First, in Korea`s mass media discourse during the last two decades, depression is represented not merely as a medical disease but as a social metaphor that symbolizes everyday risks and anxiety among the Koreans. Second, articles about a celebrity`s illness experience tend to contribute to spreading a new type of depression discourse in Korean mass media. Third, articles aiming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depression and its preventive methods reinforce neoliberal political discourse, particularly by spreading the idea that the risks of depression can be prevented by relevant self-diagnosis and self-management. Fourth, articles dealt with in the specialized section of health or science contribute to disseminating biomedical perspectives on depression, particularly by way of psychiatrist commentaries which highlight the results of recent scientific experiment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우울과 영향요인

        Seunghyun Lee,Jeongyee Ba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우울 정도와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초등학생의 정신건강증진과 우울 예방 및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2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ㆍ5ㆍ6학년 487명을 대상으로 2011년 11월 1일부터 10일까지 하였다. 연구도구는 우울, 자아존중감, 학업 스트레스, 교사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가정에 대한 만족도 및 신체상 척도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WIN 19.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백분율, 독립표본 t 검정,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우울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으로 검정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우울정도는 중증우울군이 13.1%, 경미우울군이 18.7%, 정상 범위군이 68.2%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대상자의 우울 정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β=-.34, p<.001)이였으며 다음으로는 학업 스트레스(β=.30, p<.001), 신체상(β=-.15, p<.001), 친구와의 관계(β=-.09, p=.023), 가정에 대한 만족도(β=-.09, p=.041)순 이였다. 이들 요인들은 우울에 대해 54%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프로그램과 학업 스트레스 관리, 긍정적인 신체상을 위한 지지, 친밀한 친구와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소집단 활동 및 부모교육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우울 예방과 중재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pression degree of school children and its influence factor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ir mental health promotion, prevention of depression and intervention. For the research subject, this study targeted 487 school children in the 4th, 5th and 6th degrees at 2 elementary schools in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 from November 1 to 10, 2011. For the research tool, it used depression, self-esteem, academic stress, relationship with teacher, relationship with friends, satisfaction of family and body image scale. For the method of data analysis, SPSS WIN 19.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average, percentage, independent sample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analyzed; the influence factors of depression were verified b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pression degrees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found: that of the severe depression group was 13.1%; minor depression group 18.7%; normal range group 68.2%. As a result, a factor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subjects’ depression degree was self-esteem(β=-.34, p<.001), followed by academic stress(β=.30, p<.001), body image(β=-.15, p<.001), relationship with friends(β=-.09, p=.023), and satisfaction of family(β=-.09, p=.041). These factors showed 54% explanation power of depression. Therefore, through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s, management of academic stress, the support for the positive body image, small group activities for close friendships and parental educa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vent and intervene school children’s depress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우울을 겪고 있는 학교폭력 피해 여중생의 미술치료 사례

