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민담을 통한 한국인의 종교심성 연구

        김귀웅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의 민속문학은 한민족(韓民族)의 주체인 다수(多數)의 민중(民衆)이 공유하고 있는 문학이면서 또한 민중의 정서와 심성이 그대로 함축되어 있는 문학이다 설화, 그 중 특히 민담은 민속문학 중에서도 가장 민중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민담은 그 사회 구성원들의 사고를 반영하며, 또 집단의 사고방식이 화자(話者)에 의하여 민담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민담을 "인간 혼의 소리"라고도 이야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민담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우리 민족의 심충부를 이루면서 대대로 이어져오는 무의식, 사고방식, 가치관, 심성 둥을 살펴 볼 수 있다. 한국인은 오랜 옛날부터 정령신앙을 가지고 있었다. 이 정령관에서 발전하여 인간은 영혼과 육체로 이루어져 있는데, 영혼이 인간 생명의 근원이라고 보았다. 이 영혼은 육체가 죽어 없어져도 사라지지 않는 무공간적인 불가시적 존재, 무시간적인 영원존재라고 믿었다. 이러한 영혼관은 인간의 존재가 영원하기를 바라는 간절한 소망과, 육체적인 제한된 현실 조건을 초월하고자 하는 염원에서 발전된 것이다. 한국인은 힘겨운 현세적 육신의 삶을 넘어서서 영혼의 자유롭고도 영원할 다른 삶을 하나의 강렬한 신앙으로 가지고 있었다. 즉 한국인은 현실초월에의 의지와 영원한 삶에 대한 의지가 무척이나 강했으며, 이것은 곧 기본적인 종교적 심성이 무척 강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죽은 사람의 영혼이 가는 곳을 한국인은 '저승'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이 저승은 인간의 행복에 대한 모든 소망이 완전히 이루어지는 낙원으로서의 성격을 전혀 가지고 있지 못하다. 저승과 이승 사이에 완전한 단절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저승이 "새 하늘 새 땅"으로서의 특성이 전혀 없다. 따라서 한국인은 저승에서의 삶을 통해서는 이승 삶의 완성이나 현세적인 문제들에 대한 해결과 성취를 전혀 기대할 수 없게 되었다. 한편 한국인은 저승과는 전혀 별개로 이 세상 속 어딘가에 부와 영원한 생명 등 인간의 모든 이상이 실현되어 있는 별세계가 존재한다고 믿었다. 이것은 용궁이나 선계, 천상의 나라 등으로 죽은 사람보다는 주로 살아있는 사람이 오갈 수 있는 곳으로 등장한다. 인간의 모든 소망이 충족될 수 있는 세계가 이 세상과 연관되어 존재하며, 또한 그곳에는 대부분 살아있는 사람만이 갈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이제 한국인은 저승을 통한 현세 삶의 초월을 믿고 추구하기 보다는 자연히 살아있는 사람으로서 현세 안의 이상 세계에 들어가서 영원히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게 되었다. 즉 현세의 연장선상에서 모든 이상을 추구하게 되었다. 이렇게 한국인의 영혼관과 세계관은 한국인으로 하여금 현세중심적인 심성을 가지게 만들었던 것이다. 각각의 별세계에는 나름대로 그곳의 주재신이 존재하지만, 이들이 인간을 "구원"에로 이끄는 역할은 전혀 가지고 있지 않다. 물론 이 신들이 신이한 능력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인간과 근본적으로 차원을 달리하는 존재들은 아니었다. 이 신들이 인간에게 어떤 현실적인 도움을 줄 수는 있어도, 그 신들이 주도권을 가지고 인간을 현실의 어려움에서 구하여 이상세계로 이끌어 가는 경우는 없다. 한국의 신들에게서 절대자적인 성격을 찾아보기란 무척 힘들다. 한국인들은 인간을 구원할 수 있는 능력이 신(神)에게 있다고는 전혀 생각하지 않았다. 한국인들에게 있어서 이상세계에 간다고 하는 "구원"이 신의 힘에 의하여서는 성취될 수 없었으며, 오로지 인간 자신의 힘만으로 그 "구원"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었다. 한편 저승에는 염라대왕이 존재한다고 믿었지만, 그에게 어떤 절대적인 능력이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즉 죽어서 저승에 간 영혼은 절대신, 최고신을 만나서, 그로부터 어떤 심판이나 구원을 받으리라는 희망을 전혀 할 수가 없었다. 즉 한국인은 '영혼의 구원'이나 '내세에서의 구원'이라고 하는 것을 전혀 상상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인의 관심은 자연히 현세의 삶에로 집중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여기서 한국인은 현세의 삶에 집착하게 되었고, 자연히 현세의 삶을 절대시할 수밖에 없었다. 내세에 대한 아무런 희망이 없기 때문에 현세에서 오래도록 사는 것이 최고의 복이라고 보았다. 이렇게 '현실 초월'과 '영원에의 희망'이라고 하는 한국인의 기본적인 강한 종교심성은 현세 안에서만 그 해결을 기대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것은 자연히 인간 중심 사상과 현실적인 가치만을 절대시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또한 신이나 다른 동물이 인간을 부러워하듯이 인간은 가장 귀한 존재라는 자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한국인은 신은 인간을 도와주는 존재, 인간에게 봉사하는 존재라고 생각하게 되었으며, 더 나아가서 인간이 신을 부릴 수도 있다고 하는 차원에까지 이르렀다. 그런데 여기서 신이 인간을 돕거나 인간이 신을 부린다고 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인간의 현세적인 복의 추구에로 집중되어 있다. 이리하여 한국인의 모든 이상 추구는 이 세상 안에서로 제한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절대신·최고신에 대한 관념의 부족이 한국인으로 하여금 지극히 현세중심적인 심성을 가지게 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어느 시대의 사람들이든, 어느 종교이든 모두 나름대로의 기복적인 사상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한국인은 오랜 역사와 문화 전통 안에서 형성된 세계관과 내세관, 신관을 통하여서 매우 현세중심적인 심성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이것은 구체적으로 우리 민간신앙의 신앙 행위 대부분이 생계의 유지와 생활상의 현실적인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들이며, 그 신앙의 대상이 되는 신들이 대부분 여러 잡다한 기능신들이라는 점에서 잘 찾아볼 수 있다. 전통적으로 한국인은 강한 현세중심적인 신앙을 가져왔다. 이것은 수천년에 걸쳐 쌓아온 것으로서 오늘날의 한국인의 마음 저 깊은 곳에 아직도 생생히 살아있다. 따라서 현세중심적인 심성이 무의식 깊은 곳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 한국인들에게 복음을 전파하여야 하는 한국의 사목자들은 그들이 올바른 그리스도교 신앙과 가치관을 가지고 살아가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에서 신학을 하는 사람들은 서양의 그리스도교 신학이 한국인의 마음에 올바른 자리를 차지할 수 있도록 "한국적 신학"을 이룩하고자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Korean Folk Literature is that which have been communed by a lat of people as the subject of Han-people, and rightly contained its emotion and mind. Ligendry, especially Folk Tale has most characteristic popularity in Folk Liturature. Folk Tale is reflected the thought of members of its society and expressed by tellers. Therefore it would be refered to as 'the sound of soul.'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it, we could consider unconsciousness, view of thought, emotion etc. that had been laid and continued the deepest basis of our people. From many years ago, Koreans had faith in animism. As this concerns, man was composed of spirit and body. And spirit was the origin of life. It was believed to invisible, permanent being beyond time and space after death. This belief would have developed from the desire of immortality and transcendence of earthly bounds. Korean people had a powerful faith in the another life that was boundless and permanent beyond trouble, tiresome and wordly life. Thus they had strong willing to transcendence and the immortal life. It is meant that the religious mind has sound basis. They refer to the place of the souls of deads as the other world. However it was no characteristics of paradise which fulfill all wishes of man. There was no complete interrution between this world and the next world. The next world had no character as 'new heaven and new earth'. Thus through the next world's life, Koreans could not expect the folfillment of this life and the dealing with its affairs. On the contrary, they belived the another world that exists in this world and accomplishes man's all ideals ; wealth, immortal life, wishes. It appeared 'the Dragon Palace', 'a Fairly Land', 'heavenly world' that would go mainly the living person rather than the dead. For in fact, Koreans believed in the existence of that world, then they would have wished permanently to live with happiness in this worldly paradise rather than the other world. That is, they seek after all wishes in the continuity of this world. Korean's view of spirit and world caused them to have this world-centric mind. Every The another world' has its god who controls and rules, but they would not act as man's 'savior'. Of course, though these gods have divine and special powers, they would not fundamently other being from man. Practically they would help men, but were not the case of guiding for man to the paradise from the difficulties of this world.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the absoulte character of Korean's gods. Koreans did not think of the power of save to god at all. For them, the 'save, to enter paradise' could accomplish not by gods but by only man's efforts. However in 'the other world' was to belived to exist 'Yeomna-DaeWang (the King of Hades)', but he had no almighty power. The soul after death could not expected judgement or save from a kind of absolute god. Consequently therefore, the concerns of Koreans had to concentrate on the life of this World. Without hope for the other world, they considers the best thing as to live long in this world. Like this, 'Transcendence of this world', 'Hope for immortality' must have dealt to only in this world. In consequence, these tendencies brought to Homo-centrism, the absoluteness of practical value, self-consciousness of man himself as most valuable existence. Therefore in Koreans, the god would belived to help, even to serve, furthermore to be controlled by man. Without the idea of the absolute, supreme god caused Koreans greatly effect on extremely this world-centrism. Traditionally Koreans had strongly, this world-centric bilief. For this belief have been built up through thousands of years, so is still alive in the deepest mind of Koreans. Thus concerning of these particularity, Korean pastors who have to give these people God's Gospel would try to strive various kinds of efforts to help Christian faith and thought to be given. Also theologians should try to build up 'Korean Theology', so the western thelolgy should place correctly in the mind of Koreans.

