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과 대립토의학습이 아동의 학습 욕구 충족에 미치는 영향

        임선미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2

        현대 사회는 정보와 지식의 증가로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개인은 다양한 문제 상황에 노출되며, 합리적인 문제의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만 한다. 지금까지의 교사 중심의 획일적인 교육은 합리적인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민주 시민을 양성 할 수 없다. 이의 대안으로 아동 스스로 탐구· 토론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아동 중심' 체제로 교육을 전환하여야 한다. 아동은 보편적으로 네 가지의 욕구를 가지고 있는 데, 이러한 욕구의 충족은 학습 만족감과 학습 동기 형성에 큰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의 토의학습의 효과를 아동의 학습 욕구 충족 효과와 수업 만족도 및 학습 동기 창출의 효과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연구를 추진하였다. 우선, 아동의 학습 욕구의 종류와 특징, 토의학습의 유형과 효과에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아동의 욕구는 Maslow가 제시한 7가지의 욕구를 욕구위계로 정리하여 특징을 기술한 것, Saxe가 정리한 아동의 네 가지 보편적 욕구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 토의학습의 여러 모형과 토의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본 연구에 투입된 대립토의의 단계별 적용과 효과에 대해 파악해 봄으로써 본 연구의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였다. 아동의 보편적 욕구로는 의사소통, 계획 세우기, 사고, 자기 표현으로 구분하고 서재천이 제시한 토의형 대립토의 수업 모형을 정립하고 토의수업에 적합한 단원과 학습내용을 선정하여 수업안을 구성하였다. 토의학습이 아동의 학습 욕구 충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토의학습은 아동들의 활발한 토론을 기초한 수업이므로 아동에게 활발한 의사소통의 기회를 준다는 점에서 아동의 내재된 '의사소통의 욕구 충족에 효과적일 것'이다. 토의에 참가한 아동은 자신의 입장을 정하고, 상대방의 약점을 찾아 자신이 선택한 대안을 관철시키는 과정에서 아동은 치밀한 전략과 계획아래 학습활동에 참여하게 되는데 이는 '계획 세우기 욕구 충족에 효과적일 것'이다. 아동들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토론을 통하여 결론을 도출해 내는 과정에서 아동들은 '사고의 욕구를 충족하게 될 것'이다. 대립토의 자체가 집단 토의이기 때문에 아동의 집단 내에서 구성원간의 마찰이나 동조, 대립, 공감 등의 변화 속에 자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기회를 갖게 됨으로써 아동의 '자기표현의 욕구 충족에 효과적일 것'이다. 자기표현과 다양한 사고의 활동, 의사소통과 건립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는 토의학습은 아동의 '수업 만족도를 높일 것이며 이는 사회과 학습의 강한 동기를 창출할 것'이다. 본 연구의 실험 설계는 경기도 부천시 S 초등학교 5학년 1개 학급 42명을 실험 집단으로 선정하여 토의형 대립토의 수업 월 2차시, 총 8차시의 수업을 전개하였다. 실험처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한 측정도구는 아동의 네 가지 학습 욕구 충족 정도와 수업 만족도를 묻는 질문지를 작성하여 검사하였다. 결과에 대한 자료의 처리는 질문지를 분석하여 SPSS/WIN(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프로그램 (Ver 8.0)을 이용하여 T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에서의 토의학습은 아동의 의사소통 욕구 충족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은 토의주제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고, 상반되는 입장에 대해 논리적 반박이나 질문을 통하여 서로의 생각과 의견을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아동은 이러한 토의과정을 통해 의사소통에 대한 자신감을 형성하게 된다. 둘째, 사회과에서의 토의학습은 아동의 계획 세우기 욕구 충족에 효과적이었다. 토의 학습은 일정한 순서와 규칙이 있다. 아동은 토의 과정에 따른 자신의 역할과 발표 계획을 미리 설계하고 실행하며, 수정하는 경험을 통해 아동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된다. 셋째, 사회과에서의 토의학습은 아동의 사고 욕구 충족에 효과적이었다. 토의과정은 아동의 다양한 사고 활동을 동반하게 되므로, 활발하게 진행되는 토의는 아동의 다양한 사고 활동을 촉진하게 된다. 넷째, 사회과에서의 토의학습은 아동의 자기표현 욕구 충족에 효과적이었다. 아동이 중심이 되는 토의학습에서 아동은 자기의 감정, 느낌 등을 자유롭게 표현하게 되며, 수업 자체의 흥미와 재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과에서의 토의학습은 아동의 수업 만족도를 높여 새로운 동기화에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아동이 계속되는 토의학습에 지루함을 느낄 수 있으므로 교사는 토의 모형이나 역할을 다양하게 구성하여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토의학습이 아동의 학습 욕구 충족에 효과가 있음을 부분적으로나마 검증할 수 있었다.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올바른 토의활동의 절차나 방법에 대한 교사와 아동의 인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토의 과정은 아동이 중심이 되어야하고, 아동의 욕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서 교사는 아동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허용적인 분위기를 조성해 주어야 한다. 