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양로연의 양상과 특징

        하을란(Ha Eul-l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5 한국학연구 Vol.22 No.-

        조선시대의 국가 지배 이념인 유교는 효를 모든 덕목의 근본이자, 모든 가르침의 출발점으로 여겨왔다. 또 유교의 근본정신인 인仁은 효가 그 바탕이 된다고 했다. 이러한 유교의 근본정신인 효는 특히 노인을 공경하는 경로사상으로도 잘 나타나는데, 세종대왕시절부터 있어왔던 양로연 의례가 그것이다. 양로연은 세종대왕이 집현전을 설치하여 경연을 전담하게 하면서, 스승을 공경하는 예절은 어떠해야 하는가를 표현하는 잔치로 임금이 모범을 보이는 잔치였다. 궁중에서 행해진 양로연과 같은 연회는 참석자를 남여로 구분하여 외연外宴과 내연內宴으로 구별하여 행해졌는데,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후기 궁중 양로연에서도 외연外宴의 풍속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가장 자세히 연구되어 있는 세종대의 양로연과 성종조에 완성된 국조오례의에 전하는 양로연을 조선후기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에 전하는 「화성낙남헌 친림양로연의」와 비교 고찰하고, 기존에 연구되었던 조선후기 양로연의 단편적인 양상 분석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조선후기 양로연 양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세종조를 거쳐 정비된 예악사상은 성종조의 『국조오례의』와 『악학궤범』으로 그 기틀을 확립하게 되었다. 성종조 연향에서는 세종 때 금지된 여기가 등장한다는 점이 특이하다. 영조조에 들어서서는 세종조 이후에 사용되지 않았던 아악이 다시 부활하였다는 점에서 음악사적으로 주목할 만하다. 사용되는 아악은 휴안지악 한곡이고 향악도 여민락만과 여민락영 두곡이 사용되었다. 앞의 그림에서 봐서 알 수 있듯이 연향에 여기가 등장하고 있다. 영조조 양로연에서 다시 아악이 부활한 것은 앞의 「영조실록」의 내용에서 살펴봤듯이 세종조의 연향을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군신의 정의를 편다’는 뜻으로 어연을 개최할 것을 허락하였는데 이 내용으로 보아서 연향을 베푸는 것도 일종의 정치적 목적으로 세종조의 예악사상과 상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nationally dominating doctrine, Confucianism, has filial duty as the root of moral principles, and regarded it as the starting point of all teachings. Also, righteousness, which is the fundamental root of Confucianism, has filial duty as its frame. Such fundamental root of Confucianism as filial duty is especially apparent in the idea of respecting all elders, and Yang-ro yun, the custom of ceremonial party for senior citizens, which had been around since the days of King Sejong, is it. Yang-ro yun is a party, which is conducted by Jibhyeon-jeon which King Sejong established so that it can bear the full responsibility of having banquets, to express respect to the teachers, with the king himself being the model. The banquets being held in the palace like the Yang-ro yun had its participants divided by their gender and the party was held separately in Waeyun and Naeyun, and in this thesis, among the Yang-ro yun in royal court of the late Chosun period, it looks into the aspect of the customs in Waeyun. The Yang-ro yun of the Sejong period, which is the most minutely researched, and the Yang-ro yun that has been handed down in Kookjo-orae-e, which was completed during the Sungjong period, is especially examined and compared to 「Hwasung Naknarnhun chinlim Yang-ro yunee」 which has been handed down through 『Wonhaeng Eulmyo Jungli Eegue』 of the late Chosun period, and it looks into the unique features of aspects in Yang-ro yun of the late Chosun period, based on the currently researched product of fragmentary aspect analysis of Yang-ro yun in late Chosun period. The ideas of Yehak, which has been maintained through the Sejong period, had its foundation established by 『Kookjo-orae-e』 and 『Akhak Guebum』. In banquets of Sungjong period, it is unique because it features the Yeo-gi (female entertainers) who were prohibited in Sejong period. It should be noted in terms of music history that A-ak, which was not used since Sejong period was revived in Youngjo period. Only one A-ak song, Hewahn Jiak, was used, and for Hyangak, the two songs, Yuhminrakman and Yuhminrakyoung were used As you can see in the previous picture, the Yeo-gi (female entertainers) are present in banquets. As seen from the contents of 「Authentic record of King Youngjo」, it maybe learned that the reason for Ah-ak's revival in Yang-ro yun of Youngjo period is because it had the parties of Sejong period as its standard. Also, Uhyun was allowed to be held in order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rd and the vassal', and one can see from the content, having a banquet is used with sort of a political purpose in mind, coinciding with the ideas of Yeh-ak in Sejong period.

