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혁신학교 연구들에 대한 종합 분석

        문혜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최근 혁신학교의 많은 양적 확산이 진행됨에 따라 국내 혁신학교에 대한 연구들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 동향과 내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국내 혁신학교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한다. 연구문제 2. 국내 혁신학교 연구에서 나타난 내용을 종합 분석한다. 이를 분석하기위해 현재까지 국내 혁신학교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석·박사 학위 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10편을 대상으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혁신학교 연구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에 대한 연구는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이는 혁신학교 운영에 있어 가장 강력한 주체가 교사임을 나타낸다. 셋째, 질적연구, 양적연구, 문헌 연구, 혼합연구 방법의 순서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혁신학교 운영 실태 파악에는 질적연구 방법이, 효과 검증에는 양적연구 방법이 많이 수행되었다. 넷째, 대부분의 연구 주제가 혁신학교의 효과와 실태에 대한 것이었다. 또한 혁신학교 시행 초반에는 많은 연구들이 혁신학교의 실태에 초점이 더욱 맞추어져 있었던 반면, 후반부로 갈수록 혁신학교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혁신학교 관련 내용들을 종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 관련 연구들은 크게 실태와 효과에 관한 내용들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혁신학교 실태의 경우 민주적인 학교 운영을 실천하는 교장, 수업 역량 향상과 다양한 교과 내용 재구성을 위해 자발적으로 노력하는 교사, 이들과 함께 학생과 학부모가 학교 운영에 함께 참여하는 양상이 주로 나타났으며, 교육과정 및 교과 중심으로 조직 구조를 개편하여 교사들이 가르치는 일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였고, 교무 보조 인력 등을 배치하여 행정업무 경감을 이루고자 하였다. 셋째, 혁신학교 효과의 경우 교사의 학교만족도는 대부분 높았으며 교사의 수업역량은 향상되는 경향이 나타났지만 직무만족도에 있어서는 다소 상반된 견해가 나타났으며 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민주적인 의사소통이 반영된 관계 네트워크 안에서 또 다른 권력관계가 생기고 있다는 사실이 한계점으로 드러났다. 또한, 학생에게 나타난 혁신학교의 인지적 효과의 경우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가 서로 대립되어 나타나 일관된 결론을 내릴 수 없었으나 정의적 효과의 경우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를 밝히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와 관련한 연구들의 미흡한 부분을 객관적으로 제시하고 연구의 중복을 피할 수 있도록 하여 앞으로 수행될 혁신학교에 관한 연구들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국내 혁신학교와 관련하여 수행된 개별적인 연구 성과들을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보다 포괄적으로 조망하여 혁신학교의 가치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모색하여 혁신학교가 더욱 성공적인 학교 혁신 정책이 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학교의 혁신정도가 초등학생의 학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성장모형 분석

        이상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혁신학교는 혁신적인가? 본 연구는 이 질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경기도교육청은 학교혁신을 이루기 위해 혁신학교를 지정하고 10년 넘게 꾸준히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혁신학교가 꼭 학교의 혁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2019년 현재 경기도 초·중·고교의 96.9%가 혁신학교 및 혁신공감학교로 지정되어 혁신정책이 공유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은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구분을 무의미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혁신에 대한 연구는 혁신학교 지정 유무보다 각 학교의 혁신정도를 살피고 이러한 혁신정도의 실제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로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의 혁신정도가 초등학생의 학력 성취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있다. 학교혁신의 실제적인 성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학교의 혁신정도를 민주적 학교운영체제, 윤리적 생활공동체, 전문적 학습공동체, 창의적 교육과정의 4가지 영역으로 측정하였으며, 학생의 학력을 지성, 감성, 시민성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학교의 혁신정도는 초등학생의 학력 중 지성 영역의 성취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교의 혁신정도는 초등학생의 학력 중 감성 영역의 성취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학교의 혁신정도는 초등학생의 학력 중 시민성 영역의 성취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경기교육종단연구(GEPS)의 1차~3차년도(2012~2014년)에서 초등학생 3,541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프로그램으로 SPSS를 활용하여 기초통계 분석을 하였고, HLM 8.0을 활용하여 다층성장모형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의 혁신정도가 지성 영역의 학력 성취 변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분석모형 모델1에서는 민주적 학교운영체제가 수업 몰입의 변화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윤리적 생활공동체는 학업성취도의 변화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창의적 교육과정은 수업 몰입의 초깃값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분석모형 모델2에서는 학교의 혁신정도가 지성 영역의 수업 몰입의 초깃값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학교의 혁신정도가 감성 영역의 학력 성취 변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분석모형 모델1에서는 민주적 학교운영체제가 사회적 자기개념의 변화율과 친구관계의 변화율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윤리적 생활공동체는 사회적 자기개념의 초깃값과 친구관계의 변화율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전문적 학습공동체는 사회적 자기개념과 친구관계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창의적 교육과정은 친구관계의 초깃값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분석모형 모델2에서는 학교의 혁신정도가 사회적 자기개념과 친구관계의 초깃값에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의 혁신정도가 시민성 영역의 학력 성취 변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분석모형 모델1에서는 민주적 학교운영체제가 시민의식의 변화율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창의적 교육과정은 비행행동의 초깃값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분석모형 모델2에서는 학교의 혁신정도가 시민의식의 초깃값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비행행동에는 부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렸다. 