앞으로는 토의학습의 유형별 아동의 욕구 충족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아동의 입장에서 수업을 평가하고 수업에 대한 만족감이나 불만족감 등의 정서적·감정적 측면에서의 수업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Children have four desires generally and satisfaction of desi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up their learning motive and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scussion learning in the effect of children's learning desire satisfaction and learning motive creation. Children's learning desire is selected and classified from Maslow and Saxe's desires in relation to learning. Theoretical basis of this study is prepared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effect and the application of debate by stages. For attaining this purpose,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posed. Discussion learning would have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children's mutual communication desire. Discussion learning would have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children's planning desire. Discussion learning would have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children's consideration desire. Discussion learning would have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children's self-expression desire. Discussion learning would have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children's lesson. Discussion learning would create strong motive on learning in social stud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2 fifth, graders in a class of the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Bucheon. They were selected experimental group and they had 8 debate classes of 2 hours per a month. The questionnaire in relation to the satisfaction of children's learning desire and class satisfaction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 program(ver 8.0) by using t-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iscussion learning had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children's mutual communication desire. Children could express their opinions on the subject, exchange mutual ideas and opinions through logical refutation or questions, and have confidence in mutual communication through discussion. Second, discussion learning in social studies had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children's planning desire. Discussion learning had regular rule and order. Children could make a learning plan by themselves through experiences in planning, performing and revising their roles and expressions in the procession of discussion. Third, discussion learning had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children's consideration desire. Discussion needed children's various thinking activities, therefore, children could develop their abilities to think through discussion. Fourth, discussion in the social studies had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children's self-expression desire. Children could express their emotions and feelings freely and they could be interested in class through the child-centered discussion learning. Fifth, discussion had an affirmative effect on children's class satisfaction. However, they could be bored with continuous discussion, therefore, teachers should make a variety of discussion samples or roles. It was verified partly that discussion learning had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children's learning desire through this study. Teachers and children's cognition on desirable process or way of discussion should be preceded to make better effect. It is necessary to inquiry concretely on children's desire satisfaction by discussion type, to evaluate the lesson in children's places, and to continue the study in the emotional and sentimental aspects such as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on the lesson.

