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사회의 다층적 표현 특성을 통한 교회건축계획연구 : 리좀의 다층성을 중심으로

        서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글초록:정보화, 인터넷 네트워크화(internetworking)로 인하여 현재 우리 사회의 전부분에서 조직적인 변화는 계속되고 있다. 그 변화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구조 등 모든 면에 걸쳐 현대사회에 큰 변혁을 가져오고 있다. 이른바 뉴미디어로 지칭되는 디지털 미디어가 현대사회 깊숙이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인터넷이라 불리우는 전자 네트워크체계는 시간과 거리의 차이를 좁히고 있다. 네트워크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영역으로 우리의 삶이이동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우리의 삶과 환경을 둘러싼 다양한 가치관과 형태들도 달라지고 있다. 인터넷은 디지털로 만들어진 새로운 공간을 창조했다는 것 외에도 인터넷의 구조체계가 현대 사회의 구조체계와 많은 관련을 갖는 것으로 사회학에서 이야기한다. 과정적인 좌표점 자체를 거부하고 각각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비중심적이고 분화된 커뮤니케이션을 갖는 항상적인 권력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상황’에 따른 것에 불과하며, 따라서 미디어가 갖는 권력은 일시적이고 유동적인 것에 불과할 뿐이라는 것이다.( S.Best & D.Keller, 정일준 옮김, <탈 현대의 사회이론>, 현대미학사, 1995, 132-133) http://www.cyberculture.re.kr/forum/paper/Ids01.htm 기존의 집권적이고 수직적 구조에서 분권적이고 유연한 수평구조로, 조직규모는 기존의 대규모 조직에서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소규모 팀 위주로, 경제활동은 기존의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이것은 정보기술의 혁명에 의한 가장 근본적인 사회구조 변화가 집단적 구조에서 개인적 구조로 이동한다는 사실,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물결은 더욱더 다양한 문화 현상을 발생하고 있으며, 기술적인 미래예측과 삶의 가치관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그 새로운 가치관은 더욱 유연하고, 자아와 대상간의 차이를 인정하며, 이질적 타자간의 인정과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구조와 개인 사이의 ‘역전된 관계’에 대한 가치관을 이룬다. 다시 말해 구조로부터 개인을 설명하는 과거의 방식이 아니라, 거꾸로 개인으로부터 그가 구성하는 세계와 그 세계에서의 ‘그’에 대해 설명하는 인식론적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실로 현대사회의 새로운 화두는 ‘개인’ 에 집중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오늘날 기독교 또한 종교적 집단적 형식을 떠나 초기 교회의 정신과 단순성으로 돌아가며, 아울러 교회의 현대화를 추구하는 교회의 새로운 인식과 특히 평신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교회 건축은 기념비적 이미지 대신 친근함을 주는 교회로 변화하고 교회가 가졌던 신성한 구조에 대한 본질적 요구도 사라지게 되었다. 따라서 교회는 현대사회와 주변환경에 긴밀히 연계되어지며 교회의 다양한 가능성을 추구하고 있다

      • 현대인의 일상적인 삶의 표현 : 현대사회의 인간성 상실을 중심으로

        문경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에 이르러 물질적 풍요 속에서 인간의 외형적 삶은 윤택해져 가고 있지만, 환경의 파괴와 핵전쟁 등의 위협을 통해 현대인은 정신적 혼돈 상태를 겪으면서 물질 문명에 대한 회의와 인간성 회복에 대한 문제를 끊임없이 제기해 왔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 한 개인은 풍요로운 물질 사회에서 주체로서보다는 일방적인 수용자로서 살아가고 있으며, 인간과 인간의 접촉보다는 인간과 매체와의 접촉의 기회가 커지면서 인간은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비 인간화된 삶을 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의 일상적인 삶을 표현하여 풍요로운 사회에 대비된 개인의 소외된 삶의 모습을 문제로 제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의식적으로 지나가는 시간의 흐름을 가시화 하여, 인간성을 상실한 현대인의 기계화되고, 상호적 소통이 단절된 일상적 삶을 형상화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재료의 중첩과 나열, 반복작업을 통해서 시간의 흐름을 가시화하여 현대인의 일상적 삶의 표현을 모색하였고, 사용된 재료의 선택 동기와 표현방법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간의 개념은 과거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삶의 연속성과 반복성을 강조하는 의미이며, 재료의 중첩을 통해 가시화 된다. 일상적 삶은 시간의 가시화에 의해서, 신문지,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판, 볼트, 너트, 못, 와이어 등의 산업부산물로서의 재료와 함께 사회의 중심부로부터 분리되고, 소통이 단절된 현대 사회 속에서 소외된 모습을 표현된다. 본 연구의 방법은 연구의 도구로 이론적 배경에서 사회학과 미술사에 관련된 문헌조사와, 현대미술사에서 일상적 삶을 표현한 관련 작품을 24점 표출하였고, 작품제작 분석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간성을 상실한 현대 사회의 일상적 삶의 모습에 대한 형상화이다. 본 연구에서 작품의 표현재료는 산업사회의 산물들로서 신문지와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판, 철사, 와이어, 볼트, 너트, 못 등을 사용하여 현대사회의 물질화 된 외형적 모습을 반영하였다. 표현방법으로는 재료의 중첩을 통해 시간의 흐름을 가시화 하였고 반복적인 나열과 중첩의 제작과정을 통해 현대인의 일상의 단순화되고 기계화된 삶의 단면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관점은 분석대상의 연구작품은 7점을 제작하여, 작품의 재료 사용과 표현기법을 통해 나타난 인간성을 상실한 현대인의 일상적 삶의 단면에 대한 이미지 표현에 기준을 두었다. 본 연구의 작품제작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지속되는 시간의 흐름은 무언가 쌓여져 있는 것들을 통해서 인식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신문지와 고무 판을 겹겹이 쌓고 가는 철사를 감고 뜨개질하는 방법을 통해서 시간의 흐름을 가시화 시켰다. 재료를 겹겹이 쌓거나 뜨개질하는 작업들은 무의식적인 손 작업처럼 익숙해 져서 그 작업 과정을 통해서도 시간을 느낄 수 있다. 일상적인 것에 대한 소재로 반복적인 삶의 틀과 현대 산업 사회 안에서 소모품처럼 기계화된 인간의 존재의 모습을 선택하여 산업 부산물들로써의 재료인 신문지와 플라스틱류, 금속류들의 재료들을 혼합하여 표현하였다. 기계화된 사회의 틀 안에 갇혀 소외된 현대인의 삶을 신문지나 고무류의 사각형의 틀을 통해서 형상화 시키고 금속성의 재료들을 결합시키거나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표현했다. 