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생과 교사의 고교학점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유현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학생과 교사의 고교학점제 경험을 통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의 요구를 듣고, 2025년 전면 시행 전 정책의 개 선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일반고의 학생 8인과 교사 7인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학생과 교사가 상호작용하는 학습, 진로·진학 지도 및 생활지도의 측면을 중심으로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 학점제의 학습 측면에서 학생과 교사의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고교학점제의 진로·진학 측면에서 학생과 교사의 경험은 어떠한 가? 셋째, 고교학점제를 시행하는 학교에서의 생활은 어떠한가?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측면에서 새로운 교 과 개설은 학생들에게 흥미와 동기, 그리고 책임감을 주었다. 하지 만, 여전히 실제 학생들의 수요는 흥미나 진로보다 ‘입시’를 위한 과목들이었다. 한편 흥미 위주로 선택하는 학생들의 경우는 기본 교과 기피 현상과 함께 기초학력의 저하를 가져왔다. 교과목 다양 화의 이면에는 교과 통합성과 계열성을 무너지고 있었다. 평가 측 면에서도 미이수자가 생기면 그 부담은 담당 교사가 혼자 해결해 야 하는 업무가 되어, 교사는 미이수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평가 수준을 낮추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학교 간 연계한 공동교육과정 이 운영되고 있으나, 이는 기본적으로 특목고와의 차이, 지역에 따 른 소규모학교와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진로·진학의 경우, 진로 탐색 프로그램들이 다양화되어, 학생들이 진로에 대해 탐색할 기회가 많아졌다. 이러한 경험을 통 해 진로를 확정한 학생들은, 수행평가와 진로를 연계하며 학생부 종합전형에 지원하려고 준비를 하고 있었다. 하지만 진로를 정하 지 못한 학생의 경우, 수행평가에서 진로와의 연계에 어려움을 느 꼈다. 학생기록부에서 불이익을 얻을 것이라는 불안감과 수시를 포기해야 하는 절망감을 느끼고 정시로 가려는 학생들도 있었다. 또는 진로가 없으니, 아예 쉬운 선택 과목을 선택해 점수를 따거 나, 들은 과목들에 진학을 맞추는 주객전도로 진학에 활용하고 있 었다.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학교 내 진로 관련 전문 상담이 부족 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셋째, 학교생활 측면에서 교사는 상담에서부터 행정까지 모든 것 이 담임의 업무라는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문·이과 통합과 고교학 점제 시행으로 담임 반에도 담임 과목을 듣지 않는 학생들이 생기 면서, 조회나 종례 시간 외에는 담임과 소통하기 어려운 상황이 많았다. 이동 수업 시간이 많아지면서 반 친구들끼리 만나는 시간 도 적었다. 학생과 교사 모두 학급 간 소통과 공동체 활동이 줄어 든 것을 안타까워했고, 인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인식하고 있었다. 이처럼 고교학점제는 시험의 부담이 없는 자유학기제와 다르게, 진로가 수행평가와 연계되고 성적에 반영되며 나아가 입시와 연결 되기에 학생과 교사들은 큰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진로를 정한 학생들은 미래와 진로를 연결하여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지만, 진 로를 찾지 못한 학생들은 어려움과 혼돈을 경험하였다. 교사들은 학업 지도 측면에서 ‘다 과목 교사’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생활 지도와 진로지도 측면에서는 ‘담임’으로서의 역할에서도 혼란을 겪 고 있다. 심지어 학업 지도에서 자신감을 잃고, 생활지도와 진학 지도에 버거움을 느끼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 측면에 서는 첫째, 학교 간의 격차 완화와 연계가 필요하다. 특목고와 일 반고의 격차 완화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소규모학교를 위한 프로 그램, 강사 등의 지원과 학교 간의 교류 시스템도 필요할 것이다. 둘째, 기초학력 안정화가 필요하다. 교과 다양화는 사실상 교과의 단편화와 기본 교과 기피 현상을 초래하여, 학생들의 기초학력과 독해력 저하를 가져왔다. 이를 위한 교육 과정적 측면에서 기본 학력을 뒷받침하는 방향으로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미이수 자의 책임 교육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미이수자를 학교나 교사 에게만 ‘책임’으로 요구할 것이 아니라, 이에 관해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 차원의 구체적인 논의와 방안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진로·진학 측면에서는 첫째, 중학교와의 실질적 연계가 필요하다. 학생들이 고교학점제와 선택 과목을 미리 알고 고등학 교에 입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대학입시와 연계되어야 한다. 학생들에게 대학입시는 자신의 학업에 대한 평가이자 결과 이다. 대학 입시 제도와 학교에서 수업하는 고교학점제가 전혀 다 른 방향으로 진행된다면, 그 혼란은 고스란히 학생들에게 부담이 될 것이다. 최근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안 확정>이 발표되었는 데, 이러한 대학입시제도 개편과 고교학점제도가 잘 맞물릴 수 있 도록 보완과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진로·진학 측면에서 학 생별 맞춤형 개별상담이 필요하다. 학생에게 진로와 진학 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이 아니라,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진로와 진학을 결정할 수 있도록 맞춤형 상담을 위한 지원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학교생활 측면에서 첫째, 교사를 위한 행정업무자, 수업 강사, 상담교사 등 인력 지원이 시급하다. 지금과 같은 교사 의 과중한 업무 상태로는 고교학점제가 지속해서 운영되기 어렵기 에 교사와 교육 현장을 위한 폭넓고 세심한 지원이 요구된다. 둘 째,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을 위해 교사 지원을 통해 소외되는 학 생들이 언제든 찾아갈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한다. 이는 교사들 간 의 협력을 통한 생활지도가 더욱 요구된다. 셋째, 학생들이 교과목 의 다양화뿐만 아니라 학습경험의 다양화를 느낄 수 있도록 교과 외 활동과 인성 교육과 공동체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학 습뿐만 아니라 학생을 전인적 인간으로 길러내기 위한 공교육의 역할과 교육의 방향에 대해 교육구성원 전체의 고민이 필요하다. 주요어 : 고교학점제, 학생과 교사의 경험, 학습 측면, 진로·진학 측 면, 학교생활, 고교학점제 개선 방안 학 번 : 2022-27023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s of students and teachers regard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Particularly, case studies were conducted on aspects of learning, career and further education, and school lif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rom a learning perspective, students felt interest and responsibility through subject diversification, and the classroom atmosphere was enthusiastic. However, due to facility and teacher shortages, the diversification tended towards 'realistic' rather than tailored approaches, and subject offerings were often geared towards college entrance exams. Especially in small schools, it seemed challenging to diversify subjects or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educational programs. In evaluations, teachers expressed concerns about non-completion, leading to a lowering of standards, while students showed a tendency to perform adequately in classes and assessments, perhaps due to ease in achieving high grades, thus exhibiting a lack of engagement. Teachers also expressed concerns about students' interest-driven subject choices leading to a decline in fundamental academic skills, undermining the coherence of the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career and further education, with the proliferation of exploration programs, students were finding career paths and preparing for further education during class time. However, students who couldn't find or changed their career paths faced difficulties and perceived themselves as being disadvantaged. Some students resorted to easy subjects or tailored their course selection to fit into their desired career paths. Teachers also lamented this situation. It appeared that students needed more exploration of their own interests and aptitudes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r career paths. Regarding school life, both students and teachers didn't place much emphasis on the meaning of 'class' and often found their classmates and teachers unfamiliar and somewhat distant. Students found it challenging to engage in personal or career counseling with homeroom teachers. Teachers, with frequent class rotations, also found it challenging to advise students on unfamiliar majors for further education. Relationships were strained, and there was a lack of character education or community activities. Hence, both students and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school as a small society and felt the need for social educ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unintended side effects of initiatives pur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necessitating not only efforts at the student, teacher, and school levels but also crucial support from educational authoritie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policy improvements are required in the following areas concerning learning, career and further education, and school life: First, regarding learning,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disparities between schools in terms of subject offerings and teaching quality. Support programs, instructors, and activities for small schools are crucial.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for schools to share their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ion data and educational programs. Second, stability in fundamental academic skills is essential. Educational interventions should focus on bolstering basic skills affected by the aversion to fundamental subjects. Third, supporting responsible education for non-completion is necessary. Rather than holding schools or teachers accountable, specific discussions and measures at the national and regional education authority levels are needed regarding students who do not complete their studies. Regarding career and further education, first, practical linkage with middle schools is necessary. High schools and nearby middle schools should collaborate to provide students with explanations abou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elective subjects. Second, enhancing alignment with university admissions is essential. Given recent announcements regarding university admissions reform, how this aligns wit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quires further on-site research. Third, personalized individual counseling for each student is necessary for career exploration and further education, focusing on self-awareness and aptitude. Lastly, regarding school life, first, administrative support and personnel are needed for teachers. Support for career counseling teachers to share the workload and administrative staff for administrative tasks is urgent. Second, supporting counselors and homeroom teachers to ensure the emotional well-being of students is crucial. Additionally,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for life guidance is needed. Third, promot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character education, and community activities to diversify learning experiences require efforts at the school level, supported by educational authorities.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전기획 개선방안-서울 A고등학교 리모델링 사전기획 중심으로-

