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 대학 태권도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소건신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55

        현재 태권도는 올림픽 정식 경기종목으로서 중국에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반면 발전 시간이 짧고 전문 인재가 적으며 외래문화인 점으로 인해서 중국 태권도 발전에 제약(制約)이 되어왔다. 이러한 난제(難題)를 해결하려면, 대학 태권도 교육을 기초로 하여, 태권도 전문인재의 소질과 인수(人數)를 끊임없이 늘려야 한다. 이 과정은 인재배양의 플랫폼이자 운반체로서, 아주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연구내용은 교육과정의 구성, 목표, 내용, 평가 등 4개 영역에서 한·중 양국 대학교 태권도 교육과정에 대해 여러 방면의 비교와 분석을 진행하였다. 양국 교육과정 차이를 분석하는 기초에서 중국 태권도과정의 개혁(改革)에 대해 견해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구성부분에서, 한·중 양국 대학교 태권도교육과정에는 비교적 큰 차이가 존재한다. 한국대학 태권도 교육과정은 주요하게 교양과정과 전업과정 2개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고, 목표가 명확하면서 구조가 합리적이다. 중국 대학교 태권도 교육과정은 교양과정, 전업과정, 특정과정 및 사회실천과정 4개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고, 상대적으로 비교적 복잡하다. 둘째, 교육과정 목표부분에서, 한·중 양국 태권도 교육과정은 수직과 수평, 형상화와 배양, 사회와 개인 등 층면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한국대학교 태권도 교육과정은 문화의 계승, 기술의 배양, 과학의 혁신, 태권도 운동의 보급 등을 중시하고, 중국 대학교 태권도 교육과정은 학생이 교육, 경기, 시합조직, 재판 등 태권도 영역에서 전면적으로 발전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내용부분에서, 한·중 양국 태권도 교육과정은 비교적 큰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 대학교 태권도 교육과정의 내용은 중국 교육과정의 내용과 비교할 때, 태권도 전업지식이 차지하는 비례가 비교적 크고, 전업영역의 구분이 구체적이며, 개설한 상관 전공 갯수도 비교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대학교 태권도 교육과정의 태권도 관련지식은 차지하는 비례가 한국보다 많이 적고, 전업영역의 지식도 부족하며 개설한 과정과 수량도 제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교육과정 평가부분에서, 한·중 양국 대학교 태권도 교육과정 평가에는 종결적 테스트와 과정 평가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태권도 교육과정의 평가는 교육의 과정 및 학생의 태도 등을 중시하고, 중국 태권도 과정평가는 학생이 파악한 지식의 정도 등 종결적인 평가를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과정과 결론에 의하면, 한·중 양국 태권도 교육과정은 비슷한 점들도 있지만 존재하는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교육(敎育), 사회문화(社會文化) 등 객관적인 요소의 영향을 받아서이고, 각자 합리성(合理性)과 자체(自體) 부족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태권도의 발전을 위해서는, 한국 태권도 교육과정의 경험(經驗)을 참고하면서, 중국 국정을 결합하여 과정에서의 개혁을 진행하고, 자체 특징에 적합한 교육과정 모형을 구축하여 인재배양의 질을 높이고, 중국 태권도 운동의 빠른 발전을 촉진해야 할 것이다. Currently, Taekwondo as an official event in Olympic Games is prevailing throughout the world and well received and favored by Chinese people. Taekwondo high-speed development in China is limited due to its short development time, few professional talents and its role of a foreign culture. To solve the tough problem,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mprove taekwondo professional talent cultivation the quality and quantity based on taekwondo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us taekwondo curriculum as the platform and carrier for talent cultivation seems extremely importan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his article has made multi-level comparison and analysis on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n and Chinese colleges from four dimensions, the constitution, objective, content and evalua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educational curriculum in two countries, this article has proposed the suggestion to reform Chinese taekwondo curriculum. (1) Regard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constitution, there exist huge differences between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n and Chinese colleges: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n colleges is mainly divided into two parts, upbringing course and professional course, which has clear objective and reasonable structure. But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in Chinese colleges is mainly divided into four parts, upbringing course, professional course, special project course, and social practice course, which is relevantly complicated. (2) In the part of educational curriculum objective, there exist differences in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haping and cultivating, social and individual aspects.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n colleges focuses on cultural inheritance, technology cultivation, scientific innovation and taekwondo promotion. But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in Chinese colleges emphasizes students’ comprehensive and balanced development in teaching, competition, competitive organization, referee and other taekwondo fields. (3) Regard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content, there exist great differences. For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n colleges, taekwondo professional knowledge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with specific division of expertise areas and large quantity of relevant professional major subjects. But the proportion of taekwondo relevant knowledge in Chinese college curriculum is obviously less than Korean colleges, with insufficient domain know-how and limited subjects and course number. (4) In terms of educational curriculum evaluation part, there exist differences in the final test and process evaluation.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evaluation in Korean colleges attaches importance to the education process and students’ attitude but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evaluation in Chinese colleges emphasizes the degree of students’ knowledge acquirement and final appraisal. Researches show that there exist more differences in spite of some similarities between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n and Chinese colleges. These differences are influenced by the national education, social culture and other objective factors but both have their own rationality and shortcomings. Chinese colleges should refer to the experience of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n colleges, establish educational curriculum model suitable for ow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hina’s actual condition, so as to improve talent cultivation quality and promote the rapid development of taekwondo sports in China.

