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협력병기(CS)를 이용한 유방암 환자의 생존요인 분석 : 중앙암등록본부 자료 중심으로 = Factors on Survival of Breast Cancer Patients Using Collaborative Stage : Focusing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582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생존 및 생존 기간 중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부위특이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자료로 국립암센터 중앙암등록본부(2010~2017)의 협력병...

      이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생존 및 생존 기간 중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부위특이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자료로 국립암센터 중앙암등록본부(2010~2017)의 협력병기(Collaborative Stage; CS)자료에 통계청 사망데이터를 연계하여 총 14,900건의 유방암 환자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데이터 조작, 변수변환 및 생성은 SAS 9.4로 실행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26.0으로 빈도분석, 검정, 단변량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단변량과 다변량 콕스비례위험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생존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전 단계로 변수진단을 위해 WOE(Weight of Evidence)와 IV(Information Value)를 추정하였다. IV가 70 이상인 변수들이 생존 여부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진단되었다. IV가 70 이상인 변수 중 종양 크기 범주에 따른 IV 변화를 확인하였다.
      유방암 생존 여부에 따른 카이제곱 독립성 검정(test) 결과 연령은 ‘40대’와 ‘70대 이상’에서 생존자의 비율에 큰 차이가 있었고, 분화도는 ‘고분화도’와 ‘저분화도’환자군에서 생존자의 비율에 유의한 큰 차이가 있었다(p<0.001). 원발부위에서는 ‘유두·유륜’ 부위 환자군의 생존자의 비율은 89.1%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종양이 퍼진 정도에서 ‘국소성’환자군 생존자의 비율은 94.3%로 높았고, ‘지역성’환자군은 61.2%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양성반응 국소림프절의 개수는 ‘50개 이상’환자군에서 65.9%의 생존자의 비율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종양 크기에 따른 생존자의 비율은 ‘상세불명’환자군이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70 mm 이상’환자군에서 66.4%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AJCC-7th Stage에서는 ‘Stage I’환자군 생존자의 비율은 98.7%였고, ‘Stage IV’환자군은 32.2%로 유의하게 차이가 컸다(p<0.001). SEER Stage에서 원격전이 생존자의 비율은 32.5%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삼중음성(TN)’환자군 생존자의 비율은 85.4%이고, ‘비삼중음성(NTN)’환자군 생존자의 비율은 92.4%로 ‘삼중음성’환자군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부위특이 요인의 에스트로겐(SSF01)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SSF02) 검사에서 ‘음성’환자군인 경우 생존자의 비율이 각각 86.8%, 87.8%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지역 림프 노드의 면역조직화학검사(SSF04)에서 종양이 ‘양성’환자군인 경우 98.3%로 생존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다(p<0.001). 노팅엄 또는 블럼-리차드슨 점수(SSF07)의 생존자의 비율은 ‘저등급’환자군이 97.9%로 가장 높았고, ‘기타’환자군이 85.5%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01). HER2 면역조직화학 검사(SSF08)에 따른 생존자의 비율은‘Score 1+’환자군이 93.4%로 가장 높았고, ‘검사를 안 한 경우’가 79.5%로 유의하게 가장 낮았다(p<0.001). HER2 검사 해석(SSF09)에서 생존자의 비율은 ‘경계성’94.0%, ‘음성/정상범위’92.5%,‘양성/증가’90.7%, ‘기타’ 86.1%의 순으로 낮아졌다(p<0.001). ER, PR, HER2 연합검사(SSF16)에서 ‘이중음성(DN)’ 94.8%, ‘삼중양성(TP)’ 93.1%, ‘단일음성(SN)’ 89.1%, ‘상세 불명’ 86.1%, ‘삼중음성(TN)’ 85.4%의 순으로 생존자의 비율이 낮아졌다(p<0.001). 동측 양성 액와 림프절 개수 평가 방법(SSF19)에서는 ‘음성’의 경우 96.9%, ‘림프 양성/세침흡인검사/핵생검’을 시행한 경우 60.0%의 생존자의 비율로 큰 차이를 보였다(p<0.001). 전이 존재 결정 방법(SSF20)은 ‘전이 없음’이 94.2%로 가장 높았고, ‘기타(신체검사 또는 방사선, 절개 생검, 절제 생검)’의 경우는 32.4%의 가장 낮은 생존자의 비율을 보였다(p<0.001). 수술 전 치료 시행 결과(SSF21)에서는 ‘수술 전 치료를 안 한 경우’(91.9%)보다 ‘수술 전 치료 반응이 있는 경우’(84.5%)가 생존자의 비율이 낮았다(p<0.001).
