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연구

        김민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4

        Recent social issues such as family conflicts and the acceleration of family dissolution have led to the const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teenage runaways. Also, the age of teen runaways is decreasing and the number of long running runs and repeated running away is increasing for more than six months. Accordingly, practical intervention at the social and institutional level is necessary to enable runaway teenagers to lead their lives, along with their efforts to share and understand their emotional difficulties. Through prior study, runaway teens were able to express themselves in a safer environment with their peers through group art therapy, and were ultimately given the opportunity to explore their own liv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more specifically what they experience in group art therapy at youth shelters through vivid statements based on the perspectives and views of runaway teenag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ts essence and significance through phenomenological reflection that describes and analyzes the experiences of runaway teenagers through group art therapy focusing on youth rest areas. Through this, it will improve th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runaway teenagers at the youth shelters and provide basic data to be used at the group art treatment scene. So, the question of the study is, ' What kind of experiences do teenagers at teen shelters experience at group art therapy, and what is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 ida .da. ' This study used a subjective quality method to convey vividly what experiences the group art therapy experiences of teen shelters run away from home were, focusing on the values of the study subjects and the experience world. I would also like to use Max van Manen's analytical phenomenological method to explore it from a more diverse point of view, using empirical descriptive material such as literature, art, photography, etc. The research phase went through four stages : focusing on the nature of vivid experiences, existentialism, analy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s, and analytic phenomenological writing.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6 study participants in October 2017 through in-depth interview on collective art therapy experiences of runaway teenagers focusing on youth shelters. The data analysis using Max van Manen's analytical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ed in a total of 6 essential topics and 17 sub-subst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lthough I was opposed to it before I started group art therapy, I can expect time and comfort myself with the time of my friends and friends when I can get to know them. In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runaway teenage group art therapy at a rest are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runaway teenagers at a youth shelter feel safer by their friends' presence, face group art therapy and feel one step closer to their future sessions than by their preconceived ideas about group art therapy. Second, the safe environment provided by youth rest areas and group art therapy for runaway teenagers who are becoming sensitive to their surroundings enables them to participate in a group art therapy session. Third, group art therapy can create the possibility of runaway teenagers exposing themselves in the classroom and not completely revealing themselves, although they want to know something about others. Fourth, runaway teenagers face their present selves in group art therapy. The academic aspects of art therapy and practical contributions of this study to the field of art therapy by providing vivid data on the experiences of group art therapy at teen shelters are as follows : First, this study, one of the four types of microtherapy, was about institutional art therapy, which g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llective art treatment experiences of teenage runaways. This provides useful academic or practical data on collective art treatment of teenage runaways and retreats to art therapists who have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or work at various art treatment sites. Secondly, in group art therapy for runaway teenagers at teen shelters, shelter friends are a factor leading them to mass art therapy. Third, it is possible to consider linking to various psychological treatments for those who have made it easier to participate in group art therapy with their friends. This will actually help agency workers who are on site mindful of the application of group art therapy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s of study participants may vary between short-term group art therapy and long-term group art therapy depending on the period. The group art therapy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carried out from the second session at least to the sixth session at most. Further studies would require a study of detailed group art therapy experiences depending on the extent of the participating sessions, involving more participants in the sessions. Second, in this study, runaway teenagers at teen shelters were studie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group art therapy together. Subsequent studies need to consider the empirical characteristics that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people involved in group art therapy.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쉼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가출청소년이 생생히 체험한 내용들을 서술하고 분석하는 현상학적인 성찰을 통해 그 본질과 의미들을 이해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에 대한 구체적 이해를 높이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은 집단미술치료에서 어떠한 체험을 하며 그 체험의 본질과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이 어떠했는지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해 연구대상자들의 가치관과 경험세계를 중시하며 그들을 주관적 시각에서 이해할 수 있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문학, 미술, 사진 등의 경험적인 묘사 자료를 활용하여 좀 더 다각적인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연구의 단계는 생생한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탐구 단계,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등의 총 4단계를 거쳤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7년 10월에 연구 참여자 총 6명으로부터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통하여 수집되었다.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6개의 본질적 주제와 17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단미술치료를 시작하기 전에는 거부감이 있었지만, 쉼터 친구들과 친해지면서 앞으로 이루어질 시간을 기대하게 됨>, <쉼터 친구들과 함께하는 친숙한 분위기의 집단미술치료 시간이 즐거움>, <나의 상황을 이해하고 도움을 주는 미술치료사로 인해 마음이 놓임>, <이미지를 앞에 두고 친구들의 입장과 내 입장을 공유해보는 시간이 신기하고 즐거움>, <쉼터 친구들의 새로운 부분을 알게 되는 것은 좋지만, 자신의 비밀이 드러나는 것에 대해서는 속으로 부담감을 가짐>, <나의 고민과 속마음을 표현해보며 집단미술치료에 대해 만족감을 느낌>. 본 연구에서 청소년쉼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가출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은 네 가지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결론을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은 집단미술치료에 대한 선입견 보다는 친구들이 함께함으로써 안정감을 가지며 집단미술치료를 대면하고 앞으로의 회기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짐을 느낀다. 