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컨벤션센터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관한 이용만족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SNS 품질 및 사회적 영향 측면 중심으로

        박지영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343

        최근 들어 Social Network Service(SNS)는 개개인의 전반적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 인터넷 환경에서의 중요한 마케팅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각 산업군마다 SNS를 이용한 판촉활동이 확산되며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이러한 추세는 전 세계적으로 주요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는 컨벤션 산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개최행사를 위한 트위터(twitter), 페이스북(facebook)과 블로그(blog)등을 독립적으로 개설하고 홍보하는 방법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SNS는 컨벤션센터와 참가자간의 상호작용을 증진 시킬 뿐만 아니라 개최행사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할 가치가 높다고 추론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확산되는 SNS에 대한 품질측면이 이용자들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지속적인 사용을 도모하기 위한 구체적 요인들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컨벤션센터 중 가장 SNS의 활동이 활발한 COEX와 KINTEX를 대상으로 컨벤션센터의 SNS에 대한 정보품질, 시스템품질, 서비스품질과 사회적 영향측면의 4가지 품질영역들이 이용자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용자 만족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회수된 총 278부의 설문지 중 COEX와 KINTEX의 SNS 이용경험이 있는 204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신뢰성과 타당성검증을 위해 신뢰도 분석과 AMOS18.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과 다중공선성에 대한 요인검증을 위하여 SPSS18.0을 이용한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정보품질은 컨벤션센터의 SNS 이용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확성, 완전성과 유용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시스템품질은 컨벤션센터의 SNS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품질측정 항목 중 통합성과 사용편리성, 충분한 설명, 짧은 대기시간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서비스품질은 컨벤션SNS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의 측정변수인 효율성과 시스템이용가능성, 이행성과 프라이버시 모두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영향은 컨벤션센터의 SNS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영향의 요인들로 네트워크효과와 대인간 유사성이 컨벤션센터SNS의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용만족이 재이용의도에 상당히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전체 컨벤션 센터들의 SNS활동이 초기단계임을 감안할 때 컨벤션센터에서 제공되는 SNS의 정보, 시스템, 서비스, 사회적 요인들에 대한 만족이 재이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SNS를 이용한 마케팅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COEX와 KINTEX를 비롯한 국내 다른 컨벤션센터에 현재 이용되고 있는 SNS에 대한 분석을 함으로써 각각의 센터에 맞는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Social Network Service(hereby SNS) such as Twitter or Facebook has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as not only an important part of individual's lives but also one of major business areas in today's Internet environment. As a rate of using SNS has been rapidly increased, it has been regarded as an effective marketing tool in various industries. To make the business successful, SNS providers are essentially required to strengthen users'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of reuse 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SNS. A convention industry is not exceptional for SNS use as well, therefore. by promoting upcoming event in convention centers with SNS, it makes effectively attract more participants for the occasions. Not enough studies on SNS have been conducted in Convention and Tourism industry despite the critical importance of these factors to Convention field. Therefore, in light of needs of studies in SNS u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s the effects of 4 Convention Center's SNS quality factors of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service quality and a social aspect on us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se. In addition, to suggest, alternative ideas are feasible to induce SNS users' consistent use by confirming the 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Furthermore, SNS is deduced that not only promotes interaction between users and convention center but also can increase interests on events in convention cent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specific factors to promote a sustainable use. To build the structure of the study, a conceptual frame of the study was establish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verified by analysing the collected data by SPSS18.0 and AMOS18.0 For this study, COEX and KINTEX were chosen as research subjects relatively for the reason that they actively use SNS the most among other domestic convention centers. A survey was conduct during May 2011 via both online and on sites. 278 surveys were collected in total and 206 responses were used for an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18.0 and AMOS to identify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to test hypothe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formation quality had mostly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especially with factors such as accuracy, completeness, usefulness. Second, system quality had effect on the user satisfaction which showed items like integration, ease of use, good documentation, short repose time should be considered as factors to improve the user satisfaction. Third, service quality showed a meaningful effect on the user's satisfaction. Most studies were conducted with SERVQUAL to analyse online service quality, however, by measuring online service quality using E-S-QUAL, it reduced the unnecessary complex procedures and possibilities of errors. Fourth, it was found that social influence had an impact on the user satisfaction, especially network effect and interpersonal similarity item. Lastly, the user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reuse This study is distinguish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e respect that it tried to find social influence of SNS in the convention industry that mainly studied on service quality or system quality. And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are as follows; SNS providers are advised to make more effort to enhance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service quality and social factors to lead a sustainable use of Convention Center SNS. Such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expected to help SNS providers in Convention Centers develop their competitive marketing strategi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entire service. Keywords: Social Network Service(SNS), Convention Center,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Service Quality, Network effect, Interperson Similarity, User Satisfaction, Intention to Reuse, E-S-QUAL

