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ong-term Treatment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Oropharyngeal Cancer

        Park Young Seob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2

        연구배경 및 목적: 구인두 편평상피세포암종 (Or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OPSCC)은 p16-양성 OPSCC (HPV 관련) 및 p16-음성 OPSCC (HPV 무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p16 상태가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바탕으로, 미국 암연합회 (AJCC)는 OPSCC의 분류 체계를 8판으로 개정하였다. 그러나, AJCC의 7판과 8판 병기분류 체계에 기반한 OPSCC의 치료 결과를 상세한 실제 치료데이터로 비교하는 연구는 비교적 드물다. 또한 p16 상태 이외에 OPSCC의 명확한 예후 인자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본 기관에서 치료받은 OPSCC 환자에서 AJCC의 7판과 8판 병기분류 체계에 따라 장기적이고 상세한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두 병기체계의 예후에 대한 판별력을 비교하는 것입니다. 더욱이, 본 연구는 OPSCC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예후 요소를 탐색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영남대학교 의료원에서 새로이 진단을 받은 134명의 국소 진행성 OPSCC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의료 기록, 연령, 성별, 신장, 체중, 혈액검사소견, 다양한 염증 표지자, TNM 분류, 치료 방법 및 치료 반응에 대한 데이터 등이 수집되었다. 유의한 예후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변량 분석이 수행되었다. 결과: 추적기간 중앙값은 44.3개월 (range : 4.1 - 203.6)이었다. 모든 OPSCC 환자의 5년 전체 생존율은 69.9%이고 5년 무진행생존율은 61.5%였다. AJCC 제 7판에 기반하여 분류하였을 때, I기, II기, III기 환자들 사이의 치료 결과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JCC 제 8판에 기반하여 분류하였을 때, I-II기, III기, IV기 환자들 사이에서는 전체 생존기간과 전체 생존율에서 매우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p < 0.001). 각 하위 그룹에서 AJCC 분류 체계 이외의 주요한 예후 요인이 어떤 것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모든 OPSCC 환자에서 예후에 대한 유의한 변수로 예후 영양 지수 (PNI)가 확인되었다 (p = 0.048). p16 음성 OPSCC 환자들 중에서는 AJCC 제 8판 분류 체계가 예후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른 하위그룹에 비해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절대 림프구 수 (ALC), 혈소판 대 림프구 비율 (PLR) 및 젖산 탈수소효소 (LDH)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결론: AJCC 제 8판 분류 체계는 AJCC 제 7판 분류 체계와 비교하여 치료 결과와 예후 예측에 우수한 판별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PNI, ALC, PLR, LDH와 같은 다양한 지표가 OPSCC에서 전체 생존기간과 관련된 유의한 예후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Background: Or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OPSCC) is classified into p16-positive (HPV-related) and p16-negative (HPV-unrelated) types. Based on the impact of p16 status on prognosis,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 revised the staging system for OPSCC to the eighth edition. However, studies comparing the treatment outcomes based on detailed real-world data for OPSCC between the 7th and 8th editions of the staging systems are relatively rare. Moreover, besides p16 status, smoking history, and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clear prognostic factors for OPSCC are not well-establish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ong-term and detailed treatment outcomes according to the 7th and 8th editions of the AJCC staging system in OPSCC patients at our institution, and compare the prognostic discrimination accordingly. Furthermore, the study aims to explore and analyze prognostic factors in OPSCC.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134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OPSCC between January 2006 and January 2023. Data including specific medical history, age, sex, height, weight, laboratory findings, various inflammatory markers, TNM stages, treatment modalities, and treatment responses were collected. Multivariate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Results: The median follow-up was 44.3 months (range: 4.1 – 203.6). The 5-year overall survival (OS) and 5-year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rates for all OPSCC patients were 69.9% and 61.5%,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AJCC’s seventh edi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eatment outcomes between stage I, II, and III patient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patients based on the AJCC eighth edition,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in OS, OS rates among stage I-II, stage III, and stage IV patients (p<0.001). We investigated which prominent prognostic factors exist in each subgroup, apart from the AJCC staging system, prognostic nutritional index (PNI)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for the OS in all OPSCC patients (p = 0.048). Among patients with p16-negative OPSCC, the influence of the AJCC 8th edition classification system on prognosis was observed to be diminished compared to other subgroups. Additionally, absolute lymphocyte count (ALC), platelet-to-lymphocyte ratio (PLR),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emerged as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prognosis. Conclusions: The AJCC eighth edition staging system demonstrated superior discriminatory ability in terms of treatment outcomes and prognostic prediction compared to the AJCC seventh edition staging system. Additionally, indicators such as the PNI, ALC, PLR, and LDH have been identified as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OS in OPSCC.

