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COMPETITIVENESS OF WIBRO : REQUIRES THE CHANGES OF SERVICE PROVIDERS

        한정화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43

        Wibro’s unexpected slow expansion in Korea is not technological problem but the problem of business sector. Since its commercialization, the Wibro service providers have shown conservative market strategy which led to the insufficient Wibro service. Therefore, the current Wibro in Korea cannot satisfy the customers’ demand for the mobile internet. Even though Wibro is excellent technology, if the service providers are not willing to expand the Wibro service, the technology cannot avoid being useless. Accordingly, this paper analyzes the actual state of Wibro business and suggests the way Wibro service providers should pursue.

      • 개인 특성과 와이브로서비스특성이 와이브로 휴대폰 사용동기와 의도에 미치는 영향

        Hossain, Mohammad Mosarraf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943

        Abstract Rapid advancements in technology and changes in cost have made the "Mobile Phone" industry a profitable business. Recently“Wireless Phones“ based on 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 technology(MBWA) have been introduced into the marketplace. They are superior to current traditional phones in terms of transmission, speed, price and function to older ones that have limited functionalities. Since MBWA technologies, such a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Wireless Broadband (WiBro), and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ave been developed, customers can enjoy “Mobile Phone”services whenever and wherever they like. So the present study has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potential users’adoption-intention of WiBro-Mobile Phones”by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Most previous “Wireless and Mobile Phones” related studies lack a comprehensive approach to both technolog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WiBro Mobile Phone”adoption and do not reflect a variety of consumer preferences. As a result TAM has been extended here by including some variables, and measured its reliability on WiBro-Mobile Phone adoption by its users. Overall,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ffect of Users’ Traits such as “Variety Seeking" and “Sensation Seeking”have great impacts on Users’Motive such a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Value that consequently influence an individual's intention to use WiBro-Mobile Phone. In addition, it is also found that the traits of“Perceived Ease of Use”- wherever and whenever of WiBro-Wireless Phone service also affects the intention of adoption of WiBro-Mobile Phone users. This research study is useful for professionals, researchers and companies who are interested in WiBro-Mobile Phone services.

      • (A) case study on WiBro's failure in the Korean telecommunication market

        박지은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4 국내석사

        RANK : 2943

        This is a case study that investigates the causes of WiBro’s failure in Korean telecommunication market. Within the framework of actor network theory and technological systems,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causes of WiBro’s failure, which are defined as ‘reverse salient’ in the network of WiBro’s technological system. The reverse salient factors of WiBro were identified from the activities of the actors in three different realms: technology, government, and busines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key experts, this study revealed several findings and implications. Reverse salient found in the technological system of WiBro are two kinds: ‘appearing’ and ‘underlying’ reverse salient. This paper argues that the appearing reverse salient factors are business players’ lack of investment and of business model for WiBro and underlying reverse salient, which are less apparent but heavily influence the creation of appearing reverse salient and ultimately the failure of WiBro, reside in the government realm of the actors’ activities.

      • WiBro 단말을 위한 전력 제어 기법

        김종열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43

        WiBro(Wireless-Broadband, IEEE 802.16e WMAN)는 4세대 이동 통신의 기반 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휴대 인터넷의 대표적 기술이다. WiBro는 가입자가 노트북, PDA, PMP, 전용 단말기 등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사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정지 및 이동 환경에서 고속 데이터 전송률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저렴한 요금으로 기존 유선 인터넷 망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활용하는 서비스이다.무선 이동 단말이 배터리를 주 전원으로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에너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설계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WiBro의 아이들 모드(idle mode)를 설명하고, 이를 직접 단말기에 구현하여 성능을 측정하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아이들 모드(idle mode)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MSS와 BS간의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필터링하는 모듈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네트워크 트래픽 필터 모듈을 아이들 모드(idle mode)에 직접 적용하여 전력 소모 개선 여부를 확인해 봄으로써 WiBro 단말의 효과적인 전력 제어 방안을 제시 하였다.WiBro는 한국에서 최초로 2006년 8월에 시범 서비스가 실시되었으며, 앞으로 세계 여러나라에서 상용 서비스가 실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WiBro 단말의 전력 제어 기법은 향후 WiBro 단말기 경쟁력 향상의 기본적인 토대로도 많은 활용이 가능 할 것이다.Due to the rapid develo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usage of mobile devices such as cell phone or PDA has increased significantly. One of the representative services under 4G standards-based mobile systems is the WiBro(IEEE 802.16e, Mobile WiMax) that is enabling the delivery of last mile wirless broadband access.In order to support WiBro well,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method of power on WiBro device side and how Idle Mode is operated between WiBro device and base-station. The specification of IEEE 802.16e defines the Idle Mode mechanism enabling the power saving. We mesure the degree of device power saving on Idle Mode conditions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Idle Mode.In particular, we propose a network traffic filter method improving the power saving efficiency on Idle Mode conditions. Our method becomes especially useful for monitoring the ineffectual data traffic through approximate rule-based functions.