      •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중독의 선행요인과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 조직행동에 초점을 맞춘 접근

        이은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3343

        국 문 요 약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중독의 선행요인과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조직행동에 초점을 맞춘 접근- 이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들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중독에 미치는 직무요구의 영향과, 그것이 업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관해 고찰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연구는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직무요구와 SNS 중독 사이의 관계를 완화시킬 수 있는지에 관해 탐구한다. 이를 위해 한국 기업에서 근무하는 305명의 직원들로부터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그 결과, 첫째로 역할 모호성, 역할 충돌, 역할 과부하, 감정 노동, 부서 갈등과 같은 직무요구의 특성들은 SNS 중독 관련 현상들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우리가 예상했던 바와는 반대로, 직무 중요성과 직무 다양성은 SNS 중독과 의미있는 연관성이 없다. 또 감정 노동은 그들의 SNS와의 결속을 감소시킨다. 두 번째로 돌출행동, 강박상태, 결속과 같은 SNS 중독의 현상들은 업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관련된 요인들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몰입, 도취상태는 업무만족, 조직시민행동과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없다. 그리고 SNS 중독의 모든 현상들은 임금과 진급 만족도와도 관계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직장인들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은 SNS 중독 관련 현상들에 영향을 미치는 역할 모호성, 역할 충돌, 역할 과부하, 감정 노동, 부서 갈등과 같은 직무요구 특성들의 역기능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직장인들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은 그들의 SNS와의 결속에 미치는 역할 모호성의 영향은 증가시킨다. 주 제 어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중독, 직무요구, 자기효능감 Abstract A Study of the Antecedents and the Consequences of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A Focus on Organizational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job demand on employees’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and how it influences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we explore if occupational self-efficacy can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For this, we collected data from 305 employees in Korean companies through a survey method. In the results, first, each characteristics of job demand such as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role overload, emotional labor and department conflict increases each relevant phenomena of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However, job significance and job diversity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Emotional labor decreases their association with social network service, which is contrary to our expectation. Second, each phenomena of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such as salience, compulsion and association decrease each relevant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 However, euphoria and immersion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 And, all phenomena of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show no significance with both of pay and promotion satisfaction. Finally, employees’ occupational self-efficacy decrease the effect of each characteristics of job demand such as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role overload, emotional labor and department conflict on each relevant phenomena of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However, employees’ occupational self-efficacy increase the effect of role ambiguity on their association with social network service. Keyword: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job demand, self-efficacy

      • Discovering communities in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the machine learning mixture

        민무홍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43

        Nowadays, social network services such as Twitter and Facebook have been widely exploited. Social network services have attracted millions of users, many of whom have combined these services into their daily life. Many people can no longer imagine a life without the social network service. Since it is easy to extend their relations to others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users usually have a huge user list. In the user list, various users, not only friends but also unfamiliar users such as celebrities, news media, or/and even unknown users, can be included. A user may add 'friends' with little or no actual connection such as corporations. If people use social network services for a long time, acquaintance lists will be expanded. Then, updated information of intimate friends is covered.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see the information of the familiar friends. Another problem is that users were bored about creating groups for intimate friends from the huge user list. If the friend list is classified into communities, similar users? contents belong to each community. Accordingly, the social network service needs to be divided into the meaningful communities from the friends list of users? for better services. This research aims at the analysis of the huge user list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d the data mining of the meaningful communities. A mixed method combining Support Vector Machine method with some clustering methods was utilized in order to divide a huge users? list to the meaningful communities. This method needs to be optimized to the social network services. The connection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168 seed users. And also from the 17047 following users. The collected data were applied to Support Vector Machine first of all. For Support Vector Mach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were analyzed to extract ten features. In addition, three machine learning tools were used such as SVMlight, WEKA, and libSVM for feature selection. The experiment of the clustering technique was performed, and the previous Support Vector Machine results were put into graph clustering algorithms in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detecting communities show that the test result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is improved by 10% on average than that without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The first contribution of the research is to detect the meaningful communities from a huge user list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The second contribution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d to extract many kinds of features for Support Vector Machine.

