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2009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중학교 1학년 함수영역을 중심으로 : With a focus on the concept of functions for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박현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51

        The curriculum of mathematics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due to the needs and request from the educational field and textbooks have been revised at the same time. It is meaningful to compare and contrast different kinds of textbooks as they vary in their contents, emphasis and ordering of the cont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hanges in contents and problems in the section of function in the math textbooks for 7th grade by comparing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and that of 2009. The goal of this comparison and contrast of newly revised textbooks is to learn the necessary requirements for teaching function more effectively.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 분석 :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신혜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51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이 2013년 3월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이 개정되었다. 이에 따라 2009 개정 교육과정이 단계적으로 시행되는데, 2013년에는 중학교 1학년이 새 교육과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고 올 해 부터는 중학교 2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이 새 교육과정의 적용을 받게 된다. 새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창의성을 강조하였으며, 수학 교과에서는 수학적 사고 과정과 수학적 사고 활동을 경험 하는 것이 강조되었다. 또한 교육내용도 문제해결, 의사소통, 추론 능력, 연결성 등과 같은 ‘수학적 과정’이 신설되었다. 이에 따라서 교육 내용의 구성도 학생들이 접하기 쉬운 주변 환경, 사회 혹은 과학과 같은 실생활 문제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수학적 개념을 익숙한 예로 접근하고, 새로운 개념을 배운 후에 새로 배운 개념을 다시 실생활, 즉 주변 환경, 사회, 과학 분야에서 어떻게 적절히 사용 할 수 있는지를 창의적인 방법으로 사고하여 활용할 수 있는 사람을 기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개정된 9종의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별로 창의적인 방법으로 새로운 개념을 접근하고 배운 개념을 활용하여 문제를 풀 수 있는 창의적이고 수학적인 사고가 가능한 문제들이 배치되어 있는 가, 또한 미래 사회에 있어서 공학적 도구의 사용이 불가피 해 질것에 대비한 문제들도 충분한 정도로 있는지에 대해서도 분석하고, 교과서가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때 적절한지에 대한 부분을 제언하였다. Starting from March of 2013, our country’s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revised into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As a result,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has been put into effect completely, with the Middle School 1st year curriculum having been changed in 2013. This year, the 2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1st year high school students will also be taught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The new curriculum places more emphasis on the humanities and creativity, and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there is increased emphasis placed on the thought process and experiential mathematics. Additionally, the educational content involves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skills, deduction, inferences, and other skills that demonstrate the “mathematical thought process”. In concurrence, the newly revised mathematical curriculum involves questions that put mathematics into context with real-life experiences, and environments, both social and scientific, that would be more applicable and easily understandable to the students. In this way, students learn mathematical concepts through real-life application, and after learning the concepts, are expected to reapply the concepts into real-life scenarios involving their personal environments, society, and science in a creative way. The main goal and intent of this new curriculum is to help these students develop into members of society who can use their mathematical education in a creative way to solve real-life problems. This thesis, therefore, will explore whether the nine established curriculum for 1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use questions that require students to approach and apply taught mathematical concepts in creative ways, whether there are enough questions given against the inevitable use of engineering tools in future society, and whether the curriculum is appropriate and suitable for the classroom environment.