현대 사회의 소외되고 불완전한 인간표현은 한계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일면적인 설치작업으로 표현하였고, 무채색 계열의 색채표현으로 삭막한 도시사회의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그 결과 비 인간화된 현대인이 일상적 삶의 표현은 삭막한 사각 틀의 도시공간에서 정신적으로 고갈되어 가는 모습으로 형상화되었는데, 그 틀은 가볍고 가변적인 재료인 신문지와 연성이 고무류로 제작하여 불안한 현대사회의 위기를 표현하였고, 비 인간화된 존재들은 마치 그들의 삶을 극복하려는 의지만을 가진 채 저항하지만 결국 그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안타까운 형상으로 연성의 고무류나 가느다란 철사로 제작되어 흘러내릴 듯이 매달려 있거나 끌려가듯 조여져 있거나 가늘게 엉킨 채 감겨져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미술에서 일상적인 주제가 가지고 있는 광범위하고 열린 가능성을 경험하였으며, 현대 사회의 인간 상황을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고 표현함으로써 현실인식의 폭을 넓히고, 긍정적인 갈등해소의 모색으로써 인간의 역할을 재인식 할 수 있었다. Though the external life of a modern man becomes rich, question about materialized civilization and humanity recovery is continuously raised, suffering spiritual chaos by environment destroy, nuclear war and racial dissolution. Also, an individual in modern society lives not as the subject of prosperous material life, but as a mere acceptor. With the increase of contact between men and the media rather than between men and men, human beings live an inhumane life alienated from th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sualize the flow of the time unconsciously passing by, and image a modern man's life which the mutual communication isolated and inhuman of which mechaniz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grope for modern men's daily life expression by visualizing the time flow through the overlapping, arrangement and repetition of materials and explain the motivation of choosing material and expression method. The concept of time in this study means the emphasis of consecutive and repetitive character of life from the pas to the present, and it is visualized through the overlapping of materials, Daily life is expressed as the alienation from the society with materials as by products of industry such as newspaper, synthetic resins, rubber plate, bolt, nut, nail and wire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time. The study methods include literature survey and related work study(24 pieces), and work analysis is also accompanied.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the expression of daily life without humanity in modern society. The work materials of this study are paper, synthetic resins, silicon, rubber plate, wire, bolt, nut and nail, and they reflect the superficial features of materialized modern society. As a expression way, the flow of time is visualized through the overlapping of materials and the mechanized life of modern men is expressed through the repeated arrangement and overlapping. The point of view in analysis in this study is image expression of modern men´s daily life without humanity presented though material use and expression skills for works with seven works made(7 pieces). The flow of time repeatedly continued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for this study is perceived by something accumulated, and visualized by accumulating newspaper and rubber plates, coiling and knitting. Accumulating or knitting materials gets accustomed just as unconscious manual work, and it makes feel the time. As a material of the routine, I chose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changed into articles of consumption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and mixed newspaper, plastics and metals as byproducts of industry. That is, modern men trapped in machines and isolated, and their life was imaged by the frame of newspaper of rubbers, and metals were also used partly mixed with them. To emphasize limitation, isolated and incomplete human beings in modern society were expressed with embossing setting up, and sterile urban mood was expressed by mono-toned coloring. As a result, expression of inhuman modern man daily life is imaged into spiritually exhausted in the frame of urban space, and the frame is made of light and impractical materials as like newspaper and rubber to express the crisis of unstable modern life. the inhumane beings resist only with will power to overcome their life, but in vain, drawn with rubber of thin wire, tangled or mixed. Through this process, I experienced the wide and open possibility of a routine subject, and expanded recognition of reality by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human situation in relation with society, and realized the role of human beings as a positive plan of conflict solving.