      • SNS 내 잠복관찰 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페이스북 이용자의 성격 및 심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정성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43

        This research has its purpose on revealing the impact of individual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as on lurking conduct in social network service. This paper assumes that actual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s the major factors that stimulates lurking in social network service as social network service is network service that maintains and expands its scope online based on the relationship formed in offline. In order to evaluate research, personality has been measured by extro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openness in experience, the Big 5 model and fo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elf-monitoring, sense of belonging, SNS self-efficacy has been measured to examine if frequency of lurking depends on the result. Also, frequency of lurking conduct in social network service has impact on SNS intensity, the psychological aspect of social network service usage, has been examined. Offline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d the research question. Related to research question 1,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Big 5 factors of personality of social network service user, self-monitoring, sense of belongings and SNS self-efficacy shows significant influence on lurking conduct of social network service user. The result of individual variance significance analysis shows that among Big 5 factors of personality, extroversion, agreeableness and neuroticism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lurking conduct of social network service user. Which means that the lower frequency of lurking in social network service was found for higher extraversion, lower agreeableness and neuroticism individuals. As fo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lower lurking frequency in social network service was found for higher self-monitoring and lower sense of belongings and higher SNS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regarding research question 2, the result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evel of lurking conduct in social network service impacts negatively on SNS intensity level in 95% confidence level. Accordingly, it is revealed that the lower lurking conduct in social network service, the higher SNS intensity is. Despite that research subject and mediator is limited,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some points. First, this research provided framework for new discussion based on academical foundation related to lurking, assuming personality of social network service user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as impact on lurking conducted in social network service. Also, this research established ground for expansion of related study as it studied social network service, the most commonly used CMC channel, which were excluded from existing discussion. Last, this paper is valuable in perspective of practicality above academical discussion as it presented meaningful problem on lurking conduct that occurs frequently in today's life. 본 연구는 개인의 성격 및 심리적 특성이 SNS 내 잠복관찰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다양한 CMC 채널 중에서도 특히 SNS는 오프라인에서 형성된 지인을 기반으로 온라인에서 네트워크를 유지·확장하는 매체라는 점에서, SNS 사용자의 실제적 성격 및 심리적 특성이 SNS 내 잠복관찰을 유발하는 주요한 요인일 것이라 가정하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하여 성격을 성격 5 요인 모델에 따라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불안정성, 개방성 등의 5가지 하위 차원으로 측정하였고, 심리적 특성으로는 자기 감시성, 소속감, SNS 효능감을 측정하여 결과에 따라 SNS 이용자의 잠복관찰 행위 정도가 달라지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SNS 내 잠복관찰 행위의 빈도가 다시금 SNS 이용의 심리적 측면인 SNS 이용 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오프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1과 관련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SNS 이용자의 성격 5 요인, 자기 감시성, 소속감, 그리고 SNS 효능감은 SNS 이용자의 잠복관찰 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변인의 유의도 검증 결과, 성격 5 요인 중 외향성, 친화성, 불안정성이 SNS 이용자의 잠복관찰 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SNS 이용자의 외향성이 높고, 친화성이 낮으며, 불안정성이 낮을수록 SNS 내 잠복관찰 빈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심리적 특성으로는 SNS 이용자의 자기 감시성이 높고, 소속감이 낮으며, SNS 효능감이 높을수록 SNS 내 잠복관찰 빈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연구문제 2에 관하여 단순 회귀분석 결과 SNS 내 잠복관찰 행위의 정도는 95% 신뢰수준에서 SNS 이용 강도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NS 내 잠복관찰 행위가 낮을수록 SNS 이용 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대상 및 연구매체가 제한적이라는 한계들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결과는 몇 가지 주요한 의의를 지닌다. 우선 본 연구는 SNS 이용자 개인의 성격, 및 심리적 특성이 SNS 내 발생하는 잠복관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일 수 있음을 가정하고 잠복관찰과 관련한 학문적 이론을 토대로 새로운 논의의 틀을 제공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그간 관련 논의들에서 배제되었으나,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CMC 채널인 SNS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관련 연구 영역 확장을 위한 계기를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오늘날 빈번하게 발생하는 SNS 내 잠복관찰 행위에 대한 의미 있는 문제 제기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논의를 넘어선 실무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 Why do we jump into social network service? : based on empathy altruism hypothesis