      • 국어 교과서 문법 영역의 구현 양상 연구 : 음운 영역을 중심으로

        김지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35

        Asthe2009Revised NationalCurriculum introduced a new version ofKoreanLanguagetextbook,thisstudyaimstopresentasuggestion regarding the aspectofimplementation ofthe textbook's phonology areaby meansofcomparisonandanalysesfocusing onthephonology areaoftheauthorized textbook formiddleschoolcourses.Previously, in the Korean Language in Practice textbook were a number of fragmentsrelated tophonology area,which wasso unsystematicthat itled teachers and students to more and more stress when itwas used in classrooms.Thus,wewilllook into how thenew authorized KoreanLanguagetextbookimprovedtheproblemsofthepreviousone andinwhataspectitimplementsthecontentsofthephonologyarea. Forthepurposesabove,thechapterIIoverviewsthe2009 Revised NationalCurriculum and looked intomain pointsofrevision.And we looked into the contents of'Grammar'area in the curriculum after dividing them into goals, proposal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hen examined the achievement standardofgrammarareawhichisrelatedtothephonologyarea.And wefound thatsupplementary contentofeducation mightberequested by means of adding simple explanation about the achievement standards. The aspects of implementation were examined in four points:accomplishmentstandardssuggestedby curriculum,contentsof education,integration with Korean language norms and convergence withotherareas. The ChapterIIIcompared and analyzed the implementation aspects ofphonology area in the authorized 'Korean Language'textbook of 2009RevisedNationalCurriculum,andfocusedon thepointthateach text book mightimplementthe phonology area in a different way based on theautonomy and diversity guaranteed by theauthorization system fortextbooks.Theimplementation aspectswereexamined for the selection and presentation oflearning contents and presentation methodsoflearningcontents.Theformerdealtwithpresentationorder oflearningcontents,rangeofselectionandusageoftermsspecifically, and the latter materialized itinto research learning and aspects of integration,and theaspectsofintegration wasdivided intointra-area and inter-area integration to compare and analyze.In the result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textbooks, improvements and suggestions were proposed for the implementation aspects of phonologyarea. In ordertoinvigorategrammareducation,itismostimportantthat learnersshouldchangetheirawarenessandattitudeaboutgrammar.It can be realized in theenvironmentcentered by teaching․learning of grammar,andinthecoreisthetextbook.Thatiswhyitisnecessary toresearchthetextbooks.Sincesoundusageoflanguageisbasedon the knowledge ofgrammar ofthe language,developmentofdiverse and creative textbook mustconsiderdevelopmentstages oflearners, hierarchy of grammar knowledge and language life of learner for implementationofgrammarareaintextbooks. The new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eyettobereleasedtoallgrades,and2moreyearsare needed to be completed.Thus,it is difficult to find exactly how effective the new textbook ofthe curriculum willbe in the actual teaching․learning field.Although itmightbehasty to discussabout the textbooks which were distributed only to Grade 1 of middle schoolsso far,specifically Korean Language① and ②,wefind that this study is meaningfulin thatitmay help selecttextbooks and choosedirectionsofteaching․learning intheclassrooms.Furthermore, wehopethatthispaperwillbehelpfulfordevelopmentofauthorized KoreanLanguagetextbooksformiddleschoolcurriculum inthefuture. Key words:2009 Revised NationalCurriculum,Authorized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Middle School,Phonology Area,Norms of Language,AspectofIntegration 본 연구는 2009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새롭게 출현한 중학교 검정 ‘국어’ 교과서를 음운 