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모의 훈육태도와 아동의 친구관계 간의 상관연구

        나은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2

        이 연구는 부모의 훈육태도 유형이 아동의 친구관계와 상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있는 1개 초등학교 4, 5, 6학년 남녀 학생 343명과 그 학부모들이다. 연구방법은 아동들에게 친구관계에 관한 설문지에 답하게 하고, 그 부모들에게는 훈육태도에 관한 설문지에 답하게 하여, 부모의 훈육태도와 아동의 친구관계가 상관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부모의 훈육태도는 단호한 훈육태도, 공격적 훈육태도, 수동적 훈육태도의 3가지로 분류하여 설문지에 가장 많이 응답한 훈육태도를 그 부모의 훈육태도로 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의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학력, 직업, 동거여부, 직장유무는 부모의 훈육태도와 상관이 없다. 또한 자녀의 학년, 성별, 형제의 수 역시 부모의 훈육태도와는 상관이 없다. 반면에 조부모 중 할아버지의 동거여부는 부모의 훈육태도와 관계가 있고, 할아버지와 함께 사는 경우보다 할아버지와 함께 살지않는 경우에 부모의 훈육태도가 더 단호한 반면 부모의 공격적인 훈육태도는 할아버지와 함께 살지 않는 경우보다 할아버지와 함께 사는 경우에 더 높다. 아동의 성별이 친구관계와 상관이 있는지를 연구한 결과, 여자 아동들이 남자 아동들 보다 친구관계 점수가 더 높아 여자 아동들이 친구관계에 있어서 더 긍정적이었다. 아동의 형제의 수가 친구관계와 상관이 있는지를 연구한 결과, 외동이들보다 형제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에 친구관계 점수가 더 높아 친구관계에 있어서 더 긍정적이었다. 부모의 동거여부가 친구관계가 상관이 있는지를 연구한 결과, 부모의 동거여부가 아동의 친구관계와 밀접한 상관이 있었다. 즉, 부모 모두와 같이 사는 아동들이 부 또는 모와만 사는 아동들보다 친구관계 점수가 더 높아 친구관계에 있어서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친구관계 점수는 공격적 훈육태도, 단호한 훈육태도, 수동적 훈육태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의 훈육태도 중 공격적 훈육태도로 키운 아동의 친구관계와 수동적 훈육태도로 키운 아동의 친구관계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격적 훈육태도로 키운 아동의 친구관계가 수동적 훈육태도로 키운 아동의 친구관계 보다 친구관계 점수가 더 높아, 공격적 훈육태도로 키운 아동이 수동적 훈육태도로 키운 아동보다 친구관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계속 추구해 나갈 문제점과 전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훈육태도를 공격형, 단호형, 수동형으로 제한하여 연구하였는데 다른 변인들과 관련도 분석해 보고 좀 더 다른 분류 방법으로도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부모의 훈육태도를 측정할 때 설문지에 아동의 이름을 적게 함으로써 답변의 진실성이 떨어졌다. 설문지에 이름을 적지 않으면서 아동의 설문지와 짝지을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요구된다. 셋째, 아동의 친구관계가 설문지를 통해 조사됨으로써, 아동의 실제 친구관계가 측정되지 못했고, 아동이 지각한 친구관계가 측정되었다. 실제 친구관계를 묻는 설문지라든가 실제 친구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넷째, 비록 이 연구에서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구분하지 않은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나, 아버지와 어머니의 훈육태도를 따로 작성하여 각각의 특성을 살펴보면 더 효과적이라고 본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조사 연구의 어려움 때문에 표집 대상을 한 학교로만 제한하였으나, 강북과 강남으로 구분하여 지역에 따른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tented to knowing that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disciplinary attitude and children's peerre ationship. The object of this study were 343 children in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4th, 5th, 6th grade) and their parents. The children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peer relationship, and their parents were asked to give answer to the questionnaires concerning disciplinary attitude. And then whether there were any connections between parent disciplinary attitude and child peer relationship was examined. The parent disciplinary attitude were divided into three: determined, aggressive and passive ones. And the disciplinary attitude each of the parents most widely responded to was selected as his or her dominant disciplinary attitud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Among parent demographic variables, disciplinary attitude had nothing to do with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whether or not they lived with their children, or whether or not they were working. The disciplinary attitude had no relations with child school year, child gender or the number of child siblings, either. On the contrary, whether their children's grandfather lived with them together had some bearings on parent disciplinary attitude. The parents who didn't dwell with their children's grandfathers under the same roof took a more determined attitude than those who did, but the latter group showed more aggressive attitude than the former group. As a result of looking into connections between child gender and peer relationship, the girl children scored better in peer relationship than the boys. This implied that the girl children got along with their friends better. Whe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siblings and peer relationship was investigated, the children who had two or more siblings got higher score in peer relations than those who were an only child in their families, and this fact signified that the former group had better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Regarding connections between peer relationship and whether or not they lived with parents, there appear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ose who lived with both parents together scored higher than the others who only lived with one of them, which indicated the former group kept better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The order of score of children's peer-relationship was aggressive-discipline, assertive-discipline, nonassertive-discipline.