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구 모양에 대한 4, 5, 6세 아동의 표상에 관한 연구 : 인지발달론적 접근

        金宣良 동덕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만 4, 5, 6세 아동이 지구의 모양에 관해 어떤 표상을 갖고 있는 지를 알아보고, 아동의 초기 표상 발달 과정이 피아제가 보여준 자연세계에 대한 아동의 인식 발달 과정 및 과학사에 나타난 초기 개념과 유사한 지를 살펴봄으로써 아동의 초기 인식 발달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상기(上記)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기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지구의 모양에 대한 4·5·6세 아동의 초기 표상은 어떠한가? 1-1) 지구의 모양에 대한 4·5·6세 아동의 언어적 표상은 어떠한가? 1-2) 지구의 모양에 대한 4·5·6세 아동의 영상적 표상은 어떠한가? 1-3) 지구의 모양에 대한 4·5·6세 아동의 언어적 표상과 영상적 표상은 일치 하는가? 2. 지구의 모양에 대한 4·5·6세 아동의 표상 발달 과정은 피아제가 보여준 자연계에 대한 아동의 인식 발달 과정과 유사한가? 3. 지구의 모양에 대한 4·5·6세 아동의 표상 발달 과정은 과학사에 나타난 지구에 대한 초기 개념과 유사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에 위치한 유치원 두 곳에 재원 중인 만 4세 및 5세 아동 각 21명과 22명, 초등학교 두 곳에 재학 중인 1학년생(만 6세) 아동 26명으로 총 69명이었다. 지구와 우주에 대한 아동의 초기 표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아제(1930, 1951)의 임상적 면접법과 Vosniadou(1976)와 Brewer(1989)의 면접법을 토대로 우리 나라의 4·5·6세 아동들에게 적절하도록 내용을 수정하여 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 시의 기록과 녹음 내용을 전사(transcription)한 후 아동의 언어적 표상을 분석하였고, 아동이 그린 지구, 땅, 우주 그림을 분석하였다. 또한 언어적 표상과 영상적 표상간의 일관성을 알아보고자 위의 자료를 비교하였다. 피아제가 보여준 자연세계에 대한 인식 과정을 근거로 3 단계의 유형을 분류하여 유사성을 알아보았고, 이론적 배경에서 살펴본 초기 인류의 개념 발달과 비교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 모양에 대한 아동의 언어적 표상을 살펴보면 전체의 84.1%의 아동이 지구의 모양을 ‘동그라미’라고 대답하였다. 4세와 6세 아동중 이와 같이 반응한 아동의 비율은 각 각 90.5%와 92.4%였던 반면 5세 아동은 68.2%로 감소하여 언어적 표상 과정에서 갈등을 겪는 것으로 보였다. 이외의 언어 표상으로는 ‘돌멩이’, ‘공’ 등이 언급되었고 ‘모른다’는 응답도 있었다. 둘째, 지구 모양에 대한 아동의 영상적 표상을 보면 먼저 4세 아동의 그림에서는 평면적 동그라미와 구형, 반구형이 나타났다. 5세 아동은 평면적 동그라미, 반구형, 구형, 우주(지구와 우주를 혼동), 줄 달린 지구를 그렸고, 6세 아동은 평면적 동그라미, 반구형, 구형, 이중원(도너츠), 우주(지구와 우주를 혼동), 줄 달린 지구를 그렸다. 셋째, 아동이 보여준 언어적 표상과 영상적 표상간의 일관성을 보면, ‘동그라미’라고 말하고 동그라미 유형의 그림인 평면적인 동그라미(원판형), 반구형, 이중원, 구형 등을 그린 아동이 전체 69명 중 53(76.8%)명이었다. 6세 아동 1(1.4%)명만이 ‘공’이라고 답하고 원판형을 그렸다. 대답을 못하고 그림도 그리지 않은 아동4(5.8%)명을 제외한 나머지 11(47.8%)명 중 5(7.2%)명은 ‘동그라미’라고 말하였으나 우주나 줄 달린 구형을 그리거나 그림을 그리지 못하였다. 반대로 그림은 동그라미 유형을 그렸으나 ‘돌멩이’라고 답하거나 말을 못한 아동이 6(8.6%)명 있었다. 특히 연령이 증가할수록 지구 모양에 대하여 다양하고 구체적인 표상을 하였고 언어적 표상과 영상적 표상간에 혼란스러움이 많아지는 것이 특징이었다. 넷째, 지구의 모양에 대한 아동의 표상 발달은 피아제가 보여준 자연계에 대한 아동의 인식 발달 과정과 유사하였다. 감각적인 자기 중심적 표상이 주된 1단계는 4세 아동이 가장 많았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줄어들었다. 한편 69명 중 47명(68.1%)은 과학적인 지식과 자기중심적인 경험을 함께 이용하는 2단계의 특성인 모순된 표상을 나타내었는데 6세, 5세, 4세 아동 순서로 높은 연령일수록 2단계 수준을 보인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피아제가 밝힌 온전하게 과학적으로 표상이 가능한 3단계 수준의 표상을 보여준 아동은 없었다. 다섯째, 초기 인류가 보여준 지구 모양에 대한 개념은 사각형, 원반, 반구형, 이중원, 구형 등이었던 것에 비추어 볼 때 지구 모양에 대한 아동의 표상은 그와 유사하였다. 특히 아동이 땅의 전체 모양을 평면적으로 표현한 점과 지구 모양에 관하여 자기를 중심으로 하여 편평한 땅과 둥근 하늘을 표현한 반구형 등의 표상은 초기 인류의 인식과 매우 닮아 있었다. 한편 아동들은 지구 모양을 알려주는 다양한 매체를 접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지닌 특유의 표상을 쉽게 버리지 못하고 갈등하거나 모순된 진술을 펼쳤는데 이는 초기 인류가 개념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오랜 세월이 걸렸음을 상기시켜 준다. 이상에서 전조작기의 아동들은 ‘지구는 둥글다’는 언어적 표상에는 익숙하나 그때의 둥글다는 의미를 영상적 표상과 일관성 있게 표현하는 작업이 어려운 단계였다. 