영역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교육과정의 내용을 어떠한 양상으로 구현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교과서 단원 구성에 대한 제언에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Ⅱ장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을 개관하여 개정 중점 사항을 살펴보고, ‘문법’ 영역과 관련된 교육과정 내용을 2007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음운 영역과 관련한 문법 영역 내용 성취 기준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이번 교육과정이 학년군 성취 기준 제시로 통합 교육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종전과 달리 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 성취 기준이 각각 제시되어 있으며, 어문 규범 관련 성취 기준이 추가되어 어문 규범을 강조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번 교육과정이 이전과 달리 성취 기준에 간단히 해설을 첨부한 교육과정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Ⅲ장에서는 이러한 2009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중학교 검정 ‘국어’ 교과서의 음운 영역 구현 양상을 비교․분석하되, 교과서 검정 체제가 도입되면서 자율성과 다양성을 보장받은 교과서마다 음운 영역이 서로 다른 양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구현 양상은 ‘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 성취 기준 제시 순서에 따른 단원 구성, 음운 영역의 학습 내용, 어문 규범과의 통합, 타 영역과의 통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 성취 기준 제시 순서에 따른 단원 구성은 이번 교육과정에서는 ‘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의 두 개의 성취 기준으로 나뉘어 학년군별로 제시되어 교과서 역시 두 개의 성취 기준을 각각 독립된 소단원으로 구성하고 있었다. 또한 5종 교과서 모두 성취 기준에 제시된 순서에 따라 ‘음운 체계’를 1학년에 먼저 제시하고, ‘음운 변동’을 2학년에 제시하여 학년 위계를 고려하여 구성하여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한 학년에 하나의 성취 기준으로 제시되어 교육 내용이 한 학년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음운 영역의 학습 내용은 교과서마다 보편적으로 다루는 대표적인 교육 내용 외의 교과서 검정 체제에서 교육과정을 해석하는 관점에 따라 달리 나타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선정하여 그 구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셋째, 이번 교육 과정에서 어문 규범 교육을 중시하고 있는 만큼, 이의 선행 지식이 되는 음운 교육 또한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어문 규범과의 통합은 음운 영역이 어문 규범의 선행 지식으로서 작용하도록 단원 구성이 이루어져 있는가, 효율적인 어문 규범 교육을 위해 오용 현상과 관련 있는 음운 영역의 내용 요소를 표준발음, 맞춤법과 관련하여 선정하고 이들이 교과서에서 어문 규범의 교육 내용과 어떻게 통합되어 구현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넷째, 타 영역과의 통합은 영역 내 통합이든 타 영역과의 통합이든 문법 교육에 있어 궁극적인 목적은 바람직한 언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있음에 주목하여 언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통합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중학교 검정 국어 교과서의 음운 영역 구현 양상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서 그에 대한 제언도 함께 결론에 제시하였다. 2009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새 검정 ‘국어’ 교과서가 아직 학교 현장에서 일부 적용되었으며, 전 학년에 적용되려면 2년의 기간이 더 필요하다. 따라서 이번 교육과정을 반영한 교과서가 실제 교수․학습에서 어느 정도 실효성을 거둘지 정확히 진단하기는 어렵다. 또한 현재 중학교 1학년에 국어①,②권만 적용된 시점에서 아직 시행되지 않은 교과서를 논의하는 것이 섣부른 논의일지 모르나 앞으로 학교 현장에서 교과서 선정과 교수․학습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함에 본 논문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아울러 본 논문이 앞으로 있을 중학교 검정 국어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2009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분석 : 동학농민운동을 중심으로

        박은혜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35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한국사』교과서 분석 - 동학농민운동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High School『Korean History』 Texts of 2009 Revised Curriculum - Focusing on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역사교육전공 박 은 혜 지 도 교 수 홍 순 권 본 연구에서는 먼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한국사 교과의 서술 지침에 대해 살펴보고, 이어서 2009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6종 교과서가 지닌 체제와 구성상의 특징을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 별로 나누어 비교해보았다. 또 2009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6종 교과서 동학농민운동 본문의 서술방식, 탐구활동, 사진/그림, 지도, 도표, 읽기 자료 등 각종 학습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새 교과서의 특징과 한계를 검토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한국사 교과는 교과서의 체제와 내용에 있어서도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채택했던 분류사 체제가 통사 체제로 전환되고, 근현대사가 강조가 되며 전근대사 서술이 대폭 축소되고, 한국사와 세계사와의 관련성이 더욱 중요시되는 등 교과서의 큰 틀이 결정되었다. 