        사공미숙 ( Mi Suk Sagong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9 No.-

        본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 여중생을 대상으로 미술 치료를 실시하여, 미술치료가 대상자의 우울 감소와 등교거부행동 소거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기간은 2014 년 5 월 2 일부터 9 월 12 일까지 주1회 50 분씩 총 18 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장소는 S 시에 소재한 A 정신과 미술치료실에서 진행되었다. 연구도 구로는 투사검사인 동적학교생활화(KSD)와 Beck 의 우울 검사(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사전과 사후 에 실시하여 학교 동료관계에 대한 지각 불안과 우울수준의 변화된 상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질적 분석으로는 각 회기별로 그림과 태도변화 기록들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등교거부행동 변화 및 또래관계 개선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학교폭력 피해 여중생의 우울 수준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치료가여중생의 정서를 안정시킴에 따라, 우울지수가 35 점(심한 우울)에서 5 점(우울하지 않은 상태)으로 대상자의 우울감이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미술치료가 학교폭력 피해 여중생의 등교거부행동 소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기별 행동관찰 및 변화기록을 살펴보면, 결석 3 회, 지각 2 회에 서 결석 없음, 지각 1 회의 변화가 나타났고, 대상자의 학교생활화(KSD)에서 사전에는 또래들과 단절되어 혼자 음악을 듣고 있는 모습이 나타났으나, 사후에는 친구와 웃으며 팔짱을 끼고 매점으로 향하는 모습이 그려져 등교거부 행동이 소거되고, 아울러 또래관계가 개선되어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학교폭력 피해 여중생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는 대상자의 우울감을 감소시키고, 등교거부행동을 소거시켜 학교생활에 적응하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Key Words School Violence(학교폭력), Depression(우울), Art Th erapy(미술치료)I.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청소년 시기에는 하루 활동 시간 중 거의 대부분을 학교에서 보내면서, 그들의 학문적·직업적인 미래를 준비하고, 사회인으로서의 교양과 자질을 습득한다. 그래서 학교생활은 그들의 성장과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청소년기의 삶 그자체이며 1), 다양한 문제를 중재하기 위한 특별하고도 안정감 있는 2) 공간이어 야 한다. 그러나 최근 학교에서는 많은 언어적·비언어 적 폭력사례들이 늘어나고 있어 학교가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2012)에서는 학교폭력을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유인, 명예훼손·모욕, 공갈, 강요·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따돌림, 정보 통신망을 이용한 음란 ·폭력 정보 등에 의하여 신체·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라고 정의하고 있다. Olweus(1981)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인’행위를 강조하며, 이와 더불어 폭력의 유형으로 위협, 조롱, 때림, 발로차기, 들볶음, 꼬집음, 따돌림 등 물리적이거나 비 물리적인 행위 모두가 폭력에 해당된다고 하였고 3), Hans Tiersch 는 폭력의 유형을 물리적 폭력, 심리적 폭력, 구조적 폭력의 세가지 형 태로 구분하고 있으며, Maclintock 는 청소년 폭력을 도구적 폭력, 개인 간의 폭력, 이념적 폭력, 동기 없는 폭력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학교 폭력의 개념은 접근하는 방식과 주체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으며, 연구 목적에 따라 발생장 소, 가해와 피해의 대상, 폭력 행위의 유형등에 있어 서 다르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 폭력의 정의를 학교와 관련하여 일어나는 폭력행위로 개인이나 또래집단에 의해 지속적인 집단 따돌림, 욕 설, 협박 등의 심리적, 언어적 폭력행위에 노출되는 것으로 정의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청소년보호법 제 2 조에서는 청소년폭력을 “폭력을 통해 청소년에게 신체적·정신적 피해를 발생하게 하 는 행위”로 규정하면서 폭력가해보다는 피해에 더 많 은 관심을 두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학교 폭력의 피 해자들이 겪는 직접적인 고통이나 학교폭력에 따른 영향이 심각하기 때문이며, 장시간 학교 폭력에 노출 되는 경우 심리적 또는 정신적인 피해가 크게 나타나 자살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4). 2013 년 청소년 통 계청에 나타난 학교폭력 실태 5)에 따르면, 중.고등학 교 폭력 피해 유형 중 집단 따돌림은 38.2%로 욕설 및 폭언(56.2%)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고, 최초 폭력 노출 연령은 초등학령기가 75.1%로 가장 높게 나타나 점차로 노출 연령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청소 년폭력 예방재단(2013)6)에 나타난 성별 학교 폭력 피 해유형은 여학생이 20.1%, 남학생인 9.1%로 그 피해가 여학생에게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교폭력을 경험한 학생들은 등교 공포, 학교결석, 학교활동의 기피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자신의 안전에 대한 불안은 학교에서의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7). 실제로 학교폭력 피해 학생의 90%는 등교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학업 성취도가 감소하 여 학교성적의 저하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8), 불안이나 위축상태에 놓여 자살충동을 느끼는 9) 경우 도 있었다. 