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방문의도에 대한 사회적 거리, 다감각단서의 일치성 그리고 평가관점의 상호작용효과에서 상상과 검토의 역할

        왕려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2319

        It is common to note that consumers’ visit intention can be shaped by various advertisements, but what categories of the advertisements and why this categories of the advertisements can give rise to consumers’ visit intention when consumers go with the different companions, such as friends or co-works, still remain room to be identified by theoretical and empirical evidences. Thu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in order to explore which categories of the advertisements can significant influence consumers’ visit intention, this paper illu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advertisements’ nonverbal information, congruence among multisensory cu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vertisements’ verbal information, assessment perspective at the same time. Specifically, congruence among multisensory cues can be divided into congruence among proximal senses and congruence among distal senses; assessment perspective also contains two categories, internal perspective and external perspective. Which means, one of the purposes in this paper is exploring how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of social distance, congruence among multisensory cues and assessment perspective on visit intention. Second, to further explore the underlying reason to understand why consumers’ visit intention will be affected when they are exposed to the different kinds of advertisements in the different social distance. this paper highlights the fit between congruence among multisensory cues and assessment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social distance as well as the two kinds of processing information, as the underlying mechanisms in the mentioned effect. After developing the four categories of restaurant advertisements and two kinds of social distance, this paper collects 787 data via the online survey platform “WenJuanXing” and WeChat. ANOV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conducted in the SPSS 25.0 and AMOS 21.0 separately to test the hypotheses. And the results reveal that if consumers feel close social distance between them and the companions, their visit intentions are more likely to be increased when they are exposed to the congruence among proximal senses and internal perspective-oriented messages. Whereas, if consumers feel far away social distance between them and the companions, their visit intentions are more likely to be enhanced when they are exposed to the congruence among distal senses and external perspective-oriented messages. Similarly, consumers are prone to feel fit between congruence among proximal senses and internal perspective-oriented messages in the close social distance, whereas, feel fit between congruence among distal senses and external perspective-oriented messages in the far away social distance. Moreover, fit will induce imagining and reduce considering, which finally results in increased visit inten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also concludes some implications for advertisers and marketers to design their advertisements effectively, which can help them grasp their target consumers’ internal needs and then improved their purchase and visit intentions finally. The limitations as well as some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lso have been discussed in the last.

      • 다문화에 대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거리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박신영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14

        In spite of the changes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population growth, we are indifferent to such changes into a multicultural state. If the social distance is continued based on the negative attitude, our society will face huge social problems in the future. Thus, we should seek for measures to coexist with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hildren by cultivating the changed viewpoint and attitude to embrace them, getting out of the existing viewpoint.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to enhance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b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of self-esteem, social distance, and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in accordanc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lso th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social distance on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targeting elementary/middle school students. It also aimed to provide data and information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ocial unity and solidarity in Korean soc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like below. First, regarding self-esteem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sex,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ability to understand/sympathize with others' emotional state compared to male students while the academic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shown. Regarding grades, the grade5 showed relatively higher self-esteem than grade6 of elementary school, and grade1&2 of middle school. In case of school record, 'very good' was shown high,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hole sub-factors of self-esteem. It shows that it is an essential factor for self-esteem. Also, regarding parents' academic background, 'higher than graduation of university' was shown high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Second, regarding the social distance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ompared to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showed relatively higher social distance, which was significant. Also, grades, school record, and parents' academic backgroun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e. Third, regarding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in the whole sub-factors than male student, which was significant. Compared to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had a tendency to like to belong to a community for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and also positive attitude to acknowledge multicultural families as peers. Grades were significantly shown in the ability to form multicultural relation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sympathy except for the multicultural openness. Also, school recor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sympathy. Regarding father's academic backgrou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ulticultural openness while mother's academic background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r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s between self-esteem, social distance, and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self-esteem and social distance were the variables having influence on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When social distance was high,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was low. When the positive self-esteem was high, it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It means that self-esteem and social distance are the essential elements having influence on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self-esteem and also to relieve social distance for the enhancement of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Since self-esteem establishing during the child & adolescent period is an important factor having influence on the enhancement of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and relief of social distance, it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olicies and programs that can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self-esteem and acceptability of multi-culture. 우리는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와 인구증가에 따른 변화에도 불구하고 다문화 국가로의 변화 현상에 무관심하고 계속적으로 부정적 태도로 사회적 거리감을 이어나간다면 앞으로의 우리 사회에서 큰 사회적 문제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우 리는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다문화가정과 다문화가정 자녀와 함께 나아가며 이들을 포용할 수 있는 변화된 시각과 태도를 기르며, 이들과 함께 나아갈 수 있 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거리감과 다문화 수용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 으며,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거리감은 다문화 수용성에 어떠한 요인과 영향을 미 치는지에 대해 파악하여 다문화의 수용증진에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사회에 사회적 결속과 연대를 강화하는 필요한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에서는 먼저, 성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 에 비해 타인의 정서 상태를 파악하고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 었으며, 학업적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학년에서는 6학년, 중학교 1학년, 중학교 2학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5학년이 총체적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은 ‘매우 잘하는 편’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전 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자아존중감에 있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 다. 또한, 아버지 학력과 어머니 학력은 대학교 졸업 이상’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 정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에서 성별은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사회적 거리감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학년과 성적, 아 버지 학력과 어머니 학력은 사회적 거리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수용성에서 성별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다 문화 수용성에 전체의 하위요인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다문화 수용성의 공동체 안에 속하는 것을 좋아하 는 성향과 다문화 가족을 동료로 인정하는 부분이 긍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으 며, 학년은 다문화적 개방성을 제외한 다문화적 관계형성 능력, 다문화적 인식, 다문화적 공감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성적에서는 다문화적 인식과 다문화적 공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아버지의 학력에서는 다문화적 개방성에서 유 의하게 나타났지만 어머니의 학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거리감은 다문화 수용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는 분석한 결과,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거 리감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거리감이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이 낮게 나타났으 며 또한, 긍정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에 긍정의 영향을 미쳤으 므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거리감은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 소임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문화 수용성의 증진에 있어 자아존중감의 향상과 사회적 거리감의 완화가 필요하며, 아동·청소년의 시기에 확립되는 자아 존중감은 다문화 수용성의 증진과 사회적 거리감의 완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한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자아존중감과 다문화 수용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 정책과 프로그램의 개발 자료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hysical versus social : the effect of social dis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social density