즉 아동들마다 연령에 따른 일정한 발달 단계를 보였고, 그 안에서 각자의 경험에 따라서 다양한 표현과 설명이 가능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 아동들은 대부분이 지구나 우주 모양과 관련된 자료로 사진·지도와 영상매체, 지구본 등을 경험하였는데 ‘구형’이라고 말하거나 구형의 그림을 그린 아동들조차 지구의 모양을 과학적으로 인식한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전조작기 아동은 자연적인 현상이나 물리적인 대상을 표상하는 나름의 과정을 밟으며, 과학적인 개념의 형성을 돕고자 제공된 방식에 의해서 실제와는 다른 개념(misconception)을 습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아동에게 제공되는 천체의 개념 습득과 관계된 학습 환경은 보다 자연친화적이며 물리적이고 아동의 개념 발달 과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a) how children of 4, 5 and 6 years old conceptualize the shape of the earth; b) whether the emerged conceptual development resembles the stages proposed by Piaget; c) whether the emerged developmental process on earths shape is similar to that of acient societies. The subjects were 69 four-, five-, and six-years-old children, 21, 22, and 26 respectively. To collect verbal and pictorial responses, interviews were administered based on Piaget's clinical method as well as Vosniadou(1976) and Brewer(1989)'s questionaire. The data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verbal and pictorial categori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then to the Piaget's stages. They were also compared to the acient perspectives reviewed earlier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sectio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verbal representation of the earths shape, 84.1% of the children answered "circle". As for four- and six-year-old children, the answer rates were 90.5% and 92.4% respectively. The 68.2% answer rate of the five-year-old children seems to reflect their cognitive conflict. Other responses included "ball", "rock", and "don't know". Second, in the pictorial representations of the earths shape, the four-year olds drew flat circles, half spheres, and spheres. The fiveand six-year-olds represented more various shapes such as space (the earth as space with various cosmic bodies) confusion between earth and space, a sphere with a piece of string tied to it, flat circles, half spheres, spheres, etc. Third, regarding the consistency between verbal and pictorial representations, the number of children who answered "circle" and drew circles or the like were 53 (76.8%). Forth, the stages of conceptual development showed by the children matched those of Piaget's theory. The first stage was observed from most of the four-year olds. 47 out of the 69 children belonged to the second stage in which answers reflected contradictory conceptions. Meanwhile, no children belonged to the third stage. Fifth, the children's representations resembled those of the acient people. In spite of the fact that children of these days are frequently exposed to various scientific media from early on, they still seem to have trouble in constructing the correct physical representation of the earth. Accordingly we can speculate that it must have taken an immensely long time for the mankind to understand the true physical nature of the earth and surrounding cosmic bodies by dismissing its preconceptions. In conclusion, a child in the preoperational stage goes through a series of unique, subdivided process. During the process a child can fall into misconceptions due to the conflicts that arise from his/her preconceptions, everyday experiences, and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academic science programs. Therefore, academic science programs that are designed for those in early childhood should be a nature-friendly, physically-based program that takes children's perspectives into account.