위의 조사결과를 통해 학교폭력 피해 학생들이 공 통적으로 우울, 불안, 공격적인 행동, 두려움을 보이는 등 정신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우울은 학업성취와 수행능력의 저하, 사회성 결핍, 대인관계 문제, 섭식장애, 자살 등 많은 행동적 문제들과 높은 연관이 있다 10)는 것을 알 수 있다. Olweus(1993)는 중학교 시절 학교폭력을 경험한 사람들은 일반 성인에 비해 높은 수준의 우울과 부정적 인 자기상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으며, 이완정과 정혜진(2010)은 청소년기의 또래폭력에 노출된 대학생은 그렇지 않은 대학생보다 우울증, 불안증의 증상이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에 청소년기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그 이후의 삶에서까지 계속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학교폭력의 피해자인 청소년들이 자신의 감정에 대해 말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에 일반적으로 말로는 나타내지 못하는 생각이나 경험내용을 일종의 대화 방식으로 풀어낼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한데, 미술은 모든 아동이 성장하면서 가지게 되는 분노, 두려움과 같은 복잡한 감정에 대처하고 표현하며 명확히 하는 하나의 방법 11)이라는 점에서 효 과적이라 할 수 있다. 즉 미술치료를 통해서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긴장과 불안, 우울을 이완시키고 이를 시각화하여, 억압된 감정을 발산하도록 하고, 아울러 정신적 외상을 이겨내고 회복하도록 도와줌으로써 학교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학교폭력 피해 대상자에 대한 미술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최외선과 박현미(1999)는 미술치료를 통하여 아동은 자율성과 독립성을 향상시키고 원만한 또래관계를 형성하였다고 보고하였고, 전순영과 김동연(2002)은 미술치료를 통해 아동의 집단괴롭힘의 핵심원인을 알게 되고, 억압된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하여 긍정적인 표현과 자기 표현력이 향상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황명자(2004)는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해 등교 거부 아동은 자기에 대한 감정과 자아인식을 형성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정서가 안정화되면서 또래들과의 원만한 관계 및 학교 적응이 이루어졌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학생 피해자의 경우, 같은 반 친구들과 다툼이 있은 후 친구들로부터 잦은 언어적.심리적 폭력을 경험하였고, 이 일로 인하여 등교 할 때면 두통과 복통, 불면증을 호소하고, 불안 및 우울을 경험하였으며 계속적인 등교거부 행동이 나타나 심도있는 치료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불안 및 적개심과 같은 억압된 부정적 감정을 표현하고, 아울러 정신적 외상을 이겨내고 회복하는데 도움을 줄수 있는 미술 치료적 접근이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피해 여중생을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미술치료가 대상자의 우울감소와 등교거부 행동 소거에 효과가 있음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rt therapy for middle school girls victimized by school violenc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in reducing the depression of the subjects and eliminating the school refusal behavior.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total of 18 sessions, each for 50 minutes per session in a week, during the period from May 2 till September 12 in 2014, at the art treatment office of A psychiatry clinic located in S city. The study tools of KSD, a projective test,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were used for preliminary and post tests, and they analyzed the perception instability towards school peer relationship and the changed status of depression levels. In addition, as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drawings and attitude change records for each session were utilized to look into the changes in school refusal behavior and progressions of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The conclusions fro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has shown to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depression levels of middle school girls victimized by school violence. It was confirmed that art therapy stabilized the emotions of middle school girls, and the depression feelings of the subjects lowered accordingly, with the depression index falling from 35 points(severe depression) to 5 points(non-depressed state), Second, art therapy has shown to be effective in eliminating school refusal behavior of middle school girls victimized by violence. Looking at the drawings and attitude changes recorded in each session, absence was reduced from 3 to 0, lateness was reduced from 2 to 1. Besides, In their KSD, the subjects were depicted in the preliminary test as listening to music by themselves, separated from the peers, while they were seen in the post test to head for school stores, laughing arm in arm with friends, indicating positive changes. In view of the above results, the art therapy for the subjects of middle school girls victimized by school violence was proven to be effective for their adjustment to school lives through reducing their depression and improving their school peer relationship.

