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모학업성취압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 학업정서의 매개효과와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김연정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 학업정서의 매개효과와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전과 충북소재의 초등학교 4학년 이상의 학생으로 초등학교 6개, 중학교 8개 학교를 선정하여 1233명의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몰입으로 가는 경로에 여러 변인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아동‧청소년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외부요인으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밝히고자 한다.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해보면,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부모학업성취압력, 학습몰입, 학업스트레스(정서신체반응, 기대비교상황), 학업정서(희망, 즐거움, 분노, 불안)의 상관관계는 일부 변인을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부모학업성취압력과 학습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문제의 가설에 부합되지 않았다. 셋째, 부모학업성취압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는 매개하였다. 하지만,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하위요인에 따라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다. 정서신체반응 스트레스는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기대비교상황 스트레스는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부모학업성취압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 학업정서가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부모학업성취압력과 학습몰입에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정서가 매개하여 영향을 미쳤다. 부모학업성취압력에서 정서신체반응 스트레스는 긍정학업정서인 희망과 즐거움을 각각 매개하여 학습몰입에 부적영향을 주었다. 반면 기대비교상황 스트레스의 경우 긍정학업정서인 희망, 즐거움을 각각 매개하여 학습몰입에 정적영향을 주었다. 여섯째, 부모학업성취압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정서의 매개효과가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조절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아동․청소년이 자발적으로 즐겁게 공부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음 몇 가지 사항에 초점을 두고 변화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첫째, 아동․청소년의 학습몰입에 가장 중요한 외적 요인인 부모성취압력과의 관계에서 심리 내적인 요인이 작용 하는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변인을 분석· 연구하여 아동․청소년의 학습몰입의 발생 변인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해 주며, 학습몰입을 이끄는 후속 연구에 대한 기초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에 대한 차이로 인한 각 척도의 요인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로 각 척도의 하위 요인을 도출하여 명명하였다. 부모학업성취는 행동제한과 관심과 걱정으로 추출하였고 그 결과, 선행연구의 양육행동과 양육태도에 유사한 요인으로 나눌 수 있었다. 셋째, 아동․청소년이 부모학업성취압력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양육행동과 양육태도로 나뉘는데 본 연구에서 아동․청소년의 인식 차이에 따라 부모학업성취압력을 학업스트레스나 학업정서로 반응한다는 점을 밝혔다. 넷째, 학업정서를 긍정학업정서와 부정학업정서로 구분하여 학습상황에서 정서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학업스트레스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스트레스 및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권현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아동들은 일상생활을 하면서 많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학업스트레스를 많이 겪고 있다. 그러나 아동들은 학업스트레스대처능력이 부족해서 학업스트레스를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자기도피의 방법으로 인터넷 중독에 빠지기도 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학업스트레스를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아동들을 위하여 학업스트레스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학업스트레스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져야 하는가. 둘째, 학업스트레스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학업스트레스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인터넷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북구에 소재하고 있는 1개 초등학교 5학년 9개 학급 310명에게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학업스트레스 총점이 전체 학생의 상위 25%에 속하고 인터넷 중독 검사 결과가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이거나 ‘고위험 사용자군’에 속하는 학생들 중에서 프로그램 참가를 희망한 20명을 최종적으로 선정하고 각각 1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치하여 실험집단에게만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이광희(2005)의 ‘인지-행동적 학업스트레스 대처 훈련 프로그램’을 기본 틀로 하여 강진령과 유형근(2004)의 ‘학교상담프로그램Ⅱ’, 김정호와 이경숙(2000)이 개발한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 프로그램’, 최정원과 이영호(2006)의 ‘효과적인 시간․공간 관리 전략 및 학업스트레스 관리 전략’을 참고하고 수정하여 총 10회기로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검사도구는 ‘학업스트레스 검사’와 ‘인터넷 중독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두 집단의 학생들에게 사전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기술통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SPSS/Window 11.5에서의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과 일변량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한 통계적 분석을 하였고, 양적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가설별로 회기별 경험보고서와 상담자 관찰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학업스트레스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학업스트레스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학업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스트레스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인터넷 중독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인터넷 중독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학업스트레스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효과적인 학업스트레스대처를 위한 상담지침으로서 상담운영 시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다. 둘째, 학업스트레스 하위요인을 중심으로 학업스트레스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셋째, 학업스트레스를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인터넷 중독에 빠지게 되는 아동들의 인터넷 중독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넷째, 생활하는 모든 장면에서 긍정적인 생각을 하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이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효과가 후속 연구들의 효과와 비교되고 논의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업스트레스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추후검사가 필요하다. 셋째,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라 효과를 비교할 수 있는 연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각각 대상 학년의 발달 단계에 맞는 활동으로 재구성하여 중학년, 저학년에도 적용시켜 효과를 검증해 보는 연구도 필요하다. 