      • 韓国人日本語学習者의 条件表現「と․ば․たら․なら」의 習得研究

        김선영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고는 실제 일본어모어화자의 사용실태와 일본어 조건표현 「と・ば・たら・なら」의 한국어 대응 분석을 바탕으로 모어와 문법제약의 관점에서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조건표현 습득과정을 분명히 밝히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횡단적인 연구를 실시,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수필, 소설, 앙케트 조사를 통해 실제 일본어모어화자의 조건표현 사용실태를 살펴본다. 2) 일본어 조건표현의 한국어 대응관계를 분석한다. 3) 일본어모어화자의 조건표현 사용실태 분석과 한국어와의 대응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조건표현 습득상의 문제점과 가설을 세워, 검증한다. 4) 한국인일본어학습자를 대상으로 2종류의 앙케트 조사를 실시, 조건표현 습득과정에 대해 고찰한다. 5)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조건표현의 습득과정과 일본어모어화자의 사용실태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조건표현의 지도방안을 제안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본어모어화자의 사용실태 결과, 문장체에서는 주로 「と」와 「ば」가 사용되며 회화체에서는 주로 「たら」가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단, 회화체이더라도 정중도가 높은 장면의 경우는 「たら」보다 「と」나 「ば」가 사용되며, 특히 「ば」는 논리적 내용, 격식을 차린 문장일수록 사용비율이 높아 정중도와 담화내용에 깊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본어모어화자에 있어서 조건표현은 「と」와 「たら」의 사용비율이 높아지고, 「ば」의 사용비율이 낮아져 간다고 할 수 있다. 2) 일본어 조건표현과 한국어의 대응관계 분석 결과, 일본어 조건표현 「と・ば・たら・なら」는 반드시 한국어의 조건표현과 대응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접속 형태와 대응됨을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 「-면」과 대응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면」이외의 다양한 접속 형태와 대응되고 있다. 즉 가정 「なら」는 「-라(다)면」, 확정의 과거 「と」는 「-자」, 「たら」는 「-더니」, 반사실「ば」는 「-라(다)면」과 「-(ㅆ)더라면」, 「たら」「なら」는 「-라(다)면」과 대응된다. 3) 가설 검증 및 한국인학습자의 조건표현 습득과정을 고찰하기 위해 2가지의 앙케트 조사(문법테스트)를 실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평균 득점치가 각각 61.24점, 59.47점으로 낮은 득점치를 나타내어 한국인학습자에게 조건표현은 어려운 항목이라 할 수 있다. ② 각 형식의 정답률을 보면 「と」가 가장 높고, 「たら」「ば」「なら」순으로, 한국인학습자에게 있어서 「ば」와 「なら」가 습득하기 어려운 항목이라 할 수 있다. ③ 의미용법별 정답률을 보면 가정용법이 가장 높다. 4) 한국인학습자의 조건표현의 문법규칙 이해도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학습자는 의미용법의 분류는 어느 정도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② 같은 의미용법 안의 각 형식의 사용구분은 그다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③ 초급단계의 학습자일수록 교과서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고 생각된다. 5) 3가지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가설1의 귀무가설은 기각되어 한국인일본어학습자는 일본어 학습이 진행되면 조건표현의 습득도 진행된다고 할 수 있다. ② 가설2의 귀무가설은 기각되지 않아 한국인일본어학습자는 조건표현을 습득할 때 모어의 영향이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③ 가설3은 기각되지 않아 문법제약이 있는 항목이 학습자에게 특별히 더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결론을 얻었다. 6) 한국인학습자의 조건표현 「と・ば・たら・なら」의 지도방안은 다음과 같다. ① 각 형식 중 일본어모어화자의 사용빈도가 높은 순으로 도입한다. ② 의미용법 중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순으로 도입한다. ③ 학습 단계별로 보면 초급단계에서는 기본 중심용법과 문법제약을 간략히 제시하되, 기본 중심 용법은 한국어의 해석을 중심을 인식시킨다. 중급 단계에서는 의미용법별로 도입을 시도한다. 고급단계에서는 같은 의미용법 중 각 형식의 사용구분을 설명한다. 敎授時 모어의 正의 영향을 살릴 수 있는 항목은 적극적으로 응용하여 그 대응관계를 학습자에게 인식시키고 문법제약을 학습단계에 맞추어 정확하게 제시, 인식시킨다면 오용은 줄어들 것이라 생각된다. 이상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조건표현 습득과정과 모어와의 상관관계, 문법제약과의 상관관계 등을 중심으로 한국인일본어학습자에게 있어서의 조건표현의 습득과정을 전반적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모어의 영향에 관해서는 모어의 正의 영향에 초점을 두어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al condition of usage for native Japanese speakers and the conditional expressions of 「To․Ba․Tara․Nar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rocess of learning the conditional expressions for Japanese Learning Koreans from the viewpoints of mother tongue and grammatic restrictions based on the corresponding analysis of Korean. This is a cross-sectional study of the research which follows below. 1) I examined the real condition of the conditional expressions for native Japanese speakers through essays, novels, and questionnaires. 2) I analyzed the corresponding relation of Korean for conditional expressions of Japanese. 3) I verified and hypothesized the problems of learning conditional expressions for Japanese Learning Korea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use of conditional expressions for native Japanese speakers and the result of corresponding analysis. 4) I examined the process of learning conditional expressions by sending out two kinds of questionnaires through Japanese Learning Koreans. 5) I suggested the method of guidance for conditional expressions focused on the learning process of conditional expressions for Japanese Learning Koreans and the analysis of the usage for Native Japanese speak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llow below. 1) As a result of the real condition of usage for native Japanese speakers, they used 「To」 and 「Ba」 as written language, mostly they used 「Tara」 in discourse. However they used 「To」 or 「Ba」 more often than 「Tara」 in more courteous terms of spoken language. I especially found that 「Ba」 is used in logical conversation and in formal sentences. Also, in conditional expressions, for native Japanese speakers the rate of using 「To」 and 「Tara」 is increasing, comparatively, the rate of using 「Ba」 is decreasing. 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corresponding relations with Korean in Japanese conditional expressions, the expressions with 「To․Ba․Tara․Nara」 do not correspond with the Korean expressions, except in various conjunctive forms. Among them, they correspond with 「-myeon」 the most and various conjunctive forms as well. That means the subjunctive mood 「Nara」 corresponds with 「-ra(da)myeon」, 「To」 in established past tense corresponds with 「-jya」, 「Tara」 corresponds with 「-deoni」, 「Ba」 in half facts corresponds with 「-ra(da)myeon」 and 「-(ss)deoramyeon」, 「Tara」 and 「Nara」 correspond with 「-ra(da)myeon」. 3) In order to examine the process of verifying the hypothesis and learning the conditional expressions for Japanese Learning Koreans, two kinds of questionnaires (testing grammar) were us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① The conditional expressions are difficult for Japanese Learning Koreans according to their low marks obtained like 61.24 and 59.47 each on a low average. ② The rate of correction for each form is 「To」 in the highest, 「Tara」 「Ba」 「Nara」 in the order of frequency are used. It is difficult to learn 「Ba」 and 「Nara」 for Japanese Learning Koreans. ③ According to the rate of correction in semantics, the subjunctive usage is the highest. 4)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for the comprehensive faculty in grammatical rules of subjunctive expressions for Japanese Learning Koreans is as follows. ① It is possible in some measure for learners i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meaningful usage. ② I considered that the classification in each form in the same usage of meaning is not often done. ③ I think basic learners are more influenced by textbooks. 5) The verification of the three hypotheses is as follows. ① As the null hypothesis of hypothesis 1 is rejected, learning of Japanese makes progress for Japanese Learning Koreans with the learning of conditional expressions. ② As the null hypothesis of hypothesis 2 is not rejected, when Japanese Learning Koreans learn the conditional expressions, as a result, they are not affected by native language. ③ As the null hypothesis 3 of hypothesis is not rejected, it is especially not that difficult for learners with contents of grammatic restriction. 6) The ways of instruction using the conditional expressions of 「To․Ba․Tara․Nara」 for Japanese Learning Koreans are as follows. ① Among each form, native speakers teach in the order of high frequency. ② Among usage of meaning, it is taught in the order of high frequency. ③ Through the levels of learning, the fundamental usage and grammatic restriction are presented in the beginning level. The fundamental usage is understandable centering around the translation of Korean. In the intermediate level, it is tried as the usage of meaning. It is explained as a classification of each form for the usage of the same meaning in the advanced level. I considered that, when we teach learners, the corresponding relation by applying contents positively in native language, suggesting the grammatic restriction correctly according to the steps of learning, there will be less misuse than before. As stated above, I studied the progress of learning and the corresponding relation of the conditional expressions and native language for Japanese Learning Koreans centering around the grammatic restriction of the conditional expressions specifically. It is especially meaningful that I suggested the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influence of the positive effect in native language.