      • 한중 대학교 무용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이권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무용은 사람들의 사상과 감정도 표현할 수 있는 예술 형식이다. 무용의 발전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용 교육이다. 무용 교육의 목적은 협의로는 무용 이론 지식의 전수로부터 광의로는 사회에 우수한 무용 인재를 배양하기 위함까지 넓은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최근 차세대 무용 인재를 배출하기 위한 대학 내 무용 교육의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서양보다 무용 발전이 비교적 늦었던 동아시아의 대학 무용교육에는 아직 개선해야 할 문제점이 남아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 무용 교육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양국의 무용 교육이 앞으로 발전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무용 교육에 있어 두 나라의 공통점은 보다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선진화 된 교육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만 한국과 중국의 무용계 환경 및 전통 문화, 대학 교육 체도의 차이점에 근거하여 한국과 중국의 무용 교육은 여러 차이점을 지니고 있기에 비교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한국의 상명대학교와 중국의 중앙민족대학교를 구체적인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교육목표, 교육과정 및 교육특징을 토대로 한국과 중국 대학 무용 교육 과정에 대해 비교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2개 대학 무용 교육에 대한 심층적 고찰을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각각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중 양국 무용 교육의 현 상황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여 양국 무용 교육의 선진화, 국제화 및 개선에 중요한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중한대학교,교육과정 Dance is an art form that can express people's thoughts and feeling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dance is dance education. In a narrow sense of the word, the purpose of dance education is to transfer the knowledge of dance theory and in a broad sense, it expands to the broader scope of cultivating talented dancers in a society. Recent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university dance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of dance talents.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still left to be improved in the university dance education in East Asia where dance development was relatively late than in the Wes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in both countries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university dance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which represent East Asia. These two countries have common points in dance education in that they are trying to introduce an advanced education system, recognizing the need for more systematic education. However, If you look more closely at Chinese dancers' environment, traditional culture, and university education system, you can find many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dance education, so I think it is worth conducting the comparative study on this matter. Therefore, I selected Sang-Myung University in Korea and Minzu University in China as specific research subjects, and tried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dance curriculum based on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a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 analyzed the common point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university dance education in depth. I hope this study can help to achieve advancement, internationalization and improvement of the two countries dance education by providing some understanding on the current situation of dance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Key Word: University Of Korea And China, Dance Education