      • 현대사회에 있어서의 무용학과 심리학의 학제화 경향에 관한 연구

        박선희 조선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산업사회는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이제 고도산업사회에 이르고 있으며, 앞으로 탈공업사회를 거처 고도정보화사회로 되어가고 있다. 엄청난 변화와 수 많은 직업 그리고 폭발적인 지식 등, 현대사회는 이제 학문에 있어서도 학문간의 벽이 허물어지면서 학문간 상호관계와 예술상호간, 학문과 예술간 등 서로의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수용하여 새로운 학문과 예술로 그 발전과 함께 변화를 더해 가고 있으며, 새로운 사태에 대처하는 수 많은 새로운 학문을 계속해서 만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그 동안 무용 예술의 경우에도 그것이 예술로서의 발전은 물론, 다른 한 편으로는 과학으로서의 무용학으로 발전해 왔으며, 심리학의 경우에 있어서도 현대의 심리학은 이제 단순한 인간의 정신에 관한 학문으로서가 아니라 인간의 신체, 행동 등의 과학으로 발전해 왔었다 또한 무용학이나 심리학의 경우도 여타 예술과 학문과의 관계를 가지면서 수 많은 새로운 연구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으며, 최근 무용학의 한 영역으로서 심리학적 연구를 무용예술, 무용학의 발전에 응용코자 한 여러가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도 이러한 현상의 하나라 할 것이다. 이제 무용학은 심리학의 연구를 무용에 응용코자 한 새로운 학문 영역을 확대시켜가고 있으며, 아직은 생소하긴 하지만 무용심리학이 그 고고의 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이다 국내에서는 스포츠심리학의 연구를 무용심리학으로 대체하면서 무용심리학을 하나의 학문 영역으로 발전시켜 가려는 시도가 있기는 하나 전문가의 부족과 무용학의 속성상 아직은 무용심리학이 세인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모든 학문이 무용학과의 학제화가 필요한 것이긴 하지만, 무용이 신체를 통한 예술이며, 느낌과 창작예술의 속성인 점에서 다른 어떤 학문보다 심리학과의 관계는 밀접하다 할 것이다. 그린 점에서 하루 빨리 무용심리학 연구자가 많이 나와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이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무용가들도 이 점에 더욱 큰 관심을 가져 오늘날 모든 학문의 기초과학으로서 가장 중시되고 있는 심리학의 연구를 무용에 응용하는 무용심리학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approcahes to the high industrial societ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and it is changed into high information society through the evasion of industral society As the well among sciences is collapsed in the modern society due to the great changes, a lot of occupation and explosive knowledge, all areas of sciences and arts anre acception the knowledge and imformation they are requiring, they are changing into a new science and art and a lot of new scinces are continuously develiped to cope with a new situation The dance has been also changed and developed as a science as well as an art and psycholoy is also developed as the science of human body and begaviou not as that of the human mind, and both the study of dance and psychology are extending their reserarch areas with the relations to oter arts and sciences The recent trend that the psychological research is applied to the dance art and the study of dance is one of these phenomena The study of dance is now extending a new research field to apply the psychological reserach to the dance and the dance psychology which is unfamiliar to us comes into being Although the approach to develop the dance psyshology to a field of science has been made by substituting the sport psychology has not drawn the public attention due to the lack of professionals and the attribute of dance The dance has the close relation to psychology in that it is the art through human body and has the attribute of feeling and creative art Therefore, the reserchers of the dance psychology in universities and research special reserch on this area should be conducted in un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e dancdrs must have the interes in it and the dfforts to make the scientific development of the dance psychology which applise the psychological reserach to the dance should be made

      • 작품론 <터>를 중심으로

        차경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Death is losing its meaning in modern society. The modern world tries to control death. Thus, present-day medical research and social planning deconstruct humans and treat them like a biochemical composite machine. In other words, humans have been reduced to a tool for making people’s expectation of longer life possible. Therefore, as our modern societies pursue progress endlessly, life in the world has become something that has to be absolutely advanced. In such a society, death is seen as an act taking what he has been done from him, so it is just nothing more than meaningless, empty, and painful. Such negative feelings about death come to beget another negative recognition of present life and cause people to hold to the life after death. Modern people end up with dissatisfaction with their present life. The work of photographs “Teo - life and death exist together” (which is a part of a series that is still in progress starting from March 2006) raises a question about death, which is a taboo in the modern society and an object reduced to a fear and terror, and seeks to find countermeasures against those negative feelings towards death. The work starts with recognition that death can be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life, not a fear. The beautiful landscapes in the pictures of “Teo - life and death exist together” are considered as the photographer’s understanding of the objects in them.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present-day pictures of landscapes, whether they are about natural areas or modern cities, seem to reflect photographers’ understandings of and attitudes toward the objects in pictures. Pictures of landscapes project photographers’ understandings of contemporary objects and phenomena. “Teo - life and death exist together” shows how the photographer understands death and life and especially death settled in nature through graves located in Korean nature. He understands death as an extension of life from an Eastern sense of death and nature distinguished from a Western sense by reproducing the forms of death in the living areas and the forms and locations of graves vulnerable to change in natural surroundings. Most modern arts have expressed death in the form of a fear and terror. Death and especially a dead body are transferred to an end or discontinuation and something ugly and shameful. The modern artistic works, on the one hand, express death as something violent