      • 사회 문화적 인식변화에 따른 한국인의 얼굴분석 : 관상학 이론과 관점을 바탕으로

        신정해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change of the faces of Koreans in a socio-cultural context and studies its meaning from a perspective of physiognomy after examining the facial features of Koreans with a focus on the theory of the origin of Koreans, and th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face of Koreans can be used as a physiognomic interpretation to discover the potential and talents given to anyone by analyzing the face of the Korean people. Furthermore, it is intended to demonstrate the modern utility of physiognomy as cultural literacy while examining the modern meaning of physiognomy. There have been steady attempts in human history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face type, personality, and behavior. Physiognomy in Orient applied the logic of nature to humans to identify humans and infer their future, and it was a liberal arts study that not only served as the basis for etiquette education for people but also used to recruit talent. Modern physiognomy is developing from individual-related studies to a field of sociology. That is, it is merging with various fields of study by analyzing human psychology, personality, and aptitude, breaking away from the epistemology of the prophetic function of predicting the fate of individuals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face. The human face is an important source of social relationships and the most important visual stimulus when facing strangers. A person's face is made according to the way he or she thinks and behaves, and his or her muscles are positioned, so the physiognomy shows how he or she has lived his or her life. Therefore, the human face becomes an important non-verbal clue for communication with others, and physiognomy, which is to perceive the intentions or desires of others through the information conveyed by the face, can be an instinctive action for survival and social growth. In other words, if the face is an important tool and social indication interaction with others, we can judge someone's physiognomy in our daily lives, or I will also be the object of that physiognomic perception. This means that physiognomy can be the most intuitive and practical method to recognize traces of others' lives. In this context, knowing Korean faces means understanding Koreans and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an approach to correctly understand the face in which the trait element is expressed on the premise that the trait of Koreans, defined from the theory of Korean origin, has not changed. Therefore, this study physiologically analyzes the genetic traits of Koreans from southern and northern origin theories. This study examines the faces of Koreans, which are roughly divided into the northern facial characteristic type and the southern facial characteristic type based on the theory of the origin of Koreans, from a physiological point of view. First, it drives the physiological anthropology,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face by analyzing the theory of Korean origin. Second, the facial physiognomic studies are organized for the physiognomic analysis of Korean faces, and northern and southern Korean facial types are compared and analyzed physiognomically. Finally, the changes in the genetic traits of Korean faces based on the theory of northern and southern origins are examined in modern society, and their meanings are explained as a social function of modern physiognomy from analyzing the perspective of cultural literacy. The meaning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is a work to discover the current value of physiognomy. It is also expected to provide a direct opportunity to reconstruct the functions of modern physiognomy based on the genetic traits of Koreans, and it will be expected that in reality, physiognom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understanding of humans. 본 논문은 한국인의 얼굴 특징에 대하여 한국인의 기원설을 중심으로 살펴본 후, 한국인 얼굴의 변화에 대하여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분석하였으며 그 의미를 관상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관상학의 이론을 토대로 한국인의 얼굴을 분석함으로써 관상학적 해석을 통하여 자신에게 주어진 잠재력과 재능을 찾아내는 데 활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데 본 논문의 연구목적이 있다. 나아가 관상학이 지니는 현대적 의미를 고찰하는 한편 문화 리터러시로서 관상학의 현대적 효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얼굴의 유형과 성격, 행동의 관계를 관상학적으로 해석하려는 시도는 인류 역사 이래 지금까지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동양의 관상학에서는 자연의 이치를 인간에게 적용시켜 인간을 파악하고 그 미래를 유추하였다. 그리하여 사람을 대하는 예절교육의 바탕이 되었을 뿐 아니라 인재 등용에도 활용되었던 교양 학문이었다. 현대의 관상학은 개인 관련 개체학에서 사회학의 한 분야로서 발전하고 있다. 얼굴이라는 외형을 통해 개인의 운명을 점치는 예언적 기능의 관상학에서 벗어나, 인간의 심리와 성격, 적성까지 분석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와 융합하고 있는 것이다. 인간의 얼굴은 사회적 관계 형성의 중요 원천이자 낯선 타인을 대할 때 가장 중요한 시각적 자극이 된다. 사람의 얼굴은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법에 따라 표정이 만들어지고 근육이 자리잡기 때문에, 관상에는 그 사람이 어떤 마음으로 인생을 살아왔는지가 담겨진다. 따라서 인간의 얼굴은 타인과의 소통을 위한 중요한 비언어적 단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얼굴이 전하는 정보를 통해 타인의 의도나 욕구를 읽어내는 관상은 생존과 사회적 성장을 위한 본능적 행위가 될 수 있다. 곧 얼굴이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도구이자 사회적 표시라면, 우리는 삶 속에서 누군가의 관상을 판단하거나 나 역시 그 관상의 판단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이는 관상이 타인의 삶의 흔적을 알아볼 수 있는 가장 직관적이고 실용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런 맥락에서 한국인의 얼굴을 안다는 것은 한국인을 이해한다는 것이며 한국 문화를 이해한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인 기원설부터 정의된 한국인은 그 형질이 변화하지 않았음을 전제로, 그 형질적 요소가 발현된 얼굴을 바르게 이해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 한국인의 유전적 형질을 남방계와 북방계 기원설로부터 찾아 관상학적으로 분석한 것도 그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기원설에 의해 북방계형과 남방계형으로 대별되는 한국인의 얼굴을 관상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그 첫 번째 단계로 한국인 기원설을 분석하여 한국인 얼굴의 체질인류학적, 형태학적 특징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인 얼굴을 관상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구체적인 상법 이론을 정리하여 북방계형과 남방계형 한국인 얼굴을 관상학적으로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북방계와 남방계 기원설에 바탕을 둔 한국인 얼굴의 유전적 형질이 현대 사회에서 변화되는 양상을 고찰하고, 그 의미를 문화적 리터러시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현대 관상학의 사회적 기능으로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관상학의 현재적 가치를 발견하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한국인의 유전적 형질을 바탕으로 현대 관상학의 기능을 재구성하는데 직접적 계기를 제공하는 한편, 현실적인 측면으로는 관상학이 인간에 대한 이해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한국인 학습자의 일본어 악센트 오용 분석