      • 한·중 대학교 무도전공 교육과정 비교 분석

        최희맹 용인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우슈의 국제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의 대학무도교육과정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발견하는 것이다. 한국은 용인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경희대학교, 조선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의대학교의 태권도학과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중국은 베이징체육대학, 상하이체육대학, 우한체육대학, 산둥체육대학의 우슈학과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국의 특징을 정리하면, 한국의 태권도교육 특징은 첫째, 인성교육을 강조하고 둘째, 국제화를 강조하며 셋째, 산업화를 강조함으로서 인성을 기반으로 한 미래지향적인 특징을 보였다. 중국의 우슈교육 특징은 첫째, 건강을 강조하고 둘째, 중국문화를 강조함으로서 실용적이며 보수적인 특징을 보였다. 중국 우슈의 국제화를 위하여는 교육적 측면에서 인성을 강조하는 우슈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대학의 우슈교육과정에서 인성교육과 국제화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makes a very detailed analysis of the training objectives and curriculum settings of the major of martial arts in China and Korea by means of literature, comparative analysis and logical reasoning.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Wushu and Taekwondo in development, training orientation and description, curriculum and schedule, and the direction of professional employment and leading etc. Professional development history: In order to better adapt to the strategic development of cultural globalization, the educational value of taekwondo is carried out and the 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s have opened up an important channel with the advantages of educational resource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However, due to the lack of extensive mass base and international promotion experience, it is difficult for the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China to play a proper role, which leads to the blind development and even loss of the professionalism of our universities in China after extensive domestic popularization and international promotion through high-level personnel exchanges.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must have a strong backup force as a guarantee, therefore, popularizing and promoting the traditional martial arts culture is the first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face and solve the problem. Training objectives: After experiencing the three stages of awareness of national responsibility, awareness of national cultural revival, and the awareness of cultural globalization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Korean martial arts, the final formation of professional training objectives of Korean university martial arts has come into being.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martial arts training in Korea reflects the core values ​​and ultimate goals of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traditional culture, and embodies the concept of “Only traditional culture of the nation belongs to the world”. In general, the orientation of Taekwondo training in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is characterized by the prospect of the times, the inheritance of history and the effect of the implementation,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raining content. However, due to the far-reaching influence of the concept of "professional education”, the goal of cultivating professionalism in our country is still in the field of mastery of skilled and basic theoretical knowledge at the present. In the meanwhile, the lack of traditional culture for the national quality and the awareness of the promotion of globalization and training objectives are a little bit vague. Course settings: The professional curriculum of Korean university martial arts are closely around the training objectives to start, and the course content is to complete the training objectives. The time setting of the course content has a very strict standard, reflecting the knowledge and basic law of personnel training, avoiding the arbitrariness of the teaching process to its maximum extent. In the completion of the teaching content at the same time, students can choose their own (school or gym) training methods, so it not only reflects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people-oriented, but also the integration of schools and social resources for personnel training to facilitate. In contrast, the curriculum of martial art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China is influenced by the long-term goal of “professional education”. The course content set has a certain degree of lag, the repetition of the course content is obvious, and the teaching content has a large randomness in time setting. These factors will adversely affect the quality of personnel training. Talent flow: Comparing with the course content of professional representatives of the three universities of the specific settings of the South Korean university martial arts, we can see that the focus of personnel training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University of Longren is focused on professional foreign promotion of personnel training, while University of South Korea Sports is focused on professional domestic promotion of personnel training. University of Kyung Hee focuses on Taekwondo teachers training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However, the three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to complete the established training objectives as a prerequisite, combined with the school characteristics, purposefully based on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the project needs to guide students to the future business planning and special personnel training, quality of personnel training. The three universities also have a more consistent assessment of indicators of talent quality. Taekwondo students have the right to choose their own suitable direction, or participate in training in both ways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 choice of on-site guidance. This kind of talent training is to maximize the employment of the graduates scientifically, avoiding excessive concentration of talent and disorderly competition. In addition, the employment channels are limited, which leads to the disorderly competition of professionals. Some graduates are engaged in the management of the gyms for their survival. However, due to the lack of common sense of business, many cannot be long engaged in the taekwondo gym. And besides, we are in the lack of reasonable classification of professional talents training in our country, hence the loss of professionals has not only wasted a lot of educational resources, but also seriously affected the popularization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To sum up,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specialty of martial arts in Korean universities in cultivating the goal setting, the course content arrangement, the education outcomes, and the talent evaluation is worth learning. Based on this, I believe that the core value of excavating and propagating martial arts is the mission of professional education of the martial arts in our country. It is the basic guarantee to construct the scientific and reasonable mode of martial arts training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refore, to further integrate the resource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standardize the mode of martial arts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to promot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martial arts to cultivate more high-quality talent will be professional trends for the development in the future. The author hopes to contribute a little bit to the revival of national culture and international promotion.