      • 기혼여성 대학원생의 학습욕구,갈등 및 만족도에 대한 인식 연구

        이현정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86

        세계적인 흐름에 따라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고학력 여성의 인력개발 및 활용, 경력단절 여성에 대한 지원, 평생학습지원 등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고등교육의 확대, 남녀 평등의식의 확산으로 인해 ‘직업인’ 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 온 여성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과거 소수 엘리트를 대상으로 교육을 담당하고 수월성을 목적으로 하던 한국의 대학원생은 2000년대 94,079명에서 2015년 129,201명(한국교육통계자료)으로 계속적인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인구의 고령화와 고학력화를 겪고 있는 선진국의 경우 ‘대학교의 성인화(adult ification)’와 ‘대학의 상업화’는 대표적인 대학환경의 변화로 한국의 대학문화와 같은 맥락이다(박성정, 2005). 한국의 석사과정 학생 수는 2000년대 초반에 이미 10만 명을 넘었고, 2014년에는 260,897명으로, 1980년에 비해 학생 수가 9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성별로 보면 1980년에 남학생은 23,485명, 여학생은 5,416명으로 전체 석사과정 학생 중 여학생의 비중이 20%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여학생 비중이 꾸준히 늘어나면서 2010년에는 여학생 비중이 50%를 넘었다. 2014년 석사과정 남학생은 127,733명, 여학생은 133,164명으로 전체 학생 중 여학생의 비중은 51%이었다. 교육의 대상은 대학교육 인구수에 해당하는 전통적인 고등교육 학령기 학습자를 넘어서 비전통적인 학습자인 성인학습자로 나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관심이 학생 수 확보를 통해 대학의 존립을 유지하는 수단으로 다루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가사생활 만으로도 충분히 바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는 현실에서 학습 준비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아야하는 대학원학업 과정에 있는 기혼여성 학습자가 느끼는 내적갈등과 외적갈등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여 기혼여성 대학원생들의 학업생활에 대한 인식을 연구 하는데 필요성을 느꼈다. 신미식(2002)은 교육기회가 적을 때 교육받지 못했던 여성들이 부족한 학력을 높이려는 목적에서 정규 대학과정이나 대학원과정을 평생학습으로 선택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기혼여성 학습자들은 제각기 다른 경험을 통해 삶의 패턴을 형성하고 있기에 그만큼 다양하고 복합적인 학습욕구를 소유하고 있을 것이다. 현대 사회는 정규교육을 받는 연한이 장기화되고 사회 전반적으로 학력이 높아지면서 성인학습자들, 특히 여성성인 학습자들의 평생학습 요구가 다양해지고 전문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기혼여성의 대학원 교육 시기는 여성의 생애주기에서 결혼, 임신, 출산, 양육을 비롯한 가정생활을 고려하여야 할 연령대에 속한다. 따라서 기혼여성은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성역할 분업이 요구하는 가정생활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하며, 한편으로는 대학원생활을 통해 사회활동에서의 자신의 자리를 찾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는 기혼여성 대학원생들의 다중역할에 대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그래서 대학원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혼여성 학습자들이 다중역할 수행자라는 심리적, 육체적, 경제적 부담을 감수하면서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하는 욕구는 무엇이며, 학습을 하면서 발생하는 외적·내적 갈등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기혼여성 대학원생들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 특성이 학습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인식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 석사교육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기혼여성 학습자의 학습욕구유형과 갈등요인을 분석하고, 기혼여성 대학원생의 학업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여 학업생활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기혼여성 대학원생의 개인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기혼여성 대학원생의 학습욕구유형을 분석하였다. 셋째, 학습참여시 느끼는 갈등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넷째, 기혼여성 대학원생의 특성에 따른 학업에 대한 만족도와는 학습자에게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 개신교회 청장년의 학습욕구를 중심으로 한 교육목표의 설정

        김유복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국내석사

        RANK : 248669

        I.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is the needs of christian young adults. This study also has the purpose to formulate of educational objectives through needs assessment of christian young adults in the churches. A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before practical research. It Proved that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of christian young adults is very important process in the christian young adult Education. In order to have a properly developed curriculum, objectives need to be clearly defined. We need to be consider carefully what changes. We want to see in the lives of our young adults so that we can help them to mature. In thinking through those objectives we must consider both the age characteristics of the young adult learner and the imperatives of scriptures. The objectives must be both distinctly christianity and related to the young Adult learner. II. Practical Research and Its Results. To examine the christian young adult's educational needs, questionnaire was designed. I used a questionnaire to examine educational needs of christian young adults. It was composed of 11 questions guoted from Adults-manual for christian Education (E. R Mccarthy : 1977) were selected to survey. (The number of Respondents :Total 406 papers)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follows: 1) Christian young adults were very interested in a theology and christianity doctrine. (Total 19.8%) Especially, They want to learn about christian world view. 2) They also to know about a self-culture and identity (Total 18.4%) 3) Christian young adults were interested in vocation and commiment as God's people. (16.8) 4) Christian young adults to learn about the mission (13.7%) Especially, they were interested i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christian. III Conclusion. In view of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concluded as follows; Firstly : Consideration of the needs and interest of christian young adults is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eir education program. Secondly : Christian young adults want to learn about all aspects of the human lives. Thirdly : Therefore, we have to teach about all aspects of young adults lives. Here, it is to be noted that education is education for life and living. IV. Young Adults Educational Objectives in the Reformed Churches. 1. Young Adults correctly understand christianity faith and apply it to their lives. A. Young Adults correctly understand the Bible and apply it to their lives. B. Young Adults have a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faith expressed in the christianity doctrines and theology to have matured faith. C. Young Adults establish christian life philosophies in their lives through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hristian world view. 2. Young Adults establish self-identity as a christian. A. Young Adults who correctly understand and permit themselves in the light of the Bible, have a healthy self-image. B. Young Adults establish christian life principles and develope christian life style. C. Young Adults have personal fellowship with God through meditation and prayer. 3. Young adults establish correct relationship with neighborhood and society through correct understanding of neighborhood and society. A. Young adults establish a biblical understanding of marriage, family, and the other sex and apply it to their fellowship with the other sex and family life. B. Young adults set up a biblical understanding of a vocation (or a study) and establish correct relation with a co-worker. C. Young adults understand social responsibility as christian and live as witness of Jesus-christ with a statement and conduct in their lives.