첫째, 학교 혁신에 관한 연구는 혁신학교 지정 여부 보다 학교의 실제 혁신정도를 고려하여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혁신학교 여부 보다 학교의 혁신정도가 학생의 학력 변화의 모든 영역에서 더욱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이에 학교 혁신에 관한 연구는 학교의 실제 혁신정도를 측정하고 이러한 혁신이 갖는 학교 효과에 대한 연구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의 환경이 열악한 학교에는 혁신문화의 실제적 정착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결과 학교의 혁신정도는 학생의 개인적 특성 및 학교 수준의 변인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학생의 학력 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지역의 환경이 열악한 학교를 중심으로 혁신문화의 실제적인 정착을 위해 지원해야 한다. 셋째, 학생의 학력 성장과 학교의 혁신문화 정착을 위해 민주적 학교운영체제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들의 자발적 학교운영 참여와 관리자들의 민주적 학교운영을 위한 학교 구조혁신이 필요하며, 학교와 지역사회 협력체제 및 학부모 참여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넷째, 학교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존중과 배려의 문화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인식 개선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존중과 배려의 문화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학생의 인권 및 교사 교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개선이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교사와 학생이 관계회복 중심의 생활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에서 다양하게 소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교사들의 수업 전문성 개발을 통한 학습자 중심 수업의 확대 운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연수 기회를 통한 교사들의 수업 전문성 개발 및 학습자 중심 수업 운영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 학교 내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에 대한 반성 및 검토가 필요하다. 학교 내의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실질적으로 교사 개개인의 자발적인 참여와 주도적인 활동에 의해 운영되고 정착할 수 있도록 검토가 필요하다.

      • 혁신중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 학습조직 구축 정도 및 영향 요인 분석

        임의수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gree of establishment of a middle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learning organization in Chungnam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innovative and general schools an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establishment of a learning organization.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re, first, what is the degree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learning organization establishment of innovative schools, and second, what factors affect the perception of the degree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innovative schools were examin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Senge's learning organization theory was summarized. In addition,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ask the degree of establishment of a learning organization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rough prior research and expert advice.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degree of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learning organization for teachers working in middle schools in Chungcheongnam-do,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basic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Looking at the main research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learning organization between innovative schools and general schools. Innovative schools have an average of 4.31 on a 5-point scale and general schools have an average of 3.84. The difference between innovative schools and general schools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significance level of 0.001. Thes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novative schools have relatively mor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an general schools, especially in terms of team learning and system thinking.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establishment of a learning organization, it was found that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input, whether there is an innovative school, the number of transfer workers in operation, the type of transfer (full type), and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transfer stud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oteworthy that various activities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cused on innovative schools should be actively spread to other general schools. If existing studies have discussed the effect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detail within the framework of the theory of learning organization. Based on these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follow-up study on the degree of establishment of a learning organization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r the first to eighth years of innovative schools. 