        송건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303

        When undergoing physical constraint by being in a crowded place, people often feel a potential threat of their personal space being violated, experiencing high social density. Previous research has shown negative influences of social density on consumer experience in many different cases. For example, Underhill (1999) showed that consumers may maneuver away from a product they have been looking at or ending their shopping earlier when experiencing high social density. Other research shows that this effect of social density can be attenuated through in-group identification and other measures in decreasing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crowd (Patterson 1976; Maeng, Tanner, and Wu 2017). Therefore, the current research suggests that the influence of physical density on social density is moderated by the amount of social distance that an individual feels towards the crowd at hand. The current research focuses on revealing the interaction effect of physical density and social distance on social density through an online survey in which two hundred and sixty-eight people participated.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four conditions, differing in physical density and social distance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crowd. They were asked to answer a survey asking for how much social density they felt and the willingness-to-pay for an item. Based on the survey data,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show evidence for the attenuation of the influence of physical density on social density through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distance. The current research ha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while the physical environment is often difficult to alter to one’s favor, other ways of attenuating for the effect can be found. 소비자들은 사람들이 많은 곳을 지나거나 좁은 장소에 있는 등 물리적 밀도(physical density)가 증가하면, 특정 공간이 사람들로 인해 얼마나 붐빈다고 생각하는지를 의미하는 사회적 밀도(social density)가 높다고 느끼고 개인공간(personal space)에 대한 위협을 감지한다. 이는 물리적 밀도가 사회적 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례로,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군중이 많은 경우(crowdedness)에 대해 물리적 밀도와 사회적 밀도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두 밀도간의 상관관계를 정량화한 적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1) 물리적 밀도와 사회적 밀도에 대한 관계를 평가하고, 2) 물리적 밀도가 사회적 밀도를 형성할 때 영향을 주는 사회적 거리(social distance)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268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피험자들에게 물리적 밀도 조건 2가지와 사회적 거리 조건 2가지를 변수로 설정하고, 각 변수의 조건에 따라 총 4가지의 경우를 질의하여 제품가격평가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수행하여, 2가지 변수인 물리적 밀도 및 사회적 거리와 사회적 밀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군중에 대해서 느끼는 사회적 거리 가 물리적 밀도와 사회적 밀도의 관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군중과의 친밀함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사회적 거리 변수를 조절하여 물리적 밀도가 사회적 밀도에 주는 부정적인 영향들을 완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물리적인 환경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물리적 밀도를 감소시켜 사회적 밀도를 개선하는 어렵게 때문에, 사회적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사회적 밀도를 개선하여 소비자들의 부정적인 경험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임을 제시하였다.

      • 사회적 거리가 먼 사용자 간의 CMC에서 이모티콘 활용 특성에 관한 연구

        홍슬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299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전과 디지털 기기의 보급으로 이메일이나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 IM)와 같은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CMC)이 주요 의사소통 수단으로 대두되면서 일상적인 대화뿐만 아니라 업무 환경이나 교육 영역과 같은 공적인 영역에서도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텍스트에 의존한 비대면 커뮤니케이션(Non-face to face communication)에서는 표정이나 억양 등과 같이 대면 커뮤니케이션(face to face communi -cation) 에서 인지할 수 있는 단서들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대화 해석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기 쉬우며, 특히 사회적 거리가 먼 경우 오류의 발생률이 더욱 높아진다. 그러나 이모티콘의 활용은 비언어적 단서들을 제공함으로 대화에 윤활유 역할을 한다. 오늘날 회사 내에 다양한 세대의 공존 및 새로운 업무 문화 형성으로 업무 환경에서도 이모티콘이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한국 전력 공사와 포스코, GS칼텍스 등의 기업에서 사내 메신저에 활용할 이모티콘을 사내 공모전을 통해 자체적으로 제작하거나 외부 업체에 별도의 제작을 의뢰하는 등 이모티콘의 활용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업무 환경에서 사회적 거리감이 먼 대상과의 대화에 집중하여 사회적 거리감이 커뮤니케이션에서 이모티콘의 활용과 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적 거리가 먼 사용자 간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이모티콘 활용의 시각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다양한 직급과 연령이 공존하는 업무 환경에서 사회적 거리감을 보다 멀 다고 느끼는 20-30대의 신입사원과 50-60대의 부장급의 대화에 집중하여 이모티콘의 활용 빈도 및 선호 상황, 이모티콘의 시각적 특성에 따른 활용 특성 파악을 위해 설문 및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통적인 업무 중심의 커뮤니케이션에서 발생한 사회적 통념으로 사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이모티콘 활용에 보다 소극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밀레니얼 세대의 유입과 함께 이모티콘이 활용에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볼 수 있었다. 둘째, 보다 다양한 상황과 요소를 고려하여 소극적인 활용 태도를 보이는 발신자에 비해 수신자는 이모티콘의 활용을 통해 발신자의 감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보다 친밀하게 느끼고 있어,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셋째, 사회적 거리감이 이모티콘 활용과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직급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에서 보다 확연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관용적 시각적 특성을 가진 이모티콘이 보다 정중하고 공식적인 표현으로 인식되어 보다 공적인 상황이나 다양한 사회적 거리감에서 활용되고 있었다. 다섯째, 사진이나 영상을 활용한 사실적인 이모티콘의 경우, 기존의 이모티콘과 달리 유희적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거리감에 집중하여 보다 사회적 거리감을 멀게 느끼는 사용자 간의 대화에 집중한 점과, 수발신자 양측을 모두 연구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는 점의 그 의의가 있다. 또, 이를 바탕으로 업무 환경에서의 이모티콘 활용에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세대간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이에 다양한 세대의 구성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시각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직장 내 세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의 특성상, 보다 다양한 시각적 특성을 포함하지 못하였다는 점과 권력과 연령에 보다 집중하고자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에 대해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사내 커뮤니케이션에서 보다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이모티콘을 도입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여 사회적 거리가 먼 대상과의 CMC에서의 이모티콘 활용의 심리적 시각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업무용 메신저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이너와 사내 커뮤니케이션에서 이모티콘을 활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향후 다양한 사회적 거리에 따른 이모티콘 연구에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A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 such as e-mail or instant message (IM) are on the rise as a major communication method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distribution of digital devices, it is frequently being used as a communication medium not only in daily conversations but also in public areas such as workplace and education. However, because non-face to face communication, which relies on such texts, lacks the ability to communicate recognizable nonverbal cues such as facial expression and tone, errors can easily occur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conversation and such communication errors especially occur more among individuals with more social distance. While misunderstandings may possibly occur from the absence of nonverbal cues, the use of emoticons thankfully provides such non-verbal cues and serves as a conversational lubricant. Today, emoticons are also frequently used in work environments due to the coexistence of various generations within a company and the formation of a new workplace culture. Many companies such as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POSCO, and GS Caltex are seen to be actively using emoticons such as creating emoticons that are to be used in in-house messaging through in-house open competitions or requesting production from other compan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distance on the use and interpretation of emoticons in conversations by focusing on social distance and based on this, we intend to study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using emoticons for an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a socially distant individual.         We conducted the surveys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on the conversations between new employees in their 20s-30s and employees at the level of general manager’s position in their 50s-60s who feel a stronger sense of social distance in a work environment where employees of various position sand ages coexists in order to grasp the frequency in use and preference of emoticons as well as to grasp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emoticons according to its visu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we were first able to confirm a more passive side in using emoticons through the socially common notion that occurred from traditional task-oriented communication. Nevertheless, emoticons are seen being used with the influx of Millennials. Second, after taking into consideration more variety of situations and elements, we could see that the recipients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for they can easily understand the sender’s emotion through the use of emoticon sand feel closer to them compared to the senders who show a more passive using attitude. Third,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sense of social distance affects the use and interpretations of emoticons. In particular, it has a distinct influence over the sense of social distance according to power. Fourth, emoticons with idiomatic visual characteristics are recognized as a more polite and formal expression and were therefore being used in more public situations or various sense of social distances. Fifth, in the case of realistic emoticons that use memes or GIFs, they showed humor and playful features unlike the conventional graphic emotic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the fact that it focuses on the conversation between users who feel a greater sense of social distance by focusing on the social distance and terms that it studied both the sender and recipient and discusses each of their characteristics. Moreover,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 of communications between Millennials and the Baby boomers regarding the use of emoticons in the work environment and the study carries significance in terms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communication research aiming to resolve generational conflicts within the workplace based on the fact that it provided a visual guideline that allows for a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members of various generation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did not include various visual characteristics of emoticons and that it failed to take into account other factors affecting social distance because  focus on power and generation differences. In this study, we took a look at the psychological and visual characteristics of using emoticons in CMC with individuals who are socially far apart by focusing on the phenomenon where emoticons are being starting to be used for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of use to communication designers of business messaging applications and users who use emoticons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also hope that it will become the cornerstone for various future studies of emoticons according to social distance.