        김태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the government plans to fully apply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2025,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curriculum, which is changed from the existing curriculum, is designed to allow students to choose the target they want according to their career path and enemy, complete it, and disclose their credits. way. The right to such a curriculum is a learning space where students can run in a space used by divided classrooms in the existing school space and make the most of various subjects, and a school that is linked to a curriculum that can respond to students' idle time and mobile classes. It's asking for space. In this regard, in the Green Smart Future School, a high school credit system school space project, a total of over 18 trillion won was invested in 1,400 schools and 2,835 buildings for five years from 2021 to 2025, and education planners and architectural planners work together to develop schools linked to the curriculum. We are conducting a preliminary planning stage to plan the space. In addition, since pre-planning is an important step in planning a space related to the educational process, the results derived from pre-planning are reflected in the school design, and through the legislation of pre-planning, the work of educational planners and architectural planners and the contents related to their work can be made public. has been strengthened. However, due to the separate tasks and procedures of educational planning and architectural planning, which derive a space linked to the curriculum in the green smart future school pre-planning, repetitive tasks of the educational planner and the architectural planner and a decrease in understanding of mutual tasks and fields, education The process is not well reflected in the school space. This study identifies improvements due to the separate work structure of educational planning and architectural planning through pre-planning guidelines and case analysis for Green Smart Future School, and as a plan to improve the work structure, the Seoul pre-planning guidelines are reorganized and integrated and procedures and operation methods were presented. Ultimately, the purpose is to suggest a plan to improve the integration and efficiency of educational planning and architectural planning. To this e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curriculum was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curriculum and school space was identified. Objective data on the tasks and procedures of educational planning and architectural planning were selected by reviewing the preliminary planning literature on school space projects according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education policy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high school credit system spaces.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2021 Seoul City Guidelines for Green Smart Future School in advance and the 2022 Seoul City Guidelines supplemented with educational planning, a unified task and procedure was form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constructe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pre-planning guidelines, improvements were drawn for the tasks, procedures, and operation methods of educational planning and architectural planning. Analysis of whether improvements due to the separate tasks and procedures of educational planning and architectural plann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pre-planning guidelines are also occurring in the case of pre-planning for Green Smart Future School high school, and as a result, whethe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curriculum is reflected in the space verified through In addition, the case of Seoul A high school, where improvement points were not found in the verification result, was selected as a tool to improv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pre-planning guidelines. Finally, the tasks, procedures, and operation methods of the pre-planning case of Seoul A High School's Green Smart Future School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school spac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pre-planning guidelines for green smart future schools were reconstructed. Through this, integrated tasks, procedures, and operation methods were derived. In conclusion, a plan to improve the integration and efficiency of the integrated tasks and procedures of educational planning and architectural planning and task performance was presented. 정부는 2025년까지 고교학점제 도입을 전면 적용하겠다는 계획이 발표됨에 따라 기존의 교육과정에서 변화되는 고교학점제 교육과정은 학생이 자신에 맞는 진로와 적성에 따라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하여 학점을 취득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특성은 기존의 학교 공간에서 학생들이 배정된 교실에서 수강하는 공간과는 달리 다양한 교과목을 진행할 수 있는 학습공간과 학생들의 공강시간 활용 및 이동수업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연계된 학교 공간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사업인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에서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년간 총 1,400개교, 2,835개동에 대해 총 18조원이상 투입하면서, 교육기획가와 건축기획가가 함께 교육과정과 연계된 학교 공간을 기획해보는 사전기획 단계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사전기획은 교육과정과 연계된 공간을 기획하는 중요한 단계이기 때문에 사전기획에서 도출된 결과를 학교설계에 반영하고, 사전기획의 법제화를 통해 교육기획가과 건축기획가의 업무와 업무수행과 관련된 내용이 강화되었다. 그러나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전기획에서 교육과정과 연계된 공간을 도출하는 교육기획과 건축기획의 분리된 업무와 절차로 인해 교육기획가와 건축기획가의 반복된 업무와 상호 업무 및 분야에 대한 이해 감소로 교육과정이 학교 공간에 반영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전기획 가이드라인과 사례분석을 통해교육기획과 건축기획의 분리된 업무수행 구조로 인한 개선점을 밝히고, 업무구조의 개선방안으로 서울시 사전기획 가이드라인의 재구성하여 통합된 업무와 절차 및 운영방법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교육기획과 건축기획의 업무수행에 관한 통합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고교학점제 교과과정을 분석하여 고교학점제 교육과정과 학교 공간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고교학점제 교육정책에 따른 학교 공간사업에 대한 사전기획 문헌과 고교학점제 공간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교육기획과 건축기획의 업무와 절차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선정하였다. 2021년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서울시 사전기획 가이드라인과 교육기획 내용이 보완된 2022년 서울시 가이드라인을 비교·분석한 후 가이드라인을 하나의 통합된 업무와 절차로 구성하였다. 재구성된 서울시 사전기획 가이드라인의 분석을 통해 교육기획과 건축기획의 업무와 절차 및 운영방식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서울시 사전기획 가이드라인의 교육기획과 건축기획의 분리된 업무와 절차로 인한 개선점이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고등학교 사전기획 사례에도 발생되고 있는지 분석하고, 그 결과 고교학점제 교육과정이 공간에 반영이 되는지 분석틀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검증된 결과로 개선점이 도출되지 않은 서울 A고등학교의 사례를 서울시 사전기획 가이드라인을 개선하기 위한 도구로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서울 A고등학교의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전기획 사례의 업무와 절차 및 운영방법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와 교육과정과 학교 공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서울시 사전기획 가이드라인의 재구성을 통해 통합된 업무와 절차 및 운영방법을 도출하였다. 결론으로 교육기획과 건축기획의 통합된 업무와 절차 및 업무수행에 관한 통합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학점은행제 운영에 관한 연구

        송춘환 檀國大學校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식·정보화, 첨단기술화, 세계화로 특징 지워진 21세기의 미래사회에 있어서 국가적 생존과 번영은 개인과 국민의 지적 역량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교육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개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리 나라도 1954년 2월 대통령자문기구로 교육개혁위원회를 발족시키고 1995년 5월 31일 발표된 제1차 교육개혁방안에서 "열린교육사회, 평생학습사회" 구축을 위한 제도적 기반으로서 학점은행제가 건의된 바 있다. 학점은행제는 개인의 다앙한 학습경험이나 자격을 정규 전문대학이나 대학의 학문적 수준과 연계하여 학점으로 인정받고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폭증하는 계속 교육 수요를 수용하여 형식적 학력위주의 사회를 실질적 능력위주의 사회로 전환시키는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는 제도로서 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나 그 의미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 나라의 학점운영제의 전반적인 현황과 외국의 유관 제도를 연구·분석하여 학점은행제의 성공적인 정착과 발전을 위한 과제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학점은행제와 관한 각종 선행연구와 교육부의 내부 행정자료를 분석·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분석을 거쳐 앞으로 학점은행제에서 해결되어야 할 발전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인정기관 선정에 있어 공정성, 객관성 및 전문성이 확보 될 수 있어야 하고 둘째, 다양한 학점취득원이 개발되어 원격교육에 의한 학습은 물론 직업경력이나 생활경험까지도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하며 셋째, 학점은행제에 의하여 취득할 수 있는 학위 등의 범위를 확대하여 대학원까지 학점은행제를 연계 운영하고, 일정한 기준를 갖추고 있는 학력 미달자자에게도 상위학력의 취득기회를 개방하고 넷째, 독학학위제 등 학점은행제와 유관한 제도와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학점은행제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학위종별을 자율화하고, 평가인정기관을 확대하여 학위의 형평성을 확보하고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상에서 제시한 방안 외에도 학점은행제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하여 앞으로도 끊임없는 연구가 필요함은 물론 국가·사회적인 지원체제의 구축이 요망된다.