둘째, 주변 환경에 예민해져있는 가출청소년에게 청소년쉼터와 집단미술치료가 제공하는 안전한 환경은 이들의 집단미술치료 회기 참여를 가능케 한다. 셋째, 집단미술치료는 가출청소년이 회기에서 자신을 노출시킬 가능성을 만들어주고, 타인에 대해선 알고 싶은 점이 있으나 자신을 완전히 노출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넷째,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은 집단미술치료에서의 자기표현을 통해 지금 여기에 있는 자신의 모습을 마주하게 된다.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에 대하여 생생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본 연구가 미술치료학의 학문적 측면과 현장에 실제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미술치료학의 4가지 유형 중 하나인 기관미술치료에 대한 것으로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체험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이는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과정생, 또 다양한 미술치료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미술치료사에게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에 대하여 학문적으로 또는 실제적으로 유용한 체험적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의 집단미술치료에서 쉼터 친구들은 이들이 집단미술치료에 참가하도록 이끄는 요인이 되고 있다. 셋째, 쉼터친구들과 집단미술치료에 함께 참여함으로써 치료적 개입이 비교적 수월해진 이들에게 다양한 개인 심리치료로의 연계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는 현장에서 집단미술치료 적용을 염두에 두는 기관 종사자들에게 그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기 집단미술치료와 장기 집단미술치료는 그 기간에 따라 연구 참여자의 체험이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이 체험한 집단미술치료 횟수는 적게는 2회기부터 많게는 6회기 이내로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는 좀 더 많은 회기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참여 회기의 정도에 따라 세분화 된 집단미술치료 체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들이 집단미술치료에 함께 참여한 인원수에 구분을 두지 않고 연구가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인원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체험적 특성들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허경운 백석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동성애자로서 군에 입대한 후 병영생활에 적응하는 병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입대 전에 겪은 좌절과 고통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적응 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어려움과 자살 시도하기까지의 심리적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가졌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자들의 진술들을 분석하기 위한 절차로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 과정은 어떠한가? 라는 의문을 가지고 군에 입대한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에 관하여 그 심리적 본질을 연구하였다. 10명을 심층 면담하여 참여자 개인의 속성과 전체의 공통적인 속성을 도출하였으며, 22세에서 26세까지의 남성 군인들을 상대로, 연구기간은 2010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였다. 본 연구에서는 10명의 군 동성애자들을 면접한 내용에 대하여 현상학적 방법으로 도출된 140개의 구성 의미와 36개의 주제 그리고 10개의 주제군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을 근거로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 경험에 대한 분석결과, 적응에 대해 <슬픈 비밀> <내 안의 또 다른 나> <척박한 삶> <현실 부정> <동성애 성 정체성 형성 이유> <적응 스트레스> <부적응자로 낙인> <적응을 위한 몸부림> <군 생활 포기> <낙타가 되어> 등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원하지 않는 입대를 하게 된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며 성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재차 겪는 현실을 부정하면서도, 병영생활 적응을 위해 노력은 하였으나 군이라는 거대한 집단에서의 부적응으로 인해 자살 시도, 자해하는 등 지독한 외로움과 싸우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군은 내적으로 보직변경, 부대 이동, 비전 캠프, 그린 캠프 등의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하였으며,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을 통한 상담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연구 참여자들의 공통적인 바람은, 군 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상근으로 되거나, 혼자만의 시간과 공간에서의 생활환경 개선, 21개월의 기간 동안 소수의 무리가 할 수 있는 보직을 원했으나 부대 여건상 쉬운 일이 아니므로 더욱 적응에 어려움을 느꼈다. 또한, 그동안 게이라는 사실을 전혀 모르고 살아온 가족들에게 커밍아웃하거나, 상담을 통해 부대 전우들에게 아웃팅 당하게 되고, 성병 보유자라는 오명까지 떠안게 되는 고통에 시달려 군 생활을 포기한 채 부적합 제대를 하는 경우가 생겼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동성애자 병영생활 적응 성공은, 심리적 현실적 어려움과 생과 사의 갈림길에서 방황하고 좌절하는 가운데 자신의 의지와 군 관계자와 전우들의 격려, 가족들의 이해와 포용이 가장 큰 힘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동성애자들에 대한 편견을 갖지 않도록 가족과 전우들 혹은 주위 사람들에게 올바른 교육을 진행하며, 동성애자들도 병영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차원에서의 군사회복지적 정책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 진지한 여가(serious leisure)로서 스노보드 참여자의 여가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노혜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94

        본 연구는 진지한 여가로서 스노보드 참여자들의 참여 동기와 여가 체험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스노보드 참여자의 참여 동기를 분석하고, 그들이 진지한 여가 활동으로 참여하게 될 때 느끼는 체험과 전문인이 되기까지의 심층적 과정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경험을 본질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체험과 문화적 현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현장에서 진술하는 내용을 바탕으로 '스노보드를 하게 된 동기'와 '스노보드를 하면서 경험하는 체험'에 대한 해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자는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현상에 대한 의미 파악이 가능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연구틀로 연구의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들은 세평적 사례 선택 방법(reputational case selectional)과 유의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7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총 10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심층면접(개인면접, 단체면접), 내용분석(체험기술, 자기소개서, 반성일지, 문헌자료, 면접노트), 참여관찰(현장관찰일지, 비디오녹화)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처리되어 주제별 약호화, 의미범주화, 의미개념화의 3단계 분석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스노보드 참여자의 참여 동기는 시작동기, 참여지속동기, 일상화의 동기라는 세 가지 범주로 나타났으며 이는 또다시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로 구분되었다. 첫째, 시작의 동기는 ①호기심, ②두려움, ③타인의 영향, ④스키장 방문으로 세분화되었다. 둘째, 참여지속의 동기는 ①재미와 흥미, ②학습기회, 학습 욕구, 한계 극복 욕구 등의 자기향상 욕구, ③차별성, ④기분전환으로 세분화되었다. 셋째, 일상화의 동기는 ①생활화, ②교류감으로 세분화되었다. 진지한 여가로서 스노보드 참여자들의 여가체험에 관한 결과는 크게 신체적 체험, 정서적 체험, 사회적 체험, 인지적 체험으로 범주화되었다. 이러한 체험 요인은 다시 여러 개의 하위요인으로 구분되며 이에 따른 구체적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체험은 ①몸감, ②상쾌함, ③신체 만족감, ④활동감, ⑤힘겨움의 5가지 요인으로 구분된다. 둘째, 정서적 체험은 ①자부심, ②경쟁심, ③성취욕, ④열정, ⑤희열감, ⑥성취감, ⑦기다림, ⑧두려움 극복의 8가지 요인으로 구분된다. 셋째, 사회적 요인은 ①전이, ②공감대, ③반복된 단절, ④갈등의 4가지 요인으로 구분되며 넷째, 인지적 요인은 ①변화, ②제약, ③투자, ④희생의 4가지 요인으로 구분된다 연구 참여자들은 새로움에 대한 호기심과 타인에 의한 권유로 스노보드를 시작하여 긍정적인 체험과 부정적인 체험을 동시에 경험한다. 스노보드를 통해서 상쾌함이나 신체 단련에 의한 신체상의 만족감, 스스로의 신체 능력에 대한 자부심, "아.. 내가 해냈구나.. 성공했다."하는 성공 경험에서 오는 성취욕, 열정, 성취감을 체험한다. 이러한 정서적 체험으로 인해 타인에게 스노보드를 전이시키고 그들끼리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긍정적인 사회적 체험을 한다. 또한 좋아하는 계절의 변화, 규칙적인 생활의 유지, 술자리 기회의 감소, 스타일의 변화 등의 개인적 변화를 체험하며, 이와 동시에 연구 참여자들은 작거나 큰 신체적 상해를 입고, 스노보드가 위험한 운동이라고 인식하며 시간이 흐를수록 연령, 체력에 대한 한계를 느낀다. 또한,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위험한 운동이라는 인식이 두려움으로 나타난다. 일상적(casual leisure) 여가와는 상대적인 의미를 가지는 진지한(serious) 여가 활동을 하는 연구 참여자들이 스노보드를 타는 시즌에 다른 사회적 관계가 단절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갈등이 형성되고 상황적, 금전적, 입지적, 시간적인 제약을 체험한다. 이상과 같이 연구 참여자들은 긍정적인 체험을 하는 동시에 부정적인 체험을 하는데 이는 포기하거나 중단하는 계기를 형성하지 않고 오히려 보다 적극적인 투자와 노력을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행동 양식의 진지한 여가 체험을 형성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nowboarders' motivations and their leisure experiences. Specifically, an analysis of snowboarders' motivations, the developments of their serious participation level in snowboarding, and changes in their experience as "professional" snowboarding were studied in depth.