다섯째, 학업스트레스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과 운영방식에 있어서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와 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스트레스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은아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와 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스트레스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각 1, 2학년 남녀 재학생 3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성실하게 응답한 324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빈도분석, 상관분석,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와 모의 학업성취압력과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부와 모의 학업성취압력과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스트레스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는 남학생 보다 여학생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중 시험성적 스트레스, 과제스트레스, 학습내용 스트레스가 남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효능감은 남학생 보다 여학생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신감은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와 모의 학업성취압력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와 모의 학업성취압력이 학업스트레스에 직접 효과가 있고 동시에 부와 모의 학업성취압력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낮추고 그로 인해서 학업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와 모의 학업성취압력이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부와 모의 학업성취압력을 낮추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상담지원이 제공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 사회적 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소현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이며, 학업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자살생각까지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자원에 의해 조절효과가 있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자살예방 개입방안으로 자살생각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자살예방의 첫걸음이며, 이를 완충할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청소년의 자살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과 가족 및 친구, 교사들에게까지 문제해결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이 경험하는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 중에서도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을 예측하는 핵심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또한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뿐 아니라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인과관계 요인을 살펴보고, 자살생각을 완화시키는 보호요인으로 사회적 자원을 확인하고, 이중 매개요인과 조절요인이 무엇인지 다차원적인 분석을 통해 적절한 개입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는 2.41점(4점 척도)으로 보통 수준이었고, 자아존중감은 3.06점(4점 척도)으로 보통이상 수준이었으며, 사회적 자원인 친구애착은 4.23점(5점 척도), 교사유대는 3.25점(4점 척도), 부모관계는 2.69점(4점 척도) 순이었다. 그리고 자살생각은 0.26점(7점 척도)이었다. 둘째,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 간에는 연구 대상인 고등학생들의 개인요인 특성 중 고등학교 2학년,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에 자살생각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업스트레스는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영향은 자아존중감을 통제한 상태에서 그 크기가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유의미하여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스트레스 원인인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높았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낮아지고, 사회적 자원인 부모관계가 좋을수록 자살생각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친구애착과 교사유대는 자살생각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그러나 친구애착과 교사유대헤 대한 부분도 지속적으로 연구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학업스트레스와 부모관계의 상호작용을 통한 조절효과는 자살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지각되는 학업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은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며, 부모 관계는 자살생각을 조절하는 요인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적 자원의 조절효과에 대해서 스트레스 과정 모델을 활용하여 검증하는 것으로도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보호요인으로서 사회적 자원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과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particularly exploring the impact of academic stress and self-esteem on suicidal ideation and whether this influence is moderated by social resources. Identifying the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s the initial step in suicide prevention. Understanding factors that can mitigate this and exploring protective factors not only aids in preventing adolescent suicides but also provides strategies for problem-solving for individuals, families, friends, and teachers. Among various stressors experienced by adolescents, academic stress might be speculated as a key predictor of suicidal ideation. Additionally, besides being a risk factor for suicidal ideation, academic stress might be examined for its multifaceted causal relationship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Furthermore, identifying social resources as protective factors that can alleviate suicidal ideation and understanding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factors through multidimensional analysis is essential in determining appropriate interventions. Specific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dolescent academic stress averaged 2.41 (on a 4-point scale), self-esteem averaged 3.06 (on a 4-point scale, indicating above-average), while social resources such as attachment to friends scored 4.23 (on a 5-point scale), teacher rapport scored 3.25 (on a 4-point scale),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scored 2.69 (on a 4-point scale). Suicidal ideation scored 0.26 (on a 7-point scale). Regarding suicidal ideation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observed that amo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those in the second grade and those reporting poor subjective health had higher levels of suicidal ideation. Academic stress influenced suicidal ideation, and while this influence decreased when controlling for self-esteem, it remained significant, indicating that academic stress affects suicidal ideation partly through self-esteem media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academic stress, which is a cause of stress, the higher the suicidal Ideation,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lower the suicidal thoughts, and the better the parental relationship, which is a social resource, the lower the suicidal Ideation. Attachment to friends and teacher rappor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uicidal ideation.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significantly influenced suicidal ideation. Ultimately, perceived academic stress and self-esteem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while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was predicted as a regulating factor for suicidal ide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resources on the impact of adolescents' academic stress and self-esteem on suicidal ideation using a stress process model.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need for measures to strengthen social resources as a protective factor and social welfare intervention is raised.