      • 미세먼지 환경에서 3-6세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의 체험

        서주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383

        아동의 호흡기는 출생 시 미성숙한 상태로 아동의 성장하며 함께 발달한다. 3-6세의 아동이 미세먼지에 노출될 경우 정상적인 기관 발달에 문제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성인보다 더 많은 양의 오염물질을 흡입할 수 있어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가 커질 수 있다. 그러나 이 시기의 아동은 스스로를 위한 건강행위를 판단하고 수행하기에 어려우므로 어머니에 의하여 건강행위가 결정되는 측면이 크다. 어머니는 아이를 미세먼지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아동의 건강한 성장 발달을 위해 안전하게 실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해야 하고, 아동이 추후 스스로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하는 다중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미세먼지 환경에서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는 주로 어머니의 지식이나 인식, 태도 등을 주제로 한 양적 연구를 바탕으로 결과들이 도출되었으며, 어머니의 체험이 깊이 있게 탐구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세먼지 환경에서 3-6세의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의 체험을 연구 참여자의 관점에서 깊이 이해하기 위하여 현상학적 체험 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2020년 4월부터 2021년 3월까지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미세먼지 환경에서 3-6세의 자녀를 보호하며 돌본 경험이 있는 어머니 9명이었다. 참여자는 인터넷 맘카페에 참여 공고글을 올려 모집하였다. 자료는 심층 면담의 방법으로 포화시점을 고려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따라 연구 참여자의 체험의 의미를 도출하고 이를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 결과 34개의 주제, 14개의 주제 모음,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파악된 미세먼지 환경에서 3-6세의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의 체험은 ‘가림막이 되어 주기’로 나타났다. 미세먼지의 인체 위해성을 인지한 어머니는 이에 맞서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아직 신체와 면역체계가 미성숙한 어린 자녀를 보호하기 위해 애쓰고 있었다. 어머니는 가림막이 되어 주기 위해 애쓰지만, 늘어나는 일을 장기적으로 수행해야 함에 지쳐갔다. 가족과 주변 사람들의 협조는 부족하게 느껴졌고, 미세먼지를 없앨 수 없기에 완벽하게 아이를 보호하기에는 어려운 현실적 한계를 깨우치게 되었다. 어머니는 이러한 한계를 수용하고 돌파구를 모색하며 아이를 돌보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체험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포괄적인 미세먼지 대응 지침을 보완하여 미세먼지 취약 계층에게 적용할 수 있는 맞춤형 미세먼지 대응 지침의 개발을 제언한다. 어머니가 미세먼지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며 아동을 돌볼 수 있도록 미세먼지 교육 프로그램에 어머니의 심리적 지지를 포함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시행하는 미세먼지 교육을 가정으로 연계하여, 어머니들이 가정에서 아동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을 제언한다. A child's respiratory system is immature at birth and has developed along with their growth. Exposure to particulate matter in children aged 3-6 may cause problems with normal organ development. In addition, children are vulnerable to particulate matter because they can inhale higher amounts of pollutants than adults. However, it is difficult for children to judge and perform health behaviors for themselves. Therefore, health behaviors for children tend to be determined by their mothers. Mothers should support children's safe outdoor activities for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as well protect them from particulate matter. Moreover, mothers should educate their children to take care of their own health in the future. Most of previous studies were quantitative studies investigating mothers' knowledge, perceptions, and attitudes about particulate matter, whereas there are no studies that have explored the mother's lived experience taking care of children in the environment with particulate matter in dept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other's lived experience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2020 to March 2021, an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nine mothers who had experience protecting and caring for children aged 3-6 in the environment with particulate matter. Participants were recruited by posting a notice on the online community for mothers.