본 연구는 충남지역 내 중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 학습조직 구축 정도를 분석하여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를 확인하고 학습조직 구축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혁신학교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학습조직 구축 정도는 어떠한가와 둘째,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학습조직 구축 정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이다.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혁신학교의 특징을 살펴보고 전문적 학습공동체와 Senge의 학습조직 이론이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정리하였다. 그리고 기존 선행 연구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학습조직 구축 정도를 묻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충남 지역 내 중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 학습조직 구축 정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를 기초 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를 통해 혁신학교 운영기간 학습조직 구축 정도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간 전문적 학습공동체 학습조직 구축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혁신학교는 5점 척도 기준으로 평균 4.31로 나타났고 일반학교는 평균 3.84로 나타났다.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간 차이는 유의수준 0.001 기준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학습조직화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팀 학습과 시스템 사고 측면에서 일반학교에 비해 강점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둘째, 학습조직 구축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투입한 독립 변인 중 혁신학교 여부, 운영 중인 전학공 수, 전학공 유형(전체형), 전학공 필요 인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목할 점은 혁신학교에서 중점적으로 이루어지는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다양한 활동이 다른 일반학교에도 적극적으로 전파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기존의 연구들이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효과에 대해서 논의했다면 이번 연구는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학습조직 이론이라는 틀 안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혁신학교 1년차부터 8년차를 대상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학습조직 구축 정도에 대한 연구가 후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학교 공간 혁신 사례를 통한 초등 미술과 공간 디자인 수업 방안 연구 : 강원도 지역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홍은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교 공간 변화에 대한 시도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과정과 연계한 학교 공간 혁신에 대한 요구와 수업 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시작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학교 공간 혁신 관련 미술 수업 사례의 분석을 통해 초등 미술과에서의 공간 디자인 수업 방안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자는 실행연구 과정에 따라 수업을 실행하고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초등학교 미술과 교과서 13종에 대한 분석 결과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 내용을 기반으로 공간 디자인 수업을 설계하는 것은 적합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둘째, 강원도의 학교공간혁신 관련 미술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 ‘공간의 의미 이해 활동’, ‘카메라와 사진 활용하기’, ‘다양한 재료 탐색과 프로토타입 제작지도’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초등 미술과에서의 공간 디자인 수업의 결과를 ‘공간을 발견하다, 알면 비로소 보이는 공간’, ‘공간의 주인을 깨닫다, 우리가 만드는 공간’, ‘더 나은 공간을 고민하다, 디자인의 즐거움’, ‘작품으로 표현하다, 디자인에 표현력 더하기’의 네 가지 범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학교급 간의 연계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미술 공간 디자인 수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교과 · 주제중심 융합수업으로 발전시켜 수업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며, 수업 실행을 통한 효과 검증도 필요하다. 셋째, 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미술 교과 입체 조형 표현 활동에 대한 수업 내실화가 필요하다.

      • 혁신학교 지원재정 사용실태 분석 및 교직원 인식 연구 : 전라남도 무지개학교를 중심으로

        이옥남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전남형 혁신학교인 무지개학교 운영 지원재정의 사용실태를 분석하고 재정지원에 대한 교직원의 인식에 대하여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혁신학교 운영을 위하여 2015학년도에 도교육청에서 지원한 재정이 무지개학교 교육현장에서 어느 곳에 사용 집행되었는가 그 실태를 5개 분야 12개 세부유형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혁신학교(무지개학교) 운영을 위한 재정지원과 관련한 교직원의 인식에 대하여, 무지개학교(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재정지원 규모의 적정성, 재정지원의 영향과 필요성, 일반학교와의 예산배분 공평성, 학교의 사용집행 자율성과 장애요인, 그리고 혁신학교 교육재정 운영의 발전방안으로 학교회계 운영과 관련하여 학교회계(학교기본운영비) 예산편성 방향 및 학교기본운영비와 목적사업비 예산규모(비율) 등에 대하여 탐색 분석하였다. 무지개학교 운영 지원재정 사용실태 면에서, 먼저 5개 분야별 사용내역을 살펴보면, 역량중심 교육과정 운영(50.9%)에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교육과정 중심의 지원체제 구축, 존중과 협력의 학교문화 형성, 학부모·지역사회와 협력관계 구축, 기타 순으로 사용실적을 보였다. 다음으로 12개 세부유형별 사용내역을 살펴보면, 특색 있는 교육과정 편성·운영(36.2%)에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학생 배움중심수업 실천, 교육과정 중심의 지원체제 구축, 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축, 학생자치 활성화, 소통과 배려의 학교풍토 만들기, 학부모의 교육 참여 및 협력 확대, 교육과정 운영 책무성 강화, 민주적인 교직원협의회 운영, 기타, 교원행정업무 전담팀 운영 및 효율화,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학교교육의 순으로 사용실적을 나타냈다. 이와 같이 무지개학교에서는 학교교육 혁신을 위한 중점 추진과제의 성취에 지원재정을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역량중심 교육과정 운영’분야, 그 중에서도‘특색 있는 교육과정 편성·운영’유형에 큰 비중을 두고 지원재정을 투입하고 있다. 무지개학교 운영 재정지원에 대한 교직원 인식 실태 면에서 첫째, 무지개학교 운영 재정지원 규모에 대하여, 무지개학교에서는 대체로 적정한 지원규모로 인식하였다. 