        안지연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글초록:한국인 학습자의 일본어 악센트 오용 분석 일본어의 악센트는 음높이 따라 의미를 구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각 단어마다 고유의 악센트를 가지며, 악센트가 어느 박(拍)에 있는가에 따라 그 단어의 의미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에 악센트가 의미의 변별자질이 아닌 한국어를 모어로 갖는 한국인 학습자에게 있어서 일본어 악센트는 어려운 발음 항목 중 하나이다. 그러나 한국에서의 일본어 교육은 어휘나 문법이 치중되어 있고 발음 교육 및 악센트 교육은 의외로 학습 초기 단계에 소홀하게 다루는 경향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어와 통사적으로 유사하므로 한국인 학습자는 일본어가 한국어처럼 특별히 정해진 악센트가 없다고 오해하거나, 모어인 한국어의 발음 습관으로 인한 악센트의 오용의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를 통해 한국인 학습자의 일본어 악센트 경향을 살펴보고, 한국인 학습자가 틀리기 쉬운 일본어 악센트는 어떠한 환경에서 발생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방법은 일본인 화자의 악센트와 한국인 학습자의 악센트를 비교 분석하기로 한다. 이로써 음절 구조에 따른 발음 환경과 한국인 학습자의 일본어 악센트와의 상관관계를 찾는다. 모어의 악센트 영향으로 인한 오용이 구체적으로 어떤 환경에 일어나기 쉬운지 알 수 있을 것이며, 한국인의 일본어 악센트 학습에 있어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한국인 학습자가 일본어를 발화 할 때, 악센트 패턴의 오용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1) 어두음의 자음의 종류 및 자음의 무성․유성에 따라 악센트 패턴에 어떤 변화가 있는가?2) 어중음의 자음의 종류 및 자음의 무성․유성에 따라 악센트 패턴에 어떤 변화가 있는가?3) 특수음소의 유무에 따라 악센트 패턴에 어떤 변화가 있는가?본 연구의 실험 분석 결과로 나타난 한국인 학습자의 악센트 오용의 주된 원인은 무성자음의 피치는 높고, 유성자음과 모음의 피치는 낮게 발음함에 있었다. 그러나 일본인 화자는 동일한 음절 환경에서 무성 자음과 유성자음의 피치차이는 없고, 성대 진동에 의해 무성자음과 유성자음의 구별한다. 이것은 한국인 학습자가 무성자음과 유성자음의 구별에 있어 성대 진동뿐만 아니라 음의 높낮이(피치)가 관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인 학습자는 특수박을 포함한 음절의 피치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일본인 화자와 한국인 학습자의 발음 차이에서 오는 악센트 오용의 결과로, 한국인 학습자가 일본어 악센트 발음 할 때 유의할 점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어두에 무성자음(/k/,/s/,/t/,/h/,/p/)이 오는 평판형 악센트 단어의 경우, 어두의 무성자음의 피치가 높아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어두음의 피치가 낮고, 후속음절과 피치 차이를 갖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2) 어두에 무성자음이 오고, 어중에 유성자음(/g/,/z/,/d/,/b/)이 오는 평판형 단어의 경우 두고형 악센트가 되지 않도록 어두의 무성자음의 피치를 낮게, 어중의 유성자음을 높게 발음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3) 어두에 유성자음이 오고, 어중에 무성자음이 오는 평판형 단어의 경우 어중의 무성자음에 악센트 핵이 존재하는 중고형 악센트가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4) 특히 어말에 발음(/N/)과 장모음(/R/)이 존재하는 평판형 악센트 단어의 경우, 두 박(拍)을 유지하는 동안 피치가 급격히 낮아지지 않도록 주의한다.5) 어두에 촉음(/Q/)이 있는 평판형 단어의 경우, 촉음의 발화 시 피치가 높아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촉음의 후속음절의 피치는 높게 유지하고, 한번 높아진 피치가 다시 낮아지지 않도록 하는 연습이 필요하다.6) 어두에 발음(/N/)이 있는 평판형 단어의 경우, 어두음절의 피치가 높아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발음을 포한한 음절의 피치를 단어 내에서 낮게 발음하는 연습이 필요하다.7) 어말에 장모음(/R/)이 있는 단어의 경우 평판형 악센트는 어렵지 않으나, 장모음을 발음하는 동안 피치가 급격히 낮아지지 않고 일정한 피치가 유지되도록 한다. 어두에 장모음이 있는 경우 의미의 변별에 지장을 주지 않는 장모음의 지속시간과 피치를 익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8) 한국인 학습자가 평판형 악센트로 발음한다 할지라도 각 음절의 피치가 과도하게 높거나 낮음에서 오는 악센트의 어색함이 존재하며, 일본인 화자가 들었을 때, 어디까지나 외국인 화자의 발음으로 들리는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평판형 악센트의 특징인 첫음절과 둘째음절의 저고(LH)의 패턴을 익히는 것과 동시에 적절한 피치를 습득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한국인 학습자의 일본어 악센트 발화시 유의점을 살펴보았다. 일본어의 한자어 중 특히 평판형 악센트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인 학습자는 평판형 발음이 잘 되지 않는데, 단어 도중에 악센트의 핵을 두지 않고 자연스럽게 평판형 악센트 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연습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영문초록:The Error Analysis of Japanese Accents by Korean Learners 1.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is to analyze circumstances of erroneous Japanese accents by Korean learners. If analyzing the errors is to examine the obstructive factors of Japanese accents of Korean learners,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he accent studying.2. Contents of analysis1) Accent errors based on the variety of the beginning sound of a word2) Accent errors based on the voiceless sound and the voice sound of the beginning consonant of a word3) Accent errors based on the variety of the mid sound of a word4) Accent errors based on the voiceless sound and the voice sound of the mid consonant of a word5) Accent errors based on whether a word has Geminate stop(/Q/) or not6) Accent errors based on whether a word has Nasal(/N/) or not7) Accent errors based on whether a word has Long vowel(/R/) or not3. Result of analysisAs a result of experimentation of this study, the main reason of accent error of Korean learners is that the pitch of the voiceless consonant was high but the pitch of the voice consonant and a vowel was low. In contrast, Japanese speaker's pronunciation was distinguished between the voiceless consonant and the voice consonant with vibration of the vocal cord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of pitch between the voiceless consonant and the voice consonant in a same circumstance. This shows that on distinguishing Korean learners' the voiceless consonant and the voice consonant, their pronunciations were related to not only vibration of the vocal cords but also to pitch. And the high tendency of pitch of syllable including the special moras ('tokusyuhaku' ; Germinate stop/Q/, Nasal /N/ and Long vowel /R/) was recognized. As a result of this difference, when Korean learners pronounce Japanese accents, what they need to pay attention are following:]1) In a L-H-H-H (L=Low pitched mora, H=High pitched mora, hereafter 'LHHH') type word having the voiceless consonant (/k/,/s/,/t/,/h/,/p/) in its beginning, it i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making the pitch of the voiceless consonant of the word's beginning not high, making the pitch of the word's beginning sound low, and getting the pitch difference from consequent syllable.2) In a LHHH type word having the voiceless consonant in its beginning and the voice consonant (/g/,/z/,/d/,/b/) in its mid, in order not to be HLLL it is required to exercise to pronounce the pitch of the beginning voiceless consonant low and to pronounce the voice consonant of the word's mid high. 3) In a LHHH type word having the voice consonant in its beginning and the voiceless consonant in its mid, it is needed to pay attention to pronouncing not to be LHL or LHHL accent having accent nuclear in its voiceless consonant.4) Especially, in a LHHH type word having Nasal(/N/) and Long vowel (/R/), for keeping two moras it i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pronouncing for the pitch not to be significantly low.5) In a LHHH type word having Geminate stop(/Q/) in its beginning, when beginning to pronounce Geminate stop(/Q/) it i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the pitch not to be high and to exercise to keep the step of consequent syllable of Geminate stop(/Q/) high and not to lower the heightened pitch again.6) In a LHHH type word having Nasal (/N/) in its beginning, when starting to pronounce Nasal (/N/), it is required to keep the pitch and strength of the beginning syllable not high and to keep the low step of the syllable pitch including Nasal (/N/) in a word.7) In a LHHH type word having Long vowel in its end, the LHHH type accent is not difficult but it i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keeping the consistent pitch within the Long vowel, and in a Long vowel of the beginning of a word it is very important to acquire the pitch and the continuation time of Long vowel not to interfere distinction of meaning.8) Although Korean learners would pronounce in LHHH type accent, there exists awkward of accent deriving from high or low of each syllable' pitch, and when Japanese speaker listens, in all respects the awkward would be a factor of being heard as foreign speaker's pronunciation. Accordingly it is very important to acquire the first syllable which is special feature of LHHH type accent and the Low-High (LH) pattern of the second syllable as well as proper pitch.Through result of this study, when Koran learners start to pronounce Japanese accent, the Korean learners' attentive points were examined. Although there are a lot of LHHH type accents among Chinese letters of Japanese, Korean learners do not pronounce the LHHH type accent well,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Korean learners not to put nuclear of accent in the mid of a word but to pay attention to exercising to keep the LHHH type accent naturally

      • 한국인의 영성체험 연구