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aggressive-discipline children and nonassertive-discipline children in their friend-relationship. In other words, aggressive-discipline children got higher score in their friend-relationship and had better relations with friends. Based on the findings above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further study on not friend-relationship that children cognize but real children's peer-relationship. There are several challenges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First, this study only focused on aggressive, determined and passive styles among parent disciplinary attitudes. It's needed to turn our eyes into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or other types of disciplinary attitudes. Second, the children were asked to write down their names on the questionnaires when parent disciplinary attitude was measured, and this resulted in deteriorating the reliability of their answers. How to discern between respondents and their answer sheets without having them record their names on them should be studied. Third, the children's peer relationship was tested by the questionnaire method, and no further action to make a more objective evaluation was taken. As a consequence, it's just possible to find out how their peer relationship was perceived by themselves. A more accurate method to track their actual peer relationship is called for. Fourth,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out separating the father group from the mother group, but it seems better to carry out separate survey on the two groups to figure out each group's characteristics. Fift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confined to the children from a school since it's not available to cover more schools. It's necessary to take a look at different geographic regions, especially Gangbuk and Gangnam areas.

      • 부모의 훈육태도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김현정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2

        국문초록 부모의 훈육태도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전공 김 현 정 지 도 교 수 이 경 화 부모는 유아기 자녀가 성숙하지 못하고 통제적이지 못한 행동을 바르게 생활해 가도록 올바른 가치관 형성과 건전한 인격으로 성장해 갈 수 있는 기본적인 생활습관을 도와야 한다. 본 연구는 바람직한 부모의 훈육태도로 유아 자녀의 기본생활습관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기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부모의 훈육태도가 유아의 기본생활 습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부모의 훈육태도 유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부모의 훈육태도는 배경변인(부모의 훈육역할, 연령, 교육수준, 자 녀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부모가 인식한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부모의 훈육태도에 따라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5. 부모의 훈육태도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지역에 있는 총 5개 유아교육기관의 만 4세에서 만 5세까지 유아의 부모 300명이며, 최종 회수되어 처리된 설문자료는 236부이다. 통계처리는 SSP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는 유아에게 나타나는 문제행동 통제방법으로 자신이나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이해시키는 설득적 훈육태도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유아의 행동 통제 방법으로 부모의 권력과 벌, 큰소리로 대하는 권력단언적 훈육태도, 마지막으로 유아 행동에 대한 불인정의 표현과 의사소통을 거절하는 애정철회적 훈육태도 순서로 나타났다. 부모의 훈육태도 영역별 유형에서는 유아의 행동이 공격적이고 사회적 규범을 규제를 해야 할 때 권력단언적인 태도로 대하는 부모 훈육태도가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개인적 문제행동에 대한 관점에서는 설명과 이해로 대하는 부모의 설득적 훈육태도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훈육태도는 부모의 훈육역할, 부모의 연령, 자녀수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부모의 교육수준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부모 교육수준 집단 별로 설득적 훈육태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유아기 훈육에 대한 이해와 지식, 정보의 차이로 보여 진다. 셋째,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은 청결, 질서, 예절, 절제 영역에서 유아가 대체적으로 잘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훈육태도에 따른 기본생활습관은 청결, 질서, 예절, 절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청결과 절제영역에서 부모의 설득적인 훈육태도로 대할 때 가장 높게 실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질서와 예절영역에서는 부모가 무관심이나 거부적인 태도로 대한다고 해도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이 잘 실천되고 있는 것으로 부모의 애정철회적 훈육태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다섯째, 부모의 훈육태도와 기본생활습관 청결, 질서, 예절, 절제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훈육태도가 설득적인 태도일수록 기본생활습관 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부모의 설득적인 훈육태도에 따라서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부모의 훈육태도는 유아의 상황적인 문제 즉, 사회적 규범과 공격적 행동에 대한 규제, 개인적 행동관점에 따라서 부모의 훈육태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부모의 