      • 학점은행제 운영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연구 : 대학 평생교육원을 중심으로

        황치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807

        학점은행제는 1995년 5.31교육개혁의 일환으로 고등교육에서의 열린학습사회 · 평생학습사회 건설을 위해 도입된 제도로, 1998년에 시행하여 7년 동안 9만여 명의 학습자가 등록하였다. 학점은행제는 대학 정규과정 외의 다양한 교육(훈련)기관에서의 교육과 경험학습을 학점으로 인정하여 성인학습자의 대학학위 기회를 확대한 점에서는 상당히 긍정적이다. 그러나 학습에 대한 사회적인 인지도가 낮아 학점은행제 운영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원은 질적 관리를 강화하고 있고, 교육기관은 정규과정화 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한국교육개발원과 교육(훈련)기관 간의 공공성과 자율성의 문제가 계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점은행제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는, 학점은행제 교육의 수혜자인 학습자의 제도운영에 대한 만족도 연구를 통해 개선점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점은행제 운영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고찰하기 위하여 학점 은행제 학습자에 부합한 만족도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서 학습자의 만족도를 고찰하고 그 개선점을 찾는 것이다. 만족도 도구제작을 위하여, 성인학위학습자와 학점은행제에 관한 선행연구와 학습자와의 면담과 질문지를 통해 예비질문지를 작성하여, 7인의 전문가에게서 내용타당도 검정을 거친 질문지로 63명의 학습자에게 설문하여 요인분석을 하고 신뢰도 검정과 확인적 요구분석을 거쳐 최종 만족도 도구를 제작하였다. 최종 만족도 도구의 최종만족도 도구로 7개 교육기관에 750부를 배포하여, 최종 693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평가모형으로 CIPP모형에 따라 상황변인, 투입변인, 과정변인, 결과변인을 설정하였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변인을 찾기 위해, 국내외 성인학습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고, 또한 연구자가 직접 교육기관을 방문하고, 학습자의 면담을 통해 학점은행제의 특성에 부합한 변인을 설정하였다. 상황변인으로 개인적 특성 변인과 교육기관 득성변인을 설정하였다. 개인적 특성변인으로는 성, 연령, 직업상태, 결혼상태, 학력, 전공, 수입, 이수한 학점, 경험학습인정학점을 설정하였으며, 교육기관 변인으로는 지역, 교육기관, 프로그램, 학점이수 방식, 학위수여기관, 강의건물을 주요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잠정적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예비설문자료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추출방법은 주성분분석을 하여 6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중복되거나 점수가 낮은 요인은 삭제하여, 총 38개의 만족도 문항을 확정하였다. 각 요인에 대해서는 제도목표 요인, 운영기관 요인, 교육재정 요인, 교육기관 요인, 학사관리 요인, 교육결과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만족도의 값은 각 문항 당 5점 측도로 1점에서 5점으로 평가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의 값이 높으며, 가운데 점수는 3점이다. 연구의 분석은 만족도의 영역별로 개인적 특성과 교육기관의 특성에 따라 만족도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사용한 통계방법은 t-test와 ANOVA이다. 그 결과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제도운영에 대한 만족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의 학점은행제 운영에 대한 만족도 중 제도목표면에서는 학습자들이 만족도가 높았다. 특히 남성과 30세 이상의 학습자와 전문대 졸업자가 제도목표 영역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30세 이상의 성인학습자들이 제도목표 측면에서 상당히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제도목표의 취지대로 수능시험 없이 입학이 용이하고,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용이하며, 다양한 교육기관에서의 학점이수, 경험학습의 학점인정과 생애에 걸친 학습을 통한 자아실현을 이룰 수 있는 제도로서 상당히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특히 학점은행제는 원래의 제도목표 취지대로 25세 이상의 기혼자, 전일제 직장인이나 전업주부 성인학습자에게 부합한 제도로 운용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둘째, 운영기관의 제도운영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는 보통수준이었다. 특히 21-24세의 학습자와 특별과정 학습자, 예체능계열의 학습자들이 낮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직업훈련원 학습자와 자격증 학점인정자,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의 학위를 받는 학습자들이 운영기관 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즉 다양한 교육기관에서의 학점이수, 경험학습의 학점인정에서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반면 수강신청시의 상담, 계절학기의 활용, 교수요목의 활용성, 군입대 연기, 과정 이수 후 취업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낮았다. 표준교육과정을 통한 학점신청의 용이성과 홈페이지를 통한 장기적 학점이수에 대해서는 보통이었다. 또한 직업훈련원에서 학점을 이수하는 학습자들은 운영기관 요인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의 학위를 더 선호하였다. 셋째, 학사관리 측면에서도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남성이, 25세 이상의 학습자가, 연령이 올라갈수록, 인문사회 이공계열 학생들과 직업훈련원에서 전공과목을 이수하는 학습자가 학사관리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는 학점운영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원이 학사관리인 성적과 출석의 학점인정에 대하여 사후 관리를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으며, 교육기관에서도 수업 시 수의 엄수와 학사관리에 대해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습자들도 학사관리의 엄격성에 만족하고 있었다. 넷째, 교육재정 면에서는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특히 여성과, 정시제, 예체능계와 무형문화제, 학원과 국가기관의 학습자가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즉 학비가 저렴한 것에는 비교적 만족하나, 정규학생 들에 비하여, 학비대출이나, 직장에서의 학비지원, 세제감면 혜택 등이 용이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평생학습비 지원과, 학비대출의 기회를 확대할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소득수준이 월 100만원 이하인 자가 무려 30%가 넘고 있으며, 상당수의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61.3%가 개별학습자에 대한 국가적인 차원에서 평생학습비 지원을 원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육기관 면에서는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낮았다. 특히 21세-24세 학습자, 40점 이하의 학점을 이수한 학습자, 국가기관과 학원에서 전공 과목을 주로 이수하는 학습자,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의 학위를 받는 학습자가 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가 더 낮았다. 학습자들은 학생증 부여와 교육기관의 도서관 이용, 상담실 활용과 상담, 학교시설 이용 및 동아리 활동의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교육기관에서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기관의 시설이용과 정보이용 및 상담이 용이하도록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즉, 지역별 거점대학의 도서관에 평생교육사를 두어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학습지원과 이용이 용이하도록 국가적인 재정지원과 행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여섯째, 교육결과 면에서도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보통 이하의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여성이, 25세 이하의 학습자, 미혼, 정시제나 직업이 없거나, 고졸의 학습자가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반면 40세 이상 기혼 전업주부, 전문대 졸업자, 직업훈련원 학습자가 교육결과 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가장 큰 불만은 학위에 대한 사회적인 인정이 낮다는 것과 대학생으로서의 소속감의 결여, 정규과정과 심리적인 이질감, 편입이나 대학원 진학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위에 대한 사회적 인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법적 행정적인 홍보와 대학의 자율권을 확대하여 대학 장의 학위를 부여하는 권한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들이 학위를 받기를 원하는 기관으로는 대학의 장의 학위를 원하는 학습자가 약 70%에 달했다. 서울의 정규과정을 제외한 향후 학위를 받고 싶은 기관으로는 서울의 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의 학위를 이수하기를 원하는 학습자와 수도권 정규과정을 원하는 학습자가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기관에 따라 학사관리 및 운영의 자율권을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국가적인 차원에서 개별학습자에 대한 평생학습비의 지원과 교육기관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정보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지역별 대학 도서관을 지정하여 재정적인 지원과 함께 평생교육사를 두는 제도를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넷째, 여성인력개발 차원에서 여성 성인 학습자를 위한 Re-entry센터를 두어 학점이수나 재정지원 복지혜택에 대한 정보와 장기적인 학업계획과 학위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상담지원, 그리고 과정 이수 후의 취업과 관련한 종합적인 지원제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다섯째, 예체능 계열 학습자에 대한 행 · 재정적인 지원과 강사조건의 완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여섯째, 학점은행제 학위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점은행제 학위에 대한 홍보와 정규과정과 동등한 법적 행정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째, 전문대학이나 대학을 졸업한 학습자의 경우 대학의 장의 학위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을 완화해 주어야 한다. 