        오미성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한국인 영성 체험의 본질과 그 의미를 이해하려는 목적으로, 밴 매넌(Max van Manen)의 해석학적·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단계는 4단계로 구성되매있는데 먼저 체험의 본질에 집중한 다음, 연구참여자의 경험적 진술과 문학을 비롯한 예술 작품에서의 묘사 등을 검토하여 실존적 탐구단계를 거쳐한국인의 영성체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및 글쓰기를 시도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경험적 진술을 위해 2000년 7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참여자는 10대에서 80대까지의 한국인 남녀로 각각 14명씩 총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참여자들은 천주교, 기독교, 불교, 원불교 등 각각 다른 종교를 갖고 있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외 巫俗人이나 성직자, 종교를 갖고 있지 않은 사람들도 모두 포함되었다. 자료는 참여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참여자의 서면 동의를 받은 후, 반(半)구조화된 질문지로 120분 테이프로 녹음하여 필사하는 방식으로 수집하였으며, 면담횟수는 1~3회로 1회 면담시간은 1시간 30분부터 최고 8시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면담에서 진술이 애매하고 부족한 경우 참여자를 다시 만나거나 면담내용을 전화로 확인하는 등의 보충기회를 가졌다. 연구자는 인간이 영성체험을 하면 갈등과 고통 속에서도 새로운 시각으로 인생을 보게 되고 희망적이 된다는 전제아래, 한국 사람들의 살아가는 힘의 원천인 '깡다구'의 본질은 영성의 본질과 상통하리라는 맥락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질문은 영성과 관련하여 주로 논의되어온 기도, 삶의 의미, 죽음에 대한 불안을 중심으로 구성한 것으로 아래와 같다. - 살아온 과정 중에 가장 어려웠던 때는 언제인가? - 그 어려움을 어떻게 견디어 냈는가? - 어려움에 처하면 흔히 죽음을 생각하는데 죽지 않고 살아온 이유는 무엇인가? - 죽음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 어려움을 견디는 과정에서 겪은 특별한 경험은 무엇인가? - 어려움을 극복한 뒤에 전과 달라진 변화는 어떤 것인가? - 삶의 의미와 보람은 어떤 때 실감하고 그때의 느낌은 어떠한가? 등이다. 본 연구 결과 한국인의 영성체험의 본질을 다음의 7가지 주제로 나누어 볼 수 있었고, 이들 주제들이 어느 정도의 순차성을 지니는 나선형적 순환구조를 띠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제 1. 이상을 실현하려는 열망을 가짐 주제 2. 주어진 상황을 피를 말리며 헤쳐나감 주제 3. 좌절 끝에 절대적인 힘에 의지함 주제 4. 초월적인 힘을 실감함 주제 5. 마음이 열려 세상이 다르게 보임 주제 6. 조화로운 관계 속에 더불어 살아감 주제 7. 충만한 생명력을 실감함 위의 본질적인 주제들을 통해, 한국인의 '영성'은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인간에게 내재된 충만한 생명력이며, '영성체험'은 그 충만한 생명력을 깨닫고 발휘하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영성체험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밝혀 그 고유한 양상을 이해함을 통해 한국인의 영성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갖게 할 것이다 또한 간호사들이 간호대상자에게 영적 간호를 포함한 총체적인 간호를 실시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가 갖는 간호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우선, 간호 실무적 측면에서 간호대상자들이 어려움을 어떻게 느끼고 받아들이는지 파악하여, 그들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동기 유발을 시켜주고, 대상자의 영성체험 과정을 파악하여 그 단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중재를 해줘야 할 필요성을 제시 해준다. 다음으로 본 연구결과는 영성체험의 본질과 의미를 바탕으로 한 실제적인 영적 간호를 위한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진다. 먼저 간호사 및 간호학생들은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영성체험의 본질씩 주제에 따라 자신의 영성체험에 대한 통찰의 기회를 갖게되고, 주제에 따른 영성강화 프로그램을 개발 할 근거를 마련해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간호연구측면에서, 본 연구결과는 한국인의 영적 건강 측정도구 개발 및 영적 간호 중재 개발에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리라고 기대한다. 또한 제시된 영성체험의 본질적인 주제들이 성별, 연령별 및 건강문제 별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에 대한 차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영성은 인간에게 내재되어 이상을 실현하려는 충만한 생명력이라는 차원에서 이에 대한 다학제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2. 간호대상자의 종교에 따른 영성 체험이 건강회복 및 일상생활에 미치는 효과에 대간 연구가 필요하다. 3. 한국인의 영성체험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본질적인 주제들을 반영한 한국적인 영성각화 프로그램 및 영성측정도구 개발이 요구된다. 4. 한국인의 영매체험을 기초로 하여, 간호사들의 간호 상황에서의 영성체험과 간호대상자들의 건강회복 과정에서의 영성체험에 대한 인구를 통해, 한국적인 영적간호중재 방안이 개발되어야 한다. The pul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spiritual experience of the Koreans In terms of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earch process can be divided into 4 phases: focusing on the essence of experience; exploring the origins of the words and idioms, and collecting relevant phenomenological data from literary and art works and participants' experiential statements, as an existential investigation; and doing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nd writing.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8 Koreans in the age of 10 to 80, 14 men and 14 women with different religious backgrounds, both clergymen and laymen, of Roman Catholic, Protestantism, Buddhism, Won-Buddhism, traditional divination, and atheism. Data for the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their spiritual experiences were collected from July 2000 to February 2002, by intensive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previous written agreement, tape-recoloed in 120 minutes cassettes and later transcribed. The researcher, focusing on the following questions, has collected relevant materials under the assumption that spiritual experience through struggle and anguish makes man see life anew and look things hopefully; that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between spirituality and the essence of driving force readily found among Koreans, so called "Kkangdagoo" (tough guts). The questions are made mainly on the topics usually discussed in relation to spirituality, that is, prayer, the meaning of life, and the anxiety of death. - When was your hardest moment in life? - How have you overcome the hardship? - Most people think of death during hardship. What made you keep your life? - What do you think of death? - What was your special experience in the course of suffering? - What is the chang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overcome of hardshlp? - When do you acutely aware the meaning of life, and how do you feel at that mo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ssence of spiritual experience a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7 themes that constitute a spiral and cyclic structure in somewhat sequential order. Theme 1. Having aspiration to attain ideal. Theme 2. Struggling desperately to overcome the given situations. Theme 3. Depending on absolute power after frustration. Theme 4. Realizing transcendental power. Theme 5. Looking anew with open mind. Theme 6, Living in harmony with others. Theme 7. Realizing vital life force. Through the above-mentioned themes, the meaning of 'spirituality' for Koreans cart be analogized as vital life force intrinsic to human beings who live to make their ideals come true, and 'spiritual experience' as the realization and exertion ,31 that vital life force. This study, an examination of the essential nature and meaning of the spiritual experience of the Koreans, may help to understand inherent aspects of their spiritual experience and to have a new insight thereof.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actice of comprehensive nursing on the clients, including spiritual car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s in the science of nursing: First of all, in nursing practice, this study suggests that nurses should observe how the clients feel and accept their individual hardships, give them a motive to draw their potentials, and mediate them to overcome current phase of their spiritual experience. Further, the research result of this study can also be used as an educational material for practical spiritual nursing based the nature and meaning of spiritual experience, Nursing students and nurses can have opportunities to consider their own spiritual experience and to prepare the ground of developing spirituality reinforcing program, according to the essential themes of spiritual experience suggested in this study. Finally, in nursing research, this study can provide practic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piritual nursing mediation and measuring tools of spiritual health, as well as the necessity of study on examining the difference of suggested spiritual experience phases by sex, age, and health problems.