훈육태도는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을 위하여 부모의 행동이 우선적으로 모범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가정에서 유아 기본생활습관에 관심을 기울이게 하고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부모 훈육태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해야 될 것이다. ABSTRACT An Influence of Parents' Discipline Attitude on Children's Basic Life Habits Kim, Hyeon Jeong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sis director, Lee, Kyeong Hwa Parents have to assist their children to get desirable basic life habits by forming right sense of value and healthy personality so that they can control themselves and lead their lives with matu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parents with some basic data to lead their children's basic life habits efficiently with desirable discipline attitud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arents' discipline attitude on their children's basic life habits I established the following themes. First, how about the parents' discipline attitude? Second, is there difference in parents' discipline attitude according to the factor of their background (parents' disciplinary role, age, academic level, number of children)? Third, what is the children's basic life habits perceived by parents? Fourth, is there difference in children's basic life habits according to the parents' discipline attitude? Fifth, is ther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discipline attitude and children's basic life habits? For this purpose, I chose 300 parents of children aged between four and five in 5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s the subjects and at last I collected 236 questionnaires for the research. For the data process, I used SPSS 12.0 program and conducted one-way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as the control method for the problematic behavior of children, persuasive discipline attitude, which explains and makes understand about their effect on themselves and others, showed highest frequency, and then power-assertive attitude, which uses power, punishment, andloud voice, and for the last there was love-withdrawing attitude, which expresses disapproval and rejects communication. Seeing parents' discipline attitude style for the area of children's behavior, they usually used power-assertive attitude when they have to control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and their social norm. But, as a whole, they used persuasive discipline attitude, which uses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for their problematic behavior related with private thing. Secon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s' discipline attitude according to the parents' disciplinary role, age, and the number of children but there was according to the parents' academic level. This result seems from the different level of understand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y pertain about the early childhood discipline. Third, they were the areas of cleanness, order, etiquette, and self-control that the parents generally perceived their children practice well. Fourth,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difference in cleanness, order, etiquette, and self-control in the basic life habits according to the parents' discipline attitude. Generally when the parents used persuasive discipline attitude, children's habits of cleanness and self-control were practiced at the highest level. And in the areas of order and etiquette, even though parents showed the attitude of ignorance and rejection, their children practiced them well so they used high level of love-withdrawal discipline attitude. Fifth,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discipline attitude and the basic life habits of cleanness, order, etiquettes, and self-control. That is to say, the more the parents use persuasive discipline attitude, the more the children show high score of basic life habit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 could conclude the followings. When the parents use persuasive discipline attitude, their children show high level of basic life habits. And parents' discipline attitude have a tendency of changing according to the problematic behavior of the children. That is to say, their discipline attitude changes on the condition whether they judge it social norm and aggressive behavior or private thing. I think when practicing discipline in the house, first of all, the parents have to show a modeling behavior. And also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should develop and distribute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parents' discipline attitude as well as have them take interest in children's basic life habits.