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e in-depth interview method and considering the saturation poi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Colaizzi'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re were 34 themes, 14 theme clusters, and 5 categories. The mother’s lived experience of caring children aged 3 to 6 years old in the environment with particulate matter through this study was ‘becoming a shield’. The categories are ‘recognizing the health risk of particulate matter’, ‘actively searching for relevant information, ‘making efforts to become a shield for the child’, ‘realizing practical limitation’, and ‘accepting the limitation and seeking a breakthrough’. Based o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develop a customized guideline for children that will complement the current general guidelines for all.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o develop a particulate matter education program that include psychological support for mothers and composed of reliable information. It is suggested to support mothers to effectively educate their children at home by connecting the education program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 4-6세 아동의 어순ㆍ의미 단서에 따른 비교격조사 ‘보다, 만큼’의 이해 양상

        오경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334

        본 연구에서는 4, 5, 6세 아동의 어순 단서와 의미 단서에 따른 비교격조사 ‘보다’와 ‘만큼’의 이해 정도를 알아보고 어순 단서와 의미 단서가 ‘보다’와 ‘만큼’의 이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4, 5, 6세 아동 각 10명을 대상으로 문장 이해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문장 이해 검사는 한 페이지에 3개의 그림을 제시하고 검사자가 읽는 문장을 나타낸 그림을 이 중 찾도록 하였다. 검사는 ‘보다’와 ‘만큼’ 각 16문항, 총 32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문장들은 어순과 의미에 있어 정치, 도치, 의미상 참, 의미상 거짓의 네 가지 조건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보다’의 이해 정도와 연령 간의 관계는 유의하였고, 연령이 높을수록 이해 정도는 증가하였으며 5세 연령에서 78%의 이해 정도를 보여 습득 수준을 충족하였다. 그러나 ‘만큼’의 이해 정도와 연령 간의 관계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6세 아동들의 이해도도 36%에 그쳐 그 이해 정도가 매우 낮았다. 단서의 영향을 보면 ‘보다’와 ‘만큼’ 문항 모두에서 어순 단서의 영향이 있었다. ‘보다’의 경우 아동들은 정치 문장에서보다 도치된 문장에서 이해를 더 잘 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만큼’의 경우에는 정치된 문장에서의 이해 정도가 근소하게 나았다. 이는 문장 내 주격조사 ‘가/이’가 비교격조사와 경쟁하는가 여부와 관련있는 것으로 보이며 또한 부사어와 서술어의 거리와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의미 단서의 영향은 ‘보다’와 ‘만큼’ 두 경우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았고 이는 4세 이상의 아동들이 의미보다 조사를 더욱 강력한 단서로 활용함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검사에서 나타난 오류 유형을 보면 ‘만큼’ 문장의 주격조사 ‘가/이’를 단서로 채택한 오류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어순 단서에 의한 오류, 마지막이 의미 단서에 의한 오류 순이었다. 이는 역시 4세 이상의 아동들이 문장을 이해하는 데 조사를 가장 강력한 단서로 사용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단서 혹은 전략에 따른 문장 이해를 알아보는 유사한 연구들에서는 정치된 어순에서 문장 이해가 용이하였다는 것이 공통된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도 ‘만큼’의 경우에는 정치된 어순에서 근소하게 문장 이해 수준이 높았으나 ‘보다’의 경우는 그 반대였다. 전반적으로 우리가 평소에 주로 사용하는 형식인 정치 어순이 이해에 용이하나 이러한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문장 형태가 있고 ‘보다’는 그 중 하나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비교격조사는 비교적 뒤늦게 습득되는 형태로서 어린 아동들에게 그 출현은 부담이 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문장을 이해하는 데 사용되는 전략과 단서들이 보다 다양해져 조사와 서술어 간의 거리 등도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음을 추측하게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4 to 6 year-old children's interpretation of comparative marker ‘Boda, Mankeum'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influence which may be caused by word order cue and semantic cue to interpret the markers. 10 children of each age of 4, 5, 6 were tested by Sentence interpretation test. The children were asked to choose a picture from three pictures shown on a sheet of paper which they thought described the sentence after they were given a sentence. The test contains 32 sentences which are equally divided to two categories ‘Boda', ‘Mankeum'. The sentences are composed of 4 conditions - subject-go-first sentence, inverted, semantically true, semantically false. The results show that the relation of age and the interpretation of Boda is significant and as children are older, the interpretation of ‘Boda' is better. 