      • 협력병기(CS)를 이용한 유방암 환자의 생존요인 분석 : 중앙암등록본부 자료 중심으로

        권현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739

        이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생존 및 생존 기간 중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부위특이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자료로 국립암센터 중앙암등록본부(2010~2017)의 협력병기(Collaborative Stage; CS)자료에 통계청 사망데이터를 연계하여 총 14,900건의 유방암 환자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데이터 조작, 변수변환 및 생성은 SAS 9.4로 실행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26.0으로 빈도분석, 검정, 단변량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단변량과 다변량 콕스비례위험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생존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전 단계로 변수진단을 위해 WOE(Weight of Evidence)와 IV(Information Value)를 추정하였다. IV가 70 이상인 변수들이 생존 여부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진단되었다. IV가 70 이상인 변수 중 종양 크기 범주에 따른 IV 변화를 확인하였다. 유방암 생존 여부에 따른 카이제곱 독립성 검정(test) 결과 연령은 ‘40대’와 ‘70대 이상’에서 생존자의 비율에 큰 차이가 있었고, 분화도는 ‘고분화도’와 ‘저분화도’환자군에서 생존자의 비율에 유의한 큰 차이가 있었다(p<0.001). 원발부위에서는 ‘유두·유륜’ 부위 환자군의 생존자의 비율은 89.1%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종양이 퍼진 정도에서 ‘국소성’환자군 생존자의 비율은 94.3%로 높았고, ‘지역성’환자군은 61.2%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양성반응 국소림프절의 개수는 ‘50개 이상’환자군에서 65.9%의 생존자의 비율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종양 크기에 따른 생존자의 비율은 ‘상세불명’환자군이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70 mm 이상’환자군에서 66.4%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AJCC-7th Stage에서는 ‘Stage I’환자군 생존자의 비율은 98.7%였고, ‘Stage IV’환자군은 32.2%로 유의하게 차이가 컸다(p<0.001). SEER Stage에서 원격전이 생존자의 비율은 32.5%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삼중음성(TN)’환자군 생존자의 비율은 85.4%이고, ‘비삼중음성(NTN)’환자군 생존자의 비율은 92.4%로 ‘삼중음성’환자군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부위특이 요인의 에스트로겐(SSF01)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SSF02) 검사에서 ‘음성’환자군인 경우 생존자의 비율이 각각 86.8%, 87.8%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지역 림프 노드의 면역조직화학검사(SSF04)에서 종양이 ‘양성’환자군인 경우 98.3%로 생존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다(p<0.001). 노팅엄 또는 블럼-리차드슨 점수(SSF07)의 생존자의 비율은 ‘저등급’환자군이 97.9%로 가장 높았고, ‘기타’환자군이 85.5%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01). HER2 면역조직화학 검사(SSF08)에 따른 생존자의 비율은‘Score 1+’환자군이 93.4%로 가장 높았고, ‘검사를 안 한 경우’가 79.5%로 유의하게 가장 낮았다(p<0.001). HER2 검사 해석(SSF09)에서 생존자의 비율은 ‘경계성’94.0%, ‘음성/정상범위’92.5%,‘양성/증가’90.7%, ‘기타’ 86.1%의 순으로 낮아졌다(p<0.001). ER, PR, HER2 연합검사(SSF16)에서 ‘이중음성(DN)’ 94.8%, ‘삼중양성(TP)’ 93.1%, ‘단일음성(SN)’ 89.1%, ‘상세 불명’ 86.1%, ‘삼중음성(TN)’ 85.4%의 순으로 생존자의 비율이 낮아졌다(p<0.001). 동측 양성 액와 림프절 개수 평가 방법(SSF19)에서는 ‘음성’의 경우 96.9%, ‘림프 양성/세침흡인검사/핵생검’을 시행한 경우 60.0%의 생존자의 비율로 큰 차이를 보였다(p<0.001). 전이 존재 결정 방법(SSF20)은 ‘전이 없음’이 94.2%로 가장 높았고, ‘기타(신체검사 또는 방사선, 절개 생검, 절제 생검)’의 경우는 32.4%의 가장 낮은 생존자의 비율을 보였다(p<0.001). 수술 전 치료 시행 결과(SSF21)에서는 ‘수술 전 치료를 안 한 경우’(91.9%)보다 ‘수술 전 치료 반응이 있는 경우’(84.5%)가 생존자의 비율이 낮았다(p<0.001). 생존 여부(surviva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로지스틱 단변량 회귀분석 결과는 연령, 원발부위, 원격전이, 종양 퍼진 정도, 국소림프절 침범, 국소림프절 진단 관련 사항의 결정 방법, 양성반응 국소림프절 개수, 검사한 국소림프절의 총 개수, 종양의 크기, AJCC-7 Stage, 부위특이 요인 SSF01∼SSF16, SSF19∼SSF21, SSF24, 삼중음성 여부, 생존 개월이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연령, 원발부위, 종양이 퍼진 정도, 양성반응 국소림프절 개수, 종양의 크기, AJCC-7th Stage, 부위특이 요인 SSF07, SSF09, SSF15, 삼중음성 여부, 생존 개월이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Cox-비례위험모형 다변량 분석 결과는 연령, 원격전이 여부, 종양 퍼진 정도, 국소림프절 진단 관련 사항 결정 방법, 양성반응 국소림프절 개수, 종양의 크기, AJCC-7th Stage, 부위특이 요인 SSF07, SSF09, SSF16, SSF21이 생존 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연구는 AJCC-6th Stage, AJCC-7th Stage, SEER summary stage의 세 가지 병기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협력 병기를 활용한 유방암 환자의 생존 위험요인에 대한 분석하였다. 빅데이터를 이용한 유방암 생존율 분석으로 국가 유방암 정책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Reclassifying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Union for International Cancer Control(AJCC/UICC) TNM stage for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김영남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4