      • 유아의 성별 및 연령과 어머니의 훈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강혜경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out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which occur in a kindergarten according to their sex and age and their mothers' discipline styles perceived by the teachers and the mothers apart. The research sampled 46 for-year-old and 46 five-year-old as the subject. The subject of study also included their mothers and teachers. The questionnaire devised by Behar and Straingfield(1974) to inspect behaviors and unadaptable behaviors of early children aged from 3 through 6 was used as the tool of study. In order to survey mothers' discipline styles, the questionnaire created by Hoffman and Saltzstein(1967) and then translated and revised by Kim, Young-suk(1975) and Kim, Dong-pa(2001) was applied. In the procedure of study, a preliminary inspection was performed from April 1st, 2003 through April 8th, 2003 and then the regular inspection was executed from April 21th, 2003 through May 1st, 2003. The t-test of an independent group was employed with the use of SPSS/PC in the statistics and analysis of the data to find out any difference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ffected by their sex and age. On the other hand, the distributed analysis of multiple variables was used to research any difference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influenced by mothers' discipline styl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atistics shows that boys are more aggressive and inattentive than girls in their problem behaviors. Second,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by age. Third, in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ffected by mothers' discipline styles, the values are high statistically in aggressive behaviors and inattentive ones except for anxiety behaviors when the teacher perceives that the mother's discipline style is authoritarian. However, children's problem behaviors caused by the mother's discipline styles perceived by the mother herself doesn't have any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 어머니의 훈육태도와 유아의 자아개념과의 관계

        이현주 조선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0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discipline style and their child's self-concept. To meet this purpose the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mother's discipline style according to their back grounds factors such as age, job, education?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mother's discipline style according to child's gender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s self-concept according to mother's discipline style? 4) Is there any interaction effect between mother's discipline style and with the child's gender in developing child's self-concep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 children and their mothers. Mother's discipline styles includ were power assertion, love, withdrawal and induction. Children were five-year-old kindergarteners in Jeon nam province. In order to investigate mother's discipline style,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The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kim Dong-pa(2000)'s discipline style questionnaire which translatle hoffman and Sotzstein(1967) Child's self-concept was measurrd by kim, Jae-Bong(1987)'s pictorial materials named "I feel me feel" developed by Bently & Yeatts. This was translated and adapted by kim, Jae-Bong(1987). Child's self- concept was individually interviewed.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 x²test, one way ANOVA and two way ANOVA using a SPSS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s discipline styles according to age, and job Bu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mother's education . 2)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3)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cial region of self- concept and mother's discipline style. 4) In physical area of self-concept, there is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disciple style.

      •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과 학습태도,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조은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318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Discipline Styles Perceived by Children, Children's Learning attitude and The Level of School Life Satisfaction Eun young Cho Major in Education Method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discipline style that the child has perceived and the child's attitude towards learning and their level of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n line with this research objective, the study has suggested the following questions by theoretically considering the concept of discipline, its objective, different styles of discipline, the concept and elements that compose the child's attitude towards learning and satisfaction on school life. First, does the child's perception on the teacher's discipline style change in meaningful ways depending on the child's background