      • HA 기능 강화를 통한 WiBro와 WLAN간의 효율적 핸드오프 알고리즘 연구

        김성규 부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943

        최근 무선 인터넷이 노트북과 PDA에 기본으로 탑제되어 사용됨으로써 많은 이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무선 인터넷 사업자들의 다양한 컨텐츠 개발로 무선 환경에서도 유선 인터넷 못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이용 할 수 있게 되었으며, 특히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함에 따라 무선 인터넷의 사용은 더욱 증가하는 추세이다[1]. 한편 최근에는 독립적으로 발전되어 온 통신 네트워크들의 통합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으는데, 이는 현재 개별적인 망들이 갖고 있는 한계들을 극복하고, 향후에 도래하는 다양한 접속 환경에서 고품질의 음성, 데이터, 방송이 융합된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의 구축을 통해 가시화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무선 인터넷의 종류에는 WiBro(Wireless Broadband)와 무선랜(Wireless LAN)을 들 수 있다. WiBro는 현재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상용화 되어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이동을 하면서 고속의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Always connected” 서비스로 약 IMbps의 속도로 통신이 가능한 서비스이다. 이에 비해 무선랜은 11 ~ 54Mbps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을 제공하지만 서비스 반경인 핫스팟(Hot-Spot)이 100M 내로 제한이 있으며 핫스팟간의 이동성이 제공되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하지만 Wibro와 무선랜 간의 핸드오프를 제공할 경우 이동시에는 Wibro를 사용하고 무선랜 서비스 지역에서는 무선랜을 사용함으로써 이동성과 속도라는 두 망의 장점을 살릴 수 있다. 기존 WiBro 시스템은 RAS(Radio Access Station)와 WiBro_ACR(WiBro_Access Control Router)가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어, 중앙집중적 이동성 제어를 사용하고 있다. WiBro_ACR은 ALL-IP망에 연동되며 초고속망을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역할 수행한다. 따라서, WiBro 망이 커짐에 따라서 WiBro_ACR의 구축 여건이 복잡해 질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비용도 크게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현재의 핸드오프 시나리오는 모바일 노드가 다른 통신망으로 이동시 접근하려는 해당 WiBro_ACR에서 과금 및 FA 인증 등을 매번 받아야 하므로 모바일 노드 등록에 대한 시그널링 지연이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2]. 무엇보다 WiBro와 Netspot은 KT에서 제공하는 상용서비스이다. 즉, 각 망의 AAA서버, HA 서버등을 KT에서 주관하고 있으며 현재 KTWiBro라는 서비스 이름으로 기존 NetStop과의 과금 및 인증절차들을 통폐합 중에 있다. 그렇다고 한다면 굳이 WiBro_ACR단에서 과금이나 인증부분을 관할하기 보다는 중앙 망에 통폐합된 AAA및 HA 서버를 이용하여 서비스 한다면 여러가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WiBro_ACR과 HA 서버에 대한 구성 및 기능 변경을 통해 WiBro와 무선랜간의 효율적인 핸드오프 절체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NS2 시뮬레이션으로 핸드오프 결과에 대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관련연구를 통해 WiBro 개요 및 기술동향에 대해 살펴보고 3장에서는 WiBro 무선랜의 서비스 절차에 대해 설명을 하였다. 4장에서는 WiBro와 무선랜간의 handoff 기존연구를 살펴보고 5장에서는 WiBro_ACR와 HA의 구성변경을 이용한 효율적인 handoff 제안을 하여 6장 시뮬레이션을 통해 결과를 확인한다. 7장에서는 그에 대한 결과와 향후 연구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 WiBro 망에서의 그룹통신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유대승 울산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943