한편, 재정지원 규모가 부족하거나 많다고 한 소수 응답에서는 확대·축소 정도에 대하여 각각 20% 정도 확대 또는 축소 의견이 있었다. 둘째, 재정지원이 무지개학교의 효과적인 운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무지개학교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지원이 지렛대 역할을 하면서 혁신학교 운영에 실질적으로 많은 도움을 주고 있음을 체감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무지개학교 운영을 위한 별도의 재정지원 필요성에 대하여, 무지개학교에서는 현재와 같은 재정지원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별도의 재정지원을 학교혁신을 위해 활용하면서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살펴볼 때, 무지개학교 운영 재정지원은 학교회계(학교기본운영비)에서 그 소요재정을 충당하기 이전까지는 당분간 과도기적으로 현재 수준의 지원 지속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넷째, 혁신학교(무지개학교) 운영을 위한 매년 별도의 재정지원에 대한 일반학교와의 예산배분 공평성에 대하여, 학교혁신을 위한 차등 재정지원으로서 적절하다는 인식이 높았다. 학교교육 혁신을 위하여 필요한 지원이고, 매년 확산 및 일반화를 추진하면서 모든 학교에 기회가 열려있다는 점 등에서 적절한 차등 재정지원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무지개학교 운영 지원재정 사용 집행에 대한 학교의 자율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범위가 특정 사업에 한정된 다른 목적사업비와 달리, 학교에서 비교적 자율적으로 사용 집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혁신학교 지원재정의 자율성과 사용가치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무지개학교 운영 지원재정 사용 집행 시 장애요인은, 특정 요인에 편중되지 않고 분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사업 운영계획 수립 및 업무과중, 지원예산 사용분야 제한, 회계법규 준수 통제 등이 제시되었으며, 교사는 특별한 애로사항이 없다는 항목에 높은 응답을 나타냈다. 목적 달성을 위한 최소한의 사용분야 제한과 회계법규 준수는 불가피할 수밖에 없다고 보며, 업무 가중에 대하여는 업무 분산 및 적절한 지원책 등의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일곱째, 혁신학교(무지개학교)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편성 집행하는 학교회계(학교기본운영비) 예산편성의 방향에 대하여, 일반 학교와는 다른 학교회계 예산편성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장래적으로 혁신학교 운영 소요예산 역시 학교회계(학교기본운영비)에 반영 편성하여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여덟째, 혁신학교(무지개학교) 교육재정의 자율성 확대를 위하여, 학교회계에서 학교 자율적으로 예산편성하는 학교기본운영비와 목적사업비 예산규모(비율)에 대하여, 목적사업비를 축소하고 학교기본운영비 예산규모(비율)를 늘려야 한다는 응답이 매우 높았다. 학교회계 자율성 확대 요구는 자율성과 책무성이 보다 높이 요구되는 혁신학교에서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이며, 이러한 학교의 변화에 발맞춰 혁신학교 표준교육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use of funding for the operation of the Rainbow School, an innovation school in Jeollanam-do, and to explore how school personnels perceive the funding. To this end, the study first analyzed the areas of educational practice of the Rainbow School to which the innovation school operation fund provided by the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in the 2015 school year has been applied by investigating 12 specific types and 5 categories of area. Second, with respect to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personnels about the funding for the operation of innovation school (Rainbow School-Elementary School), the study investigated aspects such as the appropriateness of funding size, impact and need for funding, fairness in budget allocation among other regular schools, and autonomy and obstacles involved in implementing the fund at the school. In relation to the management of school account as a way for improving educational finance of innovation schools, the study also analyzed the direction of budget allocation of the school account (basic school operation expenses) as well as the scale of budget for (the ratio between) the basic school operation expenses and the essential business expenses. First, examining the actual use of supported fund for the operation of Rainbow School in five categories, it was found that the fund was most used for operating competence-oriented curriculum (50.9%) and was subsequently used for the following areas in the order as listed: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oriented for the curriculum; forming a school culture based on respect and cooperation; building a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and the community; and other matters. Next, examining the actual use of supported fund in twelve specific types of area, it was found that the fund was most used for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distinctive curriculum (36.2%). The subsequent usage of funding was in the following types in the order as listed: implementing student learning-oriented classes; establishing curriculum-centered support system; build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ctivating student self-government; creating a school climate of communication and consideration; expanding the parents’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in education; strengthening the accountability of curriculum operation; operating a democratic faculty and staff association; other areas; operating and streamlining a team in charge of faculty administrative work; and school education implemented along with the local community. As such,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Rainbow School is using the supported fund to accomplish the key initiatives for innovating school education, especially injecting the fund into ‘the operation of competence-oriented curriculum’ and specifically towards‘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distinctive curriculum’among such operation of competence-oriented curriculum.