      • 한중 음식 관련 어휘의 은유 대비 연구

        푸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고는 인지언어학,문화학 등 측면에서 한중 음식 관련 어휘의 은유 현상을 연구하면서 은유와 인지언어학 이론을 통해 음식 어휘 은유의 파생과 발전을 해석했다. 본고의 연구 대상은 식기도구,음식 재료와 조리법,식사동작 등 어휘가 있다.음식 어휘의 은유는 음식물의 자체와 조리 과정,또한 먹는 동작과 체험 등 특징을 사람이나 사물까지 반사하면서 은유 의미를 파생된다. 본고에서 분석하려는 음식과 관련된 중국어 어휘는 『现代汉语词典』(현대한어사전)』, 한국어 어휘는 『국어대사전』에서 수집하였다. 또한 중국어 용례는 북경대학교 중국 언어학 연구 센터(CCL)에, 한국어 용례는 국립국어원 언어정보나눔터 말몽치에 수집하고 통제와 분석하였다. 한국어와 중국어 음식 어휘가 양국 사람이 사유와 언어 구조 은유의 공동점과 차이점을 표현했다.양국 음식 어휘가 대부분 다의성을 가지고 있으며, 은유하는 방식으로 어휘의 새로운 의미를 부여했다.반면 양국의 조리법과 인생체험 등 은유에는 풍부한 차이성을 보여주었다. Lakoff&Johnson이 1980년에 출판한 『Metaphors we live by』에 "은유의 본질은 어떤 한 사물을 통해서 다른 한 사물을 이해하고,경험하는 것이다. "라고 정의정의하고, 동시에 은유는 "우리의 언어와 생각 등 어디에나 있으며,인류의 개념 시스템이 은유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기존의 음식에 관한 은유 연구는 대부분 사람이나 사물로부터 음식 범주로 이루어지는 은유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한중 음식 관련 어휘의 은유 대비 연구를 통해 은유가 이루어지는 형식은 아래의 두 가지 형식이 더 존재한다고 보고 있다. 주제어:음식 어휘,은유,한중 대조 연구 本论文从认知语言学,文化学等角度对韩中饮食类词汇的隐喻现象进行了研究。笔者尝试采用隐喻和认知语言学理论对饮食词汇隐喻的产生和发展进行了解释和分析。本论文的研究对象为:饮食器具,饮食材料,饮食烹饪方法,饮食动作等词汇。饮食词汇的隐喻就是将食物本身,制作过程以及进食体验等特征映射到人或事物上,进而产生新的隐喻意义。本研究例句语料采用『现代汉语词典』,『韩语大辞典』等书中的饮食词汇,同时参考了HSK 和 TOPIK考试大纲,以及北京大学中国语言学研究中心和韩国国立国语研究院研究中心的语料库例句,进行了比较全面的统计和对比分析。 韩语和汉语饮食词汇隐喻的异同,生动地体现了韩汉民族认知思维和语言机制的共性和个性。韩汉饮食词汇大部分具有多义性,并常用隐喻方式为饮食词汇拓展新的语义。而两国的烹饪方式和人生体验类隐喻,则体现出丰富的差异性。 饮食词汇的隐喻是通过源域和目标域的相似性而产生的。隐喻映射的源域主要是饮食词汇的形状,功能,性质,制作过程等,目标域主要是人们在日常生活中的体验,两者之间通过通感产生关联性。根据莱考夫和约翰逊的观点,隐喻概念的形成和理解需要通过身体以及大脑对世界的体验。因此,越是日常生活中频繁使用的词汇就越容易产生隐喻概念。此外,饮食词汇的隐喻并不限于单项映射关系。从饮食域到非饮食域,从非饮食域到饮食域,或者从一种饮食域到另一种甚至几种饮食域等多种形式的双向映射也十分常见。即,人们既可以通过饮食体验来理解和表达对外部世界和人生经历的认知,也可以通过对外部世界和人生经历的了解来理解和表达饮食体验。 希望本论文的研究能激发韩中两国语言学习者的兴趣,增进两国学习者对对方思维方式和历史文化的相互理解,对教学和翻译方面也有所帮助。