      • P2P 공유 서비스 실패 상황에서의 인지된 사회적 거리의 역할에 대한 고찰

        강주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298

        Recent years have witnessed a rapid growth in peer to peer (P2P) sharingservice businesses such as Uber or Airbnb. In P2P sharing-service businesses, goods or services are provided by customers (peers) who own underutilized assets rather than by service firms, who act simply as an intermediary between customers. One of customers acts as a peer-service provider (PSP), and the other acts as a service-receiving customer. For example, Uber offers an online platform that coordinates underutilized assets (e.g., an PSP’s vehicles) to serve a customer’s need for transportation. P2P sharing-service firms have no direct control over an PSP’s quality of service provided to a customer. Further, both PSPs and customers are customers to the firm, and therefore firms are concerned with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not only to customers but also to PSPs. In the P2P sharing-service context, particularly in the case of services serving the needs of diverse travelers (e.g., Uber or Airbnb), customers and PSPs can be people of different genders and ethnicities, which can cause them to feel social distance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social identity theory, the more a customer feels dissimilar to an PSP, the more a customer is likely to experience social distance. Thus, when service failure occurs, customers can show more negative emotions to dissimilar PSPs than to similar PSPs because they are not ingroup members. However, PSPs are not professional service employees, they may not know how to cope with the social distance, which can result in uncomfortable service experience for both customers and PSPs. Yet, few studies examined how such social distance can influence on customers and how it can be reduced, especially in the service context. This study is intended to fill this gap in the research. First, the current study proposes and empirically examines the role of customer’s perceived social distance in the service failure context. Second, PSP’s communication accommodation style moderates between customer’s perceived social distance and customer discomfort, and between customer’s perceived social distance and perceived competence of PSP. Third, PSP’s failures can lead to customer’s nega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s a Platform Provider (PP) who does not occur the failure. A total of 150 valid responses from US customer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cenario-based survey with a 2 (perceived dissimilarity: low vs. high) x 2 (communication accommodation styles: convergence vs. maintenance) betweensubject experimental design. Univariate Analysis conducted with the effects of perceived dissimilarity on perceived social distance. The result was insignificant.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with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distance on customer discomfort and perceived competence of PSP. The results were significa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check the moder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accommodation style on between perceived social distance and customer discomfort, and between perceived social distance and perceived competence of PSP. The moderating effect was significant only between perceived social distance and perceived competence of PSP. Lastly,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examine customer’s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blame attribution to PSP, and PP. The results were all significant. Customers show negative affective, behavioral intentions not only towards PSPs, but also PPs. Specifically, towards PSPs, customers feel anger and disappointment, and have intention to give a bad rating and to write a negative review. Towards PPs, customers feel disappointment, and it decreases reuse intention and increases negative word-of-mouth. However, anger and disappointment towards PSPs failed to discriminant validity test, so careful interpretation is needed. Academically, findings of this study deal with unique operational issues in P2P sharing-service and empirically tests a coping strategy for those issues. Second, this study empirically tested the role of social distance in service encounter. This study proved customer’s perceived social distance worsens customer discomfort and decreases perceived competence of PSP. Third, this study examined and empirically tested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accommodation style in the service context. Lastly, this study finds that customers show nega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intentions to PSPs, but also PPs who are not occurred the failure. Managerially, this study helps P2P sharing-service firms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offered to customers by PSPs by supporting PSPs to adopt appropriate communication styles which can adjust customer’s perceived competence of PSP. Also, this study highlights PPs have to manage their PSP’s failures, which can lead to customer’s nega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s them. 최근 몇 년 동안 우버(Uber)나 에어비앤비(Airbnb)와 같은 Peer to Peer(P2P) 공유 서비스 비즈니스가 빠르게 성장하였다. P2P 공유 서비스에서는 개인의 유휴 자원이 그러한 자원을 필요로 하는 다른 개인에게 제공되며, 서비스 기업은 두 유형의 개인들 간의 중개자로서의 역할만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우버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PSP의 유휴 차량을 차량이 필요한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연결해준다. 우버와 같은 P2P 공유 서비스의 경우, 다른 사람들의 접근이 차단된 매우 작은 공간에서 PSP와 고객 만이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함께 있으면서 서비스가 제공된다는 점과 PSP와 고객 모두 매우 다양한 배경을 가진 개인이라는 점에서 고객이 PSP에 대해서 느끼는 사회적 거리는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실패가 발생할 경우, 고객이 느끼는 그러한 사회적 거리는 실패에 대한 고객의 반응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PSP는 전문적인 서비스 교육을 받은 서비스 제공자가 아니기 때문에 고객이 인지하는 사회적 거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이러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모를 수 있다. 서비스 실패 상황에서 고객이 인지하는 사회적 거리가 고객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러한 사회적 거리를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2P 공유 서비스 실패 상황에서 고객의 인지된 사회적 거리의 역할에 대해 제안하고 실증하고자 한다. 나아가, 사회적 거리를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서 PSP의 의사소통수용 스타일을 제안하고, 수용하는 의사소통 스타일이 인지된 사회적 거리와 고객이 느끼는 불편함 간의 관계 및 지각된 PSP의 역량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PSP로 인한 서비스 실패가 서비스 실패를 직접적으로 유발하지 않은 플랫폼 제공 기업(PP)에 대한 고객의 감정적 및 행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미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시나리오 기반의 실험을 바탕으로 한 온라인 설문을 통해 150개의 유효한 응답이 수집되었다. 시나리오는 2(비유사성의 정도: 낮음, 높음) x 2(의사소통수용: 수렴, 지속) 집단 간 설계로 구성되었다. 성별과 인종적 차이로 조작된 비유사성이 인지된 사회적 거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일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과 인종적 차이는 인지된 비유사성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사회적 거리가 고객이 느끼는 불편함과 인지된 PSP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두 영향이 모두 유의미함이 확인되었다. 의사소통수용 스타일의 조절효과 확인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의사소통수용스타일이 인지된 사회적 거리와 고객이 느끼는 불편함 간의 관계는 유의미하게 조절하지 않았으나, 인지된 사회적 거리와 지각된 PSP의 역량 간의 관계는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실패로 인해 PSP와 PP에게 보이는 고객의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반응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모두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고객은 PSP에게 분노와 실망을 느끼며, 이는 낮은 별점을 줄 의도와 부정적인 후기를 작성할 의도로 이어졌다. PP에게는 실망을 느끼며, 이는 재이용의사의 감소와 부정적인 구전의도 증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학문적으로 본 연구는 P2P 공유 서비스 내의 운영관리적 이슈를 다루고, 그러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실증함으로써 기여한다. 또한 고객의 인지된 사회적 거리가 고객의 불편함을 심화시키며, PSP의 역량을 낮게 지각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서비스 접점에서 사회적 거리의 역할을 실증하였다. 셋째, 공유 서비스 실패 상황에서의 의사소통수용 스타일의 효과에 대하여 실증하였다. 마지막으로, PSP의 서비스 실패가 PSP뿐 아니라 실패를 직접적으로 제공하지 않은 PP에 대해서도 감정적 그리고 행동적으로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무적으로는 PSP에게 적절한 의사소통방식을 사용하도록 지원하여 공유 서비스 실패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PSP뿐만 아니라 PP에 대한 고객의 부정적 반응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한국의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참여 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시민적 의무감을 중심으로