variables? Second, is there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s perceived discipline style of the teacher and the child's attitude towards learning and their satisfaction on school life? Third, how does the child's perceived discipline style affect their attitude towards learning and satisfaction on school life depending on the child's gender and grade? In order to answer the above questions, the researchers collected 560 children from grades 4 to 6 who are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se students, asking questions about the children's perceived discipline style of the teacher, the attitude towards learning. and satisfaction on school life. Poor responses were eliminated and a total of 541 surveys were analyzed. The researchers referred to an advanced research in order to measure the child's perceived discipline style of the teacher, the attitude towards learning,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ir school life. When examining various discipline styles, a survey that was developed by Tomal (1998) and adapted and revised by Lee Sun Young was used. The attitude towards learning was tested by using "The Academic Attitude Test" which was developed by the Korea Education Development Research Institute (1985). Children's satisfaction on school life was measured by a survey that was used Kang Yoon Jeong's research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s Perceived Discipline Style of Teachers and their Satisfaction on School Life". The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program through which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discipline styles depending on the child's gender, age and the teacher's gender, t-test was condu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low-rank factors was examined through Multipl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s perceived discipline style of the teacher and the attitude towards learning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ir school life,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and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verified. In order to analyze the influence of discipline styles on the chid's attitude towards learning and their satisfaction on school lif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following research findings have been obtained on the basis of the aforementioned rules and research method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hild's perceived discipline styles of teachers depending on the child's background variables. Compared to male students, a greater number of female students perceived support-type and negotiation-type discipline, which are the two discipline styles that offer a high level of student support for female students. Abandon-type, coerce-type and compromise-type, which are three discipline styles that offer relatively low levels of support for male students, were perceived by male students. Seco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child's perceived discipline style of the teacher and the attitude towards learning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ir school life.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ipline styles and the child's attitude towards learning, the child showed the most positive attitude when he/she perceived the teacher's discipline style as support-type; negotiation-type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attitude. When examining differences by gender, in female students who tend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learning compared to male students, both support-type and negotiation-type had a highly positive relationship, and for male students, support-type had a higher positivity than negotiation-type. This indicates that for male students, support-type, which has a lower level of coercion than negotiation-type, is an appropriate discipline style, and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positive attitudes when support-type discipline was taken by the teachers. In terms of differences in academic attitudes by grade according to different discipline styles, support-type and negotiation-type had positive effects, and as the grade went up, negotiation-type had a higher level of influence. In grade 6, negotiation-type discipline had the most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This indicates that for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a higher level of student support and a low level of coercion on rules are effective in bringing out positive attitudes from students, whereas for students in the upper grades, teachers should increase the level of coercion on rules while providing student support. Thus, when it comes to student discipline, teachers should apply different levels of coercion in each grade while increasing the level of student support. Teachers should also keep in mind that this method can maintain positive attitudes towards learning among students, and they should continue to develop effective discipline styles based on this consideration. Next,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ipline styles and satisfaction on school life, the child's satisfaction experienced the greatest effects when the teacher's discipline style was support-type and negotiation-type. When the teacher's discipline style was compromise-type, abandon-type and coerce-type, students' satisfaction on school life was negatively affected. This showed a similar result a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ipline styles and academic attitude.