      •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이 양로시설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 및 우울감 감소에 미치는 영향

        박진솔(Jin-sol Park),문소영(Soyoung Moon) 한국음악치료심리재활학회 2022 음악치료심리재활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이 양로시설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 및 우울감 감소에 효과가있는 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J시의 S양로시설에 거주 중인 양로시설 노인 10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J시의 C와 S양로시설에 거주 중인 양로시설 노인 10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 시행 전 양로시설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 및 우울감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실험집단에게는 2017년 2월13일부터 2017년 3월 31일까지 주 2회 각 50분씩 총 14회기 진행하였다.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 후, 두 집단의 주관적 행복감 및 우울감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이 양로시설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이 양로시설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 하위영역인 내적 행복, 외적 행복, 자기조절행복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이 양로시설 노인의 우울감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이 양로시설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 및 우울감에 효과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이 양로시설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 및우울감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는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더불어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이 양로시설 노인뿐만 아니라 요양시설 노인, 허약 노인 및 치매 노인에게까지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있음에 의의를 둔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tructured instrument-playing on the improvement of subjective happiness and the reduction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residential care.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0 elderly people from S residential care in city “J,” and the control group had 10 elderly people from C, S residential care in city “J.” Before implementing the structured instrument-playing, the subjects were pre-tested to obtain measures of their subjective happiness and depression level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carried out for a total of 14 sessions, 50 minutes each,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 13 to March 31, 2017. After these sessions, post-tests were conducted to both groups to track any changes in the participants’ subjective happiness and depression levels.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major findings: First, structured instrument-playing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ubjective happiness of elderly people in residential care. Also, the data also showed that structured instrument-play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nts’ inner happiness, external happiness, and self-control happiness. Second, structured instrument-playing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in residential care. By proving that this study work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ructured instrument-playing program can be effective for improving the elderly residents’ subjective happiness and depression. Also, the study suggests that structured instrument-playing can be appli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for not only the elderly in residential care but also to nursing home elderly, frail and dementia elderly.