        본 논문에서는 실제 선박을 건조하는 조선소의 요구사항을 수렴해서 WiBro(Wireless Broadband) 망에서 PTT(Push To Talk)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룹통신 시스템(GoW : GCS over WiBro)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GoW는 현재 그룹통신에서 사용되고 있는 무전기나 TRS(Trunked Radio System)와 같은 주파수 기반 그룹통신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차세대 ALL-IP 기반 네트워크 통합 환경을 대비하는 WiBro 기반 그룹통신 시스템이다. GoW는 무전기의 동일채널 이용으로 발생하는 혼신 및 간섭과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과 TRS의 경우 다수 사용자가 공용의 주파수를 이용함으로써 접속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극복하는 VoIP 음성 서비스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 설계하고 구현한 GoW는 WiBro 망에서 최초로 구현된 그룹통신 서비스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기반으로 서버와 단말간의 메시지 교환 프로토콜과 발언권 제어 프로토콜을 설계하였고, GoW의 시스템 구조는 확장성과 안정성을 고려해서 설계 되어 확장성 지원을 위한 다중서버 구성과 안정성 지원을 위한 이중화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GoW는 초기접속 지연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그룹통화를 위한 그룹 세션을 미리 생성해 두는 방식인 Pre-established Session 방식을 사용하였고, 그룹통신 중심의 경량 프레즌스 서비스를 고안하고 적용함으로써 서버의 성능 저하와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하면서 프레즌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GoW에서는 메인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MMDBMS(Main Memory 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적용하여 경성 실시간 그룹통신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도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GoW는 개별통화와 그룹통화 외에 사용자 요구사항에 의해 비상호출(긴급발언권 요청, 그룹복귀 요청, 긴급통화 요청), 문자 메시지, 원격단말제어(lock/unlock, 단말 사용기간 설정), 검색서비스, 통화통계 등의 추가적인 기능을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GoW가 WiBro 망에서 다수의 사용자와 다수의 그룹에게 PTT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을 검증하기 위해서 성능 측정과 분석을 통한 음성품질과 성능에 대한 평가가 수행되었다. 음성품질과 성능에 대한 평가 결과 GoW에서 제시한 성능 요구사항을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designed and implemented a GoW (group communication system over WiBro) provides push-to-talk (PTT) services in a WiBro network environment by collecting the requirements from shipbuilding yards. The GoW is a WiBro-based group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next-generation All-IP integrated network environment. It helps overcome the limitations that are shown in frequency-based group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trunked radio systems (TRS) or walkie-talkies. The GoW also represents VoIP service technology which helps overcome the problems of crosstalk, interference and security vulnerability which may be caused by using the same channel in a radio system and the problem of connection latency which may be triggered by the use of the same frequency band by a number of users in a TRS. The GoW, the first group communication system to be implemented on the WiBro network, has server-UE (user equipment) signaling and floor control protocols designed based on the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The structure of the GoW system designed with considerations for scalability and reliability enables a multi-server configuration for scalability and a duplex configuration for reliability. Especially, the GoW used a Pre-established Session method which is to establish a group session prior to group communication to reduce the initial connection delay. As a group communication-oriented lightweight presence service is applied, the communication system can minimize the degradation of server performance and network traffic while providing the presence service. Also, with the application of a main-memory database management system (MMDBMS) which is designed to store data in the main memory, the GoW works effectively even in the environment where hard real-time group communication is required. In addition to individual and group communications, the GoW supports additional features such as emergency calling, text messaging, remote UE control, search and call statistics. In this study, an analytical evaluation of voice quality and server performance was conducted to verify that the GoW can provide the PTT service to multiple groups and users in the WiBro network environment. The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communication system's performance requirements were satisfied.