      •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및 또래애착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석정미 가톨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 및 또래애착 수준에 따른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학업스트레스 및 또래애착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업스트레스와 또래애착의 하위 변인 중에서 실제적으로 신체화 증상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성별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를 분석해 봄으로써, 대상자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학생 약물오남용을 줄이며, 정서인식 명확성을 높여 신체화 증상을 감소시키고 예방하기 위해 효과적인 대처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시 남부 2개 중학교의 1, 2,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484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 및 분석은 SPSS 21.0,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변인들(학업스트레스, 또래애착, 신체화 증상, 정서인식 명확성) 간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과 매개 효과 검증을 위한 부트스트랩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학업스트레스, 또래애착, 신체화 증상의 수준 차이가 있었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정서인식 명확성은 남자와 여자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업스트레스와 또래애착은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업스트레스가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데, 정서인식 명확성이 부분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구분하여 확인하였을 때, 남자와 여자 집단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또래애착이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데, 정서인식 명확성이 부분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구분하여 확인하였을 때, 남자 집단에서는 매개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고, 여자 집단에서는 유의하게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및 또래애착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큰 의미가 있으며, 정서인식 명확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적 개입을 통해 중학생의 신체화 증상을 줄여나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이 연구에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mpact of academic stress and the peer attach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physical symptoms and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the course where the stress and the attachment influence the symptoms. It also analyzes which sub-variables of the stress and the attachment give a bigger impact to the symptoms. In addition, it intends to provide underlying data needed for coming up with measures that reduce and prevent physical symptoms, by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young students, lowering drug abuses among them and enhancing emotional clarity through the analysis on differences of diverse key variables by gender. To that end, the researcher investigated 484 copies of the survey carried out on first, second and third graders in two middle schools in southern Seoul Metropolitan city. Statistical tools of SPSS 21.0 and Amos 21.0 were employed for the investigation. This paper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to find out relevance among major variables (academic stress, peer attachment, physical symptoms and emotional clarity) and conducted bootstrapping to analyze structural models and to test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s among main variables were significant. Second, levels of academic stress, peer attachment and physical symptoms showed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gender, with girl students displaying higher values.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emotional clarity between male and female pupils. Third, academic stress and attachment to peers were found to influence physical symptoms. Fourth, emotional clarity was shown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impact of academic stress on physical symptoms. Gender-wise, both male and female teenagers were found to have mediation effect. On top of that, emotional clarity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influence of peer attachment on physical symptoms. Speaking from gender perspective, male stude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whereas female having on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tested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clarity in the impact that academic stress and peer attachment of the young students gave to physical symptoms. It is also important because it uncovered that physical symptoms of middle school students could be diminished through the program development and counseling intervention designed to elevate emotional clarity.