      • 명사구 구조에 대한 한중대조 연구

        대, 예선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07

        명사구는 수식어와 중심어가 결합하여 구성되고 문장에서 명사와 같은 기능을 맡고 있는 문장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문장 구성에서 큰 역할을 맡고 있다. 한국어에서 명사구의 수식성분들의 형태는 '관형사, 단독 명사, 명사+의, 동사+관형사형어미, 형용사+관형사형어미, 명사구'가 있다고 본다. 그중에 '관형사, 단독 명사, 명사+의'로 구성하는 수식어는 어절로 된 수식어이고 '동사+관형사형어미, 형용사+관형사형어미'로 구성하는 수식어는 절로 된 수식어이며 명사구는 구로 된 수식어이다. 이들 수식성분들은 단독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여러 성분이 서로 겹쳐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수식성분들은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수식어와 수식을 받을 체언을 결합하여 하나의 명사구를 구성한다. 수식을 받은 체언이 명사구의 중심어이다. 중심어는 명사구의 핵심적인 존재이다. 중국어의 명사구는 일반적으로 '정어-중심어 구조(定中偏正结构)'이라고 한다. 수식어는 문장에서 피수식어의 앞 위치를 자치하고 피수식어를 수식하는 역할이 있으며 중국어에서는 명사성분을 수식하는 '정어(定語)'와 동사성분을 수식하는 '부사어(狀語)'가 있다. 정어와 부사어는 각각 표시가 있다. 즉 정어의 표시는 '的'이고 부사어의 표시는 '地'이다. 본문에서는 명사구의 수식어를 중심으로 논의하기 때문에 부사어를 고려하지 않고 정어만 살펴보았다. 정어는 한국어에서 관형어라고도 한다. 중국어의 명사구는 한국어와 공통점이 있는 동시에 차이점도 존재한다. 본 논문은 이런 것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한국어와 중국어의 명사구를 대조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우선 서론이 있고 2,3장에서 한국어와 중국어 명사구의 구조를 기존 연구에 따라 명사구의 수식어, 명사구의 중심어의 분포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먼저 단독수식어의 형식에 따라 '어절, 절, 구'로 분류하며 이러한 수식어가 겹쳐 쓰이는 구조를 고찰했다. 4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를 대조한다. 대조할 때에는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명사구의 단독 수식어, 겹쳐 쓰는 수식어와 명사구 중심어 이 세 가지 방면에서 진행하였다. 다른 어족에 속한 한국어와 중국어는 전혀 관계가 없을 것 같이 보이지만 이런 대조를 통하여 관련성도 존재하다는 것을 확인된다. 이러한 대조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자나 중국어를 배우는 한국인 학자에게 명사구에 대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한중 문화간 의사소통을 위한 문화소 연구 : 중국 TV 드라마『 中国式关系』에 나타난 어휘를 중심으로