      • KCI등재

        오수역참 양로청의 변천과 역리 가계 검토

        김철배 전북사학회 2021 전북사학 Vol.- No.62

        본 고는 현재 오수양로당에서 소장하고 있는 『양로청선생안(養老廳先生案)』과 『양로안(養老案)』, 『양로안 절목(養老案節目)』을 중심으로 오수양로당의 건 립과 변천을 살펴본 것이다. 1712년 오수역의 찰방(察訪) 최주하(崔柱夏)가 설 치한 양로청(養老廳)은 1895년까지 유지되었는데, 당시에는 오수역의 역리를 지낸 영이방(令吏房)과 부이방(副吏房)을 역임하였고, 회갑이 지난 사람만이 들어갈 수 있었다. 그러나 1895년 조선의 역제도가 되어 양로청의 규약이 유 지될 수 없게 되자 1914년 규약을 개정하여 61세 이상 노인으로 김해김씨 삼 파(三派)의 후손만 들어갈 수 있도록 하였다. 『양로청 선생안』과 『양로안』에 기재된 성씨를 분석한 결과, 『양로청 선생안』에는 각 시기별 영이방과 부이방을 지낸 144명이 수록되어 있고, 『양로안』에 217명이 수록되어 있다. 『양로청 선생안』과 『양로안』에 수록된 217명 중 에서 195명이 김해김씨로, 약 89%를 차지하고 있다. 그 외에 권씨, 박씨, 백 씨, 조씨, 이씨, 진씨, 지씨 등 12개 성씨는 22명으로 약 11%를 차지하고 있다. 오수역 역리(驛吏)는 대부분은 김해김씨 삼파의 후손이라고 할 수 있다. 임실군 오수면 오수리 거주하는 김해김씨는 삼현파로서 매헌종중(梅軒宗 中)이라고도 하는데 매헌(梅軒) 김기손(金驥孫)을 입향조로 삼고 있다. 김기손 등 김해김씨는 무오사화(1498)이후 낙향하였다가 오수역의 역리를 세습하였 다. 아마도 사화와 연루되어 처벌을 받은 사람들 가운데 역리로 정속(定屬)된 것으로 추정된다. 『여지도서』(1659)와 『호남읍지』(1872)에 의하면, 오수역의 편호는 약 360호이고 오수역의 역리를 포함한 노비, 일수(일수) 등을 모두 합 친 인원은 1,440명이다. 그런데 『호남읍지』(1793)에는 오수역이 남원부 48개방 중에 하나로 기재되어 있는데, 오수역(坊)의 편호는 461호라고 한다. 오수역과 오수역(坊)의 편호 차이는 오수역 주변 마을에 오수역 소속이 아닌 편호가 있 었던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s erection and changes of Osu old people’s home through books owned by old people’s home: Yangrocheong-Seonsaengan, Yangroan, and Yangroan-jeolmok. Yangrocheong erected by Choi Ju-ha, Chalbang of a post town in Osu, was managed to 1895. It only permitted to enter people who served as Yeokri and over the age of 60. For the local government system was changed after 1895, it revised the regulation in 1914 to permitting to only people descendants of Sampa, Gimhae Kim’s Clan. Yangrocheong-Seonsaengan was included the names of 144 who served as Yeokri, and Yangroan of 217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wo books. Gimhae Kim’s Clan people accounted for 89%, 217 people among 195, except 22 people, in 12 clans: Gwon, Park, Paek, Jo, Lee, Jin, Ji, and so on. So, it can concluded that the Yeokris in a post town in Osu are mostly descendants of Sampa of Gimhae Kim’s Clan. A Clan in Osu-ri, Osu-myeon, Imsil-gun is a descendant of Kim Gi-son. He retired to Osu after 1498, and handed Yeokri of a post town in Osu over as a national servant. According to Yeojidoseo in 1659 and Honameupji in 1872, the number of total households in a post town in Osu was 360s, and of total villagers was 1,440s including the lowest class of people. But according to Honameupji in 1793, there was a different record that the number of total households was 461. I think there are households not to belong to a post town in Osu around there.

      • KCI등재

        노인주거복지시설의 건축 및 공간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양로시설을 중심으로 -