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support-type discipline, which has a high level of student support and a low level of coercion on rules, positively affected the child's academic attitude and satisfaction on school life. Support-type discipline, which encourages as much conversations as possible with students and expresses interests and emotions towards students, is positively affecting the students. Moreover, compromise-type discipline, which has a moderate level of support and coercion, was found to have the most negative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attitude and satisfaction on school life compared to the coerce-type discipline, which presents a low level of student support and a high level of coercion on rules.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과 아동의 학습태도,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훈육의 개념과 목적, 훈육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학습태도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개념 및 그 구성요소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거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의 훈육유형에 대한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은 아동의 학습태도, 학교생활만족 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은 아동의 성별 및 학년에 따라 학습태도,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580명을 표집하여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과 학습태도,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질문지로 검사하였다. 그 결과 불성실한 답변을 한 경우를 제외한 541부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과 학습태도, 학교생활만족도를 측정하고자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훈육유형검사에는 Tomal(1998)이 개발한 질문지를 이선영이 번안하여 수정한 것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고, 학습태도 검사에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1985)에서 개발한 초등학교용 <학습태도검사>를 활용하였으며, 학교생활만족도는 강윤정(2006)의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설문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2.0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아동의 성별, 나이, 담임선생님의 성별에 따른 훈육유형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고, 다변량분석(MANOVA)를 통해 각 변인들의 하위요인들과의 관계도 알아보았다. 그리고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과 학습태도,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그 유의도를 검증하고, 훈육유형이 학습태도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과 절차에 따라 규명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의 훈육유형에 대한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들이 학생에 대한 지원이 높은 교사 훈육유형인 지원형과 교섭형을 많이 인식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남학생들은 학생에 대한 지원이 낮은 포기형, 강요형, 타협형의 교사유형을 많이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은 아동의 학습태도, 학교생활만족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훈육유형과 아동의 학습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동이 교사의 훈육유형을 지원형으로 지각할 때, 아동의 학습태도가 가장 긍정적이며, 교섭형의 훈육유형도 아동의 긍정적인 학습태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남학생에 비해 긍정적인 학습태도를 갖고 있는 여학생의 경우, 지원형과 교섭형의 훈육유형이 둘 다 긍정적인 학습태도와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경우 지원형의 훈육유형이 교섭형보다 학습태도에 정적 상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학생의 경우 규칙에 대한 강요정도가 높은 교섭형보다 강요정도가 낮은 지원형 교사의 훈육태도가 바람직하며, 남학생 여학생 모두 학생에 대한 지원은 높아야 긍정적인 학습태도 형성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훈육유형에 따른 학습태도의 학년별 차이에서도 역시 지원형과 교섭형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교섭형 훈육유형의 영향이 높아지며, 6학년의 경우 교섭형이 학생의 학습태도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훈육활동 시 저학년은 높은 수준의 학생 지원과 낮은 수준의 규칙 강요를 해야 학생이 긍정적인 학습태도 갖게 하는 데에 효과적이고, 고학년의 경우 높은 수준의 학생 지원을 하되, 규칙에 대한 강요정도를 높이는 훈육태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사는 훈육에 있어서 학생에 대한 지원정도를 높게 하면서 규칙에 대한 강요정도는 학년에 따라서 달리 하여야 학생의 긍정적인 학습태도를 갖게 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훈육활동을 전개해야 하겠다. 다음으로 훈육유형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보면,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 중 지원형과 교섭형일 때 학교생활만족도에 정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타협형, 포기형, 강요형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훈육유형과 학습태도와의 관계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높은 학생지원과 낮은 규칙강요의 특징을 갖는 지원형의 훈육태도가 아동의 학습태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줌을 알 수 있는데, 학생과 많은 대화를 하려 노력하고, 학생들에 대한 높은 감정이입과 관심을 나타내는 지원형 교사의 훈육태도가 학생들에게 바람직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교사의 학생지원이 가장 낮고 가장 높은 규칙강요의 특징을 갖는 강요형교사보다도 중간 정도의 학생지원과 강요정도를 보이는 타협형 교사가 학생의 학습태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아버지의 원가족 양육행동 경험과 아동기 자녀 훈육방식 사례연구