        서예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8607

        如今国际之间的交流日益频繁,跨文化交际能力的培养已成为汉语教学的重要目标。跨文化交际最主要的手段就是语言。在进行跨文化交际时,如果对目的语中所隐含的文化因素缺乏了解,就有可能会产生误会,影响正常交际。 韩国作为中国的邻居,在文化上有着很多共同之处,随着频繁地接触,两国文化及其特有的概念不断被感知,这些文化差异集中反映在词汇层面上,导致不同背景的人在进行跨文化交际中就会产生误会,无法进行有效的沟通。 为了让韩国母语学习者了解这些语言中的文化因素,培养他们对文化差异的敏感度,从而提高其跨文化交际的能力,以便顺利地进行跨文化交际。因此本文以中国电视剧《中国式关系》(1-36集)中的台词为语料,试将隐含着影响韩中跨文化交际的文化因素的词汇选出,对其进行对比分析,并提出相应的简单易行的文化教学方法。 影响跨文化交际的语言“文化因素”是本文重点研究的对象。本文首先阐明了研究目的、对象与方法,从跨文化交际及文化因素两个方面对前人的研究成果进行了回顾。分析了前人对有关跨文化交际、文化及文化因素的界定。以此为理论基础,对本文所研究的文化因素进行了重新界定,即与跨文化交际密切相关的隐含于语言中的背景文化知识,如果对其缺乏了解,在交际中可能会产生误会的文化因素。这些文化因素是中国人熟知的,常识范围内的,不仅包括“交际文化因素”还包括“知识文化因素”,对韩国母语学习者来说,这些文化因素都是需要通过学习来掌握的。 其次本文从韩国学习者的角度出发,根据韩中两国的文化差异,在前人的理论基础上,将反映在词汇上的文化差异现象分为“词汇空缺”和“语义冲突”两大类,并以此为标准对中国电视剧《中国式关系》(36集)台词中的词汇进行考察,选出隐含着可能产生交际障碍的文化因素的词汇,并对其加以对比分析。 最后本文根据文化因素教学的基本原则,结合选出的影响韩中跨文化交际的文化因素,分别对“词汇空缺”与“语义冲突”现象的文化因素提出了相适合的展示法、扩展法、提问法和对比·讨论法等教学方法,这些都是文化因素教学中最基本的,而又简单易行的方法。 本文通过对影响韩中跨文化交际的文化因素的考察,得出结论:影响韩中跨文化交际的文化因素集中体现在“词汇空缺”和“语义冲突”两大方面,前者比较突出,在《中国式关系》这部电视剧中的所选取的文化因素,主要涉及到有关中国历史、生活、艺术、习俗、象征、精神及社会交际等七个方面;后者涉及到有关制度、生活、象征、社会交际等四个方面。如果韩国学习者对这些文化因素缺乏了解就有可能形成交际障碍,影响跨文化交际的正常进行,因此在语言教学的同时文化因素教学是非常重要的。本文希望能帮助韩国母语学习者了解这些影响交际的文化因素,使其能够得体地运用汉语,有效地达到跨文化交际的目的。