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rom analyzing the perception of school personnels about the funding for the operation of Rainbow School. First, the Rainbow School personnels generally recognized the size of the supported fund to be appropriate. On the other hand, a minority of personnels responded that the size of the fund is either insufficient or large. These two groups of respondents respectively submitted opinions for approximately 20% increase and 20% reduction of the funding. Second, with respect to the impact of the funding on effective operation of the Rainbow School, it was indicated that the School is benefiting greatly from the fund. This is because the school personnels feel that the funding provides substantial assistance in the operation of innovation school as it works as a leverage for effective operation of the Rainbow School. Third, in regard to the need for a separate funding for the operation of the Rainbow School, it was found that the School is in desperate need of funding at the current level. This is because the school personnels recognize the need for funding as they use a separate supported fund for the school’s innovation every year. In consideration of these analysis results, continuous funding for the operation of the Rainbow School at the present level seems necessary pro tempore until the required finance can be covered by the school account (basic school operation expenses). Fourth, in reference to fairness in budget allocation among other general schools given the annual separate funding for the operation of innovation school (Rainbow School), it was found that the school personnels strongly perceive that the funding is appropriate as a differential financial support for school innovation. The funding was recognized as an appropriate differential financial support because the fund is indeed necessary for innovating the school education and the opportunity for such financial support is open to all schools as expansion and generalization of funding is undertaken every year. Fifth, it was found that the Rainbow School was highly autonomous in implementing the supported fund for the operation of the school. Unlike the budget allocated for essential businesses for which the range of use is limited to specific projects, the supported fund allowed the Rainbow School relatively autonomous authority over its execution. In this regard, it was indicated that the school personnels highly appreciated the autonomy and utility value of the supported fund for innovation school. Sixth, the obstacles involved in implementing the supported fund for the operation of Rainbow School tended to be dispersed rather than concentrated on specific factors. While listed obstacles included establishing plans for project operation and overloaded work, limitations in supported fund usage areas and strict control over following accounting regulations, teachers strongly responded that they did not experience any particular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fund. Thus, it was found that minimal restrictions in fund usage area and compliance to accounting regulations are inevitable for the achievement of goals and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review ways for distributing duties and providing appropriate support in response to overloaded tasks. Seventh, in regard to the direction of budgeting school account (basic school operation expenses) compiled and implemented autonomously by the school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innovation school (Rainbow School), the majority of school personnels responded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school to have a budget planning different from regular schools. In the future, the necessary budget for the operation of innovation school should also be reflected and allocated in the school account (basic school operation expenses). Eighth, in reference to the scale of budget for (the ratio between) the basic school operation and the essential business autonomously made up by the school in its account, the school personnels strongly responded that the budget for essential business should be reduced and the budget for basic school operation increased in order to expand autonomy in educational finance of innovation school (Rainbow School). The demand for autonomy in school accounting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among innovation schools where higher autonomy and accountability are increasingly required. Further research on standard education expenses of innovation schools is called for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in schools.