      • 일-학습상호작용이 학습만족과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취욕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소유섭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19

        최근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빅 데이터 등 첨단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경영환경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노동시장도 엄청난 변화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기업은 경쟁상대 기업보다 더 빨리 변화하고, 학습하고, 행동하는 조직을 구축해야만 지속가능한 시대가 되었고, 이러한 흐름에 맞춰 우리나라 정부도 평생교육의 일환으로 일-학습병행제를 도입하여 기업체의 체계적 교육훈련을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학습병행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일-학습 상호작용의 효과가 학습만족과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하였다. 일-학습상호작용 요인으로는 일-학습의 긍정적 상호작용, 학습-일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제시하고, 학습만족 및 학습전이, 성취욕구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학습 상호작용은 학습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일-학습을 병행하면서 직장에서의 직무경험과 수행능력이 학습을 하는데 도움을 주거나 학습을 하는 것이 직장 생활을 즐겁게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일-학습 상호작용은 학습전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일-학습병행제를 통해 배운 지식을 현장에 적용하려는 노력은 일-학습 상호작용이 긍정적일 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습만족은 학습전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취 욕구는 학습-일 상호 작용과 학습만족 간의 관계에서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취욕구가 일-학습 상호작용과 학습만족간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는 없었다. 또한 성취욕구가 높은 집단의 경우 낮은 집단에 비해 학습-일 상호작용 수준이 높아지면 학습만족 수준도 크게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주는 시사점은 첫째, 일-학습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학습만족에 영향을 주어 학습전이로까지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한 점이다. 따라서,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이 긍정적인 생각을 갖도록 기업과 교육기관의 많은 배려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기업은 종사자들을 소중한 경영자산으로 생각하고 일-학습병행제를 좀 더 활성화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셋째, 성취욕구가 높은 학습자를 선별하여 지원하여야 그 효과가 크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단일 기업인 K 공기업에서 일과 학습을 병행하였던 인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분석하였으므로 모든 기업에 일반화 하여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또한, 일-학습병행제의 국내도입이 4년 밖에 되지 않아 모든 변수들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향후 일-학습병행제가 활성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변인들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한다면 일-학습제의 성공을 위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of things and big data, the business environment is changing rapidly, and the future labor market is expected to change enormously. As a result, global companies have become more sustainable by establishing organizations that change, learn, and act faster than their competitors, and it becomes a sustainable age. In accordance with these trends,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introduced a work-learning parallel system as a part of lifelong education to support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of enterprises.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and verified the effects of work-learning interactions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transition,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work-learning parallelism. Among the factors of work-learning interactions, they suppose both positive interactions of work-learning and learning-work. And this research empirically insp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transition, and achievement des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shown that the work-learning interaction influences learning satisfaction. Job-learning parallelism helps job learning and performance in the workplace, as well as learning. Second, the work-learning interaction affected the learning transition. Efforts to apply the knowledge learned through work-learning concurrency to the field appear when the work-learning interaction is positive. Third, Learning satisfaction was found to affect learning transition. Finally, the achievement desire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work interac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but the achievement desire has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earning interac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lso, it i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learning-work interaction, the higher the level of learning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howed that it is confirmed that positive interaction of work-learning affects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ds to learning transition. Therefore, a lot of consideration is needed from compan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so that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work-learning concurrence have positive thoughts. Second of all, companies need to consider employees as valuable assets and support work-learning concurrency. Next,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the learner with high achievement needs should be selected and support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limited to generalize to all companies because it is analyzed by performing research on the people who have performed work and learning together in a single corporation, K public corporation. In addition,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work-study cooperative system was only 4 years, the previous researches on all the variables were insufficient. I expect that more research results will be presented for the success of the work-learning system if the future work parallelism is activated and the various variables are further analyzed based on this.