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fundamentally, it was necessary to comprehend their experiences and cultural phenomenon beforehand and approach them. Accordingl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survey snowboarders' "motivation" and their "snowboarding experience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attempted to apply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approach to understand snowboarders' experiences. To this end, 7 snowboarders were sampled randomly through the reputational case selection process. Then, data were collected for 10 weeks through in-depth interviews (personal and group-wise) and analysis of contents (described experiences, self-introduction, reflective diaries, relevant literature, interview memos, etc.).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through three stages: theme-wise grouping, semantic categorization and semantic conceptu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nowboarders' motivations can be divided into starting motivations, motivations for continued participation, and motivations for internalization, while being further sub-divided as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s. First, they were motivated to start snowboarding out of ①curiosity, ②fear, or ③peoples' influence, and ④incidental visits to ski resort. Second, they were motivated to continue snowboarding out of ①amusement and interest, or ②learning opportunities, learning desire, desire to overcome a limit, or desire for self-improvement, ③spontaneously or ④desire for recreation. Third, they were motivated to internalize snowboarding as their life style or for social exchanges. Snowboarders' leisure experiences could be divided largely into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cognitive experiences. Each category could again be divided into several sub-categories. First, the physical experiences could be further divided into ①bodily experience, ②pleasant experience, ③physical satisfaction, ④sense of activities, and ⑤toil. Second, the emotional experiences could be divided into ①pride, ②competition, ③achievement, ④passion, ⑤pleasure, ⑥self-achievement, ⑦sense of waiting, and ⑧overcoming of fear. Third, the social experiences could be divided into ①transfer, ②consensus, ③repeated separation and ④conflict. Fourth, the cognitive experiences could be divided into ①change, ②restriction, ③investment and ④sacrifice. Most participants started snowboarding out of curiosity or due to others' recommendation, and then,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The positive experiences were physical training and satisfaction thereof, pride in physical capacity, self-achievement of "I have done it, successfully", passion, a sense of achievement, and so on. Owing to such emotional experiences, they tended to recommend snowboarding to others and thereby formed a community of consensus resulting in a positive social experience. They were also able to experienced seasonal changes, maintain a regular life style, while reduce opportunities for drinking and experience trivial to a general change in lifestyle.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were subject to trifle serious injuries as a result, they perceived that snowboarding was risky, and felt that their physical strength had weakened as they got older. Moreover, they feared that snowboarding was a dangerous sport. In addition, those who had been engaged in snowboarding seriously tended to be separated from society during snowboarding season. As a result, they experienced a sense of conflict as well as situational, financial, social and temporal limits. All in all, althought the participants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in their snowboarding activities, most eventually invested more in snowboarding in order to experience their own unique life style rather than give up or stop snowboarding.

      • 영성훈련 참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Lectio Divina를 중심으로

        김동란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94

        본 연구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Lectio Divina 참여자들이 무엇을 경험하는지 심층적 분석으로 통해 참여의 본질적 경험의 의미와 구조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더 세분화 하여 참여자들이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 수행 중 일어나는 자기 변화의 과정에서 일반적인 경험의 구조를 도출하여 분석하므로 Lectio Divina가 참여자 개인의 내적 치유 현상에서 나타나는 심리학적 함의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참여자들은 부산○○대학교 신학대학원에 재학 중인 5명으로, 2018년 1월 26일과 2월2일, 2회의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연구 자료를 녹음하고, 전사 작업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Lectio Divina 참여자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참여자들의 면담 내용은 Giorgi가 제시한 연구방법 3단계인 ‘전체 인식하기’, ‘의미단위 구분하기’, ‘학문적 용어로 변환하여 구조적으로 통합하기’를 통해 분석하였고, 그 결과 98개의 구성된 의미와 36개의 주제, 12개의 주제묶음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Lectio Divina 경험의 일반적 구조를 자기변화의 관점에서는 4개의 주제묶음과 9개의 주제로는<정서적 정화: 위로, 평안과 휴식, 물리적 환경이 주는 쉼>, <내면에 집중: 내면의 소리에 집중>, <낯익은 대상을 새롭게 만남: 애써 외면해 왔던 나를 만나다, 하나님을 새롭게 만나다, 타자를 새롭게 만나다>, <수용: 부정에서 긍정으로, 지금-현재를 체험>로 분류하고 상상적 변형을 활용하여 자유롭게 4가지 영역(정화, 집중, 만남, 수용)으로 구분하여 일반적인 경험의 구조를 도출하였다. 4가지 영역에서는 독립적인 부분도 있고 모두 혼재해서 나타나는 부분도 있지만, 지속적,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때 하나님을 느끼고 하나님과 함께 하는 관상의 삶으로 자기변화를 이룬다. 이것이 삶에서 적극적 태도가 주어질 때 자기변화는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다르게 Lectio Divina 과정의 4가지 영역에서 자기변화를 이루었다고 할지라도 이것이 일회성으로 끝나버리면 일상의 삶으로 다시 돌아가게 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 과정에서는 Lectio Divina 경험에서 이미 느꼈던 생각, 마음들은 인지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 변화라고 할지라도 참여자들은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쉽게 경험할 수 있었던 것은 이미 영성훈련 이전의 삶에서 이들만의 강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진공상태에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원이 원천이 되어서 성장을 이끄는 힘이 되고 이러한 자원의 원천은 긍정심리학적인 강점으로 다시 의미를 재구성하여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논의와 제언에서는 Lectio Divina 경험의 의미 분석과 효과성에 대하여 심리학적 함의를 논의해보고, 최근 Lectio Divina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인들이 쉽게 접하지 못하는 이유를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Lectio Divina 참여자의 경험의 의미와 일반적인 경험의 구조를 밝히는 국내 최초의 질적 연구라는 것에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이를 바탕으로 영성훈련의 연구가 더욱 심도 있게 이루어져 Lectio Divina의 대중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he essential experience of participation through an in - depth analysis of what participants in Lectio Divina experience a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implications of Lectio Divina's internal healing phenomenon by analyzing the meaning of experience and the general structure of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self-chang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five students attending the Graduate School of Theological Seminary in ○○, Busan, Korea, and recorded their research data through two separate in - depth interviews on January 26 and February 2, 2018. This study applied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Lectio