      •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비교연구 : 충청북도 행복씨앗학교를 중심으로

        권혜정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study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udent'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t the school of happiness seeds in Chungcheongbuk-do and at general schools to assess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innovative schools. For the analysis, the survey polled 393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is studying from 4th grade to 6th grade. The students were selected at two schools of happiness seeds in Chungcheongbuk-do and two other schools in the same condition as the two schools of happiness seeds in Chungcheongbuk-do, which are currently three years old since 2017. I expect various specifications related to student's satisfaction in school life, school life, teaching activities, creative education of creative minds, relations with teachers, alumni relations, school event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related to purpose of Innovation School Education, will affect student satisfaction in school life. I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at the school of happiness seeds in Chungcheongbuk-do and at a regular school i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level. School satisfaction is about whether innovation schools are operating properly for the introduction and purpose of the school. I set up my school life, school activities, relationships, relations with my friends, school life,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s a result, the results of a research model analyzed and analyzed are as follows :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fferences in each area, that school life, relationship with teachers, school life and special activity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school of happiness seeds and general schools were high. Although the school of happiness seeds in Chungcheongbuk-do differs from other regional innovation schools and operating periods, and different regional innovation schools differ from regional innovation schools, these results support the fact that the underlying values of innovation schools are well understood and operated. Through the continued study of the school of happiness seed, I believe that a curriculum of teaching course is necessary. Students will then be able to learn the key competences required in the future society and bring about improvements and changes in life education. Innovation schools need to follow up on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the satisfaction of the satisfaction gap, the change in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ng period, and what a desirable operating method that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혁신학교의 교육성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혁신학교 모델 중 충청북도의 행복씨앗학교와 일반학교를 대상으로 학생들 간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2017년 현재 3년 이상 된 충청북도의 행복씨앗학교 2곳과 이와 유사한 조건의 지역과 규모의 일반학교 2곳을 선정하여 초등학교 4∼6학년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3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교생활 만족도와 관련한 다양한 측면 ‘즉’ 혁신학교의 교육 목적과 관련하여 학교생활, 수업활동, 창의지성교육,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 학교행사 및 특별활동영역 등이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혁신학교의 도입배경과 취지에 맞게 운영되는 지에 대해 행복씨앗학교와 일반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학교생활 만족도를 구성하는 요소의 종속변수로는 학교생활, 수업활동,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 창의지성교육, 학교행사 및 특별활동을 설정하고 연구 모형을 구성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영역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교생활, 교사와의 관계, 학교행사 및 특별활동 영역에 대한 만족에 있어 행복씨앗학교와 일반학교 간 만족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충청북도의 행복씨앗학교가 타지역 혁신학교와 운영기간이 다르고, 지역에 따른 운영상의 특징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혁신학교의 기본 가치를 잘 이해하고 운영하고 있다는 점을 뒷받침 해준다. 학생들이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협력적 배움과 생활교육의 개선과 변화를 추구함으로써 행복씨앗학교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학생중심 교육 과정 편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혁신학교는 연구 대상에 따라 만족도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운영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만족에 변화가 있는지, 지역적 특징을 반영한 바람직한 운영 방안이 무엇인지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무늬만 혁신학교'의 교직원회의 특징 탐색 : Y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이요셉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학교혁신 운동은 2009년 경기도에서 ‘혁신학교’의 형태로 시작된 이후 2020년 현재 전국적으로 1900여 곳에 달할 정도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혁신학교의 급속한 확산과 더불어 ‘무늬만 혁신학교’도 등장하였는데, 본 연구는 이에 주목하여, ‘무늬만 혁신학교’의 교직원회의 특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Y 초등학교를 대표적인 ‘무늬만 혁신학교’로 보고 교사 19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가진 혁신학교에 대한 인식, 교직원회의 인식과 참여태도, 그리고 교직원회의 발전을 촉진하고, 저해하는 요소를 알아보고자 면담을 실시하였다.