      • 청소년 학업 스트레스가 사이버 폭력성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 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김현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학업 스트레스가 사이버 폭력성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 효과를 사회적 지지 조절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연구결과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로 스마트폰 과의존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이버 폭력성을 줄이는 방안 및 근거가 될 것이라 본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문헌연구와 1차 데이터인 330명의 연구 참여자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검증과 기술통계를 위해서 SPSS 28.0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인과관계 및 매개 효과와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MOS 28.0을 통해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여섯 가지 검증결과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는 스마트폰 과의존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둘째, 스마트폰 과의존은 사이버 폭력성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셋째,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는 사이버 폭력성에 부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와 사이버 폭력성과 관계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은 정적인 간접적 매개 효과를 보였다. 다섯째,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는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스마트폰 과의존과 사이버 폭력성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간접적 조절 효과는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 폭력성을 낮추기 위한 정책적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학업 스트레스를 낮추는 방안의 일환으로 학교·가정에서 산책, 운동, 음악감상 등의 다양한 취미활동 및 여가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둘째, 스마트폰 과의존을 감소하는 방안으로서는 학교 내에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연계망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사이버 폭력성을 낮추기 위한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예방 교육프로그램인 “2022 학교폭력 사안 처리 가이드북”에 의하면 사전예방으로 학생·학부모·교직원을 대상으로 예방 교육을 하고 있다. 둘째, 스마트폰 과의존을 낮추는 방법의 일환으로 사회적 지지 즉 친구, 부모, 교사 등의 다양한 인간관계 자원을 활용하여 사이버 폭력성을 낮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adolescent academic stress affects cyberbullying and whether there is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countermeasure and basis for reducing cyberbullying by reduc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due to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using questionnaires on 330 participants which are primary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technical statistics, and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rough AMOS 28.0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confirmed. In this study, policy implications were provided through verfied six results. First, adolescent academic stres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martphone overdependence. Second, smartphone overdependenc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yberbullying. Third,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academic stress and cyberbullying.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academic stress and cyberbully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has a positive indirect mediating effect. Fifth,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cademic stress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Six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cyberbullying, the indirect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s negatively rela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policy countermeasures to lessen cyberbullying were proposed as follows. First, as a part of measures to diminish academic stress, it supports various hobbies and leisure activities such as a walk, exercise, and listening to music at school and home. Second, as a way to reduce dependence on smartphon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re needed to be perserved in school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ocal community network to prevent cyberbullying among teenagers. Furthermore, practical suggestions to alleviate cyberbullying are as below. First, according to the "Handling Guidebook on 2022 School Violence Cases" which is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the prevention education is provided for students, parents, and faculty members as a precaution. Second, as a way to reduce smartphone overdependence, various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cyberbullying by utilizing social support, that is, various human relation resources, such as friends, parents, and teachers.

      •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조옥선 한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생에게 있어 학업스트레스, 부모-자녀관계, 집단따돌림, 자존감 등의 요인들이 청소년 자살생각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가를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부적으로 학업스트레스가 부모-자녀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다음으로 학업스트레스, 부모-자녀관계, 자존감 요인이 집단따돌림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를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 t-test와 ANOVA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부모-자녀관계, 집단따돌림, 자존감, 자살생각 등의 각각의 항목이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위계적 회기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부모-자녀관계, 집단따돌림, 자존감, 자살생각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분석들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 하위요인인 공부⋅시험⋅성적스트레스 중 공부⋅성적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부모자녀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며 부정적이었다. 둘째,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집단따돌림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자녀관계 하위요인인 부모지지도와 자존감이 높으면 집단따돌림에 노출될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부모로부터 지지를 많이 받고 자란 청소년은 자존감이 높으며,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 방법과 집단따돌림에 대처하는 방법을 터득함으로, 집단따돌림 대처 능력이 향상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위계적 회기모형에서 학업스트레스 하위요인들의 투입이 청소년 자살생각을 크게 높이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이어지는 부모자녀관계 하위요인들의 투입이 자살생각을 감소시켰다. 이후 집단따돌림 하위요인 중 피해자 요인을 투입한 것은 청소년의 자살생각이 높아지도록 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존감 요인을 투입한 것은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이것으로 보면 학업스트레스와 집단따돌림은 청소년 자살생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지지도와 자존감이 높은 것은 청소년들의 자살생각에 긍정적인 작용으로 자살생각을 낮추어 주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중심단어: 학업스트레스, 부모-자녀관계, 집단따돌림, 자존감, 청소년 자살생각 Abstract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Youth Suicidal Ideation Cho, Ouk-Su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Hansei University Academic Advisor : Baek, Jin-A Ph.D This thesis aims to prove relations between each one of the factors, which include academic stress, parent-child relationship, school bullying and self-esteem, and youth suicidal ideation for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detail, after showing investigation how academic stress affect parent-child relationship, deducing of relations between each one of factors of academic stress,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elf-esteem and school bullying is followed. ANOVA and t-test were used as analysis methods to show the