        이종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2287

        Social distancing as a representative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s implemented to respond to COVID-19, has been at the center of academic and policy discussions relating to COVID-19, from the early stages of the pandemic to its current status as an endemic. Alongside research efforts to verify and empirically validate the efficacy of social distancing in controlling the spread, studies have also been conducted to answer questions like “What factors determine participation in social distancing?” or “Who participated in social distancing and why?” These studies, based o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and theories, have sought to fundamentally understand social distancing, which has defined our everyday lives for the past three years. Building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behind citizens’ participation in South Korea's social distancing measures against COVID-19, thereby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distancing implemented in Korea. To this end, the study first describes the pattern of the COVID-19 outbreak in Korea from its inception to June 2021, along with the introduction and evolution of social distancing measures. The study emphasizes that social distancing has been a pivotal axis of epidemic control policy, especially around COVID-19 vaccination, transitioning from initial advisory measures to more compulsory ones over time. It also highlights how social distancing involved not only general citizens' mask-wearing and restrictions on gatherings and outings but also imposed duties on operators and managers of multi-use facilities to regulate public usage of these facilities. The study analyzes Citizenship in Social Distancing as a primary factor driving citizens’ participation, based on theories of governmentality and citizenship. This concept implies that the pandemic situation bestowed new responsibilities and orientations for action on citizens, encouraging self-discipline.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a logistic regression model reveals that a sense of civic duty towards social distancing is a key factor driving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racting with another disciplinary measure―legal and institutional state-discipline. The study also examines the impact of socio-economic status, COVID-19-related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risk perception on participation in social distancing. Additionally, it elucidates the negative impact of trust in the government's COVID-19 response and the utility of epidemic prevention measures on participation in social distancing, as well as the synergistic effect of civic duty on this relationship. Lastly, the study utilizes a decision tree model to attempt an inductive generalization and typification of participation in social distancing. It identifies three types of participation: self-aid, self-help, and self-interest participation, explaining the diverse forms and motivations behind social distancing practic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ly, it expands the research spectrum from predominantly interpretive studies in governmentality and citizenship to quantitative and empirical methods, thus empiricall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itizenship as a factor in South Korea's social distancing participation during COVID-19. By incorporating participation factors derived from various theoretical paradigms as control variables, the study captures the complex meanings of citizens’ voluntary participation in national crisis situations. This provides insights into the understanding of voluntary participation and solidarity shown by citizens in times of national crisis, as well as critical reflection on the possibilities of new dependencies and the decontextualization of individual particularities. Secondly, by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decision tree models, the study captures and typifies the complex interactions and patterns of participation in social distancing. The resulting types of participation propos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nsights into the analysis of risk governance and collective actions of individuals as risk management subjects. Thirdly, by extending beyond individual preventive and health behaviors, this study includes the role of operators and managers of multi-use facilities in social distancing, offering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reation of public goods such as epidemic control effects. It identifies crucial factors such as mental and economic burdens associated with compliance with operating regulations, emphasizing the need for policy responses. Especially, the disproportionate issue of rights and duties, stemming from the lack of (economic) support and compensation for the roles assigned to operators and managers of multi-use facilities, is highlighted as a critical consideration for policy feedback and improvements before the anticipated future of disease X becomes a reality.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시행된 대표적 비약물적 중재 조치 중 하나인 ‘사회적 거리두기’는 유행 초기는 물론 코로나19의 엔데믹이 공식화된 지금에 이르기까지 코로나19와 관련한 학문적·정책적 논의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의 방역 효과를 검증·실증하려는 연구와 함께― “사회적 거리두기의 참여를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인가?”라는 질문 혹은 “누가, 왜 사회적 거리두기에 참여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한 연구들이 다양한 학제와 이론에 기반해 수행되어 지난 3년간의 일상을 규정했던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본질적 이해를 도모하였다. 본 연구 또한 그간의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한국의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와 이에 대한 시민들의 참여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에서 시행된 사회적 거리두기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코로나19의 국내 유입부터 2021년 6월까지의 유행 양상과 이에 대응하는 사회적 거리두기의 도입 및 변화를 기술하고, 한국의 사회적 거리두기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전후로 방역정책의 핵심축을 담당했으며, 유행 초기의 권고 수준의 조치가 점차 강제를 수반하는 조치로 변화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반시민의 마스크 착용 및 모임·외출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다중이용시설 운영자·관리자의 시설 운영을 관리함으로써 이들에게 일반 시민의 시설 이용을 관리할 의무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시행되었음을 지적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시민적 참여를 이끌어낸 주된 요인으로서 통치성과 시민성 이론을 바탕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의 시민성’을 분석한다. 이는 코로나19 판데믹 상황에서 시민들에게 새로운 의무감과 행위지향을 부여하며, 이를 통해 시민들은 자기규율을 행사한다. 실제로 연구는 다중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통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시민성에 대응하는 ‘시민적 의무감’이 거리두기 상시 참여를 이끄는 주요 요인이며, 이는 법·제도에 기반한 국가규율과 상호작용함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또한 사회경제적 지위, 코로나19 관련 지식 및 경험, 위험 인식이 사회적 거리두기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더불어, 중앙정부의 코로나19 대처 능력에 대한 신뢰도와 방역수칙 효용감이 사회적 거리두기 참여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와 시민적 의무감과 거리두기 참여 간 관계에 미치는 강화효과를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의사결정 나무 모형을 활용해 사회적 거리두기 참여에 대한 귀납적인 일반화와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이 연구는 세 가지 유형인 ‘자구적 참여’, ‘자조적 참여’, ‘자리적 참여’를 도출하여,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다양한 참여 형태와 동기를 설명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에 해석적 연구가 주를 이루던 통치성 및 시민성 연구 분야에 정량적, 경험적 연구 방법을 도입함으로써 연구의 스펙트럼을 확장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참여 요인으로서 시민성이 갖는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밝혀냈다. 