연구 참여자들은 Y 초등학교가 혁신학교로서 일과 행사가 많아 피곤하고, 예산이 많으며, 남들이 하는 것을 따라 하는 학교라고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는 교사들이 혁신학교에 대한 비전이 형성되지 않고, 비자발적, 수동적인 자세로 근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연구 참여자들은 Y 초등학교의 교직원회의가 형식주의, 회의 절차나 진행기술의 부족, 일부만 참여하고 결정하는 회의, 수직적이고 독단적인 의사결정 구조, 원활하지 않은 의사소통으로 인해 ‘비민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민주적인 교직원회의를 위한 새로운 시도에 참여하면서도 ‘눈치’를 보며 변화와 순응 사이의 긴장 상태에 있었다.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무늬만 혁신학교’ 발전의 촉진요소로 ‘무늬만 혁신학교’를 견인할 혁신리더교사 필요, 민주적인 교장․교감의 태도와 수평적인 의사결정 구조, 가치와 비전의 공유를 통한 혁신학교의 방향 설정, 표현의 자유 보장과 숙의적인 회의과정,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하는 친밀한 관계 형성, 민주적인 절차와 과정으로 진행되는 교직원회의 정착을 꼽았다. 본 연구를 통해 ‘무늬만 혁신학교’인 Y 초등학교 교사들의 변화 가능성을 볼 수 있었고, ‘무늬만 혁신학교’의 교직원회의 발전을 위해서는 학교 문화의 형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교사 협력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서울지역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비교

        강경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수준 차이를 알아보고 교사협력이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는 교사 협력에 있어 차이가 있는가? 둘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는 교사 효능감에 있어 차이가 있는가? 셋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에서 교사 협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설문지를 활용한 양적연구를 실시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선정하였으며 서울특별시 교육청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임의로 추출하여 온라인 설문을 진행한 후 327개의 유의미한 응답을 얻었다. SPSS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수준 및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고 t검증 결과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협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자는 서울시교육청 소속 혁신학교 교사들이 일반학교 교사들과 비교하여 교사협력과 효능감 수준에 있어 같거나 차이가 없을 것임을 가정하고 연구를 진행했으나 결과적으로 혁신학교 초등교사가 지각한 교사 협력 수준은 일반학교에 비해 몇 가지 하위 변인 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협력의 구체적인 하위변인으로는 일반학교와 비교하여 자율성 변인이 가장 높은 차이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책임감, 공동목적의식, 정보공유 요인 순으로 차이가 드러났다. 둘째, 혁신학교 초등교사가 지각한 교사 효능감 수준 역시 일반학교에 비해 두 가지 하위 변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 각각 모두 평균이 일반학교에 비해 높았으며 이중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창의적 체험활동 효능감과 교과지도 효능감이었다. 셋째,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교사협력은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교사 협력은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교사협력 하위 변인 중에서는 책임감, 자율성, 정보공유가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혁신학교에서는 자율성, 일반학교에서는 책임감과 정보공유 요인이 교사효능감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앞서 기술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혁신의 주체인 교직원의 참여를 기반으로 학교 문화를 바꿀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지속적인 예산 지원 및 교사들의 효능감을 높여줄 방안을 꾸준히 고민해야 한다. 둘째, 일반학교에서도 교사 간 협력을 혁신학교 수준으로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들을 마련해야 한다. 혁신학교가 일반학교보다 교사협력과 효능감이 높은 원인들을 엄밀하게 짚어보고 학교 혁신 문화를 확산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셋째, 일반학교 교사들과 혁신학교에 새로 전입해 온 교사들이 혁신 교육에 대한 목표를 공유하고 의지를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내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와 비교하여 교사들이 더 높은 교사협력 수준과 교사효능감 수준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교사 협력이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는 현재를 비롯한 향후에도 교사들의 교사효능감 신장을 위해서는 협력적인 풍토 조성이 중요함을 밝혀냈다는 점에 시사점을 준다. 따라서 학교 현장 및 교육지원청에서는 교사들이 자율적인 참여를 토대로 동료 교사들과 생활지도 및 학급 경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증진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과 시도들을 해야 할 것이다.