        김봉애,김수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9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structure of aged care facilities representative of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extension, and renovation of aged care facilities. The study subjects include ten aged care facilities located in Seoul. The methods used for the study include literature review and spatial structure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syntax. The findings are as follows: Due to their architectural nature, most of the aged care facilities are located in areas classified as general residential zone. Among them, some small-sized facilities underwent zoning change for operation while medium to large-sized aged care facilities underwent new construction or extension for operation. Aged care facilities, except for Center J, are three stories or lower, and the sun orientation in private space point not only southward but also northward, westward, and eastward. In terms of spatial composition in aged care facilities, space for private, public, medical and maintenance purposes comply with legal requirements in general, but larger facilities are more diverse in the composition of their public space. Furthermore, larger facilities, owing to their spatial structure, had lowest mean spatial depth in space for movement. Integration was highest in space for movement and maintenance in small aged care facilities and in space for maintenance in medium-sized aged care facilities. Control was highest mostly in space for movement in all aged care facilities. 이 연구는 노인주거복지시설을 대표하는 양로시설을 대상으로 건축적 특성과 공간구조를 분석하여 양로시설의 신축 및 증‧개축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양로시설 10개소이고,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공간구문론 측면의 공간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로시설의 건축적 특성으로 대부분 일반주거지역에 위치하여 있었고, 일부 소규모 양로시설에서만 용도변경을 통해 양로시설을 사용하고 중‧대규모 양로시설에서는 신축 및 증축을 통해 운영하고 있었다. J양로시설을 제외한 양로시설은 3층 이하의 저층으로 계획되었으며, 개인공간의 일조방향은 남향 이외에 북향, 서향, 동향 등에도 위치하고 있었다. 양로시설의 공간구성은 개인공간, 공용공간, 의료공간, 관리공간으로 나뉘며 대부분 법적 설치기준을 충족하고 있었으나 공용공간은 대규모 양로시설이 가장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공간구조적 특성은 대규모 양로시설에서 이동공간에 대한 평균깊이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통합도는 소규모 양로시설에서 이동공간과 관리공간, 중규모 양로시설에서 관리공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제도는 모든 양로시설에서 대부분 이동공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양로시설 거주 형태에 영향 미치는 예측변수에 관한 연구 : -무료양로원과 유료양로원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김윤정 대한케어복지학회 2006 대한케어복지학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충청, 전라, 경상권의 유료양로원과 무료양로원에 거주하는 352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첫째, 양로시설 거주 형태에 따른 생활실태를 비교하고, 둘째, 양로시설 거주 형태에 영향 미치는 예측변수들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유료양로원의 경우 남자노인의 비율이 다소 높고, 65세 이하노인과 85세 이하의 노인이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력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무료양로원은 부양자가 없음이 가장 중요한 입소동기인데 유료양로원의 경우 부양자의 부담이 중요 입소동기로 작용하였다. 입소 전 동거인을 살펴보면 무료양로원 노인의 경우 독거인 경우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부양가족이 없어 입소를 하게 되었다는 입소동기와 일치하는 부분이다. 유료양로원의 경우는 자녀나 친척과 동거한 경우가 대략 절반정도이고 그 다음이 배우자와의 동거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무료양로원 노인은 노인 스스로 시설 입소를 원했다는 비율이 높고, 유료양로원의 경우 노인 스스로는 원하지 않았다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료양로원 거주 노인들이 유료양로원노인에 비해 시설종사자와 노인과의 관계, 혹은 노인들 간의 관계를 우호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료양로원에 거주하는 노인의 기능장애정도가 심하고, 노인에 대한 이미지는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우울감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다섯째, 노인의 시설거주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을 판별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노인의 성, 연령, 입소 전 동거형태, 입소에 대한 의지, 시설입소 후의 노인들간의 관계, 가족과의 관계, 노인의 기능장애,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king as objects 352 old people residing in the paid or gratuitous nursing homes in the regions of Seoul, Kyunggi, Chungcheong, Jeolla and Kyungsang,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life status (variables related to moving into the faciliti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fter moving into the facilities) as per residential type of institution for the aged and to grasp estimate variables affecting the residential type of institution for the ag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paid nursing home, male is more than female and the prevalent range of age is over 65 and below 85. However, the difference in academic background is not significant. Second, while the most important motive to move into gratuitous nursing home is having no supporter, important motive to move into paid nursing home is payment by supporter. Checking lodger before they move into the facilities, more than half of the aged in the gratuitous nursing home lived alone, which coincides with the above motive, i.e., non-existence of supporting family. In the case of paid nursing home, half of the aged lived with children or relatives and the next group lived with spouse. Finally, it turned out that while the aged move into the gratuitous nursing home at their own will, those in the paid nursing home mostly do not. Third, it turned out that the aged residing in gratuitous nursing home tend to recognize amicably the relation between staffs in the facilities and the aged or among the aged than those in the paid nursing home. Fourth, though the aged residing in the paid nursing home suffer severe ADL and show more positive image,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mental depression is not significant. Fifth, checking estimate variables affecting the residential type of institution for the aged by discriminant analysis, it turned out that sex, age, living together before moving into the facilities, intention to move into the facilities, relation among the aged after moving into the facilities, relation with family, ADL of the aged, image of the aged have significant influence.