여덟째, 대학위기 극복과 세계대학의 대학의 평생교육화 경향에 비추어 볼 때, 정규대학과 평생교육원의 권한을 강화하여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들을 수용할 수 있는 정책적인 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서울 수도권 학점은행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점과 주로 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학점은행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점이다. The Credit Bank System (CBS) is an educational system introduced by the May 31 Educational Reform of Korea in 1995, CBS was established in order to realize Open Learning Society and Lifelong Learning Society in Higher Education. Although the CBS has been highly evaluated as a possible substitute for bachelor degree & associate degree,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KEDI) is considering revision of supervision system of the CBS due to its low public acknowledgement. Problems in supervision system have even gellerated disputes over whether the roles of administrative institutes and autonomy educational institutes are well balanced and respected. Hence, analyzing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CBS and finding the resolution is of great importance in improving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provided by the CBS. One possible way of improving CBS may be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level of adult learners following the CB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ating system to measur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BS, to adopt this rating system and to suggest possible directions in implementing the CBS in the future.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ased on preliminary research of adult learners under the CBS by interviewing them. This questionnaire was handed out to students and was also evaluated by seven experts in the field for its validity. 750 copies of the finalized satisfaction rating syste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even educational institutes and, overall, 693 subjects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model for assessing satisfaction level was set up according to the CIPP model which takes the following factors into account: Context Evaluation, Input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and Product Evalu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level, Korean and international adult learners' satisfaction levels were studied. In addition, the variables that coincide with the CBS characteristics were chosen by visiting the education institutes and interviewing the adult learners. Individual characters and education institute characters were chosen for the context variables. Individual character variables included sex, age, occupation, marriage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major, income, credits acquired and points accepted as an experience, whereas, for education institute character, variables included region, educational institute, type of program, credit acquisition system, academic degree institute, and the environment of study. In order to ascertain the potential factors drawn from the preliminary researc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Principle Components Analysis was adopted to extract six factors in this study. Factors that overlap or with lower impact scores have been excluded and, overall, 38 items were finalized to be included in the satisfaction rating questionnaire. The six factors were denominated as system objective factor, CBS institution factor educational expense factor, educational institute factor and educational matters administration factor, and outcome of education factor respectively. Each item in the satisfaction rating questionnaire was rated on 1-5 scale; with higher score indicating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and vice versa.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individual character and educational institution character could influence the satisfaction level in each category, T-test and ANOVA were adopted as the statistical analytical t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atisfaction level on the objective of the CBS was high. This was the case especially for adult learners aged over 30, community college graduates and male adult learners. Adult learners older than 30s generally showed positive acknowledgement of objective of the CBS. Secondly, adult learners showed medium satisfaction rate on the administration of KEDI, educational institutes of the CBS. Especially, for adult learners aged between 21 and 24, in special courses of College, and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s showed low satisfaction rate. On the contrary, adult learners in occupational training centers, certificate point accepted adult learners, and adult learners with Ministry of Education certified degree showed high satisfaction rate. Thirdly, adult learners showed the highest rate of satisfaction on educational matters administration. Higher satisfaction rates were observed in male adult learners aged over 25. In addition, human, social sciences and engineering degree adult learners as well as those in occupational training centers showed high satisfaction rates. Fourthly, satisfaction rate in education expense was the lowest. This was observed in female adult learners, part time workers,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from private institute and government. Therefore, this result indicates that funding support for lifelong education and expansion of loads for tuition is in need. Fifthly, adult learners showed low satisfaction rate on the educational institutes. This was especially apparent in adult learners aged between 21 and 24, those completing less than 40 credits, those from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es, and adult learners for Ministry of Education certified degree. Administrative supports for adult learners to utilize facilities, information and counseling are in need to increase satisfaction. Finally, adult learners showed low satisfaction on outcome of the education. Female adult learners aged below 25, the unmarried, part time workers or with no occupation and those with high school degrees were accounted for the low satisfaction rate. However, adult learners aged over 40, the married, housekeepers, those with community college degree and in occupational training center showed high satisfaction rate on the outcome of the education. To raise public recognition on the CBS degree, administrative institute needs to improve on public awareness of the CBS and to grant head of university and college more self regulation in award degrees.