다양한 이론적 패러다임에서 도출된 참여 요인들을 통제변수로 포함시켜 시민성의 독립적이고 배타적인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국가 위기 상황에서 시민들이 보여준 자발적 참여가 갖는 복합적 의미를 포착하였다. 이는 국가 위기 상황에서 시민들이 보여준 자발적 참여와 연대의 의지를 이해함과 동시에, 새로운 예속의 가능성과 개인의 특수성의 탈맥락화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단초를 제공한다. 둘째,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의사결정 나무 모형을 활용한 연구 방법론을 통해, 사회적 거리두기의 시민성과 다른 요인들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 및 참여 양상을 포착하여 이를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로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거리두기 참여 유형은 위험 거버넌스와 위험 관리 주체인 개인들의 집합 행동을 분석하는 데 유의미한 통찰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본 연구는 개인의 예방 행동이나 건강 행동으로만 간주되었던 사회적 거리두기를 넘어서 다중이용시설 운영자와 관리자의 역할을 포함하여 분석함으로써, 방역 효과라는 공공재 창출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시설 운영수칙 준수에 따른 정신적·경제적 부담과 같이 시설 운영자·관리자들의 거리두기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식별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다중이용시설 운영자와 관리자에게 부여된 역할에 상응하는 지원과 보상의 부족으로부터 기인하는 ‘권리와 의무의 불비례성’ 문제는 “disease X”라는 ‘예정된 미래’가 현실이 되기에 앞서 정책적인 환류와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

      • (The) effects of social distancing policy on the changes of floating population

        오재환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3 국내석사

        RANK : 232285

        2020년 3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하여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팬데믹을 선언하였다. 이는 1968년 홍콩 독감과 2009 년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이은 세 번째 팬데믹 선언이었다. 국내에서 도 첫 코로나 감염자 발생 이후 지속적인 코로나의 위협에 대응하고 있다. 사 람 간의 밀접한 접촉을 통해 전염되는 감염병의 특성을 고려하여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는 비약제적개입(None Pharmaceutical Interventions, NPIs)의 하나인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하였다. 이는 시설의 이용제한, 영업시 간 제한, 사적모임 제한 등으로 개인 간의 밀접 접촉을 줄임으로써 감염의 확 산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코로나19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왔다. 사회적 거리두기 참여의 기준을 유동 인구량으로 본 다수의 연구가 있었고 사 회적 거리두기 시행 후 코로나 발생률이 감소했다는 연구도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 정책 시행 전후의 짧은 시기로 연구기간을 한정하거나 대도시 혹은 수 도권을 중심으로 하는 국지적인 지역에 한정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 22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5단계와 4단계가 적용된 시기의 단계변화가 실제로 유동인구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에 필요한 연구자료로는 종속변수인 유동인구량 파악을 위해 통계청과 SK텔레콤에서 제공하는 통신 모바일 인구 이동량 통계를 사용하였으며 주차 별 관내 관외 합계를 사용하였다. 독립변수인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는 공공데 이터 포탈에서 OpenAPI 형태로 제공하는 보건복지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 두기 현황을 사용하였으며 각 주에서 과반수를 차지한 단계를 해당 주의 사회 적 거리두기 단계로 사용하였다. 통제변수로는 인구사회학적 변수인 성비, 계 절변수, 공휴일 수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거리두기 5단계 내에서는 유동인구 수가 증가하였으며 사 회적 거리두기 4단계 내에서는 유동인구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 5단계에서 4단계로 전환됨에 따라 유동인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 게 감소하였다. 사회적 거리두기 5단계 내에서 유의하게 유동인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온 것 은 5-2 단계에 대도시와 수도권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사 료된다. 한편 4단계에서는 4-3 단계와 4-4 단계에 대도시와 수도권 지역이 높 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동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인 이상 집합 금지와 방역 역량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적 단계 조 정과 같은 정책적 차이가 있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연구 결과를 통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4단계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사회적 거리두기와 비교되는 강력한 인원제한 정 책과 지자체의 상황을 고려한 거리두기 단계 조정의 자율성 부여에서 비롯되 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수도권, 대도시와 같은 지역의 유동인구에까지 영 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4단계에서 적용했던 수준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연구를 통해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유동인구에 미친 영향을 보임으로써 그 연관성을 명확히 할 수 있었고, 추후 감염병 관련 정책 입안이나 개편에 있어 관련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March 2020,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clared a pandemic against the COVID-19. It was the third pandemic declaration following the Hong Kong flu in 1968 and the H1N1 influenza virus in 2009.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fectious diseases transmitted through close contact between humans, social distancing, one of the Non Pharmaceutical Interventions (NPIs), was implemented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Korea. It purposed to reduces person-to-person contact through restrictions on use of facilities, limiting the number of people gathering, travel bans and lock down to prevent the spread of disease. Research on social distancing and COVID-19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There were a number of studies that viewed the criteria for participation in social distancing as floating population, and there were also studies that showed that the incidence of COVID-19 decreased after social distancing was implemented. However, in most cases, study period was limited to a short time such as before and after the policy implementation. Also study areas were limited to metropolitan city or capital a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the social distancing poli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floating population in 229 Si·Gun·Gu in Korea. The total number of floating population of region was used as dependent variable. The social distancing stag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tage that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each week was used as the social distancing stage of the week. As control variables, sex ratio, season, and number of holidays in a week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umber of floating populations increased within social distancing stage 5, and number of floating popul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within social distancing stage 4. In addition, as social distancing was changed from stage 5 to stage 4, the floating population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tudy results suggests that social distancing was effectively carried out in stage 4 of social distancing. Possible explanation of this results is strict restriction on gatherings and granted autonomy on social distancing stage to local government caused the difference from stage 5. Through study results, relation could be clarified by showing the effect of the social distancing policy on the floating population. It could be used as related data in future policy making on infectious diseases.