      • IMS 基盤 WiBro 網 構造 設計 및 運用 方案 硏究

        박나정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943

        WiBro 기술은 공간성과 이동성에 제약이 있는 초고속 인터넷, 무선랜과의 경제성과 전송속도에 한계가 있는 이동전화 무선인터넷과 달리, 저렴한 비용으로 고속의 전송속도로 무선 초고속 인터넷 접속과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며 컨버전스의 새로운 영역의 서비스 창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런 WiBro 기술의 최대 활용과 거대 시장 창출을 위해서는 최적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며 고품질의 서비스 제공할 수 있는 제어 플랫폼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SIP기반의 제어 노드들로 구성된 IMS를 도입함으로써 IP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프라 설계 및 IMS기반의 WiBro 망의 구축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문에서는 WiBro기술과 IMS 구조를 충분히 검토하고 IMS기반 WiBro 망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며 또한 광대역통합망(Bc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에서 IMS기반 WiBro 망의 위치와 차후 BcN에서 IMS기반 WiBro의 서비스 모델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망에서 서비스 제공시 고려될 수 있는 이종 망간의 연동, 이동성 지원 방안, 품질 제공 방안 등의 운용 방안을 함께 고려한다. WiBro 서비스를 IMS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 플랫폼으로 하여 제공함으로써 유무선 컨버전스를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으며 WiBro에서 IMS기반 멀티미디어서비스 제공 인프라를 설계하여 IMS기반의 WiBro망의 구조 및 구성요소를 정의함으로써 이를 IMS개발 요구사항 작성에 반영하여 IMS 개발뿐만 아니라 WiBro망의 특성을 반영한 IMS를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high speed wireless Internet now, which is restricted by mobility and Mobile communication like 3G, has a limited transmission speed. However the WiBro, one of the new emerging techniques, has several strong points, such as high speed, low cost and mobility. Hence, using WiBro technique we can connect to a high speed wireless Internet and also create next generation multimedia services in convergence area. To support using WiBro, we have to guarantee optimum stability and reliability which means introducing the control platform to provide QoS guaranteed service. In this aspect, first, I propose infra architecture using IMS as a control platform to provide an IP-based multimedia service and grope for the solution to design WiBro network based on IMS. Second, I examine WiBro technique and IMS function. Third, I propose WiBro network based on IMS and define the interface between WiBro and IMS. Finally, I consider internetworking, between different networks, solution to support mobility and QoS in this paper. As using IMS service platform in WiBro network, we can implement fixed mobile convergence service more easily, so this paper also contributes to make the developing requirements in next generation network.

      • Wibro(휴대인터넷)의 차세대 무선 Messaging 방법 고찰 : 이동전화와의 복합단말기 관점에서

        조근석 세종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943

        오늘날 휴대폰은 개인에게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무선 메시지를 한 건이라도 받지 않은 날이 없을 정도로 메시징 서비스가 일상 생활화 되어 있다. 정보통신 산업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여 왔으며 특히 이동통신 서비스의 경우 어느 분야보다도 빠르게 성장해 오면서 오늘날의 정보통신 산업을 이끌고 있다. 이러한 성장 배경에는 이동전화서비스가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고 할 수 있지만 SMS를 비롯한 무선메시징 서비스가 성장의 새로운 모멘텀을 제공한 것도 부인하지는 못할 것이다. 2006년부터 Wibro라는 새로운 형태의 휴대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된다. Wibro 서비스는 초기에 음성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메시징 서비스에 대한 기대가 훨씬 크다고 할 수 있다. Wibro 서비스가 이동통신의 전 영역을 커버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기존의 이동통신 서비스와 메시지 연동이 매우 중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Wibro 메시징 서비스가 기존 이동통신 서비스의 메시지와 상호 보완이 가능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제공 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Wibro 환경에서, 특히 CDMA와의 복합단말기 관점에서 무선 메시징 서비스 방법에 대해 살펴보며 CDMA 네트웍과 Wibro 네트웍에서 동시에 메시징을 처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유선의 메신저 개념을 도입하여 제시한다. Nowadays, we cannot imagine the life without cellular phones. As well as, we receive diverse mobile messages from day to day. The industry of Information Technology has been developing remarkably faster than any other fields. Especially,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leading in today's Information Technology. The mobile voice communication has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improv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but SMS, Short Message Service, also gave impetus to its growth. As Wibro, the new concept of portable internet and focusing on data communication, will be serverd to public, we will expect it to bring up-grade version of messaging service to us. So, We study how mobile messaging service will be placed in the environment of Wibro. One of its success factors for Wibro Messaging service is that how to make efficient compatibility with existing mobile messaging technology. In this respect, We present a method of transmitting message and of communicating between Wibro and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effectively.