Divina participants. Therefore, participants' interviews were analyzed through three steps of Giorgi's research method : ‘Whole recognition', ‘Identifying semantic units', ‘Converting into academic terms and integrating structural', as a result, they were categorized as 98 constructed meanings, 36 topics, and 12 subject groups. In addition,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Lectio Divina experience is divided into four themes in terms of the view of self-change and nine themes: "Eeotional cleansing : consolation, peace, relaxation offered by physical circumstances", "Concentrating on inner side : inner sound", "New meeting of things that are familiar to me : Meet myself who have been ostracizing myself", "Meet God newly, meet other people newly", Acceptance : from negative to positive, experience of the present, and general construction of experience was drawn, using imaginative transformation freely and dividing them into four areas (purification, concentration, meeting, acceptance). In the four areas, althought there are independent parts and blending parts, when they are done continuously and repeatedly, they feel God and make self-change into a contemplative life with God. When this is given an enthusiastic attitude in life, self-change is continuous. Unlike this, even though a person achieves self-change in the four areas of the Lectio Divina course, if it ends in one-off, the person could return to his or her normal life. In this process, however, thoughts and feelings already felt in the Lectio Divina experience are perceived, and participants will have it even though it is a small change. This change was easy to experience because people already had their strength in life before spiritual training. In other words, in the vacuum state, the resources that the individual possesses become the source and the power that leads to the growth, and the source of these resources can be reorganized and integrated with the positive psychological strength again. Finally, in the discussion and proposals, they discuss the psychological implications of the semantic analysis and effectiveness of the Lectio Divina experience, and suggest the reason why the public can not easily access to the Lectio Divina research despite the recent progress of research. In addi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t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first qualitative study in Korea which reveals the meaning of experiences and experiences of Lectio Divina participants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Based on this, we intend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among the public of the Lectio divina by conducting the further study of spiritual training.

      • 성인자녀가 독립한 중년여성의 부부친밀감 : 현상학적 연구

        조원덕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94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자녀가 독립한 중년여성들이 경험하는 부부친밀감의 현상과 그 본질적 의미를 현상학적으로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맞는 10명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성인자녀를 독립시키고 현재 부부친밀감이 좋다고 스스로 평가하고 있으며 둘째, 40세에서 60세 사이의 중년여성이다.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인자녀가 독립한 중년여성들의 경험과 관련하여 5개의 범주, 14개의 주제군, 29개의 주제, 160개의 의미단위가 발견되었다. 도출된 5개의 범주는 유사, 접촉, 공유, 수용, 상호작용이다. 다섯 개 범주들을 통합적으로 이해하여 도출한 부부친밀감 현상의 본질적 의미는 ‘부부가 시공간적으로 일상사를 함께하면서 축적된 안정적이고 호혜적인 관계에서 느끼는 가치롭고 만족스러운 감정’이다. 성인 자녀가 독립한 중년여성들이 경험하는 부부친밀감의 첫 번째 현상은 유사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배우자와 삶을 바라보는 원칙과 사고 뿐 아니라 가치관, 사회적 현상이나 주변 상황을 보는 시각이 거의 비슷할 때 친밀하다고 경험하고 있다. 두 번째 현상은 접촉이다. 참여자들은 정서적, 신체적 그리고 성적으로 서로 가까워지는 경험들을 진술하고 있다. 참여자들은 부모의 역할이 사라진 공간에서 남성과 여성으로 만나면서 새로운 감정들을 느끼고 있다. 세 번째 현상은 공유이다. 시간과 공간을 함께하면서 삶에 대해 같은 지향을 갖고 있는 것을 뜻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일상과 여가를 함께 하고 자녀양육, 살림을 같이 하며 양가 가족의 일원이 되면서 친밀감을 경험한다고 진술한다. 또한 이들은 같은 목표를 갖고 미래를 바라보며 이를 이루어가기 위해 노력하면서 친밀하다는 경험을 하고 있다. 다섯 번째 현상은 수용이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함께하는 시간이 축적되면서 배우자의 사고나 기질, 행동유형이 어떠하든지 통제하거나 변화시키려하지 않고 인정해주고 있다. 배우자의 장단점을 모두 알지만 오랜 연륜에 힘입어 상대방을 존중하며 받아들일 수 있게 된 현상 자체를 친밀함으로 경험하고 있다. 다섯 번째는 상호작용이다. 참여자들은 아내와 가까워지기 위해 남편이 노력하거나 남편에게 자신이 중요한 대상이라는 확신이 들 때 그리고 이전과는 달리 의존이나 종속이 아니라 개인적 성향을 서로 인정해주는 독립적인 방향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친밀감을 경험하고 있다. 성인 자녀가 독립한 중년여성들에게 부부친밀감이라고 하는, 긴 시간 동안 삶을 공유하며 축적한 안정적이고 호혜적인 정서적 든든함은 삶의 원동력으로서 중년여성들로 하여금 개인의 삶을 펼쳐 나아가도록 지지기반이 되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some phenomenological features of couple intimacy whose children have grown up and left home. For this research, ten subjects were chosen among mid-aged women between forty and sixty, who currently kept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ir husbands. They were interviewed on their own experiences of being left alone with their husban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couple of interviews with the ten participants and analyzed in terms of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data were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14 subcategories, 29 themes, and 160 meanings. The mid-aged women who successfully developed intimacy with their husbands were found to commonly feature five broad categories of experiences: commonalities in values, romantic closeness, togetherness, approval, and reciprocity. On the basis of the five categories, it was concluded that couple intimacy was a feeling of fulfillment and admiration emerged from secure and mutually benefitting relationships that had been accumulated by sharing everyday life for a long time. The first feature of couple intimacy was commonalities in values. The mid-aged women subjects were found to feel intimate with their husbands when they discovered some commonalities in their views and principles on life and social matters. The second feature was romantic closeness. When their parentings were played out, their relationship turned towards a romantic one as an individual, developing emotional and sexual affinity. Sharing almost all aspects of life together was the third feature of couple intimacy. Living everyday life together, taking off for leisure and vacation together, planning family finance together, raising children together, and belonging to both families at the same time―all those together-experiences amounted to the common goals that they were trying to achieve together. The fourth feature of couple intimacy was approval. In virtue of longtime togetherness, the subjects were able to approve their husbands’ dispositions, temperaments, and views without struggling to correct or change them. Their knowledge of strengths and weaknesses about their husbands did not hinder them from respecting and approving their spouses. Finally, reciprocity featured couple intimacy. In their middle years, the subjects were able to achieve self-confidence overcoming their psychological subordination and also elicit their husbands’ endeavor to increase intimacy with them. Such self-confidence and independenc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reciprocity, that is, mutual respect for individual disposition.