      •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상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분석 : 충청북도 내 상업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김광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해당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상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제도에 대한 이해도와 제도 수용도, 제도 도입 효과에 대한 태도와 주요 변인들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제도 도입의 안정적인 도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해당 연구는 문헌연구법 및 설문조사법을 사용하였다. 문헌연구법으로는 고교학점제의 정의와 도입 배경, 직업계고에 도입되는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운영 사례를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법으로는 제도에 대한 이해도, 제도 수용도, 제도 도입 효과에 대한 태도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충청북도 내 공립 상업계 고등학교 6곳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을 분석한 결과와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고교학점제도에 대한 이해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계고 고교학점제의 전반적인 개념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높게 측정되었다. 다만, 담임제 폐지 도입 여부에 대한 내용과 교육과정 운영모형 8가지에 대한 내용에서 낮은 이해도를 보였다. 둘째, 직업계고 학점제 제도 수용도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도입 시기에 대한 부분에서는 매우 낮은 제도 수용도를 보였다. 셋째,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 효과에 대한 태도에 있어도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제도에 대한 이해도, 제도 수용도, 제도 도입 효과에 대한 태도를 각각의 변인별로 분석한 결과, 몇 가지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교 소재지별로 볼 때 대체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제도에 대한 이해도나 제도 수용도 부분에서 시에 위치한 학교들이 군에 위치한 학교들보다 일부 항목에 있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연령별로는 일부 항목에서 35세 미만의 교사들이 50세 이상의 교사들보다 높은 제도 수용도와 제도 도입 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교직경력별로 보면 일부 항목에서 5년 이하의 교직경력을 가진 교사들이 15년을 초과하는 교직경력을 가진 교사들보다 높은 제도 수용도와 제도 도입 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보직교사 여부의 경우 일부 문항에서 비보직교사가 보직교사보다 높은 제도 수용도와 제도 도입 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전문교과 여부의 경우 전문교과 교사들이 비전문교과 교사들보다 전반적으로 제도에 대한 이해도가 뚜렷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부전공 유무로 보았을 때는 부전공을 취득한 교사들이 부전공을 미취득한 교사들보다 제도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교학점제에 대한 상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제도에 대한 이해도와 제도 수용도, 제도 도입 효과에 대한 태도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교학점제의 안정적인 도입을 위해서 군에 위치한 학교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 고연령·고경력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연수 등의 제작, 보직교사들을 위한 업무 경감 등의 지원, 비전문교과들이 제도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맞춤형 교육자료 배포, 부전공 취득 기회의 확대 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비전문교과를 가르치는 교사들과 부전공을 취득하지 않은 교사들의 경우 제도에 대한 이해도 부분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인 만큼 해당 부분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여겨진다. 제 아무리 훌륭한 제도와 교육 시스템을 갖춰놓고 도입한다고 할지라도 그 교육 현장에 있어서 이를 진행하는 실질적 관계자들이 이에 대하여 충분히 숙지하지 못하고 회의적인 태도를 가진 채 그저 상급기관의 운영에 맞춰 끌려간다면 해당 제도는 결코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없을 것이다. 상급기관 및 관련 교육기관은 해당 제도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과 여러 상황에 대한 메뉴얼을 체계화하여 제도 도입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방지해야 할 것이며, 이를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도입하여 시행할 학교 내 교사를 비롯한 이해관계자들 역시 긍정적 변화를 받아들일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나가아야 할 것이다. 다만, 해당 제도 도입에 대한 인식 개선 및 필요한 지원 등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의 파악에 있어서 해당 연구는 상당 부분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 내용에 관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계속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is aimed to deduce implications in order to introduce the safety introduction to introductory system through examining the inte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and attitudes such as understanding of system, acceptance of system, and effectiveness of system introduction by analyzing of commercial high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according to introductory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hese, the study in use literature study method and survey method. As the literature study method, I examine operation case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s characteristics which introduces into occupational high school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s definition and introduction background. As the survey method, I performed 6 objective public commercial high schools within Chungbuk province after composing enquete investigated based on understanding of system, acceptance of system, and attitude of introductory system effectiveness. The survey contents analysis result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understanding of occup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generally appeared high. The understanding of general concept in occup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very high measured. Merely, the contents of curriculum operation model 8 types and of whether homeroom teacher system abolishing introduction are shown low understanding. Second, the acceptance of oper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mostly appeared high. In the part of introductory period, the acceptance of system was only shown very low. Third, attitude of occup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introductory effectiveness was shown overall positive attitude. As the results from the understanding of system, the acceptance of system, and the attitude of introductory system effectiveness, the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at the several items. When viewpoint of each school location is thinking, great difference does not shown generally. But, it was shown high value to the understanding of system or the acceptance of system part was shown higher value in the part item of school which is located in the city than in the county. In the each age, some items, that is to say, less than 35 year-old teachers who were shown higher positive attitude in the acceptance of system and the effectiveness of introductory system than more than 50 year-old teachers. In the part of teacher career, at some items, the teachers who have less than 5 years career were shown more positive attitude of high systematic acceptance and effectiveness of introductory system than the teacher who have exceeded 15 years career. In the case of whether assignment to a position teacher, at some questionnaires non-position teacher was shown more positive attitude of high systematic acceptance and effectiveness of introductory system than the assignment to a position teacher. In the case of whether professional subject, we can be obviously known that the professional subject teachers are higher than non-professional subject teachers about the understanding of system generally. When viewpoint of minor existence and nonexistence, we can be confirmed that the teachers who were acquisitors of minor were higher the understanding of system than the teachers who were non-acquisitors of minor. In this base of study results, we can be generally confirmed it was positive understanding to the attitude of introductory system effectiveness and acceptance of system and commercial high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system about high school credit system. Besides, we can be known necessity in order to introduce safety high school credit system, a variety of supplies for located in county school, custom training and so on making for old-year and high-career teachers. supply of working reduce for assignment to a position teachers non-professional subjects have to distribute the custom educational data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system extension of minor acquisition opportunity and so on. Especially, the teachers who teaches non-professional subjects and in the case of teachers who were non-acquisitors of minor, they were shown to far apart from difference part in the understanding of system enough, we are urgently found to improve this part. Although my own whatever wonderful institution and educational system have and introduce, in the educational spot, the proceeding practical interested parties do not sufficiently know well, and with skepticism attitude they were only pulling superior organization's operation, this system won't be able to establish successfully by no means. The superior organization and related educational agency will have to prevent disturb which can be happened when the system introduction after systematization of manual of a variety of situations and diversely supply in order to smoothly accomplish in the real practical educational field, and we introduce really practical educational spot and the upcoming performing teacher within school and including concern people will have to advance prepare all things which accept positive change, too. But, in the grasping contents in detail about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nd necessary supply and so on, this system introduction has limitations of considerable parts. Therefore, we are continuously found to be going to need additional study of this contents.