and terrifying and force appreciators to face such a terror, but on the other hand, they attempt to step over such a fear for death. Present-day reproduction of pictures displaying death is easily found in much of the picture coverage and especially many pictures that target violent scenes, including wars. As shown in those pictures that contain violence and war, pictures of today represent death as a fear and terror and tell a story of the life beyond death. The story can be classified as a physical representation of death like a corpse, a symbolic representation like the goods of the dead, and a spatial representation of a scene of death. “Teo - life and death exist together” visualizes death, forces appreciators to face the issue, and gives them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human life. This is on the same wavelength as other pictures of today. However, the pictures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 modern pictures by raising a question about death reduced to a taboo in Western societies and by dealing with the question through a spatial symbol of a grave located in nature. The underlying ideas of “Teo - life and death exist together” are an Eastern sense of death and nature following the principle of accord and accommodation and a recognition of death as the same as life. It visualizes death worth reflecting on in life by construing the death as an extension of life and a part of natural orders and reasons. A Korean traditional sense of death considers death the moment or situation when a sprit separates from its physical form and believes that the sprit continues to affect the relationship with living people and to be with them. This belief enables Koreans to understand death as an extension of life instead of an end of life. According to the Korean traditional sense of death, burials coming down to graves, which are pervasive, mean that a dead body should be returned to the nature or ground. Graves are meaningful as a spatial agent who arranges the meeting of the dead and the living. Through the grave, the dead and the living meet in nature. This represents that Koreans do not separate death and life. Most of Korean graves located in nature are linked to the living area. The living area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ure. The pictures of “Teo - life and death exist together” show that the dead are still with the living, though the graves tell that the way the dead exist is different from the way the living do. Graves are usually located in a mountain chain, on an open field, on the land adjacent to the river. These natural locations reflect living areas and thus imply that death and life are in the relationship of continuation, not discontinuation. “Teo - life and death exist together” reproduces the natural and cultural scenes of Koreans who create a culture that death coexists with life. The pictures reveal that death does not separate from life but coexists with life by looking at graves located in nature, the forms of death settled in the living areas, and the forms and locations of graves vulnerable to change in natural surroundings. In other words, graves confirm that death is an extension of life. An Oriental sense of nature also underlies “Teo - life and death exist together” Unlike Western landscape pictures where nature is expressed only as an object you can look at, an Oriental sense of nature construes nature as an object that you can fit in with and be united with. It expresses how death and life are understood through the way death settles in nature. Therefore the nature expressed in “Teo - life and death exist together” is not only beautiful but also realistic in that the nature stands with human life which even includes the world of death. “Teo - life and death exist together” also pursues the unity of internal peace and nature. It intends to look at nature and death through coordination with the internal world. The pictures include the beauty of accord and accommodation. Given this, “Teo - life and death exist together” suggests to step over a fear for death and sincerely reflect on death to live a better life by considering graves located in nature linking with human life. This implies that you can approach death in a more positive way when you understand your or others’ death within life. 현대사회에서 죽음은 그 의미를 점차 상실해 가고 있다. 현대 사회는 죽음을 통제하고자 의학적 연구 또는 국가사회적 기획들을 통해 인간을 해체하고, 하나의 생화학적 결합체인‘기계’로 인간을 다룬다. 즉 현대사회는 인간을 삶의 극대화와 수명의 계산 가능성을 위해 하나의 수치, 목적달성을 위한 도구로 전락시켰다. 그리하여 무한한‘진보’를 추구하는 현대 문명의 흐름에 휩쓸려버린 현대 사회에서 삶은 무조건 전진해야 하는 지난한 과정이 되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자신이 살아있는 동안 쌓은 모든 것을 앗아가는 죽음은 무의미, 허무함 그리고 고통으로 인식된다. 그 결과 현재의 삶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낳고, 죽음 이후의 생에 대한 과도한 집착의 형태를 가져와 현대인의 삶은 진정한 만족의 의미를 알지 못하게 되어 버렸다. 작품 <터>(Series <터>의 부분, 제작기간 2006.3~2008.3 작업 진행 중)는 현대사회에서 터부시 되고,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 되어버린 죽음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그 대응책을 찾고자 한다. 이는 고통과 두려움의 대상으로서 죽음이 아니라, 삶의 연속 상에서 지속의 긍정적 의미로 죽음을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먼저 형식적인 측면에서 풍경 사진인 작품 <터>는 풍경 사진을 대상에 대한 작가 인식의 표현으로서 이해한다. 이는 현대 사진에서의 풍경 사진이 그 자연을 대상으로 하든, 복잡한 현대 도시를 대상으로 하든 그 대상에 대한 사실적 기록보다는 그것을 바라보는 작가의 의식과 태도가 반영되는 것을 그 이해의 기반으로 하고 있다. 즉, 풍경 사진에는 동시대에 발견되는 대상과 현상에 대한 작가의 인식이 투영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작품 <터>는 한국의 자연 속에 자리한 무덤을 대상으로 하여, 이에 대한 작가 본인의 삶과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자연 안에 자리한 죽음에 대한 인식을 보여준다. 그것은 현대 서구사회의 죽음관과 자연관이 차별되는 것으로써 동양적인 자연관과 한국 사회에서의 죽음관 에서 우리의 생활공간 안에 죽음이 자리한 형태 그리고 지형적 환경 속에서 변화되는 무덤의 형태와 위치를 사진적으로 재현함으로써 삶과의 지속관계 에서 죽음을 살펴보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현대 예술에서 대부분의 죽음은 공포와 두려움의 형태로 형상화되었다. 