differences in academic stress, parent-child relationship, school bullying,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lso, the relations between each one of academic stress, parent-child relationship, school bullying, and self-esteem and youth suicidal ideation were demonstrat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es which were carried out in this study. First, the higher academic stress which are derived from stress due to study⋅grades of three sub factors of stress due to study⋅test⋅grades is, the worse and more negative parent-child relationship is. Second, students under higher academic stress are likely to be exposed to school bullying, on the other hand, students who are getting high parental support and haver high self-esteem, parental support and self-esteem are sub-factor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re less likely to be exposed to school bullying. This means that those who are getting a lot of support from their parents have higher self-esteem than those who are not. Also, as they haver high self-esteem and they improve the ability to cope with academic stress and school bullying, they can deal with school bullying problems efficiently. Third, when inserting academic stress factors into the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youth suicidal ideation was raised remarkably. However, after putting sub-factor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in, it was lowered. And then, as inserting victim factor among school bullying factors, it was increased. Finally, as putting the factor of self-esteem in, it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se results, academic stress and school bullying influence negatively on youth suicidal ideation, on the other hand, high parental support and high self-esteem affect youth suicidal ideation positively and also lower it. Keywords: academic stress, parent-child relation, school bullying, self-esteem, youth suicidal ideation

      •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이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임성옥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이 중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이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선행연구와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훈련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점수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일 것이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간 차이검증으로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참가자로는 울산시 농어촌에 위치한 중학교 1학년 30명을 선정하여 희망자 12명을 실험집단으로 정하고 나머지 18명을 통제집단으로 정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이며 이 척도는 학생들의 학교와 공부관련 상황에서의 효능기대 수준을 측정하며,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등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도구로는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이 훈련은 이완훈련, 합리적 사고구분, 학습습관, 시간관리와 학습계획, 효율적인 독서법, 정신집중, 시험불안 극복법, 자신감 증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전검사로 실험, 통제집단 모두에게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하였다. 10월 21일부터 주 1-2회씩 10회기 동안 재량시간을 활용하여 실험집단에게 연구자가 직접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그 기간 동안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통계처리 및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통계는 연구문제의 성격에 따라 평균, 표준편차, t검증을 하였으며, 실험처치 효과를 밝히기 위해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한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훈련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평균점수는 약간 향상되었지만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볼 수 없다. 둘째, 하위 영역별로는,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훈련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에서도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모든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증가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influencing to academic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dealing with study stres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tasks were established. Is the training program for dealing with academic stress effective on the promotion of academic self-effectiv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I set up the hypothesis as follows based on theoretical basis and study precedent focusing on this research task. Hypothesis. The experiment group which got the academic stress dealing train would show the meaningful increase at the academic self-efficacy index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didn't get the training. I searched the effect of study stress dealing train with difference verification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y performing before and after inspection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to verify this hypothesis.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30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1st grade located in farming village in Ulsan; 12 volunteers for the experiment group, the other 18 for the control group. The measuring apparatus is the academic self-efficacy inspection, it is consisted of total 26 parts like self-confidence, self-control effect, task difficulty preference, etc., This measure inspects effect expecting level on condition related with school and study of students. The training program of study stress dealing was used as the inspection apparatus, this train is consisted of relaxation train, reasonable thought division, study habit, time management and study plan, effective reading method, mental concentration, how to overcome test uneasiness, confidence promotion, and so on. Both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took the study self-effectiveness inspection as preliminary test. The examiner performed the study stress dealing train program to the experiment group using discretion hours for 10 sessions by 1~2 times a week from Oct. 21, while the control group didn't get any management for the period. Statistic treatment and analysis were treated by computer using SPSS program, average, standard and t-verification were used for statistics depending on the style of the study task, covarianc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variate variable for preliminary inspection to find out the experiment treating effect. This study got the result as follows: First, though the experiment group which got the study stress dealing train has improved a little at the study self-effect average score compared with the untrained control group, there was not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the study stress dealing train could not be the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study self-effectiveness. Second, by per low grade field, the experiment group which got the study stress dealing train didn't show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self-confidence, self-control effectiveness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compared with the untrained control group. So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 group would have shown the meaningful improvement at all the study self-effectivenes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as rejected.