      •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중 의사소통 스타일에 대한 대조 연구

        PANGJIAWEI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양국 교류 및 협력은 폭발적인 속도로 증대되어 왔다. 오늘날 양국관계의 발전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양국 간 교류로 공부하러 온 유학생 수도 매년 점점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한 나라의 언어를 학습하면 그 나라의 문법을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나라의원어민 화자들과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은 언어 학습의 최중 목표라 할 수 있다. 이처럼 그 나라의 원어민 화자들과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려면 그 나라의 원어민 화자들의 의사소통 스타일을 잘 인식하고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다고 생각한다. 이처럼 본 논문은 양국 유학생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서로 다른 의사소통 스타일을 인식하고 파악할 수 있도록 일반인을 대상으로 두 집단의 의사소통 스타일의 차이를 대조해보았다. 제Ⅰ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며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의사소통 스타일에 관한 선행연구는 다양한 직업분야에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동서양을 막론하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가 거의 없었다. 한국에서의 의사소통 스타일에 관한 연구는 의사의 의사소통 스타일, 서비스 제공자의 의사소통 스타일 등 특정 직업 종사자의 의사소통 스타일이 고객인 환자 혹은 고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졌을 뿐이다. 중국에서도 마찬가지로 의사의 의사소통 스타일이 환자의 만족도나 자기정보 노출 의지에 미치는 영향, 또는 관리자의 의시소통 스타일이 직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또는 교사의 의사소통 스타일이 학생의 학습태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등 특수한 맥락과 관계에서의 의사소통 스타일이 환자나 직원,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따라서 본 논문은 박혜인・허경호(2011)에서 개발한 특정한 관계나 맥락에 구애 받지 않는 일상적인 대화에서 개인의 의사소통 스타일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사용하고 두 집단의 의사소통 스타일의 차이를 대조 분석하였다. 제Ⅱ장에서는 한국과 중국 의사소통 스타일의 개념과 유형에 대한 양국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보고 정리하였다, 그 다음에 한국인과 중국인의 의사소통 스타일을 대조하기 위해 먼저 의사소통 스타일을 반영한 한국과 중국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해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동서양의 문화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제 Ⅲ 장에서는 동양 문화권에 속한 한국과 중국이 의사소통 상황에서 큰 영향을 미치는 체면 문화과 대인 간 조화 문화를 살펴보았다. 제 Ⅳ 장에서는 한국인과 중국인의 의사소통 스타일을 대조하기 위해 양국 대학생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통계프로그램인 SPSS로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인 의사소통 상황에서 화자의 의사소통 스타일은 개인이 속한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개인주의, 저맥락 문화에 속하는 서구에서 개발된 의사소통 스타일 척도 문항을 집단주의, 고맥락 문화권에 속하는 한국과 중국 사회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또한 양국 기존 연구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 스타일에 관한 연구는 의사의 의사소통 스타일이 환자의 만족도나 자기정보 노출 의지에 미치는 영향, 또는 서비스 제공자의 의사소통 스타일이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리자의 의사소통 스타일이 직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또는 교사의 의사소통 스타일이 학생의 학습태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등 특수한 맥락과 관계에서의 의사소통 스타일이 환자나 직원,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이라는 특수한 관계에서 파악되는 의사소통 스타일의 분류를 일상생활에서의 의사소통 스타일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논문은 박혜인・허경호(2011)에서 개발한 특정한 관계나 맥락에 구애 받지 않는 일상적인대화에서 개인의 의사소통 스타일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사용하고 두 집단의 의사소통 스타일의 차이를 대조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경청적 차원에서 한국인과 중국인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인과 중국인이 모두 다 의사소통 상황에서 상대방의 체면을 높이려는 의사소통 행위를 보이는 동시에 상대방의 말을 잘 경청하고 그에 적절한 반응을 보이고자 하는 경향을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아체면 낮춤 차원에서 한국인은 중국인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인은 중국인에 비해 의사소통 상황에서 바른 자세를 갖추고 상대방의 사회적 지위나 연령을 고려하여 자신의 체면이나 감정을 낮추고 숨기는 경향을 높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청적 차원의 검증결과를 연계지어 볼 때 한국인은 의사소통 상황에서 상대방의 말을 잘 경청하는 동시에 상대방의 체면을 높이려기 위해서 자신의 체면이나 감정을 낮추고 숨기는 경향이 중국인보다 높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돌 회피적 차원에서는 한국인은 중국인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사소통 상황에서 한국인이 중국인에 비해 상대방과의 갈등을 피하기 위해 노력하며 일체감을 유지하는 경향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인은 중국인에 비해 대인간 조화를 더 추구하며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욕구나 감정보다는 상대방을 먼저 우선적으로 배려함을 알 수 있다. 제 Ⅴ 장에서는 한국인과 중국인의 의사소통 스타일 차이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중 유학생, 나아가서는 양국 국민들 사이의 일상생활 과정에서 상호 이해와 의사소통의 수월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까지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와 개념정리를 통해 논문의 연구목적과 방향이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고 한중 수교 이후 유학생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현실에서 상호 의사소통의 수월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서로 다른 의사소통 스타일의 문화적 차이를 비교 연구한 점은 관련 분야의 실용적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 일제하 한국인 관료의 인사관리에 관한 연구 : 판임관 채용시험 합격자를 중심으로

        최성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discrimination in official employment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his thesis has investigated officials who passed the Panimkwan Examination from 1911 to 1919.The contents of this paper comprise six chapters.Chapter one presents the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The contents of Chapter two are in three parts. The first explains the employment systems for civil servants used by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on(ChosonChogdokbu). The second part explains the concepts of ‘Panimkwan’ and the various examination systems. In the last part, a basis for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research was conceived.These are as follows:Basic criteria for the analysis: the number, previous position, and first position of the people who passed exams, the time required for their appointment as Panimkwan, the number of people who resigned in