        유연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01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원가족 양육경험과의 관련성 속에서 현재 아버지 자신의 양육행동과 훈육태도 전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개별 아버지들의 양육행동과 훈육태도에 대해 사례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근래에 부각되고 있는 아버지의 자녀양육 현장에 대해 보다 생생하고 심층적인 내용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건강한 아버지역할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고 나아가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도 C시에 거주하고 있는 아동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아버지들 6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 수집과 분석을 통해 얻어진 원가족 경험, 훈육 양상, 부모역할에 대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부모의 일반적인 양육태도와 참여자의 양육태도를 아버지들의 인식에 비추어 보았을 때 참여자들은 원부모에게서 습득한 태도와 정서적 반응을 자녀에게 일반적인 행동패턴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그들은 원가족에서의 긍정적인 양육경험을 되살려 자녀에게 최대한 물려주려고 하는 반면, 부정적인 양육경험은 매체와 TV프로그램을 통해 하지 말아야 하는 행동임을 깨닫고 하지 않으려 노력하고 있었다. 둘째, 참여 아버지들이 인식한 훈육에 대한 인식과 양육태도에 대해서는 자녀 훈육은 반드시 필요하며 가르침을 위해 아버지들이 꼭 개입을 해야 한다는 공통적인 반응을 보였다. 자녀들의 생활습관 형성에서 일상적인 습관같이 기초적인 것, 특히 인성과 예의에 대해 중요시 여기며 양육을 하였고, 자녀를 지도하기 위해 강압적이고 반복적인 주입식 교육을 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아버지들은 바쁘게 지내는 와중에도 아동기 자녀와의 친밀감 형성을 위해 여가시간을 같이 보내고, 자녀의 욕구를 인정하고 수용하면서 자녀에게 더 다가가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었다. 아버지들은 아이에게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기 위해 각자의 자리에서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셋째, 아동기 자녀 아버지의 자녀에 대한 기대를 살펴보았다. 아버지들은 훈육을 통해 예의와 인성을 갖춘 아이로 성장하길 바라는 마음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미래의 자녀가 성장해서도 인덕을 쌓고, 자녀가 꿈을 펼치며,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누리는 사람이 되길 희망하고 있었다. 아버지들은 자녀가 커가면서 지원을 해주기 위해 자신의 영향력을 키우고 정신적으로 도움을 주기 위해 소통하는 아버지로 남고 싶어 했다. 본 연구는 소수의 사례를 수집했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원가족 경험에 대한 진솔한 이야기를 도출해내고 자녀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깊이 있게 살펴볼 수 있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들이 자신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주변 요인들을 지각하고, 스스로 양육행동을 점검한다면 보다 건강한 아버지-자녀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아동의 나이, 행동, 어머니의 권위주의적인 양육태도가 귀인과정을 통해 훈육에 미치는 영향

        차영란 숙명여자대학교 1992 국내석사

        RANK : 215915

        본 연구는 타인의 행동이나 주위의 사건에 대해 원인을 추론하는 귀인과정과 어머니가 자녀의 잘못에 대해 가르치고자 하는 훈육과의 관계, 자녀의 나이, 행동과 어머니의 훈육, 귀인과의 관계, 어머니의 권위적인 양육태도와 훈육, 귀인과의 관계를 Dix, Ruble, Zambarano(1989)등이 행한 연구의 기본 모형을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에 이 모형이 타당성이 있는가를 보며, 그 결과에 있어서 서로 차이가 있게 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로는 다음의 세가지를 설정했다. 1) 어머니가 자녀의 행동을 평가할 때, 귀인과 훈육간에는 정적 관계가 있는가? 2) 자녀의 나이와 행동은 어머니의 훈육, 귀인과 관계가 있는가? 3) 어머니의 권위주의적인 양육태도는 훈육, 귀인과 관계가 있는가? 이에 대한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1개 공립국민학교 학생 2.4,6 학년 총 102명의 어머니와 경기도 용문의 국민학교 2,4,6 학년의 111명의 어머니였다. 측정도구는 세종류가 사용되었는데, 부모귀인과정 질문지와 훈육행동 질문지는 Dix, Ruble, Zambarano(1989)가 개발한 것을 본 연구자가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권주의적인 양육태도는 문화나 사회적 관습의 차이를 고려하여, Dix, Ruble, Zambarano(1989)의 연구에서와는 달리, 한종혜(1980)의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귀인과 훈육, 아동의 연령, 어머니의 권위주의적인 양육태도에 대해서는 상관분석을 했으며, 귀인의 어느 항목이 훈육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지 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했다, 또한 아동행동이 훈육과 귀인에 영향을 미치는지 보기 위해 반복 측정 다변량 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귀인과 훈육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죽 자녀가 저지른 그 잘못에 대해 꼭 알아야 하고, 그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고, 그 잘못이 어머니가 자녀에게 기대하던 행동에서 많이 벗어났다고 한 어머니일수록, 자녀에게 더 야단을 치고, 더 화를 내고, 더 엄하게 훈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나이, 행동은 어머니의 훈육, 귀인과 관계가 있었다, 어머니는 자녀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더 엄하게, 더 야단을 치며, 더 많이 잘못에 대해 알고, 적절하게 행동하기를 기대하며, 더 많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평가했다, 또한 자녀의 10가지의 행동에 따라 어머니의 훈육과 귀인의 평가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로써 자녀의 행동이 어머니의 훈육, 귀인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어머니의 권위주의적인 양육태도와 훈육, 귀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녀에게 권위주의적인 어머니일수록 그렇지 않은 어머니보다 더 많은 지식, 능력, 기대, 책임을 요구했으며, 이에 따라 더 엄하게, 더 야단을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the mother's implicit discipline theories. Using a social cognition model, it assessed whether mother's attribution of child's competence and knowledge for misconduct have influence on mother's discipline. Also child's age and behavior, and mother's authoritarian attitude relate to mother's discipline and attribution process. Participants were 213 mothers of the second-grade, fourth-grade, and sixth-grade children of two public schools in Seoul and Yung-mun. Mothers completed three questionaires, one of them about 1 week after the other.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and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for child effects, mothers effects and attribution proces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re mothers who inferred children understood the misconduct they made and had the capability to act more appropriately, evaluation of power-assertive parenting became more favorable. Also findings supported the social cognition model that attribution mediate mother's discipline preferences across children's age, children's behavior, and mother's child rearing ideolo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