죽음, 특히 시체는 모든 것이 종결된, 단절된 것으로서 추한 것, 창피한 것으로 전환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폭력적이고 공포스러운 것으로서의 죽음을 표현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그 공포를 직시하도록 강요하거나, 다른 한편으로 역설적으로 이를 통해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으로서 죽음에 대한 인식을 극복하고자 여러 시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대사회에서 죽음의 사진적 재현은 보도사진, 특히 전쟁을 비롯한 폭력을 그 대상으로 하는 수많은 사진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인간사회의 전쟁과 폭력을 담는 보도 사진과 함께 현대 예술에서의 사진은 두려움과 공포로서 죽음의 표상을 드러내며, 동시에 이러한 표상으로서 죽음의 이면인 삶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것은 시체와 같은 죽음의 물리적 표상, 죽은 이들의 물품 등의 상징적 표상, 그리고 죽음의 현장을 표현하는 공간적인 표상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작품 <터>는 지금까지 살펴본 죽음을 대상으로 하는 현대 사진과 같이 그 주제적 측면에서 죽음을 시각화함으로써 죽음을 직시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삶을 성찰적 자세로 바라보고 있다. 그러나 이들 사진과 차별되는 것은 현대 서구 사회에서 터부시 되는 죽음의 인식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데 있어 그 시각적 대상을 자연 속에 자연스럽게 있는 무덤이라는 공간적 상징물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는 데 있다. 이는 조화와 순응의 원리를 따르는 동양적 자연관과 죽음관을 바탕으로 하여 삶과 동일한 것으로 죽음을 보는 인식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죽음을 삶의 연장선으로, 자연의 순리와 이치의 한 부분으로 ‘자연스러운 것’으로 이해하여 궁극적으로 삶 속에서 성찰하는 죽음을 시각화하고 있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한국의 전통적 죽음관 에서는 죽음을 ‘영혼’과 ‘육신’이 분리 되는 순간, 혹은 상태로 간주하고 있으며, 이렇게 분리된 ‘영혼’은 산 자와의 관계 속에서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침으로써, 산 자와 함께 공존하고 있다고 믿는다. 이러한 믿음들이 바로 삶과 죽음을 서로 모순되거나 대립적인 것으로 상정하지 않고, 인간의 실존적인 문제로서의 죽음을 삶과의 연속선상에서 이해하는 한국인의 전통적 죽음관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통적 죽음관에서 무덤으로 귀결되는 ‘매장(埋葬)’은 보편적인 시신처리 방식으로서 죽은 이의 시신은 자연, 땅으로 회귀 되어야 한다는 의미가 있다. 이로써 무덤은 자연의 회귀로서의 의미와 삶과 죽음을 이어주는 공간적 매개체로서의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무덤은 죽은 자와 산 자가 만날 수 있는 자연 속의 공간적 매개체이며, 이는 삶과 죽음을 별개로 분리하지 않고 살아가는 한국인의 삶과 죽음의 인식이 드러나는 문화적 표상이 된다. 따라서 한국 사회에서 자연에 있는 무덤 대부분은 삶의 공간, 생활의 공간과 연관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생활 공간은 한국적 지형의 특성을 고스란히 반영 하고 있다. 작품 <터>를 촬영할 시 전 국토를 다니며 지형 따라 자리한 무덤을 살펴보며 확인한 것은 죽은 이의 무덤은 우리가 사는 공간에서 다만 형태를 달리할 뿐 생활 세계와 함께 있다는 것이었다. 산이 하나의 맥을 형성하여 뻗어나가는 자리, 평야가 펼쳐지는 자리, 바다와 인접해 있는 자리의 무덤에는 그 지형적 특징에 따르는 생활 공간이 투영되어, 삶과 죽음 혹은 삶의 세계와 죽음의 세계가 경계와 단절이 아닌 지속의 관계에 있음을 보여 주었다. 작품 <터>는 이렇듯 한국 지형의 조건에서 비롯한 자연을 배경으로 자리 잡고 있는 무덤을 통하여 삶과 죽음이 함께한 문화를 만들어가는 한국의 자연적, 문화적 풍경을 사진으로 재현하였다. 자연 속에 자리한 무덤, 우리의 생활공간 안에 죽음이 자리한 형태 그리고 지형적 환경 속에서 변화되는 무덤의 형태와 위치를 봄으로써 삶과 죽음은 분리되지 않고 공존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즉, 무덤을 통해 죽음을 삶과 죽음이 경계의 끝이 아닌 지속으로서 그 의미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작품 <터>는 자연을 대상으로만 바라보는 서양의 풍경 사진과 달리 인간과 자연의 조화와 합일이라는 동양적인 자연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즉, 자연 그 자체를 시각화하기보다는 자연 속에 있는 인간의 죽음이 자리한 풍경을 대상으로 곧 인간의 삶과 죽음을 이해하는 방식과 그 성찰에 대해 표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작품 <터>에서 드러나는 자연은 아름다운 자연만이 아닌 생활 세계와 더불어 죽음의 세계를 포함하고 있는 인간 삶 자체와 조화를 이루는 자연이다. 아울러 작품 <터>는 전통적인 동양의 예술가가 이루고자 하는 내면적 평화, 평정, 자연과의 합일 지향한다. 자기 욕망의 한 표현으로 사회와 세계에 대한 불안감, 불만족, 냉소를 충격적으로 또는 즉시적으로 토로하기보다는 자신이 속한 세계와의 내면적 조화를 통해 자연 그리고 죽음을 바라보고자 한다. 그리고 자연에 순응하고 그것과 화해하려는, 순응과 화해의 미학을 담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작품 <터>는 자연과 융화하고 하나 되려는 태도에서, 우주적 질서와 조화의 공간으로서 한국의 자연 풍경을 인식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한국 지형이 가진 흔히 우리가 말하는 협소함을 아기자기함으로 무질서해 지루하고 산만하다고 인식된 것을 작지만 다양하고 우리의 정서와 향수가 묻어나는 정겨운 공간으로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자연과 더불어 순응하고 삶을 배우며 인간과 자연이 어우러져 살아가는 한국의 자연 풍경을 표현하고자 했다. 작품 <터>는 궁극적으로 한국의 자연 속에서 삶과의 지속관계에 자리한 무덤을 사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삶과 죽음의 경계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죽음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통해 더 나은 삶을 영위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것은 나의 죽음과 타인의 죽음을 삶 속에서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 들이느냐에 따라 삶은 물론 삶과 이어지는 죽음을 보다 긍정적인 태도로 완성해 나갈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 현대사회에서의 자아표현 연구

        이선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20세기 현대사회는 산업기술의 급진적 발달을 통해 물질적인 풍요와 정보매체의 홍수를 가져왔으며 구성원들의 삶과 외부환경을 변모시켰다. 현대사회를 구성하는 자본주의는 대량생산을 통한 물질적인 풍요와 함께 현대사회의 도시화를 가져왔고 그로 인해 인간의 개인주의적인 성향과 물질적 가치관을 조장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상황들은 인간이 태어난 그 순간부터 사회화 과정을 통해 타인과의 관계를 맺어 가는 동안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인간은 인간의 고유한 존재 조건을 인지하고 이해할 수 있는 주체로 존재할 때만이 진정한 자아를 찾게 되며 삶도 풍요롭게 된다. 이러한 자각을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인들이 물질적 풍요로움 속에서 인간 본연의 주체성과 정신적 가치의 중요성을 점차 망각해가고 있으며 익명의 군중, 즉 타인으로부터, 또 자기 자신의 진정한 자아로부터 소외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현대사회 속에서 겪게 되는 인간성 상실에 대한 자아의 심리적 갈등을 자아의 내면 속에 잠재되어 있는 또 다른 주관적인 모습으로 나타내어 인간관계를 필요로 하면서 그 속에서 각각의 본성을 가지고 독립된 주체로서 나아가며 나타나는 자아의 이중성을 인체형상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현대사회에서 사회적 현상과 이에 따른 인간의 소외의식과 정체성의 상실에 대해 살펴보았다. 정체성을 상실한 자아를 되찾아 가는 과정으로 자아의 철학적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미술로 표현된 작품을 분석하였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는 자아를 표현하기 위해 자신의 인체형상 이미지를 프린트하고 그 이미지를 분할하여 낚시줄(Mono Filament)을 이용해 평직으로 제직함으로써 자신의 형상을 사실적으로 부각시켰다. 브로케이드(Brocade) 기법을 이용해 인체의 실루엣을 표현하여 눈, 코, 입이 없는 인체 형상을 통한 자아의 정체성 상실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결론으로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의 정신과 물질의 이중구조 사이의 자아의 내적 갈등 속에서 이기주의, 개인주의, 비인간화로 인한 자아의 정체성 상실을 표현하고, 더 나아가 자기 자신의 내면세계를 되돌아봄으로써 주체적 자각을 통해 사회 속에서의 두려움과 절망을 이겨내고 잃어버린 자아를 되찾고자 하는 데 그 의미를 두었다. 