        홍지혜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3 국내석사

        RANK : 233324

        In the internet age, we have witnessed the rapid growth of social network service(SNS) such as Facebook in recent years. Today, both major brands and emerging consumer brands, such as Coca Cola, BMW, and Gap, have established their remarkable presence on SNS. However, even though motivation for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is a key construct theoretically, prior research has yet to not only focus on definition of SNS, but also devote empirical or conceptual attention to its role. Therefore, we focus the present study on people’s motivation for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And also we illustrate the underlying mechanism why people do participate in social network service. In the current research, we draw on the empathy-altruism hypothesis, which describes motivation for pro-social behavior, since there are several similarities between an activity in social network service and a donation. Consistent with existing literature about empathy-altruism hypothesis, when empathy on SNS contents evokes, people intend to participate in SNS like donation behaviors. Moreover, when empathy with other-benefit rather than self-benefit leads SNS users to take their actions more lively. In addition, the results illustrate the dramatic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two dimensions of appeals and emotion: the former is self-benefit and other-benefit, the latter is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Finally, we have tried to look at underlying mechanism of motivation why people jump into social network service.

      • SNS(Social Network Service) 사용자들의 관심사 파악을 통한 SNS 개선 방안 연구 : 트위터 중심으로

        김승아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33310

        웹2.0이라 불리는 웹 패러다임은 참여, 공유, 개방의 개념을 바탕으로 사회 전반에 많은 변화를 일으켰다. 웹2.0 패러다임은 누구나 정보를 쉽게 생산하고, 빠르고 폭넓게 확산 시킬 수 있게 하여 1인 미디어와 플랫폼으로서의 웹을 이루어 냈다. 이러한 웹 공간의 진화로 인터넷 사용자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개방하고 공유함으로써 인간 개개인의 영향력을 증대 시켰다. 이에 따라 대형 검색 업체나 포털 사이트들은 자사 사이트에서만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폐쇄적인 구조를 버리고 자사 서비스를 공유, 개방하여 사용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형태의 Open-API를 제공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여러 웹사이트들의 Open-API를 제공받아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 매쉬업(Mashup) 서비스들이 만들어 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들의 웹 인프라는 더욱더 풍요로워지고 있다. 하지만 수많은 정보와 서비스가 생성 되는 상황에서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신뢰성 있는 정보를 찾거나 관리하기가 어려워졌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자신의 관심사와 개성을 공유하는 사람들과 연결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하여 정보를 찾고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시간이 지나고 사용자들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SNS 내에서도 정보 관리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SNS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자들이 입력하는 글 정보와 검색 정보에서 색인어를 추출하여 관심사가 무엇인지 파악 하고자 하였다. 수많은 정보들 중에서 관심사와 연관성 있는 정보들만 분류하여 제공하거나 관련 서비스(타 사이트 연결, 타 사이트 검색)를 연결시켜 주는 시스템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쉽고 빠르게 사용자들이 SNS내에서 정보를 관리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SNS환경이 기존보다 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Web paradigm called web 2.0 makes many changes in overall society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ing. As web 2.0 paradigm makes everybody able to produce information, spread rapidly and widely, it creates the one-person media and platform. Due to such a progression of web space, Internet users open and share their own information, so a man’s individual influence has been increased. Accordingly, large-scale search companies and portal sites open and share their own service instead of a closed structure of only using their site, and provide Open-API of leading users’ participation. In addition, as they receive many websites’ Open-API to make Mashup services creating a new service, users’ web infra is becoming abundant. However, users have a difficulty in searching reliable information they want to search or managing it due to creating numerous information and services. Therefore, users often search for and use information through SNS(Social Network Service) connected to people that users share with their interest and individuality. However, as time goes by and the number of users is growing, managing information within SNS is getting hard. To solve the problem this study abstracted the index from text information and search information that users input in order to grasp users’ interest by targeting mobile SNS users. This study is conducted to help users manage and use information in SNS more easily and quickly by suggesting the system that divides and provides information only related to a use’s interest among a lot of information as well as connects other relevant services(connecting other sites, searching other sites). Through this study, hopefully, SNS environment will be developed more than before.