5 year-old children show 78% of interpretation and it meets the acquirement level. The relation of age and the interpretation of ‘Mankeum', however, is not significant. The interpretation of ‘Mankeum' is very low and even 6 year-old children understood about 36% of the sentences. Regarding the influence of cues, word oder cue functions in both of ‘Boda, Mankeum'. In regard of 'Boda', the children comprehended better in inverted sentences than in subject-go-first order. On the contrary, the children comprehended better in subject-go-first sentences slightly. It is considered whether subject marker ‘Ka/Ih' competes with comparative marker in a senten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adverb and the predicate affect the interpretation. The influence of semantic cue is not significant to interpretation of both of ‘Boda, Mankeum'. It can be said that children older than 4 years old use makers as a stronger cue than semantic cue. Regarding error type, the error which was happened when children used subject marker 'Ka/Ih' in ‘Mankeum' sentence as a cue was most frequent, and the word order error was secondly frequent, and the semantic error was least frequent. It also shows that children older than 4 years old use marker as the strongest cue for comprehending sentences. Other studies which investigated about cues or strategy resulted that it was easier to interpret in subject-go-first sentence than in inverted. In this study, regarding ‘Mankeum', in subject-go-first sentence was easier to comprehend the context, it was, however, contrary about ‘Boda'. As a whole the sentence in which subject goes first, which we usually use, is easier to comprehend, but this is not applied to all the circumstances and 'Boda' is an example. Comparative marker is acquired relatively late, and it may lay children a load. This can be a cause of using more various cues to interpret sentences such as distance between the adverb and the predicate.

      • 음절이웃크기와 음소배열확률이 만 5, 6세 아동의 어휘인출에 미치는 영향

        이선영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6

        During the preschool period, children’s vocabulary expands rapidly while acquiring a variety of words. At this time, the ability to retrieve the words is an important variable when predicting language processing and learning ability in the following school age. Thus, it is important to explore elements that affect vocabulary retrieval for these groups. 'Syllable neighborhood density' and 'phonotactic probability' were proposed as the factors. ‘Neighborhood density’ means the number of words sharing a same phonological element. In Korea, it is mainly measured by the number of words with the same first syllable. The term 'phonotactic probability' refers to the probability that a sequence of sounds will occur in a lexical item. In syllable neighborhood density, it can affect the lexical stage that deals with the entire lexical representation, and in phonotactic probability, it can affect the sublexical stage that deals with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Domestic studies on these two elements are very rare, and even those studies are dominated by studies on adults. Therefore, the need for research on children is further emphasized.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yllable neighborhood size and phonotactic probability considering the word retrieval for children aged 5 and 6. 15 5-year-olds and 17 6-year-olds participated, and they were instructed to name a picture. The naming questions were produced based on the vocabulary list of the first level of vocabulary for Korean education by grade and the study of basic vocabulary selectio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two data as samples, a total of 1,747 vocabulary were calculated for each value of the syllable neighborhood density and phonotactic probability. Next, based on the median value, total of 4 conditions consist of pairs of the syllable neighborhood density high/low×phonotactic probability high/low conditions. The number of total items were 56, and 14 items for each condition. The task was conducted by looking at the pictures and quickly naming them.