      • 대학생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영상관법 경험 : 현상학적 연구

        김창중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9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d how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d the Reflected Image Meditation (RIM) for stress management and to explore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experienc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en university students who recognized the need for stress management. They were also interested in the RIM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and the experience record of RIM from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approach. This study found that the experiences of RIM for stress man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had unique differences among individuals depending on the subject of RIM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However, six common constituent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and integrating meaning units of individual RIM experience. Six constituents were <Recognition and expectation for resolution of tough stress problem>, <Reluctant to confront reflected image>, <Observation of reflected image>, <Comprehension of mind phenomenon>, <New enlightenment of mind phenomenon>, and <Positive change in life>. Specific details of each constituent are as follows. The <Recognition and expectation for resolution of tough stress problem> constituent indicated that participants were suffering from stress, and they expressed the expectation of solving stress problems through RIM. The <Reluctant to confront reflected image> constituent indicated that the stress-induced pain was sustained by the participants' avoidance of the stress problem. The three constituents, <Observation of reflected image>, <Comprehension of mind phenomenon>, and <New enlightenment of mind phenomenon> indicated that they were able to not only reduce the negative emotions in a stress situation but also become free from the stress by fully comprehension and insight into the mind phenomenon of one's own mind that occurred in a stress situation as the repeated practice of RIM. The last <Positive change in life> constituent indicated that participants were escaped from stress, and they were able to control one's emotions. They also were able to live a new life by coping with it positively.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RIM experience identified through the content and linkage of specific constituents was a step-by-step structure called 'Recognition and expectation for resolution of tough stress problem'-'Reluctant to confront reflected image'-'Observation of reflected image'-'Comprehension of mind phenomenon'-'New enlightenment of mind phenomenon'-'Positive change in life'. For university students, the RIM experience for stress management meant ‘a shift to a positive life through self-comprehension and insigh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the following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First,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is the attempt to uncover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overall RIM experience. Second, it is a pioneering study of applying RIM to a group of university students to manage stress. Third, the healing effects of RIM were verified through an independent RIM experience without individual counselling. Fourt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manage stress for university students through RIM. Fifth,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come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RIM program for stress management of workers,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ho are under stress as well as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스트레스 관리를 위하여 영상관법을 어떻게 경험하는지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그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알아차림명상 기초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 중에서 스트레스 관리 필요성을 인식하고 영상관법에 관심이 많으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영상관법 프로그램이 끝난 후 실시한 개별인터뷰와 프로그램 진행 중에 연구 참여자가 기록한 영상관법 경험기록지 및 종합기록지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영상관법 경험은 영상관법 주제나 개인성향에 따라 개인별로 독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별 영상관법 경험들에 대한 의미단위들을 비교하고 통합하여 범주화한 결과 6개의 공통된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영상관법의 구성요소는 <힘든 스트레스 문제 인식 및 해결 기대>, <떠올려 마주하고 싶지 않은 영상>, <마주하여 관찰할 수 있게 된 영상>, <이해할 수 있게 된 마음현상>, <마음현상에 대한 새로운 깨달음>, 그리고 <삶의 긍정적인 변화>로 나타났다. 영상관법 경험의 공통된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힘든 스트레스 문제 인식 및 해결 기대>요소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대학생활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로 고통을 받고 있는 상황으로, 그들은 스트레스 문제를 영상관법을 통하여 해결하고 싶은 기대를 나타내었음 알 수 있었다. <떠올려 마주하고 싶지 않은 영상>요소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스트레스 문제를 직면하여 해결하지 않고 회피함으로써 스트레스로 인한 고통이 지속되고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주하여 관찰할 수 있게 된 영상>, <이해할 수 있게 된 마음현상>, 그리고 <마음현상에 대한 새로운 깨달음>의 세 요소에서는 영상관법을 반복하여 실행함에 따라 스트레스 상황에서 일어난 자신의 마음현상, 즉 생각, 감정 그리고 갈망을 충분히 직면하여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자신의 마음현상을 이해하고 통찰함으로써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부정적인 감정을 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문제로부터 벗어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 <삶의 긍정적인 변화>요소에서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벗어나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긍정적으로 대처하며 새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위와 같은 영상관법 경험의 공통된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내용과 구성요소들 간의 연계성을 통하여 파악된 영상관법 경험의 본질적인 구조는 ‘힘든 스트레스 문제 인식 및 해결 기대’-‘떠올려 마주하고 싶지 않은 영상’-‘마주하여 관찰할 수 있게 된 영상’-‘이해할 수 있게 된 마음현상’-‘마음현상에 대한 새로운 깨달음’-‘삶의 긍정적인 변화’라는 단계적 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의 영상관법 경험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볼 때, 영상관법의 핵심적인 경험적 의미는 ‘자기 이해와 통찰을 통한 긍정적인 삶으로의 변화’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기존의 영상관법 경험에 관한 연구가 명상상담의 한 부분으로 영상관법 경험을 연구해온 데 반하여, 본 연구는 전체적인 영상관법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밝혀낸 것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대학생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하여 영상관법을 대학생 집단에게 적용한 연구라는 점이다. 