      •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운영 사례 연구: 희망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은정 경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중 한 곳인 희망초등학교의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운영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자세히 관찰하고 기술함으로써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운영 과정에 어떠한 모습과 특징, 문제점이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나아가 다문화국제혁신학교의 발전 방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운영 과정의 모습과 특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다문화국제혁신학교 교육과정 운영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희망초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운영의 발전 방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지정 및 운영 과정에 대한 문서수집, 참여관찰, 심층면담 등을 토대로 한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참여관찰 자료, 코딩자료, 공문, 주제와 관련된 연구 자료 등의 대조를 통한 삼각검증법(trianglulation)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희망초등학교의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운영 모습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과 특징이 있다. 첫째, 하향식 교육정책의 도입으로 인해 다문화국제혁신학교의 도입 필요성이나 정확한 내용 없이 다문화국제혁신학교가 운영되다보니 도입 초기에 학교의 불안을 초래했다. 둘째, 공동체 구성원 간에 합의된 내용이 여러 차례 회의에 부쳐지고 결론이 바뀌는 비민주적인 방식으로 운영되는 면이 있었다. 셋째, 희망초등학교의 특성상 승진을 준비하는 교사들이 많아서 비혁신적이라고 느끼는 부분이 있어도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넷째,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운영에 관한 준비기가 없다보니 초기 1년의 시간 동안 여러 프로그램들이 난립한 가운데 교육의 효과성에 대해서 관리자와 교사가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었다. 다섯째, 희망초등학교의 다문화국제혁신학교가 보다 혁신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육공동체간의 공감과 사업에 대한 체계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많았다. 시행과정의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희망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다문화국제혁신 교육내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인식하고 있었다. 첫째, 중국어수업, 베트남어 수업, 수학중국어병행수업, 방과 후 한국어교실 등의 언어지원으로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다문화학생들의 자존감 회복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둘째, 방과 후 학력향상교실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았으며, 수업협력강사지원, 한국어협력강사지원으로 수업 중 학습부진아 지도가 효율적으로 되어 전반적으로 수업분위기가 많이 안정되었다는 것이다. 셋째, 한국전통문화체험(예절, 음식, 의상, 놀이 등)과 다문화체험, 다문화독서 등을 포함한 다문화교육과정재구성으로 학생들의 다문화감수성이 향상되었다는 것이다. 넷째, 국제이해교육과 다양한 언어교육으로 학생들을 글로벌시대에 맞춘 세계시민으로 기르는데 한 걸음 다가섰다고 인식하였다. 앞으로 희망초등학교의 다문화국제혁신학교가 더 효과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첫째, 민주적이고 꾸준한 협의과정을 통해 희망초등학교만의 다문화교육과정 만들기가 필요하다는 점, 둘째, 다문화학생 뿐만 아니라 일반학생들에게도 충분한 혜택이 돌아가도록 교육내용을 다양화해야 한다는 점, 셋째, 언어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랭귀지스쿨이나 충분한 인력과 예산 등의 실질적인 지원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의 교육과정 비교

        김은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09년 9월 최초로 지정된 경기도 초등 혁신 학교 7개교와 7개 혁신학교의 근거리에 위치한 규모가 비슷한 일반학교 7개교를 대상으로 ‘혁신학교에서 학교교육과정의 성격은 어떠한가,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의 교육과정은 어떠한 차이점을 갖고 있는가, 혁신학교 교육과정이 일반학교 교육과정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의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과 학교 교육과정 문서 분석,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교육과정 담당자와 심층 면담 방법을 병행하였으며 학교 교육과정 분석시에는 교육학 석사학위 소지자인 동료 연구자에게 연구자가 수집한 자료 분석을 제시하고 조언을 구했다. 2장에서는 혁신학교 교육과정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혁신학교의 개념과 배경을 탐구하였고 혁신학교의 교육과정의 편성의 특징에 관한 문헌 연구를 하였으며 이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의 교육과정 분석의 틀을 교과 재구성 실태와 탄력적 시간 운영 실태로 정하여 분석하였다.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교육과정 실태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교과 내용 재구성 실태는 혁신학교는 체험학습 중심형, 문화예술 등 주기 집중 프로그램형, 주제 중심 통합학습형으로 교과 내용을 재구성하여 학교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있었으며 일반학교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교과 시수 20% 증감으로 인한 재구성 방향만 제시되어 있었다. 둘째,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의 탄력적 교육과정 운영 실태는 혁신학교에서는 교육활동을 위해 모든 학교가 블록타임제를 운영하고 있었으며 7개교 중 2개교는 부분적으로 운영하였고 5개교는 전일을 블록타임제로 운영하는 반면, 일반학교에서는 블록타임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경우는 7개교 중 1개교만 제시하였다. 주기 집중형 프로그램은 혁신학교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주로 학기말에 집중 배치하여 3~5일을 체험 위주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체험 프로그램의 내용은 생태문화 체험, 계절에 맞는 계절 체험, 문화 예술 교육 등 주로 활동 시간이 긴 체험 과제를 선정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4학기제는 대규모 학교 1개교에서 운영하였는데 4학기제는 교육과정을 분기단위로 재구성하여 평가와 피드백을 통해 개별 학습관리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의 교육과정을 비교한 결과 일반학교에서는 교과 시수 증감을 국가 정책으로 받아드려 대부분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있었으나 그 외에 구체적인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이 제시되지 않고 있었으며 혁신학교는 학교 특색을 살리는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이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탄력적 시간 운영면에서도 혁신학교의 경우 교과 재구성과 수업방법의 변화를 통해 탄력적 시간 운영을 하고 있었으나 일반학교의 경우 교과 재구성 방향이 구체적이지 않다보니 탄력적 시간 운영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본 연구의 논의 점으로는 혁신학교 교육과정은 일반학교 교육과정에 파급효과를 가져야한다는 관점으로 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논의 점을 갖는다. 첫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교사와의 인식의 차이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혁신학교 간 교육과정 재구성의 차별성을 가져야 한다. 셋째, 혁신학교는 지속가능한 학교혁신의 가능성을 보여주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