      • 출발점을 나타내는 한국어 조사와 중국어 개사의 대응 관계 연구

        손방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중국어는 조사가 없는 반면 한국어는 조사의 종류가 풍부하여 문법상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에서’등 한국어 조사의 의미가 다양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장소’,‘출발점’과‘출처’등 의미를 구별하기가 힘들며 초기 학습 과정에서‘에서’,‘부터’,‘(에)서부터’,‘(으)로부터’등 조사의 의미 차이를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한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조사의 사용 및 구별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출발점’의미를 기지고 있는 한국어 조사의 의미 범위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 개사의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한중 병렬말뭉치를 활용하여 출발점 의미를 나타내는 한국어 조사의 의미 범위를 밝혔으며 이의 중국어 대응 양상과 그 원인을 검토해 보았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혔다. 조사 교육에 있어서 조사의 의미 구별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연구 자료로 삼은『연세 병렬 말뭉치』의 규모와 구성을 소개하였고, 병렬말뭉치에서‘출발점’의미를 나타내는 각 조사의 빈도와 비율을 제시하였다. 또 지금까지 이루어져 온 기존 연구를 제시하였으며 문제점과 제한점을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 조사의 정의 및 기능을 기술하였고, 조사‘에서’,‘부터’,‘(에)서부터’,‘(으)로부터’,‘에게서’의 사전적 의미를『표준국어대사전』,『연세한국어사전』,『한중대사전』을 통해 고찰해 보았고 각 조사의 출발점 의미를 추출하였다. 기존 연구를 참고하여 조사‘에서’,‘부터’,‘(에)서부터’,‘(으)로부터’,‘에게서’의 의미 차이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중국어 개사의 개념과 분류, 중국어 개사‘从’,‘由’,‘自’,‘自从’의 사전적 의미를《現代漢語虛詞詞典》,《现代汉语八百词》와 《中韓大辭典》로 정리해 보았고 출발점(기점) 의미를 추출하였으며 서로의 차이를 예시와 표를 통해 제시해 보았다. 4장에서는 한중 병렬말뭉치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어에서 출발점 의미를 나타내는 조사의 용례를 추출하여 대응되는 중국어 개사의 양상을 정리하였다. 출발점 의미를 나타내는 한국어 조사가 각 의미의 출현 빈도와 비율을 제시하였으며 대응되는 중국어 개사의 빈도와 비율, 그리고 세분 의미마다 대응되는 중국어 개사의 양상을 제시하였고 대응 빈도와 비율을 나열하였다. 의미마다 대응되는 중국어 개사의 양상과 원인을 예시를 통해 분석해 보았다. 조사‘에서’,‘부터’,‘(에)서부터’,‘(으)로부터’,‘에게서’가 대응되는 중국어 개사의 양상과 그들 간의 대응 이유, 그리고‘무표지’가 나타난 이유에 대해 한중 언어의 특징이나 차이를 고려하여 분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 연구의 가치와 제한점을 정리하고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에서는 실질적인 병렬말뭉치 자료를 활용해서 한국어와 중국어 출발점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들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고찰하여 대응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从’가 가장 많이 대응되었고‘무표지’도 높게 나타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출발점을 나타내는 한국어 조사와 중국어 개사의 대응 관계를 연구하여 한국어 조사와 중국어 개사의 차이점과‘대응 없음’의 원인을 분석 및 제시함으로써 대조언어학, 번역학 영역뿐만 나이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조사를 공부하고 구별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It's known that preposition are not important in Chinese language while in Korean language, there are a variety of prepositions which have an vital function in grammar. Because of the various and complex meanings of Korean prepositions, such as '에서', it is difficult for Chinese Korean learners to distinguish meanings such as 'place', 'start point' and 'source'. As a result, they often fail to recognize the differences between '에서', '부터', '(에)서부 터', '(으)로부터' when first learning Korea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help the learners who have difficulty in using and distinguishing Korean prepositions indicated the starting point by discussing their meanings in Korean and in Chinese as well as explaining the reasons with the Korean-Chinese parallel corpus. To sum up, among‘에서’,‘부터’,‘(에)서부터’,‘(으)로부터’,‘에게서’, most of them can be explained as 'the starting point', 'the start of time', 'the target'. So we can say that those are the meanings commonly used when people refer 'the starting point'. On the contrary, only‘에서’has the meanings of 'the ground or reason' as well as 'the standard' . Only‘부터’has the meaning of 'first doing'. As a conclusion, the Chinese preposition‘从’is the most suitable translation of‘에서’,‘부터’,‘(에)서부터’,‘(으)로부터’and it has correspondence with almost all the Korean preposition indicated the starting point. However, the Chinese preposition‘自从’was not existed in the Korean-Chinese parallel corpus and the possi le reason may be that the examples given by the Korean-Chinese parallel corpus are collected from newspapers. Note that most of Korean prepositions don't have Chinese meaning, that's what we call‘무표지’. It's believed that the reason is that in Chinese, prepositions are usually being skipped or replaced by verbs. And, most prepositions indicated the starting point are omitted, only those indicated arriving point or those indicated the process are used. Lastly, in chapter 5, the value and limitations are emphasized. In a word, this study discuss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words indicated the starting point in both Korean and Chinese as well as concludes the correspondence of them by analyzing the data of the parallel corpus. As a conclusion,‘从’is the best translation of most Korean prepositions and‘무표지’is common too. Note that this is study which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repositions and Chinese prepositions,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nd the reason why‘무표 지’are common. So this study means a lot to contrastive linguistics as well as the study of translation. Also, it's hoped to help Chinese Korean learners study and distinguish Korean prepositions.