셋째, 영상관법의 치유적 효과를 일대일 상담을 하지 않고 일반인 집단을 대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넷째, 본 연구 결과는 영상관법을 활용한 대학생의 스트레스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다섯째,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뿐만 아니라 직장인, 중장년 및 노년층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영상관법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SNPE 예비 지도자의 100일 수련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정한솔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91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and essence of the phenomenon experienced through the SNPE 100-day practice by describing and analyzing it among participants of the SNPE instructor program. Simultaneously, it seeks to reveal the diverse experiences and changes of the participants, ultimately fostering an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he 100-day practice within the SNPE instructor program. For this purpose, seven prospective leaders voluntarily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out of a total of 30 participants in the SNPE instructor program. Daily training journals were collected every week from the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lasting approximately 2 to 3 hours per person were conduct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actice. Analyzing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and training journals using the Giorgi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 total of 362 units of meaning derived from the experiences of the SNPE prospective leaders' 100-day practice were summarized into 26 units by grouping together those with similar meanings through multiple iterations. From this, 18 sub-components deemed as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and a total of 7 overarching categories were derived. The overarching categories identified were ‘perceived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training’, ‘unexpected negative experiences’, ‘continuous effort in practice’, ‘awareness of one’s own body’, ‘mental and physical changes’, ‘expansion of training experience into daily life’, and ‘recognition of reflection and growth’. The research participants encountered types of difficulties and negative experiences they did not anticipate before the training, but they sought to overcome them through willpower and engagement in the process of practice. As a result, they went through stages of achiev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confidence, and subjectivity in life through experiences of bodily awareness, self-perception, positive changes in mind and body, and the expansion of training experiences into daily life. Second, the experiences and changes from the SNPE 100-day practice can be discussed from three perspectives. 1) ‘Unexpected negative experiences’ are described as symptoms of ‘potential pain’ which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SNPE practice that distinguishes it from other exercise training experiences. 2) Among the ‘mental and physical changes,’ the results of posture restoration and pain relief support various studies validating the effects of SNPE. 3) ‘Recognition of reflection and growth’ can be understood as the result of the process in which SNPE prospective instructors grow from their initial state to an ideal state. Third, the significance of the SNPE 100-day practice experience for SNPE prospective leaders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three aspects: ‘enhancement of exercise behavior through the formation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xercise self-schema,’ ‘improvement of performance through increased self-efficacy,’ and ‘development of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leading to enhanced leadership competence.’ Consistent practice and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have a lasting impact on the formation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xercise self-schema, which in turn increases exercise behavior. Furthermore, self-observation and successful performance experiences during the 100-day practice strengthen self-efficacy and mutually reinforce improvements in performance. The empathy, advice, and exchange of opinions based on the experiences during the practice ar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increasing empathy and positivity towards members, as well as enhancing communication skills. This study, as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exploring the phenomenology of the SNPE 100-day practice experience, goes beyond the scope of validating the effects of SNPE. It has allowed for the exploration of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phenomenon of the SNPE 100-day practice experience, leading to an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he 100-day training. 본 연구는 SNPE 지도자 과정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SNPE 100일 수련으로부터 경험하는 현상의 의미와 본질을 기술하고 분석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동시에 참여자들의 다양한 경험 및 변화 내용을 드러냄으로써 SNPE 지도자 과정 중 100일 수련의 중요성을 이해시키고자 한다. 이에 SNPE 지도자 과정 30명 중 자발적으로 참여 의사를 밝힌 예비지도자 7명을 선별하였다. 