      • 미국 앨라배마 주 고교학점제 특징이 한국 고교학점제에 주는 과학교육적 시사점

        정다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Currently,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innovation in high school education is set to be introduced in earnest in Korea. As a newly introduced policy, expectations and concerns coexist now that the introduction is close. In order to dispel concerns about the operation of science subject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 curriculum in Alabama, USA, 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ed in high schools were analyz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of science subject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Korea. For this purpose, a curriculum analysis framework was organiz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to analyze the Alabama Course of Study: Science, Curriculum Guide, and the High School Curriculum Catalog of the Madison School System.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Alabama, USA, offers a variety of science subjects and operates as a non-graded system. Second, the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provides essential preparations for college and career paths for all students in grades 9-12. Third, the science curriculum logically deals with the same disciplinary core ideas for students across grade levels. Fourth, interdisciplinary connections are important in the science curriculum to enhance students' scientific and engineering literacy. From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of science subjects in Korea's high school credit system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lack of diversity in subjects compared to the United States, so it is necessary to open a variety of subjects. Second, it is necessary to guide the course completion system so students can easily select scienc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career path. Third, it is essential to consider establishing a hierarchy among science subjects to reduce the burden between subjects. Fourth, interdisciplinary connections with various subjects should be considered to foster students' scientific knowledge and literacy. In order to realize these implications concretely in science subjects in Korea's high school credit system,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ubject restructuring method for the diversification of science subjects and a curriculum integration plan for interdisciplinary connection. 현재 우리나라에는 고교 교육의 혁신을 위한 고교학점제가 본격적인 도입을 앞두고 있다. 새롭게 도입되는 정책이다 보니 도입이 가까워진 지금 기대와 우려가 공존한다. 고교학점제에서 과학 교과를 운영하는데 우려되는 점을 불식시키기 위해 미국 앨라배마 주의 과학과 교육과정의 특징 및 고등학교에서 운영되는 고교학점제의 특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고교학점제 체제에서 과학 교과 운영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교육과정 분석틀을 구성하여 미국 앨라배마 주의 과학과 교육과정인 Alabama Course of Study: Science와 Curriculum Guide, 매디슨 학교 시스템(MCS)의 High School Curriculum Catalog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미국 앨라배마 주는 과학 과목을 다양하게 개설하고 있고 무학년제로 운영되고 있다. 둘째, 고등학교 과학 교육과정은 9-12학년 모든 학생들에게 대학과 진로를 위한 필수적인 준비를 제공하고 있다. 셋째, 과학 교육과정은 여러 학년 수준에 걸쳐 동일한 학문적 핵심 아이디어를 학생들에게 논리적으로 다루고 있다. 넷째, 과학 교과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및 공학적 소양과 문해력을 높이기 위해 학제 간 연결을 중요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우리나라 고교학점제 체제 속에서 과학 교과 운영에 주는 시사점은 첫째, 미국에 비해 교과목의 다양성이 부족하므로 다양한 교과목 개설이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이 진로에 따라 과학 과목을 선택하기 쉽도록 진로별 이수체계의 안내가 필요하다. 셋째, 과목 간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과학 과목 간 위계 설정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및 문해력을 길러주기 위한 여러 과목과의 학제간 연결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시사점을 우리나라의 고교학점제에 과학 교과에서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과학 과목 다양화를 위한 과목 재구조화 방법 및 학제 간 연결을 위한 교과 통합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고교학점제 연구동향 분석

        성정의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trends b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hrough this, it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search for the direction of advanced research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network do the keyword suggested in the research of academic papers on candidate journals or higher in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eyword suggested in the research of academic papers on NRF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rd, How is the subgroup of the keyword network suggested in the research of academic papers on NRF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me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cademic papers published by NRF from 2017 to February 2021. The final 88 academic papers were selected by search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the data search service of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After refining the keyword of the selected academic papers, the main keyword and their frequency of appearance were identified. Next, the final 44 keyword were selected through co-occurrence analysis among the extracted keyword. Finally, using Netminer 4.4, visualization of the configured network, basic analysis and centrality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rend analysi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tudy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keyword such as ‘high school credit system', ’high school curriculum', ‘selective subjects', ‘student selection-centered curriculum', ‘career tailor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highly ranked in the frequency of appearance. Also as a result of simultaneous appearance frequency analysis, ‘high school credit system-high school curriculum', ‘high school credit system-selective subjects', ‘high school credit system-student selection-centered curriculum',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2015 revised curriculum' were highly ranked. Second, as a result of network structure analysis,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keyword network has a high density, short average connection distance,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whole is connected by one path through the core keyword ‘high school credit system’. It means that one keywor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strongly related to other keyword.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entrality of the keyword network, keyword such as ‘high school curriculum', ‘career education', ‘selective subjects', and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highly ranked in all results. Fourth,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of the keyword network, the keyword such as ‘unit system', ‘high school credit system', ‘2015 revised curriculum', ‘high school curriculum', ‘selective subjects', ‘career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a keyword with a lot of influence in each subgroup. Comprehensively, the research trend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with various policy implications and issues for the introduction and found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research related to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elective centered curriculum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presented the research trend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using the network analysis of academic papers on NRF.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grasped the research trends of a specific group.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and interpret the meaning through a deeper structural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trend.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고교학점제 연구의 주요 키워드 간 현황 파악을 통해 국내 고교학점제 연구동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통해 향후 고교학점제의 발전적 연구 수행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한국연구재단(NRF) 등재후보 이상 학술 논문의 「고교학점제」관련 연구에서 제시되는 키워드는 어떠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가? 한국연구재단(NRF) 등재후보 이상 학술 논문의 「고교학점제」관련 연구에서 제시되는 키워드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한국연구재단(NRF) 등재후보 이상 학술 논문의 「고교학점제」관련 연구에서 제시되는 키워드 네트워크의 하위그룹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본 연구는 2021년 2월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논문 중에서 한국연구재단(NRF)의 등재후보 이상의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수집을 위해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의 자료검색 서비스를 통해 ‘고교학점제’를 검색하여 최종 88편의 학술논문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물의 초록을 대상으로 키워드 정제 작업을 실시하여 주요 키워드와 출현빈도를 추출한 후 키워드의 동시출현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44개의 키워드를 선정하였다. Netminer 4.4를 활용하여 구성된 네트워크의 시각화, 기초분석과 중심성 분석, 클러스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고교학점제 연구동향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학점제 연구에서 ‘고교학점제’, ‘고교교육과정’, ‘선택교과목’, ‘학생선택중심교육과정’, ‘진로맞춤형교육과정’, ‘2015개정교육과정’ 등의 키워드가 출현 빈도수가 높았다. 또한 키워드 간의 동시출현 빈도 분석을 통하여 ‘고교학점제-고교교육과정’, ‘고교학점제-선택교과목’, ‘고교학점제-학생선택중심교육과정’, ‘고교학점제-2015개정교육과정’ 등이 키워드 동시출현 빈도수가 높았다. 둘째, 네트워크 구조는 밀도가 높고 평균연결거리가 짧으며 핵심키워드 ‘고교학점제’를 통해 전체가 한 개의 경로로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키워드 간 상호관련성이 높았다. 셋째, 고교학점제 연구의 키워드 네트워크의 중심성 분석 결과 ‘고교교육과정’, ‘진로교육’, ‘선택교과목’, ‘2015개정교육과정’ 등의 키워드는 공통적으로 순위가 높았다. 넷째, 고교학점제의 연구의 하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단위제’, ‘고교학점제’, ‘2015개정교육과정’, ‘고교교육과정’, ‘선택교과목’, ‘진로교육’ 이 각 하위그룹 내에서 영향력이 많은 키워드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고교학점제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과 기반마련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이나 쟁점 사항과 연관된 연구, 2015개정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 등과 연관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전문 학술DB(RISS)에 게재된 한국연구재단(NRF) 등재후보 이상의 학술논문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고교학점제의 연구 동향을 제시하였다. 이는 특정 집단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에는 ‘고교학점제’ 연구범위를 넓혀 연구 동향에 대한 심층적인 구조파악을 통해 의미를 해석해 볼 필요가 있다.