      • 조현병 환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정현정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285

        조현병과 같은 중증정신질환 환자의 범죄에 대해 과장되고 반복적인 언론 보도가 이루어져 그들이 위험한 집단으로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실제 조현병 환자의 범죄 발생 비율이 일반인의 범죄 발생 비율보다 낮다. 결과적으로 조현병에 대한 선입견과 차별이 범죄 발생의 시발점이 되어 사회적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인의 조현병 환자를 향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조사하여 사회적 거리감을 좁힐 수 있도록 개선방향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일반인 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일반적 특성과 더불어 조현병 환자에 대한 범죄 두려움, 조현병과 관련한 지식수준, 조현병 환자의 범죄에 대한 대중매체 노출, 조현병 환자를 향한 사회적 거리감을 조사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의 차이, 상관 분석 및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여성(t=2.702, p<0.01), 연령대가 높아질수록(F=2.416, p<0.05),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를 받는 가족원이 없는 경우(t=-3.021, p<0.01)에서 사회적 거리감 평균차이가 크게 나타나며, 조현병과 관련한 지식수준이 낮을수록(p<0.01), 조현병 환자의 범죄 관련 대중매체 노출 정도가 높을수록(p<0.01)에서 사회적 거리감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조현병 환자에 대한 범죄 두려움은 사회적 거리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인에 있어 조현병 환자와의 사회적 거리감을 좁히기 위한 노력으로, 조현병과 관련한 지식수준을 높이는 수단으로서 가장 접근성이 뛰어난 대중매체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범죄 관련 대중매체 노출 정도를 줄이기 위해서 가장 많이 선호되는 온라인 매체인 인터넷 신문 기사나 커뮤니티에서 조현병과 범죄를 연결 짓는 선정적이고 반복적인 내용보다, 조현병 환자의 편견과 사회적 낙인을 줄이는 신중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창구로서의 기능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추가적인 조현병 환자의 범죄를 줄이고 조현병 환자의 자해 가능성을 막기 위한 정신 보건 인프라가 뒷받침해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Even though the crime rate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is lower than that of non-clinical people, and the lack of evidence on the link between crime and mental illness, mass media has made overly exaggerated and inappropriate reports of criminal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Such press behavior can lead to reinforced social stigma about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mong the general public. This study measured social distance toward people with schizophrenia by the 400 non-clinical participants who have no problem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questionnaire in an online survey. Further,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distance were investigated.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economy status and the existence of family member receiving psychiatric treatment, fear of crime caused by people with schizophrenia, knowledge level related to schizophrenia, exposure in mass media about criminal offenders with schizophrenia, and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schizophrenia were measured,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average difference in social distance was larger in females (t=2.702, p<0.01), older adults (F=2.416, p<0.05), and those who did not have a family member receiving psychiatric treatment (t=-3.021, p<0.01), than the other control variables. Lower knowledge about schizophrenia (p<0.01) and higher exposure of mass media (p<0.01) about people with schizophrenia tended to increase social distance. However, fear of crim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distance scale. To narrow the social distance toward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mong the general public, it is important that the mass media have a role in raising the level of knowledge related to schizophrenia.Therefore,information offered by the internet news or the bulletin boards in online communities should be strengthened as a useful tool, by providing the public with more prudent and more accurate content, which could reduce the social stigma toward people with schizophrenia, instead of focusing the public's attention on provocative and sensational articles.