      • 소셜 소프트웨어(social software)를 활용한 대학도서관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에 관한 연구

        김동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309

        아직까지 대학도서관들은 도서관에서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자들에게 이용시키는 데이터 중심의 서비스 방식인 웹 1.0 환경에 익숙해져 있었다. 하지만, 최근 국내외에서는 이용자들이 스스로 참여하여 제공하는 데이터들이 모아지고 공유되어 이용되는 이용자가 중심이 되고 주도하는 웹 2.0 환경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개방, 참여, 공유를 기본정신으로 하는 웹 2.0 에서는 이용자로 하여금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생산하게 할 것인가와 함께, 메타데이터와 사람, 관계데이터를 어떻게 구축하고 관리하는가가 서비스의 핵심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는 사용하기 편한 ‘플랫폼으로서의 웹’을 기본으로 하여 이용자들은 참여와 협업을 통해 생산된 데이터를 사회 환경에서 공유하는 새로운 체계이다.문헌정보학계와 도서관들에서는 Library 2.0이란 이름으로 웹 2.0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기술적 장점들과 서비스를 도서관 전산환경에 적용시키려는 많은 노력과 연구를 하고 있다. 하지만 웹 2.0에 기반하고 있는 다양한 분야의 소셜 소프트웨어들을 직접 활용하여 도서관서비스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이용자들이 많이 접하고 있는 소셜 소프트웨어들을 직접적으로 대학도서관서비스에 활용하는 방안과 이를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요소들을 확인하는 것, 그리고 이를 활용한 대학도서관 온라인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데 있다.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소셜 소프트웨어들을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적용할 때 필요한 요소들을 확인하고자 문헌조사와 사례조사를 통하여 국내외 도서관에서의 소셜 소프트웨어 활용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대학도서관 이용자들과 사서들을 대상으로 웹 2.0 기술과 분야별 소셜 소프트웨어 인지도 및 도서관서비스 적용에 있어서 유용성 평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첫째, 국외 도서관들에서는 소셜 소프트웨어를 도서관 홍보 마케팅, 이용안내, 이용자교육, 참고정보서비스 등의 도서관서비스에 적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설문을 통해 확인한 국내 대학도서관 이용자들과 사서들은 웹 2.0 기술 인지도에서 RSS, 툴바, 태깅 등에서는 높은 인지도를 보여주었지만, AJAX, 매쉬업, 포드 케스트와 같은 기술에서는 낮은 인지도를 보여주었다.소셜 소프트웨어 분야의 인지도는 두 집단 모두에서 블로그, 인스턴트 메신저 등은 높았지만, 마이크로 블로그, 세컨드 라이프 같은 소셜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인지도가 매우 낮았다. 하지만, 소셜 소프트웨어가 가진 유용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답변과 함께 이를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적용하는 것에 대하여 두 집단 모두에서 그 필요성과 유용성을 높게 인정하였다. 셋째, 대학도서관 사서들은 소셜 소프트웨어의 도서관 서비스적용에는 도서관 홍보, 도서관안내, 이용자교육, 참고정보서비스 분야에 높은 평가를 보였다.이러한 사례조사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무료로 계정을 얻을 수 있는 가입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셜 소프트웨어들을 활용하여 블로그를 기본 플랫폼으로 하는 대학도서관 온라인커뮤니티 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에는 웹 2.0 기술과 위키, 인스턴트 메신저, 플리커와 같은 미디어 공유사이트, 소셜 북마크 등의 서비스들을 매쉬업(mash-up) 하여 홍보와 마케팅, 신간도서안내, 사서 업무 커뮤니티, 실시간 참고정보서비스 등의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적용시켰다. University libraries are still accustomed to the Web 1.0 environment, in which they one-sidedly provide the users with data and data-based services. Recent years, however, have seen the rapid evolution of the user-oriented Web 2.0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s home and abroad voluntarily participate in gathering, sharing, and using data.In the spirit of openness, participation, and sharing, the Web 2.0 concerns how to help the users produce data and what ways to construct and manage meta data, people and relation data. It's a new system based on the 'web as a platform' that's easy to use and present social environments where the users share produced data through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The discipl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many libraries have invested active efforts and researches to apply the various technological advantages and services of Web 2.0 to the library computation environment in the name of Library 2.0. There are however few studies on how to apply social softwares of many different fields based on Web 2.0 to the library services.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arch for the ways to apply social software much used by the university libraries users to the services of the libraries, to identify the required constituents, and to build an online community among the libraries.In order to identify the elements needed to apply social softwares in various fields of the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were conducted for gathering data about the utilization of social softwares by libraries home and abroad. The survey was alsoconducted using the users and librarians of university libraries to examine their recognition of Web 2.0 technology and social softwares by the fields and to assess the usefulness of the softwares when they were applied to the library services.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First, the surveyed libraries abroad applied social softwares to their promotional marketing, user information service, user education, and reference services.Second, the users and librarian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s showed high levels of recognition of such Web 2.0 technologies such as RSS, toolbar, and tagging while they did low levels of recognition of Ajax, Mashup and Podcast.Both the subject groups were highly aware of such social software fields such as blogs and Instant Messenger while they barely recognized micro blogs and Second Life. Both the groups showed positive answers regarding the usefulness of social softwares and demonstrated high levels of recognition of its need and usefulness in respect to the application to the services of the university libraries.And third, the librarians gave high scores to the application of social softwares to such services as promotion, user information services, user education, and reference information.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and survey, the model for an online community of university libraries in which blogs are as its basic platform is built, applying social software that offer membership services with free accounts. The model mashed up Web 2.0 technologies, media sharing sites including Wiki, Instant messenger, Flickr, and social bookmarks. It applied them to library services such as promotion, marketing, introduction of newly released books, librarian community, and real-time reference services.