'Consumption' in modern society is desire-satisfying process of solving human desires rather than that of consuming intrinsic material products. Man confirms his own life and quality through consumption and satisfying desire in consumptive society means the attachment to material values. Showing the aspect of becoming fetishistic, the society alienates man, makes false consciousness by consumption, and has him indulged in narcissism due to the indirect experiences by mass media. Such situations continue to affect man from the moment he is born while he has relations with others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However, he comes to find his true self and make his life abundant only when he exists as a subject who can recognize and understand his proper existential conditions. I expressed such self-awareness through my work and indicated it for the process of seeking his own identity. This study is aimed at expressing through another shape potential in the inside of self the psychological conflict which self gets to experience in modern consumptive society. For theoretical background, I have examined social phenomena and human sense of alienation and loss of identity that occur through mass media in modern consumptive society. I have explained them centered on self and self's desire indicated through others to recover self whose identity was lost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works of domestic and foreign artists who expressed self through human body. In manufacturing my work, I manufactured and wove it by using mono filament with the most fundamental weaving of textile in which to weave weft and warp by interchanging them one by one, highlighted the image of self by manufacturing and weaving it by using silk screen so as to express how self looks at that made other one, and expressed the silhouette of human body by using the technique of brocade. In conclus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consists in expressing through self human inner conflict in modern society and, furthermore, wanting to recover lost self through subjective self-awareness by looking back oneself.

      • 不完全한 身體 이미지가 現代社會에 反響하는 意味에 관한 硏究

        권종환 弘益大學校 産業美術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사회에서 작가가 제작하는 다양한 신체(身體)의 이미지들은 신체에 관한 작가 나름의 해석으로부터 비롯된다. 그리고 여기에는 신체에 대한 인식의 변화뿐만 아니라 인식을 야기한 사회의 변화가 함께 수반되어 있다. 작품에 드러나는 신체의 이미지는 신체에 대한 작가의 인식과 무관하지 않으며, 인식은 곧 사회에서의 경험을 통해 형성된다. 그러므로 신체의 이미지는 사회 현상을 반영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 같은 관점에서 볼 때 작가의 신체 이미지에 대한 의미 탐구는 단순히 신체 자체에만 한정시켜 접근할 수 없다. 신체의 이미지가 사회 현상을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볼 경우, 신체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사회에 대한 이해가 함께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로서 신체 이미지에 대한 작가의 시각은 사회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인간의 신체가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는 기본 의식으로부터 출발해서, 작가가 표현하는 신체 이미지가 현대사회에 어떠한 의미를 반영하는가를 밝히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궁극적으로 이는 작가가 신체의 이미지를 빌어 자신이 몸담고 있는 사회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설명해 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한 방법으로, 우선 신체에 관한 기존의 담론(談論)을 검토함으로써 신체에 대한 인식이 어떤 흐름으로 진행되었는가를 확인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니체 (F. W. Nietzsche)로부터 연구하여 현대의 메를로 퐁티(M. Merleau-Ponty), 들뢰즈(G. Deleuze) 등에 이르는 일련의 담론들을 주로 살펴보았다. 세 사상가는 인간의 이성(理性)에 집중해서 신체를 인식하지 않고, 다양한 감각작용과 현실과의 관계속에서 파악했다는 점에 있어 공통점을 갖는다. 이점은 본인의 작품연구의 목적을 해결하는 데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 참고 하였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통해 표현된 신체이미지가 현대사회에 반영하는 의미는 무엇인가를 구체적으로 연구해 보았다. 작가가 표현하는 신체의 이미지가 사회와 무관하지 않다면, 표현된 신체 이미지는 결과적으로 작가가 처한 시대의 사회 현상과 유사한 양상을 보일 것이다. 가령 신체의 이미지가 불완전하고 불안한 양상을 보인다면 이는 곧 사회가 불안정하다는 점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특히 현대사회는 급속도로 변화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사회 현상 역시 어떤 하나의 양상으로 설명될 수 없으며, 무엇이건 간에 상품화되고 있는 현대사회의 특징이 작품 속에 등장 하는 신체 이미지에서도 발견되는가를 확인해 보고자 했다. 이 같은 접근 방법은 신체의 이미지가 사회적인 맥락에서는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파악 가능케 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본인의 작품에 나타나는 신체의 이미지에 대비시켜 확인해 보고자 했다. 즉 본인 작품에서의 신체 이미지를 앞서 확인한 현대사회의 양상과 관련시켜 조형 적인 측면과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작품에 나타나는 불완전한 조형성은 현대사회의 특징 중 일부를 반영하는 것임을 재확인하고자 했다. 한편으로는 신체의 유기적이면서도 변화 가능한 속성을 표현하는 데에 있어 유연한 섬유 재료가 매우 적합한 재료임을 강조하고자 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확인되는 바는, 한 시대의 작가가 표현하는 신체의 이미지는 그 시대의 사회 속에서의 경험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이고, 궁극적으로 이는 작가가 몸담고 있는 사회를 파악하는 해석적인 관점을 낳는다는 점이다. 더 나아가 동시대의 다양한 작가가 표현하는 신체의 이미지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도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이 있음을 발견 하였다. Today the various images of body, which contemporary artists express, grow out of the interpretations of the artists' own. There have been changes of recognition about the human body accompanying with the changes of social phenomena. The images of body in works are related to the artists' recognition about it, and a recognition has been formed by the experiences in a society. Therefore I might say the image of a body would reflect the social phenomena. can ruminate how the recognition of an artist about the society is reflected in the image of the body, and besides where an artist's status places in a socie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what kind of meanings are reflected with the images of body, which are expressed by the artists, in our time. This had begun with the base idea that the image of human body is closely related to the social context. So, this approach would ultimately be worthwhile in the respect that it would indirectly take a view of an artist's consciousness about the society. This thesis is based on such a point of view, and the procedures for proving it are as follows. First, I will examine the existing theories and discourses on a human body, especially considering present times. That is the purpose to study thoroughly what kind of changes of the recognition in the modern theorists, and artists are implied in the images of body. Above all for this, I will concentrate on the theories and discourses about the human body from F. W. Nietzsche, Maurice Merleau-Ponty to Gilles Deleuze.