      생존 여부(surviva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로지스틱 단변량 회귀분석 결과는 연령, 원발부위, 원격전이, 종양 퍼진 정도, 국소림프절 침범, 국소림프절 진단 관련 사항의 결정 방법, 양성반응 국소림프절 개수, 검사한 국소림프절의 총 개수, 종양의 크기, AJCC-7 Stage, 부위특이 요인 SSF01∼SSF16, SSF19∼SSF21, SSF24, 삼중음성 여부, 생존 개월이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연령, 원발부위, 종양이 퍼진 정도, 양성반응 국소림프절 개수, 종양의 크기, AJCC-7th Stage, 부위특이 요인 SSF07, SSF09, SSF15, 삼중음성 여부, 생존 개월이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Cox-비례위험모형 다변량 분석 결과는 연령, 원격전이 여부, 종양 퍼진 정도, 국소림프절 진단 관련 사항 결정 방법, 양성반응 국소림프절 개수, 종양의 크기, AJCC-7th Stage, 부위특이 요인 SSF07, SSF09, SSF16, SSF21이 생존 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연구는 AJCC-6th Stage, AJCC-7th Stage, SEER summary stage의 세 가지 병기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협력 병기를 활용한 유방암 환자의 생존 위험요인에 대한 분석하였다. 빅데이터를 이용한 유방암 생존율 분석으로 국가 유방암 정책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 론 1
      •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제 2절 연구의 목적 5
      • 제 1장 서 론 1
      •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제 2절 연구의 목적 5
      • 제 2장 이론적 고찰 7
      • 제 1절 유방암의 정의 7
      • 1. 유방의 구조 및 유방암의 발생 원인 7
      • 2. 유방암의 원발부위(topography) 코드 9
      • 3. 유방암의 조직학적(histology) 코드 11
      • 4. 유방암의 진단 및 검사 12
      • 5. 유방암 치료 14
      • 제 2절 협력 병기(Collaborative Stage; CS) 17
      • 1. 협력 병기의 개념 17
      • 2. 협력 병기 조사 사업 개요 19
      • 3. 협력 병기 자료수집 21
      • 4. 협력 병기 자료 구성 24
      • 제 3절 TNM 병기(AJCC Stage) 27
      • 1. TNM 병기 개요 27
      • 2. TNM 병기 범주 및 병기 설정 일반규칙 29
      • 3. 유방암의 AJCC-6th (Cancer Staging Manual 6th) Stage 31
      • 4. 유방암의 AJCC-7th (Cancer Staging Manual 7th) Stage 33
      • 제 4절 요약 병기(Summary Stage) 35
      • 1. 요약 병기의 개념 35
      • 2. 요약 병기의 구성 37
      • 3. 유방암의 SEER(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 Summary Stage 2018의 구성 40
      • 제 5절 유방암 선행 연구 46
      • 1. 유방암 종양 크기 선행 연구 46
      • 2. 유방암 감시 림프절 선행 연구 47
      • 3. 삼중음성(Triple negative; TN)과 비삼중음성(Non triple negative;
      • NTN)의 선행 연구 48
      • 제 3장 연구 방법 51
      • 제 1절 연구자료 51
      • 제 2절 변수 52
      • 1. 독립변수 52
      • 2. 종속변수 52
      • 제 3절 연구모형 53
      • 제 4절 연구 가설 55
      • 제 5절 분석방법 60
      • 제 4장 분석 결과 62
      • 제 1절 분석자료의 특성 62
      • 1. 협력 병기 자료의 유방암 관련변수 62
      • 2. 협력 병기 자료에서 유방암 부위특이 요인 66
      • 제 2절 생존 여부와 영향 요인 및 부위특이 요인 간 연관성 72
      • 1. 생존 여부와 유방암 영향 요인 간 연관성 72
      • 2. 생존 여부와 유방암 부위특이 요인 간 연관성 77
      • 제 3절 생존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85
      • 1. 유의성 사전진단을 위한 WOE와 IV 도출 85
      • 2. 생존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단변량 분석) 92
      • 3. 생존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다변량 분석) 100
      • 제 4절 생존 기간 중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104
      • 1. 생존 기간 중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단변량 분석) 104
      • 2. 생존 기간 중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다변량 분석) 113
      • 제 5절 가설검정 결과 122
      • 제 5장 논의 131
      • 제 6장 결론 136
      • 제 1절 요약 136
      • 제 2절 결론 및 제언 148
      • 제 3절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 152
      • < 참고문헌 > 153
      • 1. 국내 문헌 153
      • 2. 국외 문헌 156
      • 3. Web Site 163
      • ABSTRACT 1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