      • Mining information of anonymous user on a social network service

        조경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08

        The growing number of individuals is recently writing their own opinions or information freely at the network space on the web such as the blog or Online Cafe and these network spaces are developed toward a new service called social network. Consequently, a lot of researchers are studying this social network lively. The social network is not only a tool for providing real time news, but also having an effect on an opinion or a policy decision. It uses mainly texts to present information in real-time, and its users use a computer or a mobile device to upload their own opinions or ideas. A lot of texts from users contain important and various information. We will get this information we need real-time if semantic can be extracted from texts on a social network. In this case, Opinion mining should be useful to extract semantic from social network. This paper suggests a noble method to grasp information of anonymous users through relationship information available and their psychology that is reflected on texts and also understand the meanings of contents in depth. 최근 블로그나 온라인 카페 등 웹상의 네트워크화 된 공간에 개인이 정보를 자유롭게 게재하는 서비스가 발전하면서 소셜 네트워크 라는 새로운 서비스 분야가 생겼고 그로 인해 해당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의 경우 개인적인 의견을 게시하는 단계를 벗어나 정치, 사회 등의 뉴스를 실시간으로 알리는 창구가 되거나 의사 결정 또는 정책 결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고 사용자들은 컴퓨터나 모바일 도구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글을 등록하거나 의견을 주고받고 있다. 웹 상에 있는 많은 글 정보들 중에는 아주 중요하면서도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는 웹 데이터에 대한 정보 분석이 요구 되며 중요해 지고 있음을 가리키고 있다. 더 나아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글 정보에 대한 의미 추출이 가능하다면 실시간으로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여기서 추출되는 정보들은 여러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잠재성을 지니며 사용자의 성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여러 서비스 산업의 요구에 부합하는 것으로 산업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 데이터를 분석하여 얻을 수 있는 정보 중에서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양한 익명의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추출 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에 웹 컨텐츠를 분석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오피니언 마이닝 기법과 글을 통해 글 작성자의 정신적인 특성을 추측 가능한 LIWC 기법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의 관계를 분석하는 기법 등을 활용한 새로운 기법의 가능성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서로 독립적으로 연구되는 기법들에 대해 융합 가능성을 모색하고 사례 연구를 통해 가능성을 검증 한다.

      • Investigating the use of multiple social networking services: A cross-cultural perspective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KANG HANNAH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295

        The rise in the development of recent technology has changed the ways, which people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Among many different methods through which people fulfill their needs for communication, social networking services have become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methods. General social networking services allow users to create their own unique, personal profiles online, search for fellow members, share information, and gain awareness of their environments, while other social networking services have specific functions that cater to different needs of users. Therefore, as a result, user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have begun to combine the use of multiple social networking services in order to fulfill all their needs. This exploratory study examines which social networking services are used together and what kinds of characteristics can predict the use of multiple social networking services. Additionally, it will observe differences between consumers’ usage of multiple social networking services in different cultures by studying a sample taken from the United States and Korea.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social networking service users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via MTurk and Macromill Embrain respectively. The surveys, which were initially written in English, then translated into Korean and back-translated back to English,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the type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that users consume and their general use. This was followed by psychographic questions that surveyed characteristics that could explain users’ use of more than one social networking service, such as social influence, privacy issues, and persona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use of multiple social networking services is not yet prevalent in Korea, the country that represented a collectivistic culture, while the most number of users reported that they were active on at least three social networking services.