      • 딥러닝을 활용한 국내 COVID-19 유행 시기 별 사회적 거리두기 여론 및 감성분석 연구

        이주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28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발발된 후 전세계로 퍼졌으며 2020년 3월 11일에 세계보건기구(WHO;The World Health Organization)에 의해 팬데믹으로 선언되었다. 우리나라 역시 2020년 1월 20일 국내 첫 확진자를 시작으로 COVID-19가 광범위하게 퍼지고 장기화되는 추이를 보인다. 정부의 관련 예방 조치에는 여행 제한 및 특별입국절차 도입, 확진자 동선 추적, 휴원 및 휴교령과 다중이용시설 이용 관련 사항으로 대표되는 사회적 거리두기 등이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ing)는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전염병 확산 속도를 늦추는 예방효과가 높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여러 이면의 문제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찬반이 빈번하다. 방역을 위한 이동 제한을 함으로써 경제활동을 위축시키고,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피해를 집중시키는 등 사회에 큰 타격이 될 가능성 역시 존재한다. COVID-19의 장기화 및 새로운 펜데믹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규제를 받는 일반 대중의 정서적 상황과 관심 주제에 대한 정부 각계의 관심과 논의가 촉구된다. 시의적절한 정부 정책을 위해서 사회적으로 어떤 논의가 이루어지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소셜 미디어는 사회 현상과 흐름 파악에 용이하다. 소셜 미디어 커뮤니티는 실제 커뮤니티와 비슷하고, 이용자 역시 충분히 증가해나가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인 트위터(Twitter)를 활용하여 국내 COVID-19 유행 시기 별 사회적 거리두기 별 사회적 거리두기 관련 텍스트를 분석하여 전반적인 대중의 텍스트 특징을 파악하고, 나아가 유행 시기 별 여론의 감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앙방역대책본부 보고서의 COVID-19 유행 시기 기준을 활용하여 2020년 1월 20일부터 2022년 1월 19일까지의 기간을 2020년 1월 20일에서 8월 11일, 2020년 8월 12일에서 11월 12일, 2020년 11월 13일에서 2021년 7월 6일, 2021년 7월 7일에서 2022년 1월 19일까지의 4개 유행시기로 나누었다. 이 시기마다 ‘사회적 거리두기’ 혹은 ‘거리두기’를 질의어로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고 내용의 사회적 거리두기 관련 유무에 따라 관련 데이터를 판별하였다. 이후 소셜 미디어를 통해 COVID-19 유행 시기 별 사회적 거리두기 관련 텍스트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LDA 토픽모델링, 동시출현 분석과 유행 시기별 감성분석을 실시하였다. 감성분석의 경우에는 한국전자기술연구원에서 제공하는 7가지 감정을 라벨링한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딥러닝 모델들을 학습 및 평가한 후,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인 딥러닝 모델로 유행 시기 별 사회적 거리두기 연관 텍스트가 주로 어떠한 감정을 보이는지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로 COVID-19 사회적 거리두기와 관련한 대중들의 주요 관심 주제를 발견하였다. 유행 시기 별 관심 주제 양상은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중은 전체적으로 ‘콘서트 및 공연’,‘거리두기 단계 발표’,‘자영업 피해’,‘COVID-19 검사’,‘대중교통 감축’,‘방역 수칙’,‘백신 유입 및 접종’,‘외출 및 모임 자제’, ‘대통령 및 정부 평가’,‘카페 및 식당 이용’,‘종교집단의 거리두기 위반’,‘학사일정’,‘정책’등 주제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관심은 대중이 규제를 하는 정부와 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함으로 보여주고 규제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 상황을 타결할 해결책에 특히 관심을 가짐을 알려준다. 또한 유행 시기 별 감정 추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모두 부정적인 정서를 보였으나 COVID-19이 처음 시작한 1기에는 슬픔, 공포, 혐오, 놀람 등 대부분의 부정적인 감정이 높게 나타났고 특히 공포의 비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2기에는 치명률과 확진률이 줄어들며 행복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3기의 경우에는 부정적인 감정들 중 분노가 더욱 증가하면서 중립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기도 하였다. 팬데믹의 장기화, 사회적 거리두기의 강화에 대한 분노와 백신 접종 시작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유추하였다. 이후 4기는 분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COVID-19 팬데믹이 장기화될수록 사회적 거리두기 수칙을 협조하는 일반 시민 및 자영업자들의 피해가 극심해지고, 백신 접종이 큰 돌파구가 되지 못하며 변이 바이러스가 퍼지는 것과 관련 있다고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학습한 딥러닝 모델들을 비교 및 평가하였을 때 KR-Medium이 128배치 사이즈에 5e-5 학습률의 환경에서 f1 score 0.7244로 가장 높은 성능을 달성하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이진분류를 하는 감성분석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7가지 감정의 다중분류를 시도하였으며 형태소 분석 및 문맥 파악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한국어를 대상으로 한 점에서 우수한 성과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통하여 2년 간 사회적 거리두기 관련 여론을 폭넓게 파악하여 일반 대중이 느끼는 시사점을 살피고자 하였고 결과적으로 유행 시기 별 텍스트 특성과 감정의 흐름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은 물론 딥러닝 기반의 모델 학습 및 평가를 시행하고 그를 통하여 7가지 다중 감정 분류를 시도한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Since its first onset in Wuhan, China in December 2019, COVID-19 was declared a pandemic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on March 11, 2020 and has been spreading across the world. South Korea has also witnessed rapid spread of COVID-19 starting with its first confirmed case on January 20, 2020, and the pandemic is still affecting peoples’ lives. To fight the viru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rolled out a range of preventive measures, such as travel restrictions and special entry procedures, COVID-19 contact tracing, and social distancing especially at multi-use facilities including school closures. Various research has proved that social distancing is very effective in prevent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 However, there are people who are for and against the practice due to multiple issues. For instance, social distancing limits people’s movement, reducing economic activity, doing damage to small businesses and the self-employed, and eventually dealing a big blow to society. In order to be prepared for the prolonged COVID-19 outbreak and a potential new pandemic emergency, various sectors of government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and discuss the emotional status and topics of interest of the general public who are under restriction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what kind of discussion is taking place in society to develop government policy in a timely manner; social media is easy to grasp the current social phenomena and trends, as the online communities are similar to offline communities, and the number of users is increasing.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analyze texts related to social distancing by the stage of COVID-19 outbreak in South Korea using Twitt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s produced by the general public and the sentiments of public opinion through each pandemic stage.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ports of Central Disease Control Headquarters, which made stages of COVID-19 outbreak from January 20, 2020 to January 19, 2022. For this study, the research period was divided into four peak periods: Period 1 from January 20 to August 11, 2020; Period 2 from August 12 to November 12, 2020; Period 3 from November 13, 2020 to July 6, 2021; and Period 4 from July 7, 2021 to January 19, 2022. Text data was collected with the keyword of social distancing or distancing for each period and screened based on the relevance to social distancing. Additionally, LDA topic modeling,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and sentiment analysis by peak period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s related to social distancing by COVID-19 stage through social media. For the sentiment analysis, the dataset labeled with seven emotions by the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was used for learning and evaluating different deep learning models, and the model that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as employed for analyzing emotions connected to the text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e main topics of public interest related to COVID-19 social distancing. Although the topic of interest for each period was somewhat different, most people were generally interested in concerts and performances, announcement of distancing stages, damage to the self-employed, COVID-19 testing, reduction of public transport, disease control rules, introduction of vaccines and vaccination, refraining from going out and gatherings, evaluation for the President and the government, use of cafes and restaurants, violation of social distancing by religious groups, academic schedule, policy, etc. Such topics show that the public was sensitive to the government and restrictive policies and that they we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changes in their daily lives caused by the regulations and solutions to resolve the situa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motional trends through each period, negative emotions were found throughout the periods. During Period 1 when the pandemic began, negative emotions such as sadness, fear, disgust, and surprise were widespread, and especially fear was most outstanding. In Period 2, as the fatality rate and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decreased, the proportion of happiness gradually increased. Period 3 showed the increase of anger among other negative emotions, and neutrality took up a high proportion. This seems to have resulted from anger over the prolonged pandemic and strengthened social distancing and expectations from the start of vaccination. During Period 4, the most prominent emotion was anger. This seems to be related to deteriorating damage to ordinary citizens and the self-employed due to the prolonged pandemic, who had been complying with social distancing, and vaccination having turned out to be no cure-all combined with the spread of different variants. Lastly, the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the deep learning models showed that KR-Medium had the greatest performance with an f1 score of 0.7244 in the 128 batch size and the environment of 5e-5 learning rat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entiment analysis, which generally involves binary classification, this achievement is significant in that multiple classifications of seven emotions was attempted and that the Korean language is relatively difficult to analyze morphemes and contexts. This study aimed to obtain implications from emotions felt by Korean citizens by generally understanding public opinion related to social distancing over the past two years through social media, and finall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exts by each pandemic period and the flow of emotions. This study also has significance in performing model learning and deep learning-based evaluation as well as various text mining techniques and attempting the seven-emotion classification.