      • KCI등재후보

        한국성인에서 영양소 섭취 상태와 우울증과의 연관성: 2014년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박서연,한아름,신새론,어재은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2

        Background: Many studies have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nutrient element and depression independently, but few have assessed the effect of dietary intake on depression, as diagnosed using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 and depression, which was diagnosed using the PHQ-9. Methods: This study used the second data set (2014)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Our analysis included 5,897 persons who answered the PHQ-9, aged 20 to 60 years. They were categorized into either a male or female group, which were then subdivided into a depression group of patients who were diagnosed using the PHQ-9, and those without depression (control group). The patients’ dietary intakes were obtained using the 24-hr recollection method in KNH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 and depression was investigated for each group. Results: In males, dietary intake was not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both groups, except in relation to carotene. While in females, the depression group had lower fiber and vitamin C dietary intake than the control group (fiber P=0.015, vitamin C P=0.020). The dietary intakes of all other nutrients had no associations between the depression and control groups, in both males and females. Conclusion: According to our results, low dietary intake of fiber and vitamin C may be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fema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diet regimen that includes fiber and vitamin C may help prevent and reduce depression in females. 연구배경: 많은 연구들이 각각의 영양성분과 우울증의 관계를 평가해왔으나, 한국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PHQ-9)에 의해 진단된 우울증에 대한 식이섭취의 영향은 거의 평가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식이섭취와 PHQ-9에 의해 진단된 우울증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방법: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제6기 2차(2014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만 20세 이상에서 60세 이하의 성인 중 PHQ-9에 응답한5,897명이며, 이들은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어, 각각의 군은 PHQ-9에의해 진단된 우울증 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식이섭취는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였다. 각군의 식이섭취와 우울증과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결과:남성에서는 우울증 군과 대조군 모두 카로틴을 제외한 식이섭취가 우울증과 관련이 없었다. 반면 여성에서는 우울증 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섬유소와 비타민 C 섭취를 보였다(섬유소 P=0.015, 비타민 C P=0.020).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다른 영양소들의 식이섭취가우울증 군과 대조군 간의 차이가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여성에서 섬유소와 비타민 C의 낮은 식이섭취는 우울증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여성에서섬유소와 비타민 C를 포함한 식이요법은 우울증의 예방과 감소에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병원 불안- 우울 척도에 관한 표준화 연구 : 정상, 불안, 우울 집단간의 비교 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s

        민경준,오세만,박두병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2

        연구목적 : 저자들은 Zigmond등 (1983)이 개발한 병원 불안-우울 척도(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 HAD)를 한국어로 표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연구대상은 불안장애 환자가 66명, 우울장애 환자가 74명, 정상대조군 189명이었다. HAD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한홍무 등(1986)이 표준화한 Beck의 BDI와 왕성근(1978)이 표준화한 Zung의 자기평정 불안척도와 그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문항 - 총점간의 상관관계 중앙치는 불안 하부척도가 0.55, 우울 하부 척도가 0.47로 나타났고, Crohnbach의 α계수는 각각 0.89와 0.86으로 나타나서 중등도 이사의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도에서는 t검증 결과 불안 및 우울 집단이 정상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증명되었다. 구성 타당도는 우울 하부척도가 BDI와는 r=0.80, 불안 하부척도가 SAS와는 r=0.79로 나타나 중등도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었다. HAD로 불안 및 우울을 측정하는 경우 우울 하부 척도가 절단점 8점인 경우 민감도 89.2%, 특이도 82.5%, 불안 하부척도가 절단점 8점인 경우 민감도 78.8%, 특이도 82.5%로 가장 적절하게 나타났다. HAD의 요인분석 결과 두 가지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요인 1이 설명하는 변량은 49.6%로, 요인 2가 설명하는 변량은 10.0%로 두 요인이 설명하는 변량은 59.6%였다. 두 가지 요인은 원래 척도인 불안(AI-7)과 우울(D1-7)의 하부척도와 잘 일치하였다. 그리고 불안과 우울 장애의 감별에서도 두 집단사이의 t검증 결과 우울 하부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불안 하부척도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이러한 결과로 HAD가 불안과 우울 장애를 타당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로 증명되었다. 본 척도를 사용하여 일차진료의 및 비 정신과 분야에서의 불안과 우울의 이환 상태를 이용하고 짧은 시간에 숙달된 기술이 없이도 검사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andardize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or Koreans : HAD-K). Methods : HAD-K,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elf-Rating Anxiety Scale(SAS) were administered to 66 anxious and 74 depressed patients and 189 normal controls. Results : The median correlation between items of the HAD-A and corrected item total score was 0.55 and HAD-D was 0.47. The values of Cronbach's α coefficient were 0.89 and 0.86. The results of testing the validity of the HAD examined by t-test proved that anxious and depress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ormal controls. The construct validity of HAD-D with BDI was r=0.80, and HAD-A with SAS was r=0.79. The result of examining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HAD-D revealed that cut-off point of 8 yielded 89.2% sensitivity rate and 82.5% specificity rate. And those of Had-A revealed that cut-off point of 8 yielded 78.8% sensitivity rate and 82.5% specificity rate.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found 3 factors in HAD, which were anxiety(factor 1) and depression(factor 2). The total percent of two factors were 59.6%. Conclusion : The HAD-K was proven to measure the anxiety and depression validly. Primary physicians and non-psychiatrists also can easily measure anxiety and depression of patients within a short time with HAD-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