      •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신체화증상과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백주현 경성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인구통계학 특성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신체화증상, 정서조절능력의 차이 및 학업스트레스가 신체화증상과 정서조절능력의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성별, 학년에 따라 학업스트레스, 신체화증상 및 정서조절능력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신체화증상 및 정서조절능력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신체화증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를 위해 부산과 울산 그리고 경남지역에 소재하는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학생 총 500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신체화증상, 정서조절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배부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 및 누락된 답변이 포함된 설문지를 제외한 481부를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인에 대한 기초통계,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각각에 단일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성별, 학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신체화증상 및 정서조절능력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학년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다. 둘째, 학업스트레스와 신체화증상 간에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학업스트레스와 정서조절능력 간에는 유의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신체화증상과 정서조절능력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신체화증상이 높아졌고, 정서조절능력은 낮아졌으며, 신체화증상과 정서조절능력의 관계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신체화증상 및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학업과 관련된 일로 고민하는 심리상태의 불균형 학업스트레스가 기질적 문제없이 사회, 심리적인 문제로 인해 나타나는 신체화증상과 자신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정서를 상황에 맞게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표현하는 정서조절능력의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academic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somatization symptoms and emotional regul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81 selected boys and girls in high schools located in the regions of Busan, Ul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ir academic stress, somatization symptoms and emotional regulation were measured. To attain the purpose of the study, a statistical package SPSS 21.0 was employed to obtain basic statistical data for each variable to look for any possible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to make a simple correlation analysis. Besides,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each variable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the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differences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in academic stress, somatization symptoms and emotional regulation according to gender and academic year, gende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se variables, but academic year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m.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omatization symptoms,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cademic stress and emotional regulation. Somatization symptom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motional regulation. Third, academic stress exerci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on somatization symptoms and emotional regul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cademic stress, somatization symptoms and emotional regulation of the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found unbalanced academic stress in a psychological state of being worried about studies is one of quite crucial factors for somatization symptoms, which take place due to sociopsychological problems irrespective of temperament, and for emotional regulation, which is to regulate one's own positive or negative emotions in an effective way suitable for the given circumstanc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f somatization symptoms to emotional regulation,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two in this study. Although there were no direct effects between the two variables, it could be assumed that another significant variable would be somewhere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refore it's required to make research to find out the possible new influential facto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omatization symptoms and emotional regulation.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fforts were suggested.