      • 소셜미디어 메시지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AO(twitter account owner)와 공적 개인화성향에 따른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박종철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3295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로 인해서 개인들도 다수의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채널을 갖게 됐다. 즉, 1인 미디어 PR 시대가 열린 것이다. 일반인 뿐만 아니라 연예인, 정치인, 스포츠 스타, 기업의 CEO 등 사회적인 영향력을 일으킬만한 대상들이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많은 변화가 생겼다. 대표적인 예로 기업의 CEO들이 트위터(twitter)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대중들이 평소에 접하기 힘든 CEO의 모습들을 쉽게 볼 수 있게 됐다.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CEO의 활동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트위터의 경우, CEO 개인계정의 팔로워(follower) 수가 기업 공식 계정의 팔로워 수 보다 많은 경우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의 주최를 CEO와 기업의 두 가지로 나누고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우선,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트위터에 대해서 알아보고 CEO이미지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통해서 기업이미지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트위터 사용자에 대한 개인적 성향에 따라서도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선행연구를 통해서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소셜미디어의 메시지는 크게 정보적 메시지와 일상적 메시지로 구분하여 CEO와 기업의 트위터 메시지를 각각 분석하였다. 자극물은 총 4가지 타입으로 CEO의 정보적 메시지와 일상적 메시지, 기업의 정보적 메시지와 일상적 메시지로 제작하였다. 기업이미지에 대한 측정항목으로는 기업의 성실함, 유능함, 매력도의 3가지로 구성하여 본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적 메시지인 경우, TAO(트위터 계정의 주최)가 CEO 개인 계정인 경우와 기업공식 계정인 경우에 기업이미지의 성실함, 유능함, 매력도 모두에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일상적 메시지인 경우, TAO에 따라서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는 기업이미지의 성실함을 제외한 나머지 유능함과 매력도에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공적 개인화성향에 따라서는 메시지 유형이 일상적 메시지일 경우에 기업이미지의 성실함에만 차이가 없었고 나머지 유능함, 매력도에서는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TAO와 공적 개인화성향에 따라서 기업이미지의 성실함, 유능함, 매력도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 중에서 조사 대상을 트위터로 한정지었다는 것과 기업이미지에 대한 측정요소를 기업의 성실함, 유능함, 매력도의 3가지로만 평가함으로써 좀 더 객관화된 연구결과를 도출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With the social network services invigorated, individuals came to have channels to communicate with multiple people. In other words, the personal media PR era has arrived. Not only ordinary people but also socially-influential figures as celebrities, politicians, star players and CEOs have started to use the social network services, and that has definitely created several changes in this world. For example, ever since CEOs of corporate began communicating on Twitter, people had a chance to learn other things about those CEOs. Many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examine how CEOs’ activities via the social network services affect corporate image. In case of Twitter, the number of followers of a CEO’s personal account would exceed that of the corporate. In consideration of that, the study aimed to figure out how differently the two social media subjects, CEO and a corporate, are related to corporate images. First of all, the study took a look at the social network services and Twitter while observing their relations with the corporate’s image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CEO’s images. Not only that, referring to a previous research on how a Twitter user’s personal disposition affects one’s accepting of messages, the study investigated influences of the personal disposition on the corporate’s images. For social media messages, they were basically categorized into informational message and everyday message, which were separately analyzed as the CEO’s message and the corporate’s message. Four types of stimuli were determined, and they were the informational message and everyday message from the CEO, and another informational message and everyday message from the corporate. Questions in the survey were written up to measure the corporate images, which were faithfulness, competence and attractive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it comes to the informational message, both the CEO and the corporate as TAO(twitter accounter owner) presented different influences on the faithfulness, competence and attractiveness, which would determine the corporate’s images. As to the everyday message, the competence and attractiveness except for the faithfulness were observed to be differently affected by different TAO. In terms of the public personal disposition, when the message types was the everyday message, only the corporate’s competence and attractiveness, but not the faithfulness, turned out to be influenced. In conclusion, TAO and the public personal disposition were determined to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the corporate’s images, the faithfulness, competence and attractiveness. The study, however, was carried out targeting Twitter only among so many other social network services while it worked only on three images of the corporate, the faithfulness, competence and attractiveness. If the study has looked into more factors here, it could have produced more objectified results in the 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