      • KCI등재

        중국 양로서비스시장과 수요‧공급적 특징 분석 - 양로돌봄서비스를 중심으로 -

        김복희,서창배 중국지역학회 2021 중국지역연구 Vol.8 No.2

        2035년 중국의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됨에 따라 중국의 노인복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급격한 고령화와 핵가족화로 인해 전통적인 양아방로(养儿防老)식 의 노후 대비가 어려울 것이라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의료기관 또는 양로서비스관련기업이 신규 진출 가능한 시장으로서의 중국을 염두에 두고, 중국 양로서비스의 정책, 수요자, 공급자 등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특히 수요자 측면에 서는 여유자금 없이 고령사회에 진입한 미부선로(未富先老) 현상이, 공급자 측면에서는 충분한 인프라를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고령사회에 진입한 미비선로(未备先老) 현상이 각각 존재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서부지역 등 연금 수입이 비교적 높은 지역과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한 성·시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국식 양로서비스 특성을 놓고 볼 때, 대도시를 중심으로 개별 가정을 방문 하여 전문적인 케어·의료·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양결합(医养结合)형태의 재가양로 서비스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셋째, 선진화된 교육시스템과 서비스교육 등을 갖춘 외 자 양로서비스 직업훈련기관의 설립을 통해 전문요양서비스 인재 양성을 고려할 필요 가 있다. 특히 2021년 1월 개방한 재가양로서비스 분야의 진출을 통해 중국 양로서비스 시장에 대한 한국기업의 선점 효과를 기대해본다. As China is expected to enter a Super-aged society in 2035, there is a growing perception that it will be difficult to prepare for retirement due to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and the composition of small families. In terms of demand, there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elderly entered before they became wealthy, and in terms of supply, there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aging of the population progressed without sufficient infrastructure. This research considered that a new market has been established for Korean medical institutions already operating in China and companies related to the elderly care service in Korea. After reviewing the current state of China's Elderly Care Service on the policy side, consumers' side, and suppliers' side, three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cities in the western region with relatively high pension income and cities that have entered the aging society as expansion bases. Second, due to the nature of the Chinese nursing service model, it is necessary to expand nursing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homecare service of a combination of medical care and nursing services that provide care, medical care, and nursing services. Third, it is necessary to produc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s soon as possible by entrusting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care workers to a Foreign Capital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 that has the advanced educational experience and can combine service education. Therefore, since the elderly homecare service sector was opened to foreign countries in January this year, we propose the need for Korean companies to preoccupy China's Elderly Care Service market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중국 농촌 양로보험개혁의 과정과 과제