the 1910's, the number of people who were promoted to a high position, and the types of top civil servant positions.Criteria for comparison: the classification of people who passed exams, by year, by the host body, by type of Exam , change from the previous position to the first employment as Panimkwan, the change from the first employment to a position as a high official, and the status as a high official accorded by the administrative body.The chapter three and four handles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presented in chapter two. In particular, those who passed the ‘Chosonin Panimunkwan Test’ which was one of the employment systems at that time is considered in chapter three.In chapter five, the characteristics of civil servant employment for Koreans and Japanese are exa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chapters three and four.The last chapter provides some concluding comments.Why did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on employ Koreans as officials?It was because they were not able to exert full influence and control over many provincial areas. Despite the fact that Koreans had equal qualifications to Japanese, they were discriminated against.By comparison with Japanese officials, Koreans couldn't be promoted to the principal body and the number of Koreans who passed exams was fewer than the Japanese. Koreans were only nominal officials who had no authority at all. The Japanese imperialists deprived Koreans of their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power in this way. 이 연구는 1911년부터 1919년까지 조선총독부하에서 판임관 채용시험에 합격한 한·일 관료 1,746명의 임용상황을 분석하여, 한국인과 일본인간에 어떠한 차별성이 인사 관리상에 나타났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일제 식민시대의 인사정책의 허상을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이 논문은 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범위와 방법을 설명하였고, 제2장에서는 일제초기의 조선총독부 및 지방행정기관의 관료임용제도와 한국인 관료임용제도 그리고 판임관 개념 및 시험제도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일제하 관료임용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이 연구의 분석기준 및 비교기준,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제3장과 제4장은, 각각 한국인, 일본인을 대상으로 제2장에서 제시한 분석기준(합격자수·前職·최초 발령직·1910년대 사임자·고등관 이상의 승진정도·승진자와 비승진자의 비교·고등관 승진 연대별 비교·판임관으로 임용되기 이전의 관직 보유여부· 시험 합격 후 발령직·판임관에서 고등관으로의 승진·군수, 도경시, 도이사관의 재임기간 및 직전 판임관직·고등관 승진과 동시 퇴직자·이후 관직자)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설명하였다. 또한, 제3장에서는 ‘조선인판임문관시험’ 합격자만을 대상으로 그들의 전직 및 최초 발령직을 살펴봄으로써, 조선인 임용의 특징을 더 확실히 분석하고자 했으며, 조선인 임용의 급증 원인을 조선총독부의 지방행정정리에서 찾아내어 이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였다. 제5장은 제3과 제4장의 내용에 대하여 분석기준을 조정한 ‘비교기준’을 통해 일제의 한·일 관료에 대한 차별적 관료임용을 밝히고, 이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6장은 결론으로서,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사실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언급하였다.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일제의 차별적 관리임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가. 친일적 인사의 선별적 임용일제는 시험을 일본어, 법학, 일본의 역사 등 일반 조선인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과목으로 구성하여 일본지식에 밝은 고학력 엘리트만을 선발하였고, 시험 시 신분, 연령, 직업에 관한 경찰관서의 증명을 첨부하도록 하여, 친일적인 한국인만을 선별적으로 임용하는 인사정책상의 기만성을 드러내었다.나. 합격자수의 차이당시 조선사회는 지배민족과 피지배민족 간의 갈등이 지배계급과 피지배갈등보다 우세하였던 식민지사회였기 때문에, 조선인 관료가 피지배민족출신이었던 만큼 그들의 관직점유율은 현저히 낮을 수밖에 없었다.그러나 판임관 채용시험 합격자수 분석을 통하여, 비단 일본인 합격자수가 많다는 것 이외에도 일제의 일본인 관료를 조선에 임용하기 위한 의도와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즉, 판임관 채용시험은 일제의 직접통치체제 강화를 위한 일본인 관료의 등용문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다. 전직의 차이전체 합격자수에 비하여 전직(前職) 경력을 가진 자는 그리 많지 않았다. 즉, 판임관 채용시험을 통하여 신규 임용된 자들이 대부분이었다. 전직이 있었던 한국인의 경우, 교직자, 한시 기구였던 임시토지조사국, 그리고 말단 경찰직이 조금 있었던 반면, 일본인의 경우 탄압기관 관료인 순사와 하급군인출신이 가장 많았다.라. 최초 발령직의 차이판임문관시험 합격자 중 한국인의 경우 90% 가까이가 지방서기로 임용되었으나, 일본인은 총독부 본부 및 사법, 치안, 경제·산업 관련 기관 등 주요직에 임용되었다. 중앙행정기관의 권한이 매우 강했던 조선총독부 통치에 있어서 이러한 일제의 차별적 인사관료는, ‘한국의 행정 장악’을 위한 것이었다.마. 견습기간 및 승진 소요기간 차이판임문관시험 합격자에게는 견습기간(1년 이상)이 부여되었다. 이로 인하여 합격일로부터 발령일까지의 기간이 1년 이상이 되었는데, 시험일에서 발령일까지의 기간 비교를 통하여, 한국인의 견습 기간이 일본인에 비하여 훨씬 더 길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한국인과 일본인을 차별적으로 대우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등관 승진까지 걸린 기간의 경우는 한·일 관료 모두 장기간이 소요되었다. 이는 일본의 계급제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써, 승진 소요기간 측면에서의 큰 차이는 없었다.바. 고등관 승진자와 승진직의 차이합격자뿐만 아니라 고등관 승진에 있어서도 일본인은 한국인에 비하여 그 수가 많았다. 총독부관료제는 기본적으로 식민지 내의 어떠한 계급이나 사회집단도 정치적 권력의 지주로서 영입하지 않았으며, 식민지 지배의 권력구조에 한국인 충원을 강력히 배제하는 ‘직접 통치적 지배방식’을 고수했는데(김운태 2002, 612), 이러한 직접통치방식은 그 운용에 있어서 시기에 따라 조금씩 성격을 달리했었다. 1910년 병합 당시까지도 일본은 조선의 지방치안을 장악하지 못하여 지방관인 군수 대부분이 한국인으로 충원되기도 하였다. 이는 지방통치의 특수성을 감안하고 조선인을 회유하는 수단으로써의 처방이었다.따라서 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에서의 조선인 고등관들은 넓은 의미에서 보면, 조선총독부를 주축으로 식민지 조선에서 일본인 관료들과 함께 지배자적 관료제에 포함되어 지배계급의 몫의 일부분을 담당하였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권력구조의 핵심적인 지위에는 모두 일본인 관료가 임용되었으며, 조선인 관료는 일본인에 의해 입안되고 결정된 정책들을 집행하는 식민정책의 대민집행관으로서의 기능과 일본의 식민통치에 대하여 정당성을 부여해주는 기능, 그리고 조선인에 대한 회유기능 등을 수행하는 직위에 주로 임용되었을 뿐이다(진덕규 1980, 125). 또한 초기에 지방관으로 조선인 관료를 임용한 간접통치방식은, 식민통치체제가 정비되어가자 지방행정기관마저도 점차 일본인 관료가 더 많이 증원되었고, 일본인에 의한 직접통치체제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인 관료로서의 위치는 일본인 관료의 ‘수족적’ 성격을 띠었으며, 보직 및 승진에 있어서 일본인 관료에 비하여 심한 차별대우를 받았다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사. 퇴관 이후의 직업퇴관 이후 관직에 임명된 자들은, 장기간 근무한 자로서 일제에 대한 충성심이 강하다고 인정된 사람들이었다. 한국인 관료로서 퇴관 이후의 관직을 얻은 자들은 대부분 ‘대우관’으로서, 이들은 주임관 대우를 받지만 형식상으로는 관료가 되지 못한 자들이었다. 일제는 자신의 정권의 타당성 및 친일관의 배양과 보상을 위해, 또한 민족분열의 일환으로써 장기간 근무한 한국인을 ‘대우관’ 이란 미명아래 이용하였을 뿐, 그 어떤 실질적인 권력도 나누어 주지 않았다. 이에 반하여 일본인 관료의 경우는, 경제·산업관련 기관의 이사(理事) 및 읍장, 서기관 등 주요직에서 퇴관 이후의 관직을 수행하였다.