2009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6종 교과서가 지닌 체제와 구성은 역사교과서 집필 기준에 의해서 집필되었지만 중단원과 소단원의 구성을 통하여 다소간 차별성을 두었다. 중단원명을 살펴보면 동학농민운동을 비상교육은 갑오개혁과 함께, 지학사는 청·일전쟁과 함께, 천재교육은 조선의 근대 개혁운동과 함께 설명하고 있다. 동학농민운동시기를 세계사와의 관련성을 중시한 점, 봉건적 사상이나 제도에 반대하는 입장을 강조한 점, 외국 세력의 침략과 간섭에 대해 반대한 점, 침략행위에 대해 반대하는 점 등 서술에 조금씩 차이가 있다. 6종 교과서는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많은 학습 자료를 싣고 있으나, 출처를 밝히지 않은 사료와 사진에 대한 설명이 미흡한 자료 있다. 또한 동학농민운동 중심의 역사 내용을 시기별로 일어난 여러 사건들의 나열에 그치고 있어 정작 농민 운동에 참여했던 주체인 농민들의 다양한 사고방식과 삶의 모습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 교과서 서술지침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학생들이 역사에 대해 다양하게 생각 할 여지가 많지 않았다. 6종 교과서의 동학농민운동의 서술내용과 학습자료를 살펴본 결과 차이점보다는 비슷한 내용의 서술과 같은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공통점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 한국사가 지닌 체제와 구성에 맞추다 보니 6종 교과서는 대단원, 중단원이 똑같으며 소단원도 비슷한 내용의 서술로 이루어져 있었다. 교육과정의 큰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서술체제와 구성 등 6종 교과서 모두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내용의 서술체계나 학습자료의 선택과 배열방식에서는 다소간 차이가 드러난다. 같은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교사가 어떻게 수업에 임하느냐에 따라 수업이 달라지고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지가 결정된다. 그리하여 탐구활동과 자료가 가장 많은 미래엔 교과서가 법문사‧천재교육 교과서보다 탐구활동을 바탕으로 알찬 수업을 할 수 있게 제시되어있다. 그러나 한걸음 더 나아가 역사신문만들기, 역할놀이, 사료중심 탐구활동 등을 통하여 학생이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역사적 사실을 직접적으로 파악하고 심층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교과서 내용의 사실 여부나 역사적 해석을 검토해 나가야한다. 그리고 다양한 검정 교과서들이 서로 경쟁해서 교과서의 변화와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견해 중 어느 한 방면 만을 직접 인용하기 보다는 학생들에게 혼란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의견도 함께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과서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수업방식을 연구해야 한다.

      • 창의·인성 교육 요소를 반영한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의 '녹색소비 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김지윤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35

        This study analyzed and extracted the contents of green consumption in technology & household management textbook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2009. Reflecting creativity, human nature training factors, the teaching-study draft was tried to be developed for green consumption training. Through this, as juveniles practice green consumption through classes and houses with creativity and cooperation. It was intended to provide chances to perform green consumption and recommend it to the third party at the same time, to improve creativity and human nature by practicing right green consumption.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actical steps of green consumption is divided into attitude⋅recognition(information research), green purchasing, green usage, green disposal, leading behavior. Centered in these, educational contents to teach for total six classes have been designed. In the first class, topic for each class handles with temperature change and environment crisis. In the second class, consumption life and environment. In the third class, green products purchasing. In the fourth class, right green usage and management. In fifth class, green disposal and recycling. In sixth class, leading behaviors for green consumption. Classes progress in the flow of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summary. Each step progresses 3 factors and 6 steps according to CPS. And green consumption training class was comprised of creative thinking methods in each study topic in each class and human nature factors. According to study topic in each class, the creative thinking ways such as Mind Map, Highlighting, Wish List, Six thinking hats, Attribute Listing, Scamper, Lotus blossom technique, Evaluation