        이성기,원석조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3 중소연구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process and the issues of the Chinese rural pension reforms. For the purpose, the background, the process and the contents of the reforms, and the non-contributory pension as an alternative were analy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the process of the chinese rural pension reforms have two stages. The first reform of 1980s was failed, because it was a voluntary system. But second reform of 2009 is being successfully advanced by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of the government. Second, the backgrounds of the reforms are various, such as deepening gap of urban and rural social security, decrease of supportive family members according to the one-child policy, young generation’s movement to cities for the jobs, weakness of filial pity, decease of rural lands, and the necessity of domestic demand. Third, the chinese rural pension reforms have many critical issues which must be overcome for its success. Those are weak economic capacities of the peasants, low interest rates of the individual accounts, low level of the basic pension, distrust of fund administration, and lack of necessity for public pension system. Fourth, the non-contributory pension system is an unrealistic alternative,because it needs huge finance, and it is impossible under the curr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governments. Fifth, increasing the interest rates of individual accounts, and institutional reforms of the rural pension modeling the urban pension are feasible alternatives. For those, deregulation of the strong control on the management of investing the individual accounts, training the professional fund managers, establishing the principle of compulsory coverage, national integration of the rural as well as the urban pension funds are necessary. 본고는 중국 농촌 양로보험의 개혁 과정과 과제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양로보험 개혁의 배경, 양로보험 개혁의 과정과 내용, 양로보험 개혁의 과제, 대안으로서의 무갹출연금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첫째, 중국 농촌 양로보험 개혁은 두 단계로 진행되었는데, 첫 단계인 1980년대중반 임의가입 양로보험은 정부의 방임으로 실패로 끝났으며, 두 번째 단계인 2009년 신 양로보험은 정부의 전폭적인 재정적ㆍ행정적 지원에 힘입어 상당히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둘째, 신 양로보험 개혁의 배경은 사회보장의 도농격차 심화, 한자녀정책으로인한 부양의무자 수의 감소, 농촌 청년층의 도시이주(민공), 노인부양 의식의 약화,농지 감소, 내수 진작 등 다양하다. 셋째, 농촌 양로보험 개혁은 농민의 양로보험료 부담능력의 취약성, 개인계정의낮은 수익률, 기초연금 액수의 비현실성, 연기금 관리운영에 대한 낮은 신뢰성, 연금시스템의 필요성에 대한 주민의 인식부족 등 상당히 심각한, 개혁의 성공을 위해서는 반드시 극복되어야 할 과제들을 안고 있다.넷째, 농촌 양로보험의 대안으로 무갹출 기초연금이 제시되고 있으나 막대한 재정소요라는 결정적인 약점을 지니고 있으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재정능력과지역 간 경제적 격차를 감안할 때 무갹출 기초연금의 도입은 비현실적이다. 다섯째, 농촌 양로보험 개혁의 현실적인 대안은 개인계정 적립금 투자수익률의개선과 도시근로자 양로보험을 모델로 한 제도개혁이다. 이를 위해 적립금 운용에대한 과도한 정부규제의 완화, 연기금 관리운영 전문가의 양성, 양로보험 강제가입의 원칙 관철, 연기금의 전국적 통합 등의 후속조치가 필요하다.

      • 도시 지역사회 빈둥지 노인의 종합양로서비스 체계에 대한 탐구

        Guo Xiao Yan(郭晓,岩)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16 한림고령사회연구 Vol.4 No.1

        중국은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빈둥지 노인의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빈둥지 노인에 대한 양로 서비스가 갈등적 초점과 연구과제로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도시의 지역사회 빈둥지 노인을 대상으로 빈둥지 노인이 나타나게 된 원인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도시 지역사회 빈둥지 노인의 양로서비스 욕구 및 양로서비스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종합적 양로서비스시스템 구축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최근 중국의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고 도시의 ‘빈둥지 가정’ 수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빈둥지 가정의 노인을 위한 서비스 및 서비스의 질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있으나 공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도시 빈둥지 노인의 양로 서비스 문제는 이미 중국 사회 발전의 과정에서 긴급히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전국노령위 원회’가 발표한 통계자료에 의하면, 현재 중국의 빈둥지 노인 수는 약 1억 명으로 전국 인구의 7.5%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욕구에 대응하여 2003년 9월, 국무원은 <양로 서비스 사업의 신속한 발전에 대한 몇 가지 의견>을 발표하였다. 이는 <중국 노령사업 발전 ‘십이오’계획>, <사회양로 서비스 체계 건설계획> 이후 중국의 사회 양로 서비스체계 건설사업을 위한 또 다른 지도적 정책 문건이다, 이 문서는 2020년까지 ‘기능확충, 적절한 규모, 도시와 농촌을 적용대상으로 하는 양로서비스체계’를 전면적으로 수립한다는 것으로서, ‘가정 양로를 기초로 지역사회 서비스에 의지하고 시설서비스를 보충적으로 활용하는’ 종합적인 양로 서비스 체계 구축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는 도시 지역사회 빈둥지 노인 양로 서비스 체계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With the rapid aging of the Chinese population,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empty nest elderly also grew rapidly. Empty nester pension services become a focus and hot spot of contradictions. The research focus of this article is the problem of urban community empty-nesters in China. I start with the caus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empty-nesters, explore the demand for empty-nesters pension services in urban communities, analyze the existing problems of empty-nest elderly service in the urban community, and put forward a proposal that establishes a comprehensive pension service system.