      • 學點銀行制度의 政策過程에 대한 評價

        김국현 啓明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807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Academic Credit Bank policy(ACB policy) as well as to search for way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policy by inspecting and examining processes and outcomes of how this policy was framed and has been promoted so far.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analyzed the stages of policy formulation and decision-mak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ACB policy.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s and received questionnaire surveys from 600 students and graduates under the ACB policy. And also interviewed with those who were involved in making the policy and those who are in charge of the policy now. Through the research processes, this study drew out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t the stage of the policy formation and decision-making, the ACB policy satisfies rationality, flexibility and conformity of the policy standards unlike some other educational reforms previously attempted. But, the policy reveals lack of openness and public participation since it has been made just inside the Educational Reform Committee without gathering public opinions from outside. Second, at the stage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this policy has been carried out as it had been planed. It is judged to be consistent with other established systems like the part-time registration, advanced curriculum of two-year college, professional curriculum, long distance university, and so on. However, the legal or administrative services including learner support system and leaner shift to other educational systems are appeared inadequate. Also, even though it can be said that the ACB policy is achieving its object, which is considering the continuous increases in students and participating institutions, insufficiency of running classes and the concentration of learners in the metropolitan areas ask for some new supplementary policies. Third, at the stage of the policy evaluation, the majority of respondents says that this policy has accomplished its goals rather affirmatively and helped leaners to obtain self-realization, self-development and professional achievement. Nevertheless, social recognition of the policy remains low, and administration of the policy is judged to be rigid, complex, overlapped, irrational and control-oriented. Also, lack of development in practical performing skills, professors' avoidance of lecturing, inappropriateness of the curriculum and poor cyber education are problems to be solved. Despite the high learner satisfactions, the ACB system has problems in low social recognition, lack of learner variety and conflicting purposes of learners from different social and academic backgrounds. In addition, this system has been abused as a way of getting degree in a short time period, and caused conflicts between metropolitan and local institutions. The ACB policy is highly appreciated in terms of rationality, flexibility, practicability and consistency in terms of policy standards. However, lack of democratic policy formation process and low effectiveness remain to be improved. Inadequacy at the policy implementation stage, administrative rigidity and lack of learner-oriented policy operation are problems to be solved first. In consideration of these facts, multilateral ways could be devised to improve stability of the policy. The ACB system has been established successfully as one of the higher education system and obtained remarkable results. For further improvement of this system, however, the system should be improved in all its aspects on the basis of its accomplishments, including a set of new visions. The role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has been rather limited to the expansion of this policy. But, it should be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quality control system of the policy to make a successful higher-educational model with a higher social recogni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점은행제 정책이 입안 형성되고 현재까지 추진되어온 일련의 과정과 그 결과를 점검․평가함으로써 학점은행제의 운영 개선을 위한 방안 탐색과 아울러 학점은행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학점은행제 정책의 형성, 집행 및 평가 등 정책의 전반 과정에 대한 평가를 위해 정책형성․결정 단계, 정책집행 단계, 정책 평가 단계별로 분석할 내용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조사연구는 설문지 조사와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조사는 학점은행제 학습자 및 이수자 6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면담 조사는 학점은행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와 아울러 학점은행제를 발의하고, 법제정 등에 참여하였던 인사 및 학점은행제 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절차를 거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정책 형성․결정 단계에서 보면, 학점은행제를 도입할 당시 종전까지의 교육개혁과는 달리 합리성, 대응성, 적합성 등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5․31 교육개혁안이 실질적인 집행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교육개혁추진기획단을 구성, 이의 구체적인 정책 방안을 수립하도록 하고 이를 점검한 것은 교육개혁의 새로운 방향을 설정하였다고 할 수 있다. 다만 학점은행제가 포함되었던 5․31 교육개혁안이 교육개혁위원회 내부에서 성안되어 이를 공개하는 등 공개성/민주성은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정책집행 단계에서는 정책이 의도한 대로 계획적으로 실행되었으며, 학점은행제 실시 이후 시간제 등록, 전문대 전공심화 과정, 특별과정, 원격 대학 등과 타 제도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등 정책의 일관성을 갖춘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정책 집행을 위한 법적․행정적 정비에서는 학습자 지원 체제 미흡, 타 제도로의 학습자 이동 등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학점은행제는 학습자와 학위 취득자의 지속적인 증가, 학점은행제 교육 훈련기관의 증가 등의 양적 지표에서 나타나듯이 목표가 구현되고 있지만, 학습과목 개설률이 낮은 점, 수도권에 75%이상의 학습자가 몰려있는 점 등 새로운 정책 과제가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정책 평가에 있어서는 학점은행제가 의도한 목표를 다소 긍정적으로 달성 했다는 의견이었으며, 정책 수혜자에게 자아실현 및 자아개발, 직업적 성취에 도움을 주었으나, 사회적 인정에 도움을 주는 것은 낮게 나타났다. 학점은행제를 운영하는 학사 행정은 잦은 지침 변화, 경직성, 복잡성, 중복성, 비합리성, 그리고 통제 지향적이라고 반응하였고, 표준교육과정에서 실무 수행 능력 함양 약화, 학부 교수의 강의 기피, 교양 과목 내용 부적합, 사이버교육의 부실 등 전반적으로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학점은행제 정책 수혜자의 만족도는 높으나, 사회적 인식에 문제가 있고, 학점은행제에 20대 초반의 학습자가 몰려 있으며, 이들의 목적이 학사 편입이나 대학원 진학 등 계층간의 목적이 상이하고, 단기간에 학위를 취득하는 것으로 이용하며, 수도권과 지방 교육훈련기관간의 갈등 등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점은행제는 정책의 합리성, 대응성, 실행성, 일관성 등의 평가 기준에 있어서는 높은 평가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책 형성 단계의 공개성/민주성, 결과의 영향성, 효과성 등에 있어서는 다소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정책 집행 단계의 적합성과, 정책을 집행하면서 발생하는 행정의 경직성과 학습자 위주의 학점은행제 운영 등에서는 많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 입각하여 향후 학점은행제가 안정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방안이 다각적으로 강구될 필요가 있다. 학점은행제가 개방형 고등교육 체제로서 비교적 성공적으로 정착하였고 양적으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다. 그러나 학점은행제가 한 단계 발전하기 위해서는, 그동안의 성과를 기반으로 새로운 비전 수립을 포함한 시스템 전반의 개선이 요구된다. 현재까지 한국교육개발원의 역할이 주로 학점은행제의 양적 확대에 기여해 왔다면, 앞으로는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네트워크형 고등교육의 성공적 모델을 만들기 위해 질 관리 시스템의 구축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참여 특성 및 요구 분석

        류지연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식과 정보의 생성·확산·소멸이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사회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생존 전략의 일환으로 열린 평생학습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도 평생학습 체제의 일환으로 1998년부터 학점은행제를 운영하여 국민들의 계속교육을 촉진하도록 하고 있다. 지금까지 학점은행제를 운영하면서 연구자나 당국자의 관심은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운영 방식이나 제도의 틀을 바로잡는데 있었다. 따라서 학점은행제에 의해 공부하고 있는 학습자의 편의나 요구 등 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다. 학점은행제가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습자가 손쉽게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어 제도 운영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입장에서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학습실태와 요구를 조사·분석하여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평생학습사회론과 성인학습 참여이론을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학점은행제의 실시의 근거와 실태를 분석한다. 또한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학습실태와 성과, 교육적 요구와 애로사항을 조사하고 학습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도축·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질문지에 의해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학점은행제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 703명이었다. 조사결과는 빈도, 교차분석, 일원변량 분석에 의해서 분석되었다. 질문지 조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은 20대, 대도시 거주자, 경제적 배경이 중류이상, 미취업 상태, 자연계 전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주로 교육훈련기관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가 많았고 주로 학위취득을 목적으로 1개∼2개의 교육훈련기관을 다니며 150만원 이상을 교육비를 본인이나 그 직계가족이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교강사의 질에 대한 만족은 높은 반면 비해 상담자료와 정보 서비스에 대해서는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학습자들은 학점은행제가 자아실현과 자기계발에 가장 큰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재정적 부담으로 인한 애로를 가장 크게 느끼고 있었다. 교육프로그램은 직업기술교육에 관한 내용에 대한 요구가 많았으며, 학점은행제에 의해 학위를 받은 후, 상위 학위를 취득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참여실태와 교육 요구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학점은행제에 등록한 동기는 어느 연령층이든지 사회적 인정을 위해서라는 이유가 가장 높았지만 연령이 30대 이상인 학습자들은 30대 미만의 학습자보다 새로운 지식과 기술습득에 대한 동기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학점은행제 총 이수기간을 계획할 때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서 수업참여 시간 요인을 더욱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남성보다 학점을 이수할 교육훈련기관 요인을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30대 이상의 학습자들은 수업시간에 대한 요인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30대 미만의 학습자들은 학습능력 요인을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점취득을 위한 교육기관을 선택할 때는 30대 이상의 학습자들은 교육시간 편성의 편리성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30대 미만의 학습자들은 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별로는 읍면지역의 학습자들이 교육 시간 편성의 편리함과 통학거리의 편리함을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시간 편성은 연령이 30대 이상의 학습자들은 일주일에 3일 정도의 수업을 받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30대 미만의 학습자들은 매일 수업을 받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거주지별로는 서울, 광역시 등의 학습자들이 매일 수업 받는 경우가 가장 많은데 비해서 읍면지역의 학습자들은 일주일에 3일 정도의 수업을 받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상위학위 취득 계획은 연령이 30대 이상의 학습자들이 30대 미만의 학습자들보다 월등히 높았다. 