        Background The predictability of current AJCC/UICC TNM stage for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is challenged. TNM staging of thyroid cancer needed to be amended to discriminate better and poorer outcome groups. We aimed to develop an alternative staging groups o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who were treated with thyroid surgery. Methods A total of 6333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who underwent surgery at two tertiary referral centers from 1996 to 2005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cursive partitioning analysis(RPA) was used to determine new stage grouping using our study cohort. The component used as predictive variables were tumor characteristics, nodal involvement, distant metastatic disease and age at diagnosis. Kaplan-Meier curves and log-rank tests were used to detec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vival. Cox-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used to compare the predictability of staging system. Results In current TNM stage, ten-year disease-specific survival (DSS) rates for stage I, II, III, and IV were 99.4%, 96.1%, 97.7%, and 85.9%, respectively. Reversal of outcome between stage II and III was uncovered. With new staging, 10-year DSS rates were changed to 99.7%, 98.4%, 93.4% and 57.5% for group 1, 2, 3 and 4 respectively. The values of PVE and Harrell’s c-index were 3.0, 0.693 for current TNM stage and 6.3, 0.869 for new staging. Conclusion This multicenter cohor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current TNM staging system has insufficient discrimination ability to predict outcome of thyroid cancer. Our study suggested an alternative classification of thyroid cancer staging with RPA in patient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treated with thyroid resection.

      • Clinical usefulness of AJCC response criteria in breast cancer patients who treated with long course neoadjuvant chemotherapy

        양예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32

        Introduction Neoadjuvant chemotherapy (NAC) is the standard therapy for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 stage II or III breast cancer, currently. AJCC response criteria for NAC is a known useful tool for evaluating response to NAC as well as predicting survival in short course NA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AJCC response criteria in long course (≥6 cycles) NAC. We also analyzed prognostic clinicopathological factors for relapse free survival (RFS) in four breast cancer subtypes. Method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0, a total of 183 consecutive stage II or III breast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NAC of 6 cycles or mor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JCC response after NAC and the clinicopathological factors of these patien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JCC response criteria were as follows: (1) complete response (CR) - absence of invasive carcinoma in the breast and node; (2) partial response (PR) - decrease in either or both T or N stage; (3) no response (NR) - no change or increase in either or both T or N stage. Result Median follow up period of 183 patients was 38.0 months. Among them, CR, PR, and NR by AJCC criteria were 22 (12.0%), 123 (67.2%), and 38 (20.8%) respectively. The 3-year RFS rates were 90.9% in CR, 80.8% in PR, and 48.5% in NR. AJCC respons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lapse free survival (RFS) (P<0.001). After adjusting potential prognostic factors, AJCC response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RFS (P=0.004). Conclusion AJCC response criteria is a useful clinical predictor for RFS in long course NAC as for in short course NAC in stage II/III breast cancer.