      • KCI등재

        朝鮮時代 鄕中養老宴

        정현정 국립민속박물관 2009 민속학연구 Vol.0 No.24

        A banquet for the elderly was an annual national event during the Joseon Dynasty, which adopted Confucianism as its governing principle. The banquet, which was one of the policies for the elderly in the dynasty, allowed everyone to participate regardless of someone’s status, whether noble or not. There were two types of banquets for the elderly: a royal court banquet, which was hosted by the king and the central government, and a local banquet, which was hosted by local officials. Hosted in the capital city of Seoul each fall, the royal banquet was considered as an event that must be carried out unless there was a disaster or famine. While it was conducted strictly in the capital, the local event was not carried out precisely. The king cannot oversee all the provinces himself and therefore dispatched officials to each province on his behalf. However, his officials considered the responsibility as a demotion and therefore seriously neglected their duties. After the Imjin War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Byeongja War (Manchu invasion of Korea), the royal banquet lost its annual punctuality. It was discontinued for 160 years from the royal banquet in 1553, the 28th year of Jungjong’s reign and resumed only in the 32nd year of Sukjong’s reign. During that time period, the banquet was held in provinces and was not anymore observed solely in the capital. For example, a banquet was held in Jeju Island during the inspection tour of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in the 28th year of Sukjong’s reign. There are no remaining systematic records of the royal banquet for the elderly so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scope and details of the event. However, post-war banquets could be analyzed and studied through a closer look of clearly understood banquets before the wars. Such banquets are from Hwasan Yangroyeon-do held during the Jungjong Era and Jeonguiyangro, Daejeongyangro, and Jejuyangro from Tamrasunryeok-do. The observance of local banquets for the elderly was abused by the local officials and inspection tours. The officials appropriated the costs for a banquet from the people and profited from selling crops during inspection tours. Confucianism considers patience as its basic principle and the basis of patience as filial piety. Filial piety is extended by respecting the elderly, as one would the king and the nation. As a child performs his duty to his parents, it was considered as paying homage to the king himself. The king tried to become the pillar of filial piety by hosting a banquet for the elderly and set an example for his vassals and people. His main goals were to propagate Confucianism and establish national customs. 養老宴은 儒敎를 정치이념으로 삼았던 조선시대에, 신분의 구별 없이 兩班과 庶人 모두 함께 참여할 수 있었던 국가의 연례행사였다. 조선시대 耆老政策의 하나이기도 했던 양로연은, 크게 임금과 중궁이 주최하는 宮中養老宴과 지방에서 守令이 주관하는 鄕中養老宴으로 나누어진다. 서울에서 주최하는 양로연은 매년 가을에 베풀었고, 凶災나 凶年과 같이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면 반드시 설행해야 하는 중요한 연향이었다. 그러나 서울에서 엄격하게 마련했던 반면, 향중양로연은 엄격히 지켜지지 않았다. 임금은 지방을 직접 통치할 수 없었기 때문에 수령을 파견하였는데, 수령은 독립적 권한이 주어짐에도 불구하고 左遷으로 여겨 민생을 소홀히 하는 폐단이 극심하였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에는 서울에서도 연례성이 상실되었다. 중종28년(1533)을 마지막으로 160여 년간 설행되지 못하였다가 숙종 32년에 다시 서울에서 양로연이 베풀어졌다. 그 당시 서울에서는 베풀어지지 못했던 반면 오히려 지방에서는 양로연이 베풀어지고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 숙종28년(1702) 제주에서 순력 중 베풀어지는 양로연을 볼 수 있다. 조선시대 향중양로연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기록으로 정리된 것이 없어 정확히 파악하기가쉽지 않다. 그러나 중종 대에 그려진 「花山養老燕圖」를 통해 국란 이전의 향중양로연을 확인할 수 있고, 『耽羅巡歷圖』에 남겨진 「旌義養老」·「大靜養老」·「濟州養老」를 살펴보면서 국란 이후의 향중양로연을 유추할 수 있다. 향중양로연은 수령의 虐政과 巡歷의 폐단으로 인해, 긍정적인 결과만 남긴 것은 아니었다. 양로연의 경비를 마련하는데 있어서도 백성에게 일부를 조달하는 경우가 있었고, 순력 중에는 곡식을 판매하거나, 재지품관들이 경제적 이득을 취하는 등의 폐단이 많았다. 유교는 仁을 근본정신으로 하며 인의 바탕이 되는 것을 孝라고 보았다. 효는 敬老와 忠으로 이어지는데, 부모를 섬기듯 君臣의 관계에 있어서도 신하가 왕을 섬기는 것에 대해 충을 강조하였다. 임금은 양로연을 통해 직접 효를 실천함으로써 신하와 백성들의 모범이 되고자 하였다. 이것은 유교이념이 사회에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고, 동시에 풍속을 교화시키는 목적이기도 하였다.