참여자들로부터 매주 수련 일지를 수집하였으며, 수련이 끝난 이후에 개인 당 회당 2시간에서 3시간 정도의 심층 면접을 하였다. 전사한 면접 자료와 수련일지를 토대로 Giorgi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PE 예비지도자의 100일 수련 경험과 관련하여 도출된 총 362개의 의미 단위들을 같은 의미끼리 묶는 작업을 여러 번 거쳐 26개의 의미 단위로 요약하였고, 경험의 본질이라고 판단되는 18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총 7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상위범주는 ‘수련 이행의 어려움 자각’, ‘예상하지 못한 부정적 경험’, ‘끊임없는 수행 노력’, ‘내 몸 알아차림’, ‘심신의 변화’, ‘수련 경험의 일상으로의 확장’, ‘성찰·성장의 인식’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은 수련 전에는 예상하지 못했던 종류의 어려움과 부정적 경험을 겪었으나 변하려는 의지와 몰입 과정을 통한 수행 노력으로 이겨내려 했다. 그 결과로 신체 인지와 자아 지각, 심신의 긍정적인 변화, 수련 경험이 일상으로 확장되는 경험을 통해 성취감과 자신감, 삶에 대한 주체성을 갖는 성장의 인식 단계를 거쳤다. 둘째, SNPE 100일 수련 경험과 변화는 세 가지 측면으로 논의될 수 있다. 1) ‘예상하지 못한 부정적 경험’은 흙탕물 증상으로 설명되는데, 타 운동 수련 경험과는 차이점을 지니는 SNPE 수련만의 특징이다. 2) ‘심신의 변화’ 중, 자세 회복과 통증 완화 결과는 SNPE의 여러 효과 검증 연구를 지지한다. 3) ‘성찰·성장의 인식’은 SNPE 예비지도자에서 이상적인 지도자로 성장하는 과정의 결과로써 이해될 수 있다. 셋째, SNPE 예비지도자로서 갖는 SNPE 100일 수련 경험의 의미는 ‘신체적 자기개념 및 운동 자기-도식 형성으로 운동 지속 행동 증진’, ‘자기효능감 강화로 수행력 향상’,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획득으로 지도자 전문성 증대’로 설명될 수 있다. 꾸준한 수련과 긍정적 정서 체험은 신체적 자기개념과 운동 자기-도식 형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는 운동 지속 행동을 늘린다. 또한, 100일 수련 동안의 자기 관찰학습과 성공수행 경험은 자기효능감을 강화하며, 수행력 향상에 상호보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수련 동안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한 공감, 조언, 의견교환 등은 회원에 대한 공감과 긍정성 증대와 더불어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SNPE 효과 검증 연구에서 벗어나 SNPE 수련 경험에 대해 현상학적으로 접근한 질적 연구로써, SNPE 100일 수련 경험 현상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할 수 있었고 100일 수련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 John Burningham의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상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전성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1

        유아교육은 가장 현존재에 가까운 유아를 대상으로 교육한다는 점에서 유아의 존재본질을 이해하는 것은 유아교육의 밑바탕이 되어야 하는 중요한 전제이다. 그러나 기존의 성장발달이나 심리학적 분석은 유아를 고유한 개별적 존재로 이해하기보다, 표준적 성장과 발달의 존재로 인식하게끔 유도되어왔다. 유아의 본질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유아의 생활세계가 잘 드러나는 그림책의 현상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John Burningham의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상을 현상학적으로 연구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상학과 그림책에 대하여 이해하고, 그림책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의 적합성을 고찰한다. 둘째, John Burningham 그림책의 특징을 탐색한다. 셋째, John Burningham의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상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한다. 넷째, John Burningham의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상에 따른 교육적 의미에 대해 탐색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써 선정된 그림책을 Saldana(2009)의 극화코딩 방법으로 코딩하여 나타난 존재특징 주제어를 중심으로 유아상을 제시했다. 이론적 탐색과 논의를 바탕으로 John Burningham의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자신의 성장을 의식적으로 책임지려는 유아’,‘욕망을 채우는 유아,‘창조적으로 자신을 발달시키는 유아’,‘사랑을 받고 사랑하는 유아’의 모습을 드러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유아는 창조적인 놀이로서 실존적 성장을 이루고, 욕망을 통해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 인내와 사랑의 미덕과 유아에 대한 신뢰를 가진 교육자의 존재로 인해 올바른 유아교육이 이루어진다는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올바른 유아교육은 그 대상인 유아의 삶과 존재본질에 대한 올바른 선이해로부터 시작됨을 알 수 있었다. Sin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argets the child closest to Dasein,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child is an important premise that should be the found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owever, existing theory of growth and development or psychological analysis has been induced to recognize the child as a being of standard growth and development rather than as an unique individual being. For the essential understanding of the child,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picture book that reveals the life world of child is necessar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henomenologically study the child’s images shown in John Burningham’s picture book. The research cont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understand phenomenology and picture books, and to consider the suitability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picture books. Secon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John Burningham’s picture book. Third, to analyze phenomenologically the child’s images shown in John Burningham’s picture book. Fourth,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 child’s images in John Burningham’s picture book. As a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 present the child’s images centered on the existing characteristics subject words which are induced by coding a picture book selected as a literature study by means of the dramatical coding method of Saldana(2009). Based to the theoretical exploration and discussion, the child’s images shown in John Burningham’s picture book can be presented as follows. They show the appearances of‘the child trying to take responsibility for his/her own growth’,‘the child trying to fill his/her own desires’,‘the child trying to develop his/herself creatively’, and‘the child trying to love and be loved.’ Through the above discussions, the educational meaning that the child achieves existential growth by a creative play and pursues a happy life by his/her desire, and th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correctly achieved due to the being of educator who has the virtue of patience and love and the trust of the child could be foun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starts rightly with correct preunderstanding of its subject’s life and essence of being.

      • 저널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기 여성들의 자기이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장정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79