      • Long-term Survival of 187 Patients with Small Cell Lung Cancer Based on the AJCC 6th and 7th TNM edition

        조소현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18

        머리말: 전통적으로 소세포암은 제한성, 확장성 병기로 구분해 왔으나 AJCC 7차 개정판은 소세포암도 비소세포암과 마찬가지로 TNM 병기를 따를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세포암을 AJCC 6차와 7차에 따라 병기를 구분해 보고 장기생존율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총 239명의 환자들이 병리학적으로 소세포암으로 확진 되었으며 이들 중 진단 당시에 최초의 전산화 단층 촬영을 분석할 수 있는 187명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 대하여 전통적 병기 뿐 아니라 AJCC 6차와 7차에 따른 TNM 병기를 분석해 보고 장기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AJCC 6차 TNM 병기에 따르면 5년 생존율은 각각 병기 I와 II에서 43%, 36%, IIIA는 36%, IIIB는 10%, IV는 7%으로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AJCC 7차 TNM 병기에 따르면 병기 I, II에서 43%, IIIA에서 24%, IIIB에서 7%, IV에서 9%을 보여 IV가 IIIB보다 5년 생존율이 높았다. AJCC 6차에서 IIIB, 7차에서 IV로 전환된 환자는 22명이었고 모두 악성 흉수와 관련이 있었다. 맺음말: 소세포암에도 TNM 병기를 적용하게 되면 더욱 세부적인 생존율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AJCC 7차 병기에 따라 IV보다 IIIB에서 더 나은 생존율을 보였던 경우는 모두 악성 흉수와 연관을 보였다. Purpose: The AJCC 7th TNM staging system is recommended for both non-small cell and small cell lung cancer (SCLC), although SCLC has traditionally been classified using the limited and extensive definition. We evaluated long-term survival of patients with SCLC according to the AJCC 6th and 7th TNM edition. Materials and Methods: 239 patients had been pathologically diagnosed with SCLC from January 2000 through December 2009 in our hospital. We included 187 patients who had initial CT scan of the thorax. We analyzed all available data for TNM staging using the AJCC 6th and 7th edition as well as the long-term survival rates. Results: According to stages defined by the 6th TNM edition system, 5-year stage-specific survivals (5-YSR) were 43% for stage I and II, 36% for stage IIIA, 10% for stage IIIB, and 7% for stage IV. Applying the 7th edition system, 5-YSR were 46% for stage I and II, 24% for stage IIIA, 7% for stage IIIB, and 9% for stage IV. Using the 7th edition, 5-YSR of the stage IV was higher than that of stage IIIB. The number of changed stage from IIIB in the 6th edition to IV in the 7th edition was 22 and all were related to malignant pleural effusion. Conclusion: Application of the TNM staging to SCLC stratifies survival more distinctly than limited and extensive definition by providing more substages. Slightly better survival of stage IV SCLC than that of stage IIIB in the 7th edition is related to malignant pleural effusion.

      • 2기와 3기 대장암 환자에서 AJCC 병기 분류 제7판의 유효성 평가

        김경호 울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423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6th and 7th editions of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 tumor-node-metastasis (TNM) system for patients with stage II and III colorectal carcinoma. Methods: Between 2000 and 2007, a total of 2511 stage II and III colorectal carcinoma patients receiving primary surgical resection were enrolled. Patients were staged using the 6th and 7th edition of the AJCC TNM staging systems. We excluded patients with synchronous colorectal or other cancer, with preoperative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and patients retrieved less than 12 lymph nodes in the surgical specimen. Surviv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 Kaplan-Meier method. Results: The five-year overall survival rate for the entire cohort was 80.1%. Among the 2511 patients, 255 patients (10.2%) had changes of the stage in the 7th edition. For the AJCC 7th edition staging system, 5-year overall survival by stage was 94.2% for stage IIA, 88.8% for stage IIB, 83.5% for stage IIC, 91.8% for stage IIIA, 81.8% for stage IIIB, and 72.0% for stage IIIC. The overall survival (OS) and disease-free survival (DFS) rat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stage IIB (N = 57) and IIC (N = 34) group (P = 0.34 and P = 0.87, respectively). In the 187 patients with stage T3N2a, the OS and DFS rate significantly differed from IIIB other than T3N2a (P = 0.008 and P = 0.01, respectively)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S rates between stage T3N2a group and stage IIIC (P = 0.46).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uggested better prognostic validity of the 7th edition than the 6th edition AJCC TNM staging system for patients with stage II and III colorectal carcinoma. Further investigations would be required to ascertain the clinical application and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TNM classification.