      • KCI등재

        依赖与独立:風險視角下的中國農村家庭養老 問題研究 -以內蒙古自治區5個村落為例-

        韓美蘭,진예 동아인문학회 2019 동아인문학 Vol.46 No.-

        The social changes and the increasing risk of old-age pension have made the problems of rural old-age pension face severe challenges. The current rural pension model is mainly based on family pension and supported by social pension for the elderly, and the children are still the main economic supporter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This paper divides the different models of family pensions for the elderly to accept the pension funds of their children, and explores the dependent and independent level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The research shows that old people is more and more dependent on their own physical condition and income situation,when the old people's own endowment resources are gradually scarce, they will seek financial support from family internal factors (mainly children) and social external factors. However, there are obvious differences in the independent level of these two kinds of economic support and own endowment resources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s. Comparing with social external factors, personal factors and family internal factors (mainly children) play a more regular role in the independent level of the old-age pension mode, which shows that the better the spouse, the better the physical condition, the higher the income level, and the less dependent the children are on the concept of pension, the more independent the pension mode chosen by the rural elderly will be, and the better the economic conditions of the children, the fewer the number of children, the more the elderly tend to independent pension mode. However, there is no obvious rule to follow in the change of the degree of independence of the ag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rich and poor in villages and towns, social security, etc. Therefore, in the current pension mode dominated by family support, especially children’s support and children’s economic subsidies, although social security is the decisive factor affecting the choice of family pension mode, personal factors and family internal factors (mainly children) is still an important force that determines the independent level of pension. 社會的變遷、養老風險的不斷擴大使中國農村養老問題面臨嚴峻挑戰。由於當前的農村養老模式仍以家庭養老為主,社會養老為養老輔助,子女仍是農村老年人養老的主要經濟支持者。因此,本文以老年人接受子女養老資金程度的不同,劃分出不同的家庭養老模式,探究農村老年人養老的依賴與獨立水準變化。研究表明,老年人越來越依賴於自身身體狀況和收入情況,一旦自身養老資源惡化,中國農村老年人就會向家庭內部因素(主要是子女因素)以及社會外部因素尋求經濟支持,但這兩種經濟支持與老年人自身養老資源對農村老年人可選擇的幾種家庭養老模式的獨立水準的作用不盡相同。與社會外部因素相比,個人因素和家庭內部因素(主要是子女因素)對老年人養老模式的獨立水準的作用更具規律性,表現為老年人有配偶、身體狀況越好、收入水準越高、養老觀念上越不想依賴子女,農村老年人所選擇的養老模式就越獨立;子女的經濟條件越好、子女數量越少,老年人越傾向於獨立的養老模式。而社會外部因素諸如村鎮貧富、社會保障等對養老獨立程度變化上沒有明顯的規律可循。因此,在當前家庭養老特別是“子女供養”和“子女補貼”占主導的養老模式中,儘管社會保障是影響家庭養老模式選擇的決定因素,但個人因素和家庭內部因素(主要是子女因素)仍然是決定養老獨立水準的重要力量。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