      • 구조중심 협동학습이 기본심리욕구와 자기결정성 동기 및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정재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19

        지식정보화 사회를 살아가야 하는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것은 지식의 습득이 아니라 지식의 구성과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다. 이를 위해 학습자 스스로의 의지를 통해 학습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필요하며 이는 초등학교 시기부터 형성되어야 할 능력이다. 이러한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동기적 요소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기조절학습은 자율성과 내면화 정도에 따라 동기를 분류하는 자기결정성 동기와의 관련성을 고려할 수 있다. 선행연구는 자기결정성이 높은 동기를 지닌 학습자가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자기결정성 동기는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내재적 동기는 감소하고 외재적 동기유형과 무동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김아영, 2002). 고학년으로 갈수록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더욱 필요한 상황에서 자기결정성이 높은 동기가 감소되는 것은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자기결정성이 높은 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자기결정성이 높은 동기는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관련되어 있다.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기본심리욕구가 충족될 때 자기결정성을 통한 내재동기의 발생이 자극된다고 한다. 이러한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협동학습이 기본심리욕구와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협동학습 중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사용하고자 한다. 구조중심 협동학습은 5~10분 정도의 쉽고 간단한 구조들을 교과나 학습내용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구조중심 협동학습이 초등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협동학습 상황에서 각 변인들 간의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협동학습을 활용한 수업이 기본심리욕구,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협동학습 집단과 비교집단에서 기본심리욕구,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조절학습 간의 관계 경향성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의 N초등학교 6학년 6개 반을 선정하여 3개 반은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3개 반은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한 검사도구로는 기본심리욕구 척도와 청소년용 학습동기척도, 자기조절학습 검사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와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조절학습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사전검사 결과 두 집단은 동질집단인 것으로 드러났다. 실험집단에는 8주 간 총 15차시에 걸쳐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실시하였다. 비교 집단에는 협동학습을 배제한 일제식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협동학습 처치가 끝난 후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두 집단 모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협동학습의 영향를 검증하기 위해 통계 프로그램 i-STATistics 1.0.30과 SPSS 20.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종속표본 t-검증, 공분산 분석(ANCOVA),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협동학습이 기본심리욕구와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 집단은 기본심리욕구 중 유능감 욕구를 제외한 자율성, 관계성 욕구 충족이 비교집단보다 더 높았다. 그리고 협동학습 집단은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 중 자기결정성이 가장 높은 동기유형인 내재적 동기가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협동학습 집단은 실험처치 후 자기조절학습의 구성 요인 중 동기조절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협동학습 집단과 비교집단에서 기본심리욕구,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조절학습 간의 관계 경향성은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었다. 두 집단 모두 기본심리욕구 중 유능감 욕구의 충족이 자기결정성이 높은 동기유형에 영향을 주었다. 또 유능감 욕구 충족이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자기결정성이 높은 동기유형인 내재적 동기가 자기조절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와 유사한 맥락을 보이며, 협동학습 상황에서도 변인들 간의 관계 경향이 비슷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협동학습 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관계 경향성의 차이점을 통해 협동학습의 영향에 대해 더 고찰할 수 있었다. 특히 협동학습 집단에서만 나타난 변수 간 관계 중에 선행연구 결과와 상반된 맥락을 보여주는 결과들, 즉 자율성 욕구 충족이 자기결정성이 높은 동기유형인 확인된 조절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자율성 욕구 충족이 자기조절학습 중 인지조절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후속연구를 통해 다시 검증할 필요가 있다. 한편 외적 조절은 행동조절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 역시 선행연구와 상반된 결과인데 이러한 결과에 협동학습의 요소가 작용했을 것으로 추측되며 후속 연구를 통해 다시 검증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 정서와 동기 중심 학습컨설팅이 학교행복감과 기본심리욕구에 미치는 효과