      • Cutaneous Melanomas : a 10-year review of 82 cases

        서상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338

        연구 배경: 서양인에서는 피부 악성 흑색종의 발생 빈도가 높아 임상 조직학적 특징이 비교적 잘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는 빈도가 낮아 아직 자료가 부족한 편이다. 피부 악성 흑색종은 인종에 따라 발생 부위나 임상 양상이 차이가 있으므로 서구의 연구 결과를 우리나라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피부 악성 흑색종의 진단과 치료법이 점차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전문가로 구성된 팀으로써의 접근이 요구되어, 부산대학교 병원에서는 2002년 이후 PNUH melanoma clinic이 운영되고 있다. 연구 목적 : 저자는 최근 10년간 부산대학교 병원에 내원한 피부 악성 흑색종 환자의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연구하고 이를 다른 국내, 동양인, 서양인의 연구 결과와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PNUH melanoma clinic 운영 전, 후의 변화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0년 동안 부산대학교 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병리조직검사 결과 피부 악성 흑색종으로 진단된 환자 82명 (여자 46명, 남자 36명, 평균 연령 56.95세)을 대상으로 진료 기록부와 병리조직표본을 조사하여 연도별 발생 빈도, 성별 및 연령 분포, 유병 기간, 종양의 발생 부위, 임상조직학적 유형, 전구 병변과의 관련성, 종양의 두께와 궤양 유무, AJCC (The revised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staging) 병기를 알아보았다. 이상의 임상 병리조직학적 소견의 결과는 다른 국내, 동양인 및 서양인에서의 보고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부산대학교 병원에서 이용한 전초림프절 절제술과 같은 진단적 기법과 수술, 림프절 곽청술, 항암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및 interferon- α 등 치료 방법을 조사하였다. 생존 곡선은 Kaplan-Meier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PNUH melanoma clinic 운영 전, 후의 변화는 환자의 수, 진단 및 치료 방법과 예후를 통해 알아보았다. 결과 : 새로 진단된 피부 악성 흑색종 환자 수는 1997-1998년에 6명, 1999-2000년에 9명, 2001-2002년에 16명, 2003-2004년에 29명, 2005-2006년에 22명으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피부 악성 흑색종은 말단 흑자성 흑색종(67%)이 가장 흔한 임상조직학적 유형이었으며, 발(45.1%)과 손(18.3%)에 가장 호발하였다. 21명(25.6%)의 환자가 선천성, 후천성 멜라닌세포성 모반이나 흑색조에서 병변이 발생하였다고 하였으나, 이 중 2명에서만 병리조직표본 내 멜라닌 세포성 모반 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다. Breslow thickness로 측정한 종양의 두께는 1.0mm 미만, 4.0mm 초과가 각각 20명(24%), 21명(26%)씩 나타났고, 궤양이 31명(37.8%)에서 관찰되었다. 궤양은 종양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흔히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내원시 병기는 48명(58.5%)의 환자가 병기 0에서 II였다. 이상의 결과는 다른 국내 및 동양인의 보고와 유사하였으나, 서양인에서는 표재확장성 흑색종이 가장 흔한 임상조직학적 유형이며, 발생 부위도 남자는 체간, 여성은 하지에 호발하므로 차이를 보였다. 또한 2000년과 2002년의 국내 보고와 비교할 때, 결절성 흑색종은 줄어드는데 비해 표재확장성 흑색종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총 54명(65.9%)의 환자가 부산대학교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고, 이 중 23명(28.0%)에서 전초림프절 생검을 시행하였다. 전초림프절 생검 결과 7명(30.4%)에서 전이가 발견되었고, 전초림프절 생검 결과 양성을 보인 환자군이 음성인 환자군보다 원격 전이와 사망이 흔하게 발생하였다. 18명(33.3%)의 환자가 저용량 interferon-2b로 치료하였으며 이 중 8명(44.4%)이 치료를 완료하였다. 전체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72개월이었고 5년 생존율은 63%였다. PNUH melanoma clinic 운영 전후 각각 5년동안의 결과를 비교하자, 운영 후 새로운 환자의 수가 20명에서 61명으로 증가하였고, 전초림프절 생검을 시행받은 환자의 수도 1명에서 22명으로 증가하였으며, 치료를 받은 환자 중 부산대학교 병원에서 치료한 환자의 비도 60%(12명)에서 67.7%(42명)로 증가하였다. 치료 방법도 단순 수술만 시행한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58.3%(7명)에서 14.3%(6명)로 감소한 반면, 림프절 곽청술, 항암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및 interferon- α 등 다양한 기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한 환자가 증가하였다. 또한 통계적 의미는 없었지만 생존율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 결과적으로 부산대학교 병원에서 10년간 경험한 피부 악성 흑색종 환자들의 임상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국내 및 다른 동양인에서의 보고와 유사한 반면, 서양인과는 많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PNUH melanoma clinic의 운영 전후의 변화를 비교하여, 피부 악성 흑색종 환자의 관리에 팀적 접근이 중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