      • 한·중 의태어 대조 연구

        설로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8591

        한·중 의태어 대조 연구: 감각을 나타내는 반복형 의태어를 대상으로 본고는 한·중 반복형 의태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해당 의태어를 감각기관 별로 분류한 다음 각 유형별 한·중 의태어의 통사적 특징 및 공기(共起)관계에 대한 대조 분석함으로써 한·중 양국 학습자의 한·중 의태어 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한국인은 일상 생활에서 의태어를 자주 쓰고 있다. 그러나 중국어 의태어는 한국어만큼 발달하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의태어는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는 요소라 말할 수 있다. 한국어 의태어에 대한 보편적인 감각기관 분류 기준에 따라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한·중 의태어의 형태적 특징, 문법적 특징과 공기관계에 대해서 연구한다. 2장에서는 한·중 의태어의 개념과 형태적 특징을 대조하고자 한다. 이런 대조 분석을 통해서 한·중 의태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선정한 의태어를 분류한다. 먼저, 의태어를 감각별로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으로 나눈다. 본고에서 추출한 의태어는 총 162개인데 시각적인 의태어는 125개, 청각적인 의태어는 34개, 촉각적인 의태어는 3개, 미각과 후각적인 의태어는 0개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본고에서 시각, 청각, 촉각 의태어를 위주로 진행한다. 그리고 의태어는 감각별로 분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시대상에 따라서 유정(有情)과 무정(无情)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이에 각 감각별의 의태어를 다시 유정, 무정과 유·무정을 동시에 지닌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시각에 기초를 둔 의태어는 형용 의태어와 동작 의태어로 나누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도 이러한 분류 기준에 따라 시각적인 의태어는 다시 형용 의태어와 동작 의태어로 나눌 것이다. 이상 제시한 분류 기준에 따라서 반복형 의태어는 총 10유형으로 나눈다. 4장에서 우선 한·중 의태어가 문장에서 어떤 문장성분을 담당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 한·중 의태어의 문법적 기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았다. 그 다음으로 감각별로 분류된 각 유형별의 한·중 의태어의 주어와 서술어의 공기 관계를 살펴보았다. A Contrastive Study on Mimetic words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is study focuses on the research of Korean-Chinese repetitive mimetic words to classify the corresponding mimetic words for each sensory organ to conduct contras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of co-occurrence and syntactical qualities to provide help for Korean-Chinese students in learning Korean-Chinese mimetic words. Koreans are frequently using mimetic words in everyday life. However, the Chinese mimetic words have not developed as much as Korean. Therefore, mimetic words can be described as a difficult element for Chinese students. The Korean mimetic words are classified by visual, hearing, touch, smell and taste according to the universal sensory organ classification. Then the formative qualities, grammatical qualities and co-occurrence relationships of Korean-Chinese mimetic words for each type are studied. In Chapter 2, the concept and formative qualities of Korean-Chinese mimetic words are compared. Through such comparison,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of Korean-Chinese mimetic words are examined. In Chapter 3, the selected mimetic words are classified. First, the mimetic words are divided to visual, hearing, touch, smell and taste. This study extracted total of 162 words and among them, the visual mimetic words are 125, hearing mimetic words are 34, touch mimetic words are 3, taste and smell mimetic words are 0.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the research by focusing on visual, hearing and touch mimetic words. Also, not only can the mimetic words be classified per sensory organ but classified as sensible and not sensible according to the referent. Hence, the mimetic words of each sense can be divided to either sensible or not sensible or both sensible and not sensible. Furthermore, the mimetic words based on vision were divided as appearance mimetic words and action mimetic words. Therefore, this study will divide the visual mimetic words into appearance mimetic words and action mimetic words according to such classification standards. The repetitive mimetic words are divided into 10 types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classification standards. In Chapter 4, a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what component of sentence the Korean-Chinese mimetic words can play in a sentence and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for grammatical functions of Korean-Chinese mimetic words were researc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