        김귀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정서와 동기 중심 학습컨설팅이 초등학생의 학교행복감과 기본심리욕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정서와 동기 중심 학습컨설팅은 초등학생의 학교행복감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정서와 동기 중심 학습컨설팅은 초등학생의 기본심리욕구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를 위하여 경상북도 Y시에 위치한 D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정서와 동기 중심 학습컨설팅으로 학교행복감과 기본심리욕구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A반을 실험집단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결과 연구자의 학급과 동질성이 검증된 B반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12주간 총 12회기의 정서와 동기 중심 학습컨설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실험이 끝난 후, 학습컨설팅의 효과 검증을 위해 두 집단 모두 학교행복감과 기본심리욕구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컨설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검사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 분석을 하였으며 학습컨설팅 종료 후 매 회기별 학생의 활동보고서와 연구자가 관찰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학교행복감과 기본심리욕구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와 동기 중심 학습컨설팅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학교행복감 총점과 하위요인(친구관계, 교사관계, 자기효능감, 학습활동 즐거움, 심리적 안전, 환경 만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정서와 동기 중심학습컨설팅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기본심리욕구 총점과 하위요인(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정서와 동기 중심의 학습컨설팅은 초등학생의 학교행복감과 기본심리욕구 모두를 향상 시켜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감, 학습동기, 학업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 시니어문화예술학습욕구가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광주광역시 광산구 시니어복지관 '더불어락'을 중심으로

        최정낭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19

        2014년 현재 우리나라는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인구 비중의 약 12% 로 고령화사회를 넘어, 시니어붐(senior boom)시대라 할 만하다. 백세시대의 장수를 맞아 건강하고 경제적으로도 여유가 있는 시니어가 늘어나고 있다. 이들은 자신의 삶을 즐기고자하는 학습의 욕구 또한 강하다. 이제 시니어 개인의 행복과 발전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국가 경영을 위해서도 ‘시니어학습’이 중요한 시기이다. 특히 일반 성인이나 학생들과 달리 시니어의 신체적·정신적 특성이 반영된 ‘문화예술학습’은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시니어의 문화예술 학습욕구를 파악하는 일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현재 시니어층이 어떤 문화예술학습의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어떤 요인이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또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복지관 운영과 학습프로그램에 대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고학력 시니어학습자를 위한 미술관·박물관·문화원 등의 연계 운영시스템이 필요하다. 둘째, 장기적이고 균형 잡힌 프로그램을 위해서 시니어전문가와 학습전문가의 통합적인 프로그램 계발이 필요하다. 셋째, 60대 젊은 시니어층을 위한 경제생활 연계 프로그램과 80대 이상을 위한 고독감 해소 프로그램 제공 등의 계층별 집중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이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시니어의 문화예술학습은 개인의 안녕과 복지 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안전성, 쾌적성, 발전 까지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어 향후 충분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 조리실습 교육 수강생의 기본심리 욕구가 학습몰입과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금옥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8