      • WiBro 네트워크의 연결성 및 확장성을 위한 WiBro gateway 구현

        김지성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943

        IT389정책의 하나로 2006년 6월 서비스가 시작된 이후로 정부와 업계의 기대만큼 WiBro가 빠르게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 Wibro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전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거나 USB 디바이스를 통해 컴퓨터 혹은 노트북에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제한적인 접근 방식은 Wibro 네트워크를 이용하려는 사용자에게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롭게 등장한 WiBro 산업이 21C 통신의 중심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기존에 구축되어진 이기종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통해 빠르게 인프라를 구축하여 보다 더 많은 사용자들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단말을 통해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제한 적인 연결방식을 해결하여 Wibro 네트워크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WGW(Wibro GateWay)를 제안한다. . WGW를 통해 Wibro 네트워크에 접속 시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첫째, WGW는 이기 종 네트워크간의 논리적 연결성을 지원한다. 현재 Wibro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한 방식이 USB 디바이스와 전용 단말이 필요했던 것과는 달리 기존의 Wireless LAN(Local Area Network)를 지원하는 단말이나 Ethernet을 지원하는 단말 그대로 Wibro 네트워크에 접속 할 수 있다. 둘째, WGW가 구성한 사설 네트워크 안에서 여러 종류의 단말이 동시에 Wibro 네트워크에 접속 할 수 있다. 셋째, Access Control을 통해 외부에서 들어오는 특정 포트를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게 함으로 보안을 유지 할 수 있다. WiBro(Wireless Broadband) service that is one of the policies of IT389 is started in 2006.6 by KT(Korea Telecom) but did not spread fast as expectation of goverment and companies. Now, For conneting Wibro network, users use paticular mobile instrument or set up device driver for USB device in computer or laptop. For this reason, this connecting form is obstacle to using WiBro network. Therefor, for spreading Wibro network, Wibro is connected to already constructed heterogeneous networks so more users use Wibro network easily. This paper proposes WGW(Wibro GateWay) for improving Wibro network through solving the restrictive connecting form. When user connects Wibro network, if uses WGW, than there are advantage. First, WGW offers logical connectivity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Second, in local area network of WGW a veriety kind of instrument connect Wibro network in the same time. Third, There is Access control that is open or close idendtification port in WGW for security

      • WiBro의 전력 절약 효율 향상을 위한 수면 윈도우 조절 방안

        손대홍 아주대학교 정보통신전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43

        In now days,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grows up, so the requirements is increased by many users. Depending on the requirements of many users, wired internet service which provides high speed internet appears and supports a variety of data like multi media service at high data rates. As wired network speed is fast users are interested in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requirement of mobile internet service is increased. Broadban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wireless internet service is researched by the many people, and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4G) is noticed. WiBro makes sure to provide the mobile internet service, but it is not enough to call 4G. One of weakness is a power saving function. Because mobile station is operated by limited battery, broadban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ust need the technology for using energy efficiently. In this paper, I analyze the basic sleep mode algorithm in WiBro MAC layer and propose the sleep window control method for increasing power saving efficiency in web-traffic environment. 현재 국내외 통신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 함에 따라서, 사용자들의 요구 사항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들의 요구 사항에 따라서 빠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유선인터넷 서비스 등이 나타남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동영상 등의 서비스를 빠른 속도로 제공 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선의 망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점차 사용자들은 무선의 통신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무선 인터넷 서비스도 요구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기술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흔히 4G 라고 불리는 4세대 이동 통신 기술로써 많이 주목 받고 있다. WiBro기술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였지만, 4G 기술로 불리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다. 그 중 하나가 전력 절약과 관련된 기능이다. 제한된 전력으로 운용되는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기술이 반드시 필요로 하다. 통신 분야에서도 전력 효율성 증대를 위한 기술들이 연구 개발 되고 있다. WiBro에서도 기반이 되는 IEEE 802.16e 표준에 전력 절약을 위한 수면 모드 기법이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기술인 HSPA나 IEEE 802.20 표준과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보다 나은 성능을 보여 주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WiBro MAC 계층의 수면 모드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웹 트래픽상에서 전력 효율 향상을 위해 새로운 초기 수면 윈도우 조절 방안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