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one another in the way that they understand a body on considering the relations between a reality and a sense, without concentrating a rationality, which functions as a fundamental frame for solving this thesis. Second, I will consider what kind of social meanings are inherent in the images of the body. In other words, I try to make certain of the similarity between body images and social aspects, particularly focusing on both the incompleteness and a uneasiness in them. This research is grounded on a viewpoint that there is a homology between the human thought, including art works made by artists, and the aspects of the society. In addition to that, this approach will consequently lead to examine the tendency toward a commodity of the body growing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s well suggest what the meaning is. Third, I will ultimately attempt to practice comparing the modalities as a result of this considerations with my works concerned the body images. Here, in brief, I try to analyze body images in my works formatively, and this is accompanied by the meanings about the social context. Especially I try to find such a point as the fibrous materials are quite appropriate for expressing not only organic images of the body, but also the incomplete and uneasy images of the body. In conclusion through this thesis, I found that the body images expressed by the contemporary artists are originated in their recognitions and thoughts about that times. This would ultimately give rise to a series of viewpoints for understanding the society in which the artists position, as well. Nevertheless many limitations in this thesis, I expect this approaches would supply the possibilities of various, valuable viewpoints to interpretate the body images expressed by the contemporary artists.

      • 현대사회의 직업윤리 정립에 관한 연구

        김신영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현대를 직업윤리 부재의 시대로 진단하고 있는데, 이는 윤리적 요소가 직업의 중심으로 부터 멀어져가는 경향에 주목하여 현대사회의 위기를 논하는 것이다. 현대사회를 위기로 부터 구제하기 위해서, 직업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함께 직업윤리가 재건되어야 한다. 우리가 지향하는 직업윤리 정착에는 새로운 시대의 변화와 상황에 알맞은 내용이 담겨져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직업이 갖는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고 현대사회의 특징과 사회변화를 알아봄으로써 현대사회에 적합한 직업윤리를 모색해 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즉, 직업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통해 삶에서 일이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을 인지하고 편협된 사고를 넓혀서, 현대사회의 다양한 사회변화와 직업구조의 변화를 수용하며 보람을 느끼는 직업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최신서적을 인용하고 직업에 관한 고전적 이론을 고찰하면서 각종 통계자료를 인용한 것이다. 직업은 생계유지를 위하여 어느 정도 보수를 얻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계속적인 활동으로서, 사회에 기여하며 개성을 발휘할 수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이러한 직업활동이 현대사회에 들어서면서 기계화·집단화의 특성으로 말미암아 소외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는 노동과 적절히 조화된 여가선용과 직업노동의 인간화를 실현함으로써 극복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한편, 후기산업사회로 접어든 우리나라는 서비스직이 증대되고 다양화 되었으며, 전문직과 기술직이 팽창하고 화이트 칼라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특히 전문적 지식이 세분화되고 전문직업이 점차 증가하여 현대를 전문직업의 사회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러한 전문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높은 사명감과 사회에 봉사하는 직업인으로서의 긍지와 직업관을 확립해야만 한다. 또한 우리는 자신의 직업에 대한 사회적 가치평가에 좌우되지 않고 스스로선택한 직업의 가치에 만족하며, 정성어린 마음가짐과 노력으로 전문인이 되려는 의식을 가지고 직업활동에 전념해야 한다. 그렇게 할 때 현대사회에 팽배한 직업차별의식이나 3D기피현상이 극복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Today sensible persons diagnose the situation of the present age "The time lost vocation moral". They say today the important factors of morally are dieing away from vocation world, which may be looked upon a crisis of our age. Upright cognition on occup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vocational ethics should be rebuilt for tile community to be released from its emergency. The settlement of vocational ethics we are heading forward should hold the contents appropriate to the changes and circumstances in tile new era. The main point in this thesis, therefore, seeks after groping for vocational ethics suitable for modem society with the precise comprehension on occupation and inquiring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ransitions of the present times. This is to say, from right recognition for job, its importance in the life and expanding a narrow-minded view of job, this paper is going to put its key on let people do their job well with feeling of pride and achievement resulting from acknowledging a variety of modulation of society and the occupation frame. Recently published books, studies on classic theories to occupation and several kind of statistics will be used as the method of this paper's study. A job is not only a continuous activity which its goal lies on earning money for living costs but also behaviors display the service on society and simultaneously their capacity. Mechanization and collectivization, main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make these job activities estranged more and more from the community, we should make efforts to overcome these problems, attaining humanization of labor and leisure harmonized with labor. Service business have been increased and diversified, a social stratum of profession and technicain, in other words, white collar class have been in the same way in Korea in post-industrial society. From such reason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ociety could be called one as professional vocation. People in professional vocation should get the sence of pride and a right outlook on their job as profession with a high sense of mission and service for this society. Moreover, we should concenturate our mind on the activity of job with cognition and efforts to be professional and serious attitude and be satisfied with the value of the job which we ourselves chose on the basis of our own standards, neter affected by social by social judgement of value. Then, the sense of job-discrimination and 3D phenomenon(trend to avoid job difficult, dirty, dangerous) could be overcome.