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syllable neighborhood density in the reaction time. However, the high phonotactic probability, in other words, the common phonotactic condition, showed a significantly faster response than the rare phonotactic condition. In the positive response score analysis,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 of individual element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syllable neighborhood density and the phonotactic probability. This showed the highest positive response score when interacting with fewer neighbors×common phonotactic probability and many neighbors×rare phonotactic probability, respectively. Lastly, when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ocabulary and each of the 4 condition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with 3 conditions and expressive vocabulary. Individually,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ppeared with the expressive vocabulary in the condition of many neighbors and common phonotactic condition. As a discussion of these results, the advantages of common phonotactic in reaction time can be confirmed. Moreover, it can be inferre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effects of syllable neighborhood density for children who do not yet possess sufficient number of lexical representations compared to adults. Furtherm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the interaction between neighborhood density and phonotactic probability, and the possibility that abundant vocabulary can act as promotion, especially in the condition of many neighbors and common phonotactic. Therefore, by utilizing these results, it can contribute to a more systematic composition of difficulty when making questionaries for the picture naming tests and selecting treatment vocabulary. 학령전기는 다양한 어휘를 습득하면서 어휘집이 급격하게 확장되는 시기이다. 이때, 습득한 어휘를 인출하는 능력은 언어처리와 인지 능력 발달 및 이후 학령기 시기의 학습능력을 예측하는 중요 변수이다. 따라서, 이들을 대상으로 어휘인출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탐구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 요소로 ‘음절 이웃 크기’ 및 ‘음소배열확률’이 제안되었다. ‘이웃 크기’란 공통적인 음운 요소를 공유하는 어휘의 수를 말하며, 국내에서는 주로 첫음절이 같은 단어들의 수로 측정된다. ‘음소배열확률’이란, 그 언어에서 단어 내 특정 위치의 소리 연쇄가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을 의미한다. 음절 이웃 크기의 경우 전체 어휘 표상을 다루는 어휘 단계, 음소배열확률의 경우 음운 표상 및 음운부호화 과정을 다루는 어휘후단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두 요소의 국내 연구는 매우 희박하며, 그마저도 성인 대상 연구가 주를 이룬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아동 대상 연구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바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 5, 6세의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어휘인출 시 음절 이웃 크기 및 음소배열확률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만 5세 15명, 만 6세 17명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에게 그림 이름대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이름대기 문항은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의 1등급에 해당하는 기초어휘 및 영유아의 기초어휘 선정 연구의 어휘목록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두 자료를 표본으로 총 1,747개 어휘의 음절 이웃 크기 및 음소배열확률 값을 계산하였다. 그 후, 중앙값을 기준으로 음절 이웃 크기 고/저×음소배열확률 고/저 조건으로 짝지어 총 4가지 조건의 목록을 구성하였다. 문항의 수는 각 조건별 14문항씩으로 총 56문항이었다. 과제는 그림을 보고 빠르게 이름을 대는 방식으로 실시되었으며, 실시 후 각 문항의 정반응률 및 반응시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응시간 분석에서 음절 이웃 크기의 유의한 효과는 없었으나, 음소배열확률의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고음소배열확률 즉, 흔한 음소배열 조건이 희귀한 음소배열 조건보다 유의하게 빠른 응답을 보였다. 정반응률 분석에서는 개별 요인의 유의한 효과는 없었으나, 음절 이웃 크기와 음소배열확률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이웃이 적은 조건과 흔한 음소배열 조건인 경우 및 이웃이 많은 조건과 희귀한 음소배열 조건인 경우가 각각 상호작용할 때 가장 높은 정반응률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어휘력과 4개 과제 조건 간 상관관계 분석 시, 표현어휘력과 3개 조건과의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개별적으로는 대부분 이웃이 많은 조건 및 흔한 음소배열 조건에서 표현어휘력과의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한 논의로, 반응시간 측면에서 흔한 음소배열의 이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아직 성인에 비해 어휘표상의 수가 충분하지 않은 아동에게는 음절 이웃 크기의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추론할 수 있다. 더불어 음절 이웃 크기와 음소배열확률의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과 어휘력 측면에서 특히 많은 이웃 및 흔한 음소배열 조건일 때 어휘의 풍부함이 촉진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여 이름대기 검사의 문항 제작 및 치료 어휘 선정 시 더욱 체계적인 난이도 구성에 기여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