학습에 대한 애로사항은 학습자들의 연령이 많을 수록 시간부족이나 건강에 따른 애로점이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교육받을 때 애로 사항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성은 수강료에 대한 재정적 부담, 건강에 대한 염려, 다양한 교육과목 개설의 부족에서 오는 어려움, 홍보 및 정보 부족, 사회적 인정 부족, 정부의 학습자에 대한 행 ·재정 지원 부족에 대한 애로 사항을 갖고 있었다. 거주지별로는 읍면지역 거주자들이 시간부족에 따른 어려움과 수강료에 대한 재정적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중·소도시 거주자들은 통학에의 어려움 있었으며, 서울시와 광역시 거주자들은 건강에 있어서의 어려움과 공부하는 것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학점은해제가 평생학습의 이념과 목ㅍ를 실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발전 방안이 제시되었다. 첫째, 학습자에 대한 재정 지원 대책이 있어야 하겠다. 둘째, 거주지별 교육의 불평등 완화를 위해서 원격교육을 통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이를 학점으로 인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 결과에 대한 사회적 인정과 학점은행제 참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대 국민 홍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습자 교육 활동을 위한 교육 시설·상담·정보 등의 지원 시스템을 적극 구축해 나가야 한다. 다섯째, 학점인정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여섯째, 다양한 학습과목 개설과 교육내용의 특성화를 위한 교육훈련기관의 자율성 확대와 교육훈련기관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일곱째, 학점은행제는 직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능력과 교육내용을 연계시키는 현장 실무 위주의 교육으로 교육과 일과의 연계가 이루어진 순환교육 체제를 지향해야 한다. The twenty-first century witnesses a tremendous increase of knowledge and a rapid social change in every field. Accordingly, it is in great need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adult as a strategy for survival. Like any other developed countries, Korean society has been trying to establish a lifelong education system and set up as a practical one the "Credit Banking System and largely focused on setting its administration rules. Yet, it is rarely paid attention to the learners themselves participating in the Credit Banking System education. As a new approac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better way of its administration for the sake of the learners' increased benefits and convenience by analyzing their participating condition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need. To do this, The study will investigate the features, characteristics and administering condition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analyze the adult education's characteristics and the participation theories of the adult learning. As a method, it adopts the questionnaire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by me and responded by 860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Credit Baking System. Its result was dealt with statistical analyses like basic statistics, cross-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naire responsers were generally 20s, metropolis residents, middle class or higher economic background, having no jobs, majoring natural science and highly link between major and job. In terms of the motives and types of participation, the majority responded as having been introduced by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nd decid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by their own decision for the purpose of taking a degree. Most of the responsers were going to one or two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nd paying more than one and half million won for the tuition fees from their own or family support. In their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while the quality of instructors were highly esteemed. In the questions about the benefits of education, they answered that the Credit banking System was most helpful in self-accomplishment and self-development, but social involvement and social service were least helpful. In their participation, the most difficult problem was a financial one; other personal factors like health or lack of understanding from others were considered no big deal. In their desire for the educational program, they wanted to take professional education for jobs and were very concerned about higher degree program. In sum, the motivations of participation in the Credit Banking System were varied according to age, the status of having or not having professions and academic career. The will of continuing education also varied according to age, major, the linkage between their majors and jobs. The degree of their satisfaction was differed from age, sex and the status of having of not having professions. In their feeling of difficulties, they responded differently by sex academic career, the job status of having of not having, the linkage between their majors and professions.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can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in relation to the ways for the activation of benefits and convenience of the participating learners: the current Credit Banking System as well as innovation for the increase of benefits and convenience of the participating learners: the current Credit Banking System is in great need of 1) financial support programs for the learners, 2) the official settlement of distant education and its recognition of credits, 3) further publicity activities on the Credit Banking System education ,4)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support programs for the leaner's education activities, 5) the extension of self-regulation in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6)the establishment of a circulating education system differentiated form school educations.

      •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학습참여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병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1998년 3월 시작된 학점은행제는 평생교육 부문을 활성화 함으로써 개인에게 학습을 통한 자아실현의 기회를 제공함에 있다. 본 연구는 학점은행제도를 통해 학습하고 있는 성인층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첫째, 학점은행제도의 필요성과 학점은행제도의 운영 현황 및 각 기관들의 역할은 무엇인가? 둘째, 대상층으로 하고 있는 성인들은 어떤 동기로 학습하고 있는가? 셋째, 최근 OECD와 UNESCO에서의 평생교육에 대한 논의와 선진국에서 자격제도을 중요시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넷째, 학습자들이 상담하고자 하는 내용은 무엇이며, 주로 이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다섯째, 학습자들은 학점은행제도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가? 본 연구는 주로 교육인적자원부의 자료와 학국교육개발원에서 발행한 내부자료를 토대로 수집 분석하여 활용하였으며 학점은행제를 학습하고 있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300부를 직접 찾아 배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모두 전산처리하여 통계적 분석방법으로 빈도와 백분위로 계산하고 SPSS Package를 이용하여 교차분석(X^(2) 검정)과 t-test, ANOVA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들은 학점은행제도에 관하여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다는 점과 공평하게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었다. 둘째, 많은 학습자들이 실생활(직업)과 연계하여 학습하고 있다는 점에서 만족하고 있었다. 셋째, 학습자 교육활동을 위해서 교육시설의 개선과 학점인정과 학위수여까지 자세한 상담을 원하였다. 넷째, 원격교육이나 사이버 강의 등 인터넷 매체를 이용하는 학습을 선호하였다. 다섯째, 학위를 취득함과 동시에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으면서 자신의 학습 발전에 충족하고자 하였다. The credit bank system was founded in Mar. 1998 in order to provide opportunities of self-realization through study to the individuals by activating the lifetime education that had been neglected.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nalyze age group of adults who study through the credit bank system, number of people who have acquired degrees through the credit bank system,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redit bank system. First, what are necessity of the credit bank system, status of the system, and role of each organization? Second, why do the people study through the credit bank system? Third, why do OECD and UNESCO discuss about the lifetime education? And why do advanced countries emphasize certificates? Fourth, what would the learners like to consult and how do they use the credit bank system? Fifth, how are the learners satisfied with the credit bank system? For the study, the data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and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collected and analyzed.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eople who were studying through the credit bank system.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mputerized an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chi-square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applied using SPSS Packag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the learners showed positive reaction on the fact that they can study freely and they can be recognized fairly with the credit bank system. Second, many learners were satisfied with the fact that they can study while living their lives(job). Third, most of the learners wanted improvement in the education facilities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consultation of credit recognition and conferment of degree. Fourth, the learners preferred lessons that use internet media such as remote education and cyber lecture. Fifth, the learners wanted to acquire degrees and the social recognition while developing their knowledge through the credit bank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