      • 민화 기법의 차용으로 본 소외의 알레고리적 표현 : 본인 작업 중심으로

        정은숙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is paper, I analyze the alienated modern people in a big mechanism of capitalism and mass media and study my works in the viewpoint of epistemology. Human as a social agency inevitably is connected to the society. The rapid change and technology development accompanied by it has resulted in deep urbanization and complexity in social·cultural structure, which forces modern people to play faithfully his role and it makes them feel more oppressed and estranged. In addition, a flood of information poured by mass media and standardized mental·material life-styles suggested by it tend to deprive people of their identity and accelerate the feeling of alienation among them, which is fundamentally based on both the absence of desired communication and anxiety about reality. This paper expresses paradoxically and allegorically such feeling of alienation through ‘symbol’ from and ‘borrowing’ of folk painting. In terms of forms, I borrow repetition, simplicity and graphical expression techniques, which are all shown on folk painting and those techniques symbolize the mechanism of the modern machine civilization, and the borrowed brilliant colors are used to symbolize a provocative side of the visual image in modern society. Images that express alienation in my works, at a glance, seem warm and colorful, peaceful and even beautiful, on the contrary to an uneasy feeling of estrangement which could be expected. But, what I really want to emphasize in the visual pleasure is something stifling, which comes from the fact that I feel the same experience of alienation as others do in modern society. The paradoxical expression that makes audience feel rather a kind of visual calmness where anxiety and alienation are originally meant to be is explained in the form of allegory. An allegoric interpretation means to discover not only the graphical meaning of a visual image but another meaning hidden under its base. The importance of features an allegoric work has lies in the value of meaning and function of its metaphorical expression, not for images and contents expressed outside. As I mentioned before, my works are to show a paradoxical or even utterly different meaning, not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symbol shown by image, and this is expressed through such features of folk painting. Therefore, viewers could find themselves the feeling of alienation that is hidden under flowers, birds, a little bird, the main character of the works and a house, which are all borrowed from folk painting. 본 논문은 현대사회의 자본주의체제와 매스 미디어(mass media)를 통한 거대한 매커니즘(mechanism)속에서 소외되고 있는 현대인의 모습을 분석하고, 그 맥락에 따라 본인의 작업을 인식론적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사회 속에서 태어나고 인간과 함께 생존하면서 살아가는 사회적 존재이다. 그러나 현대사회의 급속도로 발전하는 과학기술과 급변하는 사회·문화 구조 속에서 도시와 사회조직이 더욱더 거대화 되었고, 현대인들은 거대조직의 규칙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역할 안에서 갈등과 억압을 받으며 개인의 개성과 자율성을 잃고 소외감을 느끼고 있다. 또한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의 홍수와 미디어가 무의식적으로 강요하는 정신적·물질적 생활패턴으로 인하여 현대인은 점차 정체성을 상실하고 있으며 서로간의 소통의 어려움과 현실의 불안을 기저로 하는 소외감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소외의 감정을 민화의 ‘상징’과 ‘차용’을 통해 역설적 또는 알레고리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형식적인 측면에서 본인은 민화에서 보여 지는 반복성과 단순성, 그리고 도식적인 표현기법을 차용하는데, 이러한 표현기법은 현대사회의 기계문명 매커니즘을 상징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민화에서 차용한 화려한 색채는 본인 작업에서 현대사회 시각 이미지의 자극적인 면을 상징하는 것으로 표현된다. 소외를 표현하는 본인작업의 이미지는 소외의 불안한 느낌과는 전혀 달리, 언뜻 보여 지기에 따뜻하고 화려하며, 평온하고 오히려 아름다워 보인다. 하지만 시각적인 쾌감 속에서 정말 말하고자 하는 바는, 현대사회에 속한 본인이 그 속에서 타인과 같은 소외를 겪으면서 느끼는 답답함이다. 이렇게 불안과 소외를 말하면서 오히려 시각적으로 평온함을 주는 역설적 표현방식과 전혀 다른 의미의 전달을 작업에서 알레고리 화하여 풀어본다. 시각 이미지의 도상학적 해석뿐 아니라, 그 저변에 숨겨진 또 다른 의미를 발견하는 것이 알레고리적 해석이다. 알레고리적인 작품의 특성은 겉으로 드러난 이미지와 내용보다는 그것이 비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의미의 가치와 기능이다. 앞서 말했듯이 본인의 작업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이미지가 보여주는 전통적 상징해석과 달리, 역설적이거나 혹은 전혀 다른 의미를 말하는 것인데, 이러한 이야기들을 민화의 조형적 특성을 차용하여 표현한다. 따라서 본인은 민화에서 차용한 꽃들과 색, 작업의 주인공인 작은 새와 집을 통해 작업이미지의 이면에 있는 그 소외감을 관객이 찾을 수 있도록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