matrix, PMI Methodology were used. Diverse diversified thoughts and converged thoughts were drawn. Human nature factors like environment-friendly capability, responsibility, decision-making ability, care, problem-solving ability, confidence, and civil awareness were tended to be composed. The first developed teaching-studying curriculum draft has been completed by reflecting reviews and taking validity and suitability tests through one present middle school teacher, one green consumption instructor, one professor of university household management department. The developed teaching-study process draft may contribute for juveniles to discover diverse problems of consumption life critically and creatively. It will help juveniles improve their practical improving awareness and create correct green consumption culture as a prospective consumption society subject. 본 연구는 2009 개정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서의 녹색소비 내용요소를 분석·추출하여, 창의·인성 교육 요소를 반영한 녹색소비 교육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청소년들이 녹색소비 실천 과제를 가정과 수업을 통해 창의적이며 협동적으로 수행해봄으로써 올바른 녹색소비생활을 실천하고 제3자에게 선도함과 동시에 창의·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이론적 배경을 통해 녹색소비의 영역별 실천 단계를 크게 태도·인식(정보탐색)-녹색구매-녹색사용-녹색처분-선도행동으로 나누고, 이를 중심으로 총 6차시의 세부적인 학습 지도 내용을 구성하였다. 차시별 주제는 1차시는 기후변화와 환경의 위기, 2차시는 소비생활과 환경, 3차시는 녹색제품의 구매, 4차시는 올바른 녹색사용과 관리, 5차시는 녹색처분과 재활용, 6차시는 녹색소비를 위한 선도행동이다. 수업은 크게 도입, 전개, 정리의 흐름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단계는 창의적 문제해결모형(CPS)에 따라 3요소 6단계로 진행된다. 그리고 각 차시별 학습주제에 따라서 창의적인 사고기법인 마인드맵, 하이라이팅, 희망열거법, 육색사고모자기법, 속성열거법, 스캠퍼기법, 연꽃기법, 평가행렬법, PMI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이끌어내고, 인성 요소인 환경친화능력, 책임감, 의사결정능력, 배려심, 문제해결능력, 자신감, 시민의식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1차로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은 대학교 가정교육과 교수 1인, 녹색소비 강사 1인, 현직 중학교 교사 1인을 통해 타당성 및 적합성을 검증 받았고, 검토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교수-학습 과정안을 완성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은 청소년들이 소비 생활의 다양한 문제를 비판적이고 창의적이며 자주적으로 발견해봄으로써 실천적 개선 의식을 도모하고, 미래 소비사회의 주체로서 올바른 녹색소비 문화를 창조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키워 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국어과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의 교과서 실행 양상과 교사 인식 연구 : - 초등 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황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19

        본 연구는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의 특성을 살펴보고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의 교과서 실행 양상과 교사 인식 양상을 분석하여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텍스트 중심 국어과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Ⅱ장에서는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텍스트의 개념을 정의하고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으로서 갖는 의의를 살피면서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의 의미와 특징을 정리하였다.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은 실제를 중심으로 의사소통 기능에 따른 다양한 텍스트의 갈래별 특징을 습득하여 한 편의 온전한 텍스트를 수용하고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을 둔 교육과정을 말한다. 내용체계에 있어 실제의 반영 양상이 두드러진 점이나 지식 범주의 하위 요소로서 글의 특성이나 유형이 추가 되었다는 점 그리고 내용 성취 기준의 진술 양상에 텍스트 요소가 반영되었다는 점이 이전 교육과정과 비교했을 때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으로서 두드러진 특징 변화라고 할 수 있다.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의 내용은 텍스트 갈래 지식으로서 텍스트 갈래 지식 요소를 추출하여 텍스트 갈래의 의미, 텍스트 갈래의 구조, 텍스트 갈래의 맥락, 텍스트 갈래의 표지, 텍스트 갈래의 내용으로 나누어 그 개념을 정리하였다.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교수·학습 방법은 텍스트 갈래 지식을 고려하는 것과 실제적인 텍스트의 수용·생산 경험을 통해 지도하는 것, 국어 활동의 총체성을 고려해 영역 간, 영역 내의 학습 요소를 통합하여 지도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실제 국어 교과서에서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이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그 양상을 밝혔다.