      • 한국인 화자 영어 발음의 명료도, 이해도 및 억양도 : 모국어 배경이 다른 청자를 중심으로

        최순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Intelligibility is considered as a critical component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foreign accented speech is important for both theoretical inquiries and evaluation on the nature of intelligibility. Much of previous research, investigating Korean accented speech has been limited to measuring gross intelligibility or accuracy by English speaking listeners. This study examines the assessment of intelligibility, comprehensibility and accentedness of Korean speakers by different L1 background listeners. It also figures out the effect of pronunciation errors on intelligibility and compares the findings with Jenkins' Lingua Franca Core(LFC). This study elicited speech samples from 10 Korea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of varying proficiency and 1 English speaker. These speakers were recorded speaking freely about 4 different easy topics. 44 sentences were extracted and the stimuli were played to 20 listeners from 4 different L1 backgrounds(5 each Korean, Mandarin, Filipino and English listeners). They were asked to transcribe orthographically sentence level stimuli(Intelligibility) and also asked to judge each stimulus on 9 subjective Likert-type rating scales regarding how easy the stimulus was to understand(Comprehensibility) and how heavily foreign accented it was(Accentedness). Additionally participants checked the meanings of some key words which were considered to influence the intelligibility rating scores. They performed the lexical decision test(LDT) to assess each listener's lexical and orthographic knowledge. The effects of listener, speaker, LDT, and familiarity factors were compared by means of MANOVA and two-way ANOVA analysis. On intelligibility measures, the Korean listeners had significantly less difficulty in understanding speakers with Korean accented speech than Mandarin and Filipino listeners. However, English listener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any other groups. All nonnative listeners who found the native speaker's stimuli less intelligible showed higher intelligibility scores on Korean speakers' stimuli. Familarity with Korean accented speech was found not to affect intelligibility scor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on measures of comprehensibility and accentedness among listener groups. Also,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on measures of intelligibility and accentedness, suggesting that heavy foreign accents are not strongly correlated with listeners' intelligibility. The researcher and an English instructor identified pronunciation and morphosyntactic errors. Rhythm and intonation were rated by two English instructors. Many pronunciation errors, frequent in Korean speakers, were found. The result shows that segmental errors had correlation to intelligibility scores of Korean and American listeners only. 8 out of 40 Korean speakers' stimuli were found to be more intelligible to English listeners than native speaker's stimuli. Good rhythm and intonation scores do not correspond to the intelligibility measures, which corresponds to Jenkins' study. The segmental errors and word-level intelligibility scores were also compar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ach segmental errors. Substitution and deletion had more detrimental effect on intelligibility than addition of a phome. Some vowels differing vowel quality and application of Korean phonological rules were found to be problematic, which differs from Jenkins' LFC. In conclusion, Korean speakers' stimuli had many errors and were less intelligible to Mandarin and Filipino listeners than Korean and American listeners. This suggests that in classrooms, pronunciation teaching needs to be enhanced both by focusing on accuracy and by giving students more opportunity to be exposed to various accents of English. 이해 가능한 발음 습득의 필요성과 함께 명료도(intelligibility)라는 개념이 제 2 언어 학습에서 중요한 목표로 인식되고 있다. 그동안 비원어민 청자를 대상으로 한국인 화자의 발화가 얼마나 이해 가능한지에 대한 국내연구가 없었고 명료도에 영향을 주는 발음 자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충북 청원군 소재 K대학교 한국인 10명과 원어민 1명의 발화를 한국인 청자, 중국인 청자, 필리핀 청자 및 원어민 청자 각 5명이 듣고 명료도, 이해도 및 억양도를 평가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보고자 하였다. 이때 한국인의 액센트에 익숙한 청자들이 그렇지 않은 청자들보다 더 명료하게 받아들이는지 살피고자 하였다. 또한 개별발화에서 드러난 분절음, 리듬, 억양 및 문법오류가 구체적으로 청자의 단어수준의 명료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를 Jenkins의 공통어발음자질(LFC)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피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어민 발화를 기준선으로 보고 한국인 발화의 명료도를 청자 집단별로 살핀 결과 한국인 청자는 중국인 청자나 필리핀 청자보다 한국인의 발화에 대해 더 명료하게 받아들였다. 원어민 발화 명료도가 낮은 중국인 청자, 필리핀 청자는 모두 한국인 발화에 대해 더 명료도가 높았으나 60점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는 원어민 발화를 더 명료하게 받아들였다. 원어민 청자는 원어민 발화를 더 명료하게 받아들였으나 한국인 발화 명료도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청자 집단사이에 유의한 이해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고 억양도의 차이도 발견되지 않았다. 상관계수를 살핀 결과 이해도와 억양도가 의미 있는 상관이 나타났으나 명료도와 억양도는 유의한 상관이 드러나지 않았다. 둘째, 청자의 한국인의 액센트가 있는 발화에 대해 익숙하면 청자의 명료도에 높아지는지 살펴본 결과 다른 청자 집단 모두에게서 익숙도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청자의 단어와 음철법에 대한 어휘판별검사(LDT) 점수가 원어민 발화 명료도에만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인의 발음오류나 변이와 명료도 및 이해도에 대한 상관관계를 밝힌 결과 한국인 청자와 원어민청자에게서만 음소적 오류가 있을 때 문장명료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리듬과 억양은 전체 청자의 억양도와 상관이 있음이 드러났다. 넷째, 개별 발화의 발음오류를 분절음, 리듬 및 억양 수준에서 살펴본 결과 한국인의 흔한 발화 오류가 잘 드러났다. Jenkins의 연구와 비교한 결과 모음의 질을 달리한 몇 몇 경우와 한국어의 음운규칙을 적용한 경우에 단어수준 명료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었으나 대체로 비슷한 결과를 가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의 발화에서 빈번한 발음오류가 나타났고 원어민을 제외한 다른 L1을 가진 청자들의 명료도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한국인 학습자들이 다른 비원어민들은 잘 알아듣지 못하는 발음으로 서로에게 투입(input)되면 결과적으로는 명료도가 떨어지는 발음으로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교육현장에서 초·중급 수준의 학습자를 위한 정확성에 기초한 발음 교육과 더불어 다양한 영어의 변이를 경험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부부공평성, 부부갈등대처방식, 의사소통기술, 결혼만족도의 관계 : 한국인부부와 국제결혼부부의 비교

        안현숙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국인부부와 국제결혼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영향 변인인 부부공평성과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 석하여 행복한 결혼의 지속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09년 7월부터 2010년 9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불성실하게 답변한 경우 등을 제외한 한국인 부부 79쌍과 국제결혼 부부 79쌍의 질문지, 총 316개의 질문지를 실제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한국인 부부 중 남자는 45.01세, 여자는 43.86세로 비슷하지만 국제결혼부부 부부는 남자는 46.25세, 여자는 39.86세로 부부의 나이차이가 한국인 부부보다 약간 크다. 평균결혼기간은 한국인 부부는 16년 5개월이고, 국제결혼부부는 10년 1개월 이었다. 한국인 부부는 자녀가 2명인 경우가 62.2%로 가장 높았다. 국제결혼부부는 자녀가 2명인 경우가 41.6%로 가장 높았지만, 자녀가 없는 경우부터 자녀가 5명인 경우까지 있었다. 결혼형태를 살펴보면 한국인 부부는 대다수가 초혼이며, 국제결혼부부는 남자의 경우 재혼인 경우가 21.5%, 여자는 20.3%로 한국인 부부보다 재혼 비율이 높았다. 학력을 살펴보면 한국인 부부는 전문대졸 이상이 남자는 81%, 여자는 73.5%였다. 국제결혼부부는 전문대졸이상이 남자는 25.6%, 여자는 41.8%로 여자의 학력이 남성보다 높았다. 직업에 있어서 한국인 부부 중 남자의 6.5%가 직업이 없고, 여자의 33.3%가 전업주부였다. 국제결혼부부 중 남자의 18.4%가 직업이 없고, 여자의 22.8%가 전업주부였다. 가족의 월소득을 살펴보면, 한국인 부부는 400만원 이상이 가장 많았고, 국제결혼부부는 100만원 이상에서 2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다. 둘째, 부부공평성 점수는 국제결혼부부 여자집단의 평균이 가장 높았다. 한국인 부부 남녀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공평성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국제결혼부부의 남녀 점수를 비교하면, 여자집단이 남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점수가 높아서 관계에서 좀 더 투자를 많이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p<.001). 남자집단의 결혼형태에 따른 공평성 점수를 비교한 결과, 심리정서 공평성에서만 한국인부부 남자의 점수가 국제결혼부부 남자의 점수보다 높았다(p<.05). 여자집단의 결혼형태에 따른 공평성 점수를 비교한 결과, 심리정서 공평성(p<.001), 일상생활공평성(p<.05), 공평성(p<.001)에서 국제결혼부부 여자가 한국인 부부 여보다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집단별로 부부갈등 대처방법을 살펴보면 본인 갈등개입은 국제결혼부부 남자가 가장 높고, 한국인부부 여자가 가장 낮았고,(p<.01) 본인의 긍정적 문제해결은 한국인부부 여자가 가장 높았고, 국제결혼부부 여자가 가장 낮았다(p<.001), 본인의 후퇴 점수는 집단 간 점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고, 본인순종 점수는 국제결혼부부 여자가 가장 높았고, 한국인부부 여자가 가장 낮았다(p<.05). 네째, 성역할태도와 의사소통은 성역할 태도는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의사소통에서 집단간 차이가 분명하였다(p<.001). 다섯째, 결혼만족도는 한국인부부 남자집단이 결혼만족도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국제결혼부부여자 집단이 가장 낮았다(p<.001). 여섯째, 상관분석에서는 전체집단의 결혼만족도와 상관이 가장 높은 변인은 배우자의 긍정적 문제해결(.469), 배우자의 갈등개입(-.453), 갈등에서 본인의 긍정적 문제해결(.451), 배우자학력(.443), 갈등에서 본인 후퇴(-.409)이었다. 일곱째,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 가장 설명력이 있는 변수는 의사소통 점수, 배우자의 갈등개입, 본인의 긍정적 문제해결, 갈등에서 본인후퇴, 배우자 학력, 심리정서 공평성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