        연구의 요약 본 연구는 저널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기 여성들의 자기이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중년기 여성이 인생 2막에서 마주하는 것들은 무엇인지, 중년기 여성의 저널치료 경험은 어떠한지, 중년기 여성의 저널치료를 통한 자기이해 경험은 어떠한지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중년기 여성들의 삶을 가까이에서 들여다보았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연구결과는 크게 세 개의 범주에 따라 기술되었고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이 인생 2막에서 마주하는 것들’은 크게 ‘제 2의 사춘기’, ‘후회와 희망’, ‘성찰과 실행’으로 범주화되었다. 중년기 여성들이 가장 먼저 느끼는 변화는 신체적 변화였다. 하고 싶은 일도 해야 할 일도 많은데 몸이 잘 따라 주지 않을 때, 중년기 여성들은 정신과 육체의 불균형 속에서 힘들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년기 여성들은 비단 몸만이 아니라 급변하는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갈까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제 2차 성장의 시기이기도 한 중년기 여성들은 이 시기에 또 한번의 정체성 혼란을 경험하기도 한다. 종종 뒤틀린 모습으로 나타나는 청년기의 정체성 형성과정을 훌륭하게 조명한 심리학자 Erikson, E. H.(1963)도 인생후반기에 개인의 정체성 형성은 끊임없이 계속해서 진행되는 과정이어야 한다고 말했다(Sadler, 2006). 여전히 비틀거리며 혼란스럽다는 중년기 여성들에게 ‘나 이런 사람이에요.’ 라고 말할 수 있는 정체성의 확립이 절실했다. 중년기 여성들은 열심히 살아왔지만, 삶의 많은 부분이 후회로 얼룩져 있었다. 그 중 가장 큰 후회는 가족에게 못 해 준 것들과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막지 못한 죄책감이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는 시기도 바로 중년기이다. 비틀거리다가도 제 자리를 찾아나가며 어둠 속에서도 한 줄기 빛을 찾으려는 열정이 중년기 여성을 버티게 하는 힘이었다. 결국 중년기 여성들은 자신에 대한 깊은 통찰 후, 선택과 집중을 하는 데 있어 진지하고 절실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남은 생을 후회 없이 보내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스스로 찾아가고 있었다. 둘째, ‘중년기 여성의 저널치료 경험’은 크게 ‘글쓰기의 의미’, ‘함께 쓰기의 묘미’로 범주화 되었다. 저널치료는 중년기 여성들의 잠자고 있던 글쓰기 욕구를 불러일으켰다. 책값이 우울증 약값보다 싸다고 하며, 책읽기와 글쓰기는 절망 속에 빠진 자신에게 삶을 선물 해 준다는 가인의 고백이 인상적이었다. 글쓰기가 물론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때로 글쓰기는 아픈 기억을 회상하며 불가능을 기대하게 한다는 점에서 쓸 수도 쓰지 않을 수도 없는 딜레마라는 의견도 있었다. 하지만 저널치료를 통해 자신만의 문제에 깊숙이 들어가 저마다의 심각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힘을 기르게 되었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이 과정에서 아픔을 딛고 글을 쓸 수 있을 만큼의 힘을 얻게 되며, 자신의 삶을 정리하고 다가 올 미래를 계획하게 되었다고 했다. 또한 저널치료는 다양한 삶 속에서 다른 사람의 삶을 들여다보며 나의 삶의 무게를 내려놓을 수 있으며 다양한 삶의 풍경 속, 나의 삶도 한 폭의 그림임을 깨닫게 한다고 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누구에게도 말 할 수 없어 몰래 눈물 흘리던 아픈 기억들을 꺼내 놓고 말릴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고 했다. ‘소통과 교감’은 중년기 여성들의 삶의 중요한 과업이었으며, 저널치료 프로그램을 함께 하며 서로에게 높은 등급의 보석과 같은 연대감을 갖게 되었다고 했다. 셋째, ‘중년기 여성의 저널치료를 통한 자기이해 경험’은 ‘자기감정에 대한 이해’, ‘자기태도에 대한 이해’, ‘자기신념에 대한 이해’로 범주화되었다. 중년기 여성의 억압된 감정은 울고 싶어도 눈물이 나지 않았으며, 정리되지 않은 감정은 시퍼렇게 멍이 들어 가슴 속 암덩이를 가지고도 표현하지 못한 아픔을 갖게 했다. 참여자 대부분은 우울을 혹처럼 달고 있었으나, 이 우울감을 표현하기에는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너무 많은 감정의 소모를 경험했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 중 몇몇은 여전히 자신의 감정을 억압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하지만 중년기 여성은 ‘감정은 태어나고 죽고 다시 태어난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삶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자살에 관한 충동도 자식으로 인해 잠재울 수 있었다고 했다. 이들은 살아가면서 크고 작은 상처를 입었으며 가장 큰 상처는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들로부터 받은 상처였다. 하지만 연구 참여자들은 절망하거나 포기하지 않았다. “그동안 잘 보내서 다행이야, 고생 했어” 라고 스스로에게 하는 위로는 가장 큰 힘이 되었으며, 자신을 가장 사랑해 줄 사람은 바로 자신임을 알고 있었다. 심하게 꼬여있는 삶도 결국 스스로 풀어나가야 하며 또 이를 바탕으로 더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는 것도 결국 자신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고 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기이해 경험을 통해 중년기는 나이가 든다는 것, 몸이 노화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긍정적인 부분이 훨씬 더 많다는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길 원하며 좋은 사람이 되어 이 사회에 따스한 빛이 되길 소망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원하는 가장 안정적인 상황은 돈도 명예도 아니었다. 솔직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삶, 가면을 쓰지 않아도 되는 삶을 추구하고 있었다. 가장 좋은 때는 아직 오지 않았다. 인생의 후반, 그것을 위해 인생의 전반이 존재(Sadler, 2006)하기 때문이다.

      • 사회초년생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신희라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초년생 정체성 형성 과정을 조망함으로서 그 의미와 본질을 드러냄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채택했으며, 분석 결과 163개의 의미 단위가 발견됐고 총 6개의 의미 주제와 29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6개의 의미 주제는 ‘가족의 역설’, ‘사회에서 자리 잡기’, ‘연대의 힘’, ‘새로운 세계와 만남’, ‘존재론적 고민과 가치’, ‘끊임없는 고찰과 변화’ 이다. 첫 번째 의미주제는 ‘가족의 역설’로, 가족은 자아정체성의 중요 요소인 성향을 형성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고, 역할모델을 제시하고, 안정적 심리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지지를 제공했지만 가정폭력, 학대, 방임과 같은 현상이 왜곡된 자아상과 관계상을 형성시키는 양상을 보였다. 두 번째 의미주제인 ‘사회에서 자리 잡기’는 사회에서 승인 받아 자리를 잡기 위해 전문 분야를 명확히 하고, 스스로 생계를 책임질 수 있는 경제적 능력을 확보하려는 연 구참여자들의 노력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의미주제인 ‘연대의 힘’ 에서는 친구, 지인 등과 같이 친밀하고 단단하게 연결된 연대감으로 표현된 그룹이 있었던 반면, 커뮤니티 모임, 종교 공동체와 같이 느슨한 연결감으로 표현된 그룹도 존재하는 양상으로 표현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러한 공동체에서 사회초년생 시절 직면하는 위기를 해쳐나갈 힘, 지식, 지혜를 얻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의미주제는 ‘새로운 세계와 만남’이며, 연구참여자들이 성장하고 싶은 마음과 주체성을 기반으로 자극을 찾아 나서고, 외부의 자극도 수용하면서 능동적으로 자신의 시각을 확장하고 형성해나가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의미주제인 ‘존재론적 고민과 가치’는 다양한 외부 자극을 통해 존재론적 고민을 시작하고, 이 고민의 결과로 도출된 가치를 지향하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여섯 번째 의미 주제는 ‘끊임없는 고찰과 변화’이고, 연구 참여자들이 기존에 접해보지 못 한 다양한 상황과 사람에 노출되며 끊임없이 자아상, 관계상, 조직 적응, 직업, 사회 등에 고찰하며 변화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8명의 사회초년생들의 자아정체성 형성과정을 분석한 결과로 가족, 교육, 문화가 자아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고찰할 수 있었고 사회초년생이 다양한 상황에 처하며 기존의 자아상, 관계상, 사회상을 재검토하고 시야를 확장시켜나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확장과 재검토의 과정에서 수반되는 고찰과 변화의 결과로 이전보다 자신을 수용하고 현실적이 되어가는 성장이 이뤄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사회초년생의 자아정체성 재형성에 가정, 문화, 직장, 교육 등이 영향을 미치는지 심도 있게 고찰하였고, 사회초년생의 자아정체성 형성, 재고찰, 재형성 등의 지속적 고찰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