      • 학업스트레스와 인터넷중독의 관련성 : 부모양육태도 중재효과 중심으로

        이은수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학업의 과중한 부담과 스트레스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부모와 갈등을 겪는 상황에서 도피처로 선택하는 인터넷이라는 너무 손쉬운 유혹으로부터 청소년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학업 스트레스는 청소년들에게 실패감과 심리적인 갈등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고 가정에서도 부모와의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게 하는 요소로 작용 할 수 있다. 그래서 청소년들에게 과중한 학업스트레스와 어려움이 있을 때 부모-자녀 관계의 형태에 따라 인터넷 중독 성향이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선행 연구에서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많은 변인들 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는데, 학업스트레스와 관련된 인터넷 중독 시의 부모의 양육태도의 중재로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될지에 대한 연구가 없어, 본 연구를 통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 지역의 중학교 2개교에서 각 학년별 무작위 2반을 선정하여 총 500명을 대상으로 김정택 등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2002년 개발한 한국형 인터넷 중독척도와 오미향, 천성문이 1993년 개발한 학업스트레스 척도를 2006년 김혜자가 수정·보완 총 42문항으로 구성된 척도와 김기정이 1984년 개발한 부모 양육태도를 검사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학업스트레스와 부모 양육태도, 인터넷 중독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와 인터넷 중독 사이의 하위 변인들 간에는 정적 상관을 나타내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와 인터넷 중독 성향은 상관이 있으며, 학업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사이에도 정적 상관을 나타내 학업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성향이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와 부모 양육태도에서도 정적 상관을 나타내,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 특히 부모의 성취지향적인 양육태도는 학업스트레스와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차이검증을 한 결과, 학업스트레스에 따라 인터넷 중독 성향은 차이를 나타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자녀의 인터넷 중독 성향도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 스트레스의 관련성에 대한 차이에 대한 검증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학업 스트레스의 정도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사이에 부모 양육태도가 중재하는지에 대한 분석을 한 결과, 학업스트레스의 하위 변인들과 인터넷 중독의 하위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재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고 이로 인한 인터넷 중독 성향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 때 인터넷 중독 성향이 낮고 부모의 양육태도가 부정적일 때 인터넷 중독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지각하는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차이를 보였으며, 학업스트레스로 인한 인터넷 중독 성형도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중독의 수준에는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부모의 양육태도는 자녀의 학업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거나 중독 성향을 낮게 하는데 중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generation teenagers in Korea has been put to too much learning because of hard reality so they are easy to bury themselves in ‘Internet addiction’ ,which is an enjoyment without difficulty. This research has a meaning that one of methods to protect the youth is to find out ‘Parental attitude of raising their children. Severe stress from school make them experience failure and create psychologic conflict and leads to bad effects to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shows What relationship with parents can protect teenagers from ‘Internet Addiction’ affected by stress from hard study, and What kinds of result can cause according to bringing up attitude from parents. There are few of researches related with what result can outcome between Parental attitude and teenager’s ‘Internet Addiction’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done regarding relations with ‘Internet Addiction’ from past leading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regarding positive causing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Teenager without connection with ‘Internet Addiction’ and ‘Problematic Situation’ in school. This research has been done by selecting 2 classes in random from each year of middle school in Kyunggi Province. 500 students have been surveyed by ‘Internet Addiction Measure for Korean teenagers’, which was developed by ‘Jungtack Kim’ in 2002, by ‘Learning Stress measure’, which was developed by ‘Mihang Oh & Sungmun Chun’ in 1993, by ‘Measure’ which has total 42 questions finalized after the process of correct and addiction by ‘Haeja Kim’ in 2006 and by ‘Parental attitude’ developed by ‘Gijung Kim’ in 1984.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According to study of coefficient of correlation among ‘Learning Stress’, ‘Parental attitude’ and ‘Internet Addiction’, there was som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negative attitude and ‘Internet Addiction’ because of ‘Positive correlation’ among low factors between ‘Parental attitude’ and ‘Internet Addiction’ and so some correlation are between ‘Learning Stress’ and ‘Internet Addiction’. There was som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tress’ and ‘Parental negative attitude, especially, there was a lot of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attitude with achievement intention. According to result of difference probate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tress’ and ‘Internet Addiction’, there was relations because ‘Internet Addiction caused some differences. Teenager’s ‘Internet Addiction’ has a lot of differences according to ‘Parental attitude’. So ‘Learning Stress’ has according to ‘Parental attitude’. According to analysis whether ‘Parental attitude’ can arbitrate between ‘Learning stress’ and ‘Internet Addiction’, In the relations between low factors of ‘Learning Stress’ and ‘Internet Addiction’ , ‘Parental attitude’ can mediate. The teenagers with a lot of Learning stress are easy to have a ‘Internet Addiction ’. Teenagers with parental positive attitude have a low Internet Addiction of ‘Internet Addiction’ and On the contrary, teenagers with parental negative attitude have a serious ‘Internet Addiction’. Putting these above studies together, there was some difference to ‘Learning Stress’ level by sensing according to ‘Parental attitude’ and ‘Internet Addiction’ by ‘Learning Stress’ has some difference to addiction level according to ‘Parental attitude’ Therefore, parental attitude make a mediate role to drop ‘Learning Stress’ or ‘‘Internet Addiction’ of thei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