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에 실리는 텍스트의 학년군별 위계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둘째, 텍스트를 선정하여 교수 학습하는 과정에서 단원별 활동이나 학습 내용의 위계가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교과서에 수록되는 텍스트는 텍스트 고유의 특성이 잘 드러나는 전형적인 텍스트여야 한다. 넷째, 텍스트 지식의 진술 양상을 통일하여 제시해야 한다. 2009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서는 다양한 텍스트 갈래를 수록하고 있고 텍스트 갈래 지식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나 몇 가지 아쉬운 부분들이 눈에 띄었다. 위와 같은 시사점들을 수용하여 앞으로 교과서 개발의 방향성을 잡는다면 교과서는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의 실행을 위한 올바른 지침서 역할을 충실히 해낼 수 있을 것이다. Ⅳ장에서는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의 결과를 통해 교사들이 텍스트 지식의 교수·학습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지하고는 있지만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이나 텍스트 지식에 관한 이해도가 상당히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들은 학습 필요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내용이 교과서에 제대로 실현되고 있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주로 교과서와 지도서를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된 내용을 그대로 믿고 따라 수업하는 경향을 보였다. 텍스트 지식을 수업시간에 다루지 못하는 경우는 대부분 시간 부족 때문이었다. 흥미로운 점은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교사가 수업을 재구성하거나 다른 텍스트 자료를 준비하는 등 동일한 갈래의 수업을 좀 더 풍부하게 준비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교육과정 자체에 관심을 가지고 교육적으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더불어 교사를 재교육하기 위한 다양한 연수 기회를 제공하는 등 제도적 장치가 확보되어야 한다. 둘째,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의 특징과 교수·학습에 있어서 강조해야 할 부분이 교사용 지도서나 교과서에 명확하게 명시되어야 한다. 셋째, 텍스트 갈래 지식 중 강조해야 할 점은 교과서에서 교육내용으로 선정해 제시해야 한다. 넷째, 학습자가 수업시간 내에 텍스트 갈래 지식을 충분하게 이해·표현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이 연구는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을 세분화하여 개념 및 특징을 밝히고, 교육과정의 교과서 실행 양상을 2009 개정 국어과 교과서를 통해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교사들의 인식 양상을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 특히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를 자기 평가를 통해 직접적으로 묻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 갈래 지식에 대한 간접적인 물음을 통해 실제적인 이해도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의 운영 실태와 수업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신영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19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도입된 고등학교 '과학'의 운영 실태와 및 수업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서울을 비롯한 전국 16개 시도에서 2011년 한 해 동안 고등학교 '과학'을 수업한 인문계 및 전문계 과학교사 15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과학’의 운영 방식은 1명의 교사가 모든 단원을 수업하는 경우보다 2명 이상의 교사가 전공별로 혹은 제1부/제2부로 나누어 수업하는 경우가 더 많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과학’을 선택한 이유는 이전 교육과정과 같이 필수라고 생각하여 선택한 교사가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해 선택하였다고 응답한 교사보다 더 많아 새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가 부족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사들은 내년에도 고등학교 ‘과학’을 1학년에 선택하겠다고 응답하였다. 과학교사들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과 기존의 과학의 큰 차이점으로 주제 중심의 통합적 내용 구성과 첨단 과학 내용의 도입을 들었다. 구성 내용과 관련하여 교사들은 고등학교 ‘과학’은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해 필요한 과목이며, 과학개념을 통합적으로 잘 구성하였고, 개념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과학․기술․사회의 연관성이 잘 나타났다고 인식하였다. 전반적으로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가 교육과정 내용을 잘 반영하였다는 인식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교사들은 첨단과학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용어나 개념의 수준이 높다고 지적하였다. 고등학교 ‘과학’을 지도할 때, 많은 교사들은 과학적 소양 함양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효과적인 학습지도를 위해 다양한 자원을 활용해 수업자료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교사들은 일부의 교수내용은 전공에 관계없이 어렵게 인식하였으며 특히, 자신의 전공과 다른 영역을 설명하는 것이 힘들다는 응답이 많았다. 또한, 평가에서는 기본 과학 개념의 이해와 기본 개념들 간의 유기적이고 통합적인 이해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나서, 교사들은 여전히 기존의 평가관을 유지하고 있으며 고등학교 ‘과학’의 주요 목표로 인식하고 있는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보다 다양한 영역의 평가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