        본 연구는 조리 실습 교육에서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가 학습 몰입과 학습 만족도와의 인과관계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는 향후 조리사라는 직업을 갖게 될 때 직업 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2년 1월 21일부터 2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대상은 부산지역의 조리학원, 조리직업전문학교, 특성화고등학교, 전문대학 등에 수강한 경험이 있거나 수강 중인 378명의 학생들이다. 분석방법은 SPSS 23.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t-test와 one way ANOVA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변수 간의 전반적인 관계성 및 방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설검정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리 실습교육생들의 심리욕구의 하위요인(자율성 욕구, 유능성 욕구, 관계성 욕구)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학습몰입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몰입, 감성적몰입, 인지적몰입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율성 욕구와 감성적 몰입과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인과 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관계성 욕구는 모든 종속변수에 높은 인과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리 실습교육의 학습몰입의 하위요인(행동적 몰입, 감성적 몰입, 인지적 몰입)은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감성적 몰입이 학습만족도에 높은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관계성 욕구가 높은 영향력이 있는 것은 조리실습에서 강요받지 않고 스스로 결정하여 타인과의 긍정적인 친밀감을 가지는 수강생들이 조리 수업에 몰두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표본의 특성을 살펴보면 40, 50대 여성들이 많은 분포를 나타내는데, 이들은 이미 기본적인 요리실력을 갖추고 있음으로 요리 강사들의 지나친 지도 보다는 자율적으로 실습을 진행하는 것이 행동적 몰입에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조리에 대한 열정과 몰입이 만족도를 증가시킨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자들은 수강생들이 실습수업에 몰입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본연구는 표본의 대상이 부산이라는 지역적 한계와 설문조사를 비확률표본추출방법인 편의 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였기에 모집단에 대하여 요인들 간의 정확한 인과관계를 밝히는 데 한계를 가진다. 추후 본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후속 연구가 계속 진행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sychological needs and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cooking practice education. The psychological needs of students are a factor that significantly affects job satisfaction when they have a job as a cook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1 to February 20, 2022. The survey subjects are 378 students who have or are taking courses in culinary schools, vocational schools,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colleges in the Busan area.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dditionally,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Finally,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hypothesis. The sub-factors of the psychological needs of the cooking trainees (autonomy needs, competence needs, and relational need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ub-factors of learning immersion, behavioral immersion, emotional immersion, and cognitive immersion,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in all factors excep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 for autonomy and emotional immersion. Relational needs were found to have a high relationship to all dependent variables. The sub-factors of learning immersion (behavioral immersion, emotional immersion, cognitive immersion) of cooking practice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learning satisfaction. In particular, emotional immersion showed a high influence on learning satisfaction. The need for relationships has a high influence suggests that the students who have positive intimacy with others by making their own decisions without being coerced in cooking practice can immerse themselves in the cooking class.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there is a large distribution of women in their 40s and 50s, which already have basic cooking skills, suggesting that autonomous practice rather than excessive guidance from cooking instructors affects behavioral immersion. It indicates that passion and immersion in cooking increase satisfaction. Therefore, educators provid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students can immerse themselves in practical classes is important in increasing satisfaction.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revealing the exact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in the population because of the regional limitations of the sample being Busan and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hich is a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for the survey. Further studies will be continued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 the future.

      • 체육수업에서의 학습열정과 기본심리욕구 및 사회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장선희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03

        이 연구는 체육수업에서의 학습열정과 기본심리욕구 및 사회심리적 웰빙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연구의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하여 질문지법에 의한 직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그 응답결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한 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체육수업에서의 학습열정이 기본심리욕구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체육수업에서의 기본심리욕구가 사회심리적 웰빙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체육수업에서의 학습열정이 사회심리적 웰빙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학습열정의 하위요인인 조화열정은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요인인 자율성과 관계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강박열정은 영향이 없었다. 반면 유능성은 조화열정과 강박열정 모두 정적 영향을 주었다.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요인인 관계성은 사회심리적 웰빙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자기인식, 가족관계, 교사관계, 친구관계 모두 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반면 자율성과 유능성은 사회심리적 웰빙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자기인식, 가족관계, 교사관계, 친구관계 모두 영향이 없었다. 학습열정의 하위요인인 조화열정은 사회심리적 웰빙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자기인식, 가족관계, 교사관계, 친구관계 모두 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반면 강박열정은 긍정적 자기인식, 가족관계, 교사관계, 친구관계 모두 영향이 없었다. The main goal of the study is for positively investigating relation of Passion in Study,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ocial Psychological Wellbeing for P.E. Class.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selected, and direct investigation with questionnaire method under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 achieve the goal. The results after statistically verifying the response are as follow. First, passion in study for P.E. can have static effect in part over basic psychological needs. Second,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P.E. class can have static effect in part over social psychological wellbeing. passion in study for P.E. can have static effect in part over social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s, harmonious passion, sub factor of passion in study, has static effect over autonomy and relation, sub 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bsessive passion has no meaningful effect. Meanwhile, competence has static effect over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Relation, sub factor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has static effect over positive self-awareness, family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and friendship, every sub factor of social psychological wellbeing. Meanwhile, autonomy and competence have no meaningful effect over positive self-awareness, family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and friendship, every sub factor of social psychological wellbeing. Harmonious passion, sub factor of passion in study, has static effect over effect over positive self-awareness, family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and friendship, every sub factor of soci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bsessive passion has no meaningful effect over positive self-awareness, family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and friendship, every sub factor of social psychological well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