      • SOR 이론을 적용한 안내 소셜 서비스 로봇의 다차원적 의인화 특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거리감과 신뢰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지나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280

        A guidance service robot is a specialized robot designed to provide guidance services in various locations such as hospitals, cultural facilities, welfare facilities, shopping centers, airports, and other places where guidance services are needed for a diverse range of users. The guidance service robot is tasked with delivering specialized guidance services to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not only providing requested information and assistance but also demonstrating a social role by interacting and communicating with people in various ways, serving as a societal actor in lieu of humans. While the diverse functionalities contribute to enhancing user convenience, current service robots go beyond mere function provision, emphasizing anthropomorphic characteristics and performing a role that extends beyond providing functionality. Particularly, with the emergence of Digital Serviced Buildings, the role of guidance service robots is expected to become more crucial and expansive. In light of thi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nthropomorphic characteristics that play a central role in the social functions performed by guidance service robots and to examine users' reactions to the services provided by guidance robots that replace human rol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mpact of anthropomorphic characteristics of guidance service robots on social distancing, with the aim of identifying crucial anthropomorphic elements in perceiving robots as social actors. Consequently, we examin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apparent in forming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s provided by robots. Throughout users' experiences with the service, we dissected stimulating factors, including the visual appearance of the robot's structural anthropomorphism, verbal/nonverbal communication of behavioral anthropomorphism, and the aware anthropomorphism aspects of rational support, rationality, intimacy, and civility. Additionally, we analyzed users' internal states in terms of social distancing and trust, delineating perceptual and emotional psychological states that varied based on the robot's anthropomorphic characteristics. Ultimately, by analyzing behavioral responses and mediating effects on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we deeply investigated the discriminative psychological mechanism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satisfaction based on each anthropomorphic characteristic.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among the anthropomorphic characteristics of the guidance robot, both intimacy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ignificantly influence the reduction of social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robot. Moreover, it was observed that social distancing plays a role in forming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through the partial mediation of trust.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distancing and trust helped identify the anthropomorphic elements contributing to user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verbal communication, nonverbal communication, intimacy, and civil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estingly, linguistic communication was found to induce satisfaction without necessarily forming trust. Additionally, the processes of forming satisfaction for each anthropomorphic characteristic were found to vary across the individual elements.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validate the anthropomorphic characteristics of service robots identified in prior research, confirming their impact on behavioral responses depending on psychological distance. This verification was specifically conducted within the domain of guidance robots. Conclusively, our findings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intimacy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 the perception of robots as social actors. This study established scholarly and practical evidence that to enhance the expanded social role of guidance service robots, it is essential to focus on non-verbal expression and the conveyance of emotions. 안내 서비스 로봇은 전문 서비스용 로봇으로, 병원, 문화시설, 복지시설, 쇼핑센터, 공항 등 안내 서비스가 필요한 다양한 장소에서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화된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는 로봇이다. 안내 서비스 로봇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도움을 주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을 이용해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며 소통함으로써 사람을 대체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행위자로써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다양한 방식은 이용자들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기능적 측면으로도 볼 수 있으나, 현재의 서비스 로봇들은 더 나아가 의인화적 특성을 강조하며, 사용자들에게 단순히 기능 제공을 넘어 서비스 그 자체를 제공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서비스드 빌딩(Digital Serviced Building)이 전망됨에 따라 안내 서비스 로봇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안내 서비스 로봇이 사회적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중심이 되는 의인화적 특성을 분석하고 사람을 대체하는 안내 로봇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을 확인하고자 연구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안내 서비스 로봇의 의인화적 특성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로봇을 사회적 행위자로서 인지함에 있어 중요한 안내 로봇의 의인화 요소를 파악하고, 결과적으로 로봇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형성함에 있어 보이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자극이 되는 요소로 로봇의 외적 의인화 측면의 시각적 외형, 행위적 의인화 측면의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인지적 의인화 측면의 이성적 지지, 합리성, 친밀성, 예의성으로 세분하고, 사용자들의 내적 상태를 사회적 거리감과 신뢰로 세분하여 로봇의 의인화 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보이는 인지적, 감정적 심리 상태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보이는 행동반응으로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구성하고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각 의인화 특성에 따라 만족도를 형성함에 있어 변별적으로 보이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안내 로봇의 의인화 특성 중 친밀성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사용자와 로봇간의 사회적 거리를 좁히는데에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으며, 사회적 거리감은 신뢰의 부분매개를 통해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형성함을 확인하였다. 사회적 거리감과 신뢰의 이중매개효과를 통해 만족도를 느끼게 하는 의인화 요소를 확인한 결과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친밀도, 예의성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신뢰를 형성하지 않고 만족도를 유발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의인화적 특성 각각이 만족도를 형성하는 과정은 각 요소별로 상이했다. 본 연구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서비스 로봇의 의인화적 특성이 심리적 거리감에 따라 행동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안내 로봇의 부문에서도 검증할 수 있었으며, 사회적 행위자로서 사람들이 인지함에 있어 특히, 친밀성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주요하다는 결론을 통해 안내 서비스 로봇의 사회적